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8013B1 - 그린 모니터용 전원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그린 모니터용 전원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8013B1
KR970008013B1 KR1019940020239A KR19940020239A KR970008013B1 KR 970008013 B1 KR970008013 B1 KR 970008013B1 KR 1019940020239 A KR1019940020239 A KR 1019940020239A KR 19940020239 A KR19940020239 A KR 19940020239A KR 970008013 B1 KR970008013 B1 KR 970008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voltage
power
coil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0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482A (ko
Inventor
허동영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20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8013B1/ko
Publication of KR960008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8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0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18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28Monitoring task completion, e.g. by use of idle timers, stop commands or wait comm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c-Dc Converters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요약없슴

Description

그린 모니터용 전원 공급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모니터의 전원 공급 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
제2도는 일반적인 모니터의 전원 공급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전원 공급 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전원부,2 : 제2전원부,
3 : 제2전원 제어부,4 : 제3전원부,
5 : 제4전원부,6 : 제5전원부,
10 : 제5전원 제어부,Q11, Q12 : 트랜지스터,
D11 : 다이오드,R11,R12 : 저항,
S6 : 제6코일.
본 발명은 그린 모니터용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전원 회로를 사용하여 트랜스포머의 2차측 권선 중 히터 전원측에 별도의 권선을 감아 서스팬드 모드시 출력전압을 정상모드의 1/8~1/10 정도로 낮추어진 전원을 각 전원부에 공급하여 전원과 히터간에 연결된 소자의 발열문제를 해결하여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한 그린 모니터용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제품은 대부분 전력 손실을 줄이는 회로를 채택하고 있는데 컴퓨터용 모니터에서 채택한 전력 절감방식은 모드 상태가 정상적인 정상모드와, 빠른시간내에 화면이 정상으로 돌아오는 서스팬드 모드와, 마이컴을 제외한 모든 회로의 동작전원이 오프되어 소비전력이 최소가 되는 오프 모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각각의 모드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모니터에 인가되는 일반적인 전원공급 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교류 전원이 정류된 후 인가된 전압(Vin)에 의해 1차측 코일에 전류가 흘러 2차측에 전압을 여자시키는 트랜스포머(T)와, 이 트랜스포머(T)의 2차측 제1코일(S1)에 여자된 전압을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1)에 의해 정류하여 모니터에 전압(B1)을 출력시키는 제1전원부(70)와, 상기 트랜스포머(T)의 2차측 제2코일(S2)에 여자된 전압을 다이오드(D2) 및 콘덴서(C2)에 의해 정류하여 영상 신호 처리부(VP)에 인가하는 제2전원부(71)와, 이 제2전원부(71)와 영상신호처리부(VP) 사이에 접속되어 오프 모드시 소정의 제어신호(Con1)에 의해 제2전원부(2)의 출력 전압(B2)을 감소시키는 제2전원제어부(72)와, 상기 트랜스포머(T)의 2차측 제3코일(S3)에 여자된 전압을 다이오드(D3), 콘덴서(C3) 및 레귤레이터(Reg)을 통해 정류 및 안정화한 후 마이크로프로세서(Mic)에 인가하는 제3전원부(73)와, 상기 트랜스포머(T)의 2차측 제4코일(S4)에 여자된 전압을 다이오드(D4), 콘덴서(C4) (C5), 트랜지스터(Q1) (Q2) 및 저항(R1) (R2)에 의해 정류 후 제어신호(Con2)에 따라 수평/수직 편향부(Df)에 인가하는 제4전원부(78)와, 상기 트랜스포머(T)의 2차측 제5코일(S5)에 여자된 전압을 다이오드(D5) 및 콘덴서(C6)를 통해 정류 후 히터(H)에 인가하는 제5전원부(7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전원 제어부(72)는 감소된 제2전원부(2)의 출력전압을 상기 제3전원부(73)에 인가시켜 오프 모드 설정시 마이크로 프로세서(Mic)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즉, 이와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모니터의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우선 모니터가 정상모드시에는 인가된 교류 전원이 미 도시된 브리지 다이오드 및 콘덴서에 의해 전파 정형된 후 충전되는데, 이때 충전된 전원은 1차측의 트랜지스터(Q1)가 스위칭 동작함에 따라 상기 콘덴서의 충전된 전압이 트랜스포머(T)의 1차측 코일에 인가되어 상기 트랜스포머(T) 2차측의 제1코일(S1) 내지 제5코일(S5)로 여자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트랜스포머(T)의 2차측 코일(S1-S5)로 여자된 전압은 각각 전원부를 통해 정류된 후 모니터에 동작전원으로 입력되고 영상신호 처리부(VP)에 인가되어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3전원부(73)를 통해 정류 및 안정화된 일정 전압은 마이크로 프로세서(Mic)에 인가되어 모니터가 정상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4코일(S4)의 여자된 전압은 제4전원부(78)를 통해 정류된 후 정상모드시 저전위 상태로 출력되는 소정의 제어신호(Con2)에 의해 턴 오프되는 트랜지스터(Q1) 및 턴온되는 트랜지스터(Q2)를 통해 수평/수직 편향부(Df)에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제5코일(S5)의 여자된 전압은 제5전원부(75)에 의해 정류된 후 히터(H)에 인가되어 히터(H)가 구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력절감 방식의 회로를 채용한 모니터에서 오프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신호(Con1)는 저전위 상태로 제2전원제어부(72)에 인가된다. 그러면 이 제2전원제어부(72)는 상기 제2전원부(71)의 콘덴서(C2)의 출력 전압(B2)을 2/8-1/10로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영상신호 처리부(VP)이 동작되지 않고, 상기 제2전원제어부(73)에 의해 감소된 전원은 제3전원부(73)의 레귤레이터(Reg)에 인가되어 전압이 안정화된 후 마이크로 프로세서(Mic)에만 정상적인 동작전원이 인가되는 것이다.
한편, 모니터의 서스펜드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신호(Con2)가 고전위 상태로 제4전원부(78)의 트랜지스터(Q1)가 턴 온되고 이 트랜지스터(Q1)의 턴온 동작에 의해 트랜지스터(Q2)가 턴 오프됨으로써, 상기 제4전원부(78)의 콘덴서(C4)의 출력 전압이 수평/수직 편향부(Df)에 인가되지 않아 수평/수직 편향부(Df)가 동작되지 않는 것이다.
즉, 이와같은 모니터의 전원 공급 장치는 통상 모니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압(B1)이 약 95V-165V이고, 영상 신호 처리부(VP)에 인가되는 전압(B2)가 통상 80V이며, 마이크로 프로세서(Mic)에 인가되는 전압(B3)가 약 5V이고, 수평/수직 편향부(Df)에 인가되는 전압(B4)이 약 12V-24V이며, 히터(H)에 인가되는 전압(B5)가 약 6.3로, 이때 서스펜드 모드가 설정되면 수평/수직 편향부에 인가되는 전압만 차단이 되므로 제4전원부(78)에서 출력되는 부하 전류가 적게되어 스위칭 주파수가 높아지게 되어 결국 모니터의 소비 전력이 커지게 된다. 그러므로 이와같이 서스펜드 모드 설정시 소비되는 전력을 줄이기 위한 다른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2전원 제어부(72)에서 출력 전압에 의해 히터(H)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압(B5)을 출력시키는 제3전원제어부(76)가 더 구성되고, 제4전원부(74)가 제4코일(S4)에서 여자된 전압(B4)을 정류시키기 위한 다이오드(D4) 및 콘덴서(C4)로 구성되며, 제1전원부(70), 제2전원부(71), 제2전원제어부(72), 제3전원부(73), 제5전원부(75)는 제1도의 전원 공급 장치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이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는 제2전원 제어부에서 출력 전압에 의해 히터(H)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압(B5)을 출력시키는 제3전원제어부가 더 구성되면 고정된 낮은 주파수로 동작시키기 때문에 모니터의 전력소모는 현저히 줄일 수 있으나 서스펜드 모드 설정시 히터(H)와 마이크로 프로세서(Mic)에 인가되는 전압(B3)가 모두 제2전원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전압, 즉 영상증폭 회로의 전원에서 얻기 때문에 이 영상 증폭기의 전원과 히터(H)간에 연결된 제3전원 제어부의 구성 소자들에서는 열이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트랜스포머의 2차측 권선 중 히터 전원측에 별도의 권선을 감아 서스팬드 모드시 출력전압을 정상모드의 1/8-1/10 정도로 낮추어진 전원을 각 전원부에 공급하여 전원과 히터간에 연결된 소자의 발열문제를 해결하여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한 그린 모니터용 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T)의 3차측 제5코일(S5)에 의해 여자된 전압을 정류 후 히터에 구동전원으로 공급하는 제5전원부가 구비된 모니터의 전원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T)의 2차측 제6코일에 여자된 전압을 정류 후 서스팬드 모드 설정시 입력되는 제어신호(Con2)에 따라 히터에 공급하는 제5전원 제어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전원 공급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다른 모니터용 전원 공급 장치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미 도시된 교류전원이 정류된 후 트랜스포머(T)에 인가된 전압(Vin)에 의해 1차측 코일의 전압을 2차측의 코일로 여자시키는 트랜스포머(T)와, 이 트랜스포머(T)의 2차측 제1코일(S1)에 여자된 전압을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1)을 통해 정류 후 모니터에 전압(B1)로 공급하는 제1전원부(1)와, 상기 트랜스포머(T)의 2차측 제2코일(S2)에 여자된 전압을 다이오드(D2)및 콘덴서(C2)를 통해 정류한 후 영상 신호 처리부(VP)에 인가하는 제2전원부(2)와, 이 제2전원부(2)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오프 모드를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신호(Con1)에 의해 제2전원부(2)의 출력 전압(B2)에 감소시키는 제2전원제어부(3)와, 상기 트랜스포머(T)의 3차측 제3코일(S3)에 여자된 전압을 다이오드(D3), 콘덴서(C3) 및 레귤레이터(Reg)를 통해 정류 및 안정화한 후 마이크로프로세스(Mic)에 인가하는 제3전원부(4)와, 상기 트랜스포머(T)의 2차측 제4코일(S4)에 여자된 전압을 다이오드(D4), 콘덴서(C4)를 통해 정류시키며 이 정류된 전압을 수평/수직 편향부(Df)에 인가하는 제4전원부(5)와, 상기 트랜스포머(T)의 2차측 제5코일(S5)에 여자된 전압을 다이오드(D5) 및 콘덴서(C5)를 통해 정류한 후 히터(H)의 동작전원으로 인가하는 제5전원부(6)와, 상기 트랜스포머(T)의 2차측 제6코일(6)에 여자된 전압을 서스펜드 모드 설정시 입력되는 제어신호(Con2)에 따라 히터(H)에 공급하는 제5전원 제어부(1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제5전원 제어부(10)는 트랜지스터(T)의 2차측 제6코일(S6)에 여자된 전압을 정류시키는 다이오드(D11)와, 서스펜드 모드 설정시 입력되는 제어신호(Con2)에 의해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Q11)와, 이 트랜지스터(Q11)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스위칭되어 다이오드(D11)에 의해 정류된 전압(B5)을 히터(H)에 인가하는 트랜지스터(Q12)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와같이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용 전원 공급 장치를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교류 전원이 인가되면 그 인가된 교류전원은 미도시 된 브리지 다이오드 및 콘덴서에 의해 전파 정류된 후 충전된다. 그러면 이 콘덴서에 의해 충전된 일정 전압은 상기 트랜스포머(T) 1차측의 트랜지스터(Q)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1차측 코일에 인가되고 이 1차측 코일에 인가된 일정 전압은 트랜스포머(T)의 2차측 제1코일(S1) 내지 제6코일(S6)이 여자되는 것이다.
즉, 제1코일(S1)의 여자된 전압(B1)은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1)로 이루어진 제1전원부(1)를 통해 정류된 후 모니터가 인가되고, 상기 제2코일(S2)의 여자된 전압(B2)은 제2전원부(2)의 다이오드(D2) 및 콘덴서(2)에 의해 정류된 후 영상 신호 처리부(VP)에 인가되어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3코일(S3)의 여자된 전압(B3)은 제3전원부(4)의 다이오드(D3) 및 콘덴서(C3)에 의해 정류된 후 레귤레이터(Reg)에 의해 안정화되고, 레귤레이터(Reg)의 출력 전압은 마이크로 프로세서(Mic)에 인가되어 모니터는 정상모드로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제4코일(S4)의 여자된 전압은 제4전원부(5)의 다이오드(D4) 및 콘덴서(C4)에 의해 정류되고, 이 정류된 콘덴서(C4)의 출력 전압(B4)은 수평/수직 편향부(Df)에 인가된다.
또한, 상기 제5코일(S5)의 여자된 전압은 제5전원부(6)의 다이오드(D5) 및 콘덴서(C5)에 의해 정류된후 히터(H)에 인가되어 히터(H)가 구동되어 결국 모니터는 정상모드로 동작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모니터의 오프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Mic)에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어신호(Con1)이 저전위 상태로 제2전원 제어부(3)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이 제2전원 제어부(3)의 저전위 상태에 따라 제2전원부(2)의 콘덴서(C2)의 출력전압(B2)이 1/8-1/10로 감소되며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VP)는 동작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전원 제어부(3)에 의해 감소된 전원은 제3전원부(4)의 레귤레이터(Reg)에 인가되어 전압이 안정화된 후 마이크로 프로세서(Mic)에만 출력됨으로서 결국 오프 모드로 모니터는 동작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모니터의 서스펜드 모드가 설정되면, 오프 모드에서 처럼 상기 제어신호(Con1)가 제2전원 제어부(3)에 인가되어 2차측의 각 전원부의 출력전압을 1/8-1/10로 감소된다. 그러므로 이 감소된 출력전압으로 인해 영상신호처리부(VP) 및 수평/수직편향부(Df)의 동작은 중지되고 이 감소된 제2전원부(2)의 출력전압은 제3전원부(4)의 레귤레이터(Reg)에 인가됨으로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Mic)로는 정상적인 동작전원이 인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신호(Con2)의 고저위 상태로 인해 트랜지스터(Q12)는 턴 온되며, 이 트랜지스터(Q12)의 턴 온 동작에 따라 턴 온 동작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트랜스포머(T)의 2차측 제6코일(S6)에 여자된 전압을 제5전원 제어부(10)의 다이오드(D11)에서 정류한 전압(B5)은 콘덴서(C5)에 인가되어 히터(H)가 구동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는 오프모드설정시 제2전원제어부의 구동에 의해 레귤레이터의 출력전압을 마이크로프로세서(Mic)에 인가하고, 또한 서스팬드 모드 설정시에는 제2전원제어부에 의해 2차측의 각 전원부의 출력전압을 감소시킨 상태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Mic) 및 히터(H)에만 전압이 인가되도록 함으로서 발열을 방지할 수 있어 결국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트랜스포머(T)의 2차측 제2코일(S2)에 의해 여자된 전압을 정류후 영상 신호처리부(VP)로 인가하는 제2전원부(2)와, 상기 트랜스포머(T)의 2차측 제5코일(S5)에 의해 여자된 전압을 정류 후 히터(H)에 구동 전원으로 공급하는 제5전원부(6)가 구비된 모니터의 전원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부(2)에 연결되어 오프 모드시 영상 신호 처리부(VP)에 인가되는 전압을 감소시키며 이 감소된 전압을 제4전원부(4)를 통해 마이크로 프로세서(Mic)에 공급하는 제2전원제어부(3)와, 상기 트랜스포머(T)의 2차측 제6코일(S6)에 여자된 전압을 정류 후 서스펜드 모드 설정시 입력되는 제어신호(Con2)에 따라 히터(H)에 공급하는 제5전원 제어부(1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모니터용 전원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전원 제어부(10)는 서스팬드 모드시 입력되는 제어신호(Con2)가 저항(R11)을 매개로 그 베이스단에 인가되어 턴 온되는 트랜지스터(Q11)와, 상기 트랜스포머(T) 2차측의 제6코일(S6)에 의해 여자된 전압을 정류시키는 다이오드(D11)와, 상기 트랜지스터(Q11)의 콜렉터단에 저항(R12)을 매개로 베이스단이 연결되며 그 에미터단이 제5전원부(6)에 연결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11)의 턴 온동작에 따라 턴 온되어 다이오드(D11)에서 정류된 전압을 히터(H)에 인가하는 트랜지스터(Q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모니터용 전원 공급 장치.
KR1019940020239A 1994-08-17 1994-08-17 그린 모니터용 전원 공급장치 KR970008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0239A KR970008013B1 (ko) 1994-08-17 1994-08-17 그린 모니터용 전원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0239A KR970008013B1 (ko) 1994-08-17 1994-08-17 그린 모니터용 전원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482A KR960008482A (ko) 1996-03-22
KR970008013B1 true KR970008013B1 (ko) 1997-05-20

Family

ID=19390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0239A KR970008013B1 (ko) 1994-08-17 1994-08-17 그린 모니터용 전원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80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839B1 (ko) * 2002-01-29 2008-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니터의 히터전압 공급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839B1 (ko) * 2002-01-29 2008-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니터의 히터전압 공급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482A (ko)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2567B1 (ko)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절전모드 구현방법
WO2005112245A1 (ja) 電源装置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2218749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H1097356A (ja) 節電型ディスプレイ装置
US629760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aving electric power in a display system
EP1150417B1 (en) Switching power supply unit
KR100426696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970008013B1 (ko) 그린 모니터용 전원 공급장치
US20210057998A1 (en) Circuits and Methods using Power Supply Output Voltage to Power a Primary Side Auxiliary Circuit
KR100248289B1 (ko) 초절전형 모니터의 전원회로
JP4214733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電源回路
JP2006238510A (ja) 電源装置
KR19990003849A (ko) 모니터의 전원회로
JPH1126181A (ja) 冷陰極管点灯装置
KR100287846B1 (ko) 모니터의 디피앰 모드 소비전력 절감장치
JPH1075584A (ja) 圧電トランスの制御回路
KR200173058Y1 (ko) 모니터의 절전회로
JPH1075572A (ja) 電源回路
KR0125025Y1 (ko) 소비전력 절감회로
KR100487390B1 (ko) 스타팅 회로를 갖춘 스위치 모드 전력 공급 장치
KR19990055317A (ko) 모니터의 절전회로
KR960014153B1 (ko) 모니터의 전원공급장치
KR0162572B1 (ko) 모니터의 절전회로
KR20010038874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공급장치
KR101153586B1 (ko) 대기전력 저감형 전원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