KR970008170B1 - 이동통신 기지국내 패킷 교환 처리 장치의 네트워크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기지국내 패킷 교환 처리 장치의 네트워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8170B1
KR970008170B1 KR1019940034386A KR19940034386A KR970008170B1 KR 970008170 B1 KR970008170 B1 KR 970008170B1 KR 1019940034386 A KR1019940034386 A KR 1019940034386A KR 19940034386 A KR19940034386 A KR 19940034386A KR 970008170 B1 KR970008170 B1 KR 970008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bss
network
subsystem
packe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4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463A (ko
Inventor
전상영
김영일
이경준
이헌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양승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양승택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Priority to KR1019940034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8170B1/ko
Publication of KR960027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8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1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이동통신 기지국내 패킷 교환 처리 장치의 네트워크
제 1 도는 BSS의 구성도.
제 2 도는 성형망의 경우 패킷 교환 처리 장치의 구성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도.
제 4 도는 물리 번지(Physical Address) 구성 체계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BTS102 : BSC
103 : CCP104 : SBS
105 : BSM106 : CIS
본 발명은 BSS(Base Station Subsystem)내 패킷 교환 처리 장치의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BSS 내에서 각 서브시스템간을 접속시켜 패킷 데이타를 패킷의 오버헤드(Overhead)에 부가되는 목적지 주소로 라우팅(routing)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패킷 교환 처리 장치의 네크워크에 관한 것이다.
제 1 도는 BSS의 구성도이다.
제 1 도와 관련하여, BSS(Base Station Subsystem)는 기지국 송수신기(Base Transeiver Subsystem ; 이하, BTS라고 칭함) (101) 및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 이하, BSC라고 칭함) (102)로 구성된다. 상기 BTS(101)는 이동국과 BSC(102) 사이에 링크를 제공하고, BSC(102)는 CCP(Call Control Processor) (103) , SBS(Selector Bank Subsystem) (104), BSM(Base Station Manager) (105), CIS(CDMA Interconnection Subsystem) (106)등으로 구성 된다.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과 제어국간의 트렁크(Trunk) 사용 효율을 증대시키고,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 BTS(101)와 BSC(102) 사이에서 생성된 패킷 형태의 무선 트래픽 데이타에 목적지 주소와 오버헤드 정보를 부가한 다음 비채널(Non-Channelized)방식으로 다중화시켜 BSC(102)로 전송한다. 따라서 BSC(102)에서는 패킷 형태의 트래픽 데이타와 제어 정보를 목적지로 라우팅(routing)시키는 기능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CIS(106)로, 각 서브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패킷 데이타를 8비트의 병렬 데이타로 변환시킨 후 패킷의 오버헤드에 부가된 목적지 주소로 라우팅시켜준다.
제 2 도는 성형망인 경우의 패킷 교환 처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BSC의 트래픽 처리 용량을 늘리기 위해서, 제 2 도와 같이 N개의 링크를 갖는 패킷 교환 처리장치(201)를 다수개 접속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제 2 도와 같이 각 패킷 교환 처리 장치를 성(star)형망으로 접속하는 경우에는 허브(Hub) 역할(202)을 하는 패킷 교환 장치에 많은 부하가 걸리게 되어 고속으로 동작을 해야 하기 때문에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방식과 같은 고속 전송 방식을 적용해야 한다.
따라서, 비동기 교환 처리 장치가 부가되어야 하므로 시스템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BSS내에서 각 서브시스템간을 접속시켜 패킷 데이타를 목적지 주소의 서브시스템으로 라우팅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패킷 교환 처리장치의 용량을 간단한 구성으로 확장시키기 위하여 패킷 교환 처리 장치를 상호 접속시키는 네트워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BTS와 BSC로 구성되는 BSS에서 각 서브시스템들이 패킷 교환 처리장치에 연결되고, 패킷 교환 처리 장치들의 용량 확장을 위해 상호간 메쉬(Mesh)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패킷 교환 처리장치 사이의 경로 설정은 물리 번지내의 브리지(Bridge) 비트에 의해 설정되고, 설정된 경로를 따라 목적지 주소의 서브시스템으로 패킷 데이타가 전송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창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구성도이다.
제 3 도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각 패킷 교환 처리 장치(301)를 메쉬 형태(302)로 접속하여 비동기 교환 처리 장치가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의 본 발명에서 BSC의 용량이 증대되어 패킷 교환 처리 장치를 증설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모든 패킷 교환 처리 장치와 새로운 경로를 형성시켜야 하므로, 전체적으로 m개의 패킷 교환 처리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mC2만큼의 링크가 필요하게 되지만(성형망 접속 방식의 경우에는 m 링크) 시스템 구축시 복잡성이 감소하게 된다.
제 4 도는 BSS에 속한 서브시스템 사이의 패킷 통신로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어드레스 체계를 예시한 도면이다.
첫번째 바이트의 2비트는 그룹 id(401)를 나타낸 것으로 00은 BSC0, 01은 BSC1, 10은 BSC2, 11은 HIPCU에 할당된다.
그 다음의 5비트(402)는 BTS, BSC, SBS 그룹에 할당된다. 즉 00000∼01111은 BTS 그룹에, 11101은 BSC 그룹에, 11110은 SBS 그룹에 할당되며 나머지는 사용되지 않은 예약번호이다.
첫번째 바이트의 8번째 비트와 두번째 바이트의 첫번째 비트는 브리지(403)를 나타내며, 그 다음 7비트(404)는 SBS 번호와 BTS내 프로세서에 할당된다.
상기 브리지(403)는 CIS 사이의 패킷 경로를 지정해 주기 위한 번호로서, 제 4도에서와 같이 2비트로 구성된 경우에는 4개의 브리지 경로를 갖을 수 있다. 메쉬 형태로 상호 연결된 CIS 보드의 수가 많아지면 브리지의 비트수를 증가시켜 패킷 경로를 늘리면 된다.
제 3 도와 같은 경우 CIS#1에 입력되는 패킷 데이타는 브리지로 지정된 경로에 의해 CIS#2, CIS#3 또는 CIS#m을 경유하여 노드 어드레스에 지정된 서브시스템으로 전송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수개의 패킷 교환 처리장치가 상호 메쉬 형태로 연결되어 패킷 데이타를 라우팅하기 때문에 제어국의 트래픽 처리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성형망과 같이 허브(Hub) 역할을 하는 비동기 교환 처리 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스템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Claims (2)

  1. 이동통신 시스템의 BSS(Base Station Subsystem)(102)에서 각 서브시스템간의 패킷 데이타를 목적지로 라우팅(routing)시키는 CIS(CDMA Interconnection Subsystem) (301)의 다수가 메쉬(mesh)형태로 접속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SS내 패킷 교환 처리 장치의 네트워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타는 물리 번지에 부가되어 패킷 데이타의 경유 경로를 나타내주는 브리지(bridge) 비트(403)에 의해 지정된 목적지 주소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SS내 패킷 교환 처리 장치의 네트워크.
KR1019940034386A 1994-12-15 1994-12-15 이동통신 기지국내 패킷 교환 처리 장치의 네트워크 KR970008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4386A KR970008170B1 (ko) 1994-12-15 1994-12-15 이동통신 기지국내 패킷 교환 처리 장치의 네트워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4386A KR970008170B1 (ko) 1994-12-15 1994-12-15 이동통신 기지국내 패킷 교환 처리 장치의 네트워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463A KR960027463A (ko) 1996-07-22
KR970008170B1 true KR970008170B1 (ko) 1997-05-21

Family

ID=19401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4386A KR970008170B1 (ko) 1994-12-15 1994-12-15 이동통신 기지국내 패킷 교환 처리 장치의 네트워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81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5664B1 (ko) * 2001-01-08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기기 및 이를 적용한 무선 통신시스템 및 그통신방법
KR101321398B1 (ko) 2007-04-17 2013-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일의 와이파이 인터페이스로 다수의 메쉬 동작 모드를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463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0641A (en) Multichannel bandwidth allocation
US4993018A (en) Self-routing switching system with multiple link connections between incoming and outgoing lines
FI102132B (fi) ATM-solun otsikkokenttien käyttö radiovälitteisessä ATM-tiedonsiirross a
EP0577959B1 (en) Mobile radio systems
KR100438632B1 (ko) 가상 경로기반 스태틱 루팅
AU686294B2 (en) Message routing
EP0578260A2 (en) TDMA cellular mobile communciation system
JP3781126B2 (ja) 移動無線電話網のリング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
JPS63131698A (ja) 多段相互接続ネットワークの制御方法
CN1176551A (zh) 动态时分多址的系统和方法
EP0679042A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obile communication ATM networks
Ross et al. Design approaches and performance criteria for integrated voice/data switching
Bohm et al. Fast circuit switching for the next generation of high performance networks
KR970008170B1 (ko) 이동통신 기지국내 패킷 교환 처리 장치의 네트워크
KR100304777B1 (ko) 호 처리의 정체를 회피할 수 있는 이동 통신
Chunming et al. Polymorphic Control for Cost‐Effective Design of Optical Networks
CN1179589C (zh) 用于传输通用传输网中信息的方法
ES2314003T3 (es) Reasignacion de recursos de red en la iub.
WO2000030301A1 (en) System for establishing a transmission sequence for plural terminals in a wireless network
JP3158230B2 (ja) 非同期情報通信制御方法
KR015239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다중화된 중계선 경로 구성 및 그 제어방법
JPH077520A (ja) ローカルネットワークおよびブリッジ素子
KR100294849B1 (ko) 이동 에이티엠 셀 전송 통신 시스템, 이동 통신단말, 무선 기지국 장치, 및 이동 에이티엠 셀 전송통신 방법
Pach et al. Slot pre-using in IEEE 802.6 metropolitan area networks
KR100323054B1 (ko) 에이티엠 교환기에서의 프로세서간 통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