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523B1 - 정수수단을 갖는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정수수단을 갖는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523B1
KR970007523B1 KR1019930017879A KR930017879A KR970007523B1 KR 970007523 B1 KR970007523 B1 KR 970007523B1 KR 1019930017879 A KR1019930017879 A KR 1019930017879A KR 930017879 A KR930017879 A KR 930017879A KR 970007523 B1 KR970007523 B1 KR 970007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pressure
input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7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8790A (ko
Inventor
백승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17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7523B1/ko
Publication of KR950008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5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정수수단을 갖는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정수수단을 갖는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오염된 물을 정수하는 정수기에서 정수기 필터의 교환시기(수명)을 판단하는 장치를 가지고 또 이것을 이용해서 정수기를 갖는 세탁기를 제어하는 장치와 세탁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정수기에서 필터의 교환시기를 판단하는 방법은 정수기 필터를 사용하는 시간을 적산하여 카운트하고 이 카운트된 값이 미리 실험적으로 구하여 저장해 놓은 값(시간값)에 도달하면 정수기 필터를 교환할 시기로 판단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에 의한 종래의 정수기 필터 교환시기 판단 장치와 이 장치를 세탁기에 적용한 예를 제 1 도에 나타내었다.
제 1 도의 세탁기는 세탁기 시용지역의 급수 수질 환경에 따라 세탁기를 정수기로 정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정수기를 갖는 세탁기이다.
제 1 도를 참조하면, 급수구(1)를 통해 급수된 세탁기내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정수기(2)와, 상기 정수기(1)에서 정수된 물을 저장하여 세탁조(4)에 공급하는 저수통(3)과, 상기 정수기(2)를 사용하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터(5)와, 상기 정수기(2)의 필터 수명을 사용시간에 따라 실험적으로 구하여 저장해 둔 메모리(6)(EEPROM)와, 상기 카운터(5)로 카운트된 정수기 사용시간을 상기 메모리(6)에 저장된 값과 비교하여 정수기 필터의 교환 시기를 판정하는 마이컴(4)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장치에 의한 필터 교환시기 판단 방법을 제 2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메모리(6)에는 정수기 필터를 사용하는 시간 경과에 따라 필터의 수명을 실험적으로 구하여 필터 교환시간값을 저장해 둔다.
이때 실험적으로 구하는 필터 교환시간값은 교환 설정시간(ts)으로서 일정한 수압과 수질하에서 실험하여 설정해 주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메모리(6)에 저장된 시간값은 카운터(5)로 카운트된 정수 필터 사용시간과 마이컴(7)에서 비교된다.
즉, 급수구(1)를 통해 물이 급수되고 사용자가 정수기(2)를 동작시켜 정수기가 동작을 시작하면 카운터(5)는 정수기(1)내의 필터를 사용하는 정수필터 사용시간(t)을 카운트하고, 이 카운트된 시간(t)은 메모리(6)에 누산하여 저장해 둔다.
정수기(2)에서 정수된 물은 저수통(3)에 저장되었다가 세탁조(4)에 급수되어 세탁수로 활용된다.
마이컴(7)은 카운터(5)로 카운트되어 누산된 시간(t)과 메모리(6)에 저장된 교환 설정시간(ts)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ts>t이면 정수 필터의 사용시간 누산 및 비교과정을 계속 수행하고, 상기 비교결과 ts≤ t이면 필터를 교환할 시기로 판정하여 필터 교환을 요구하는 표시를 실행하고 정수기 필터가 교환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필터를 교환하지 않았으면 리턴하여 필터를 교환할때까지 대기하고, 사용자가 상기 표시를 인식하고 필터를 교환하였으면 카운터(5)로 카운트되어 메모리(6)에 누산되어 있는 사용시간 카운트값(t)을 클리어시키고 리턴하여 새롭게 교체된 필터에 대한 사용시간의 카운트를 진행한다.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세탁기에 적용된 정수기 필터 교환시기 판단 방법은 실험적으로 구해 놓은 필터교환 설정시간(ts)을 현재까지 사용된 필터 사용시간의 카운트값괴 비교하여 그 교환 시기를 판정하게 되는데, 정수 필터의 사용 능력을 실험하여 구한 시간(ts)은 특정한 수압과 특정한 탁도(일정 크기의 침전물), 특정 수질하에서 실험하여 구하기 때문에 각각의 정수기가 설치된 실제 급수 환경마다 수압, 수질이 다른데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고려없이 일정한 값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실험으로 구한 필터 교환시기와 실제로 필터를 사용하는 급수환경에 따른 실제 필터의 적절한 교환시기는 편차가 커지게 되며, 이 시간적인 편차는 정수기 필터가 실제로 교환시기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급수환경이 열악한 경우 빠른 속도로 정수 능력이 저하됨) 판정 결과는 교환시기가 아닌 것으로 나타나게 되는 문제점과,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필터의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게되면 정수능력이 극도로 저하된 상태에서 다량의 침전물이 포함된 오염된 물을 세탁수로 활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파생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같이 오염된 세탁수를 사용하여 세탁을 진행하게 되면 세정력이 떨어지고 세탁 결과에 만족을 줄 수 없게 되며, 제품에 대한 신뢰도에 손상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 또한 발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세탁기에 적용한 정수기의 필터를 사용하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필터의 정수 능력이 저하되고, 이러한 정수 능력의 저하는 필터에 공급되는 물의 급수압과 필터를 거쳐 나온 물의 배수압의 현저한 차이로 나타나는 현상에 기초하여 정수기 필터의 급수단 및 배수단에 수압센서를 설치하고, 이 수압센서로 감지된 수압의 차이값을 급수압에 대응하여 일정 단계로 정해 놓은 기준 차이값과 비교하여 정수기 필터의 수명을 인식하고 교환시기를 판정하므로서 정수기 필터의 교환시기를 세탁기의 실제 급수환경에 맞게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한 정수수단을 갖는 세탁기와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수기를 이용해서 세탁수를 정수한 후 사용하는 세탁기에서 상기한 필터 교환시기 판정을 이용해 필터의 교환시기를 판단하고, 이를 표시해 주며, 세탁수의 급수를 제어하는 세탁기와 세탁 제어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필터 교환시기 판단을 이용해 필터의 교환시기를 판단해 줌으로써, 급수환경에 적절한 필터의 실제 교환시기에서 필터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항상 정수된 세탁수로 세탁을 진행 가능하고, 이에 따라 높은 세정력을 보장해 줄 수 있도록 한 정수수단을 갖는 세탁기와 세탁 제어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도는 종래의 정수기와 세탁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제 2 도는 종래의 정수기 필터 교환시기 판단 방법의 플로우차트.
제 3 도는 본 발명의 정수수단을 갖는 세탁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정수수단을 갖는 세탁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제 5 도는 상기 제 4 도에서 조작 및 표시수단과 스위칭 수단의 상세도.
제 6 도는 본 발명에 적용된 필터 전 후단에서의 감지 수압차를 나타낸 그래프.
제 7 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판단 기준값의 데이타 베이스를 나타낸 도표.
제 8 도는 본 발명의 정수수단을 갖는 세탁기 제어방법의 플로우차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수수단을 가지는 세탁기는, 세탁조로 급수되는 세탁수를 정수하는 정수필터를 갖는 정수수단과; 상기 정수수단으로 입력되는 수압과 출력되는 수압의 차이로부터 상기 정수필터의 교환시기를 판단하는 정수필터 교환시기 판단수단과; 상기 정수필터 교환시기 판단수단에 의해서 산출된 교환시기를 표시하는 조작 및 표시수단과, 상기 정수필터 교환시기 판단수단에 의한 교환시기 신호를 상기 조작 및 표시수단을 제어하여 표시해주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정수수단을 구동시키는 정수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수단을 갖는 세탁기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정수필터 교환시기 판단수단은, 상기 정수수단에 입력되는 물의 수압을 감지하는 제 1 수압센서와, 상기 정수수단에서 출력되는 물의 수압을 감지하는 제 2 수압센서와, 상기 제 1 수압센서로 감지된 신호를 수압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1수압감지수단과, 상기 제 2 수압센서로 감지된 신호를 수압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2 수압감지수단과, 상기 정수수단에 입력되는 각각 다른 수압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 출력수압과의 치이값을 필터교환시기의 판단 기준값으로 저장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수압감지수단으로 감지된 수압의 차이를 산출하고 이 산출된 차이값을 상기 기억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값과 비교하여 필터의 교환시기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연산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수단을 갖는 세탁기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정수수단을 갖는 세탁기에서의 필터 교환시기 판단은, 정수기 필터에 입력되는 수압을 감지하는 제 1 단계와, 정수기 필터에서 출력되는 수압을 감지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에서 감지된 수압의 차이를 산출하여 감지수압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산출된 수압 차이값을 필터 교환시기 판단을 위해 설정해 둔 기준값과 비교하여 정수기 필터의 교환시기 여부를 판정하는 제 4 단계로 판정하는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 정수수단을 갖는 세탁기에서, 제 1 수압감지수단은 세탁조로 공급될 물의 정수룰 위해 정수기로 입력되는 물의 수압을 감지하여 물리량인 수압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수압에 대응하는 전기 정보로 변환하여 비교 연산수단에 공급한다.
제 2 수압감지수단은 정수기에서 필터를 통과하여 정수 처리된 물의 수압을 감지하여 물리량인 수압을 전기신호로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수압에 대응하는 전기 정보로 변환하여 비교연산수단에 공급한다.
한 예로서, 수압감지수단은 수압에 대응하여 전압, 전류, 또는 인덕턴스값이나 용량값, 저항값 등을 변화시켜 수압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신호를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정수값으로 하여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며 발생된 펄스 신호의 주파수를 수압감지의 정보로 비교연산수단에 공급한다.
한편, 기억수단에는 정수기 필터의 교환시기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이 다음과 같은 정보로 저장된다.
정수기를 사용하는 시간이 경과되어 정수 필터에 오물이 누적되면 정수 능력이 점진적으로 저하되는데, 정수기에 입력되는 수압(Psa)과 정수기에서 출력되는 수압(Psb)의 차이(dP=Psa-Psb)는 정수기에 입력되는 수압에 따라 제 6 도와 같이 각각 다른값이 된다.(10단계로 나눈 경우를 예로 들어 나타낸 그래프이다).
즉, 정수기에 입력되는 수압(Ps1∼Ps10)이 클수록 입력과 출력 수압의 차이값(dP1∼dP10)도 커지게 되고 정수 능력을 상실한 필터일수록 그 수압 차이는 더욱 큰 값으로 나타나며, 이와 같이 어느 한 정수필터에서 입력되는 수압이 달라지면 그에 따라 출력 수압과의 차이값이 달라지게 되므로 급수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수압에 대응하여 필터 교환시기를 정확히 판정해 내기 위해서 판단 기준값(Pref)으로 상기 제 6 도에서와 같이 정수 필터가 정수 능력을 상실한 경우에 해당하는 미리 구한 차이값(dP1∼dP10)들을 각각의 입력 수압(Psa1∼Psa10)에 대응시켜 판단 기준값(Pref1∼Pref10)으로 기억수단에 저장해 두는 것이다.
따라서 비교연산수단은 상기 제 1 수압감지수단으로 감지된 입력 수압(Psa)과 제 2 수압감지수단으로 감지된 출력 수압(Psb)의 차이값(dP)을 산출하고(Psa-Psb), 상기 제 1 수압감지수단으로 감지된 입력 수압(Psa)에 대응하는 기억수단의 기준값(Pref)을 검색한다.
비교연산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에서 검색된 판단 기준값(입력 수단에 대응하는 기준값)과 상기 입력 및 출력 수압의 차이값(dP)을 비교하여 차이값(dP)이 기준값(Pref) 이상이면 정수기 필터의 수명이 종료되어 필터를 교환해야할 시기로 판정하고, 차이값(dP)이 기준값(Pref) 미만이면 정수 필터를 계속 사용해도 소기의 정수능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로 판정한다.
이 판정결과는 표시수단을 이용해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가시적인 또는 청각적인 정보를 수행해 주므로서 세탁기 사용자가 용이하게 필터 교환시기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도면 제 3 도 내지 제 8 도는 본 발명의 정수수단을 갖는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의 실시예이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기구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급수구(1)를 통해 입력된 물을 정수하는 정수 필터(2A)를 갖는 정수기(2)와, 이 정수기(2)에서 출력된 물에 오존을 함유시키는 오존 발생기(8A)를 갖고 오존이 함유된 물을 세탁조(4)에 공급하는 오존 발생부(8)와, 상기 세탁조(4)의 급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9)와, 상기 급수구(1)로 급수되는 세탁수를 공급 또는 차단 제어하는 급수 밸스(10)와, 상기 정수기(2)에서 출력된 물을 오존 발생부(8)에 공급 또는 차단 제어하는 배수 밸브(11)와, 상기 정수기(1)에서 입력되는 물의 수압을 감지하는 제 1 수압센서(12)와, 상기 정수기 필터(2)에서 정수되어 출력되는 물의 수압을 감지하는 제 2 수압센서(13)로 구성된다.
상기 정수기(2)는 입력된 물을 정수하지 않고 직접 배수 밸브(11)를 통해 오존 발생부(8)에 공급 또는 차단 제어하는 밸브(14)와, 입력된 물을 정수 필터(2A)에 공급 또는 차단하는 밸브(15)와, 입력된 물을 정수하지 않고 세탁조(4)에 직접 공급 또는 차단 제어하는 밸브(16)를 포함한다.
제 4 도는 정수수단을 가지는 세탁기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마이컴을 이용해서 상기의 비교연산, 기준값 기억, 조작 및 표시와 정수기 구동을 제어하는 실시예이며,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 수압센서(12)로 감지된 신호를 수압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1 수압감지수단(17)과, 상기 제 2 수압센서(13)로 감지된 신호를 수압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2 수압감지수단(18)과, 정수기능의 실행을 입력하고 필터 교환시기가 표시되는 조작 및 표시수단(19)과, 상기 조작 및 표시수단(19)을 통해 정수 기능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이를 인식하고, 상기 제 1 수압감지수단(17) 및 제 2 수압감지수단(18)으로 감지된 수압의 차이를 산출하여 이 차이값을 설정된 필터 교환시기 판단의 기준값과 비교하며, 비교 결과에 따라서 정수 필터의 교환시기를 조작 및 표시수단(19)에 표시해 주는 마이컴(20)과, 상기 마이컴(20)의 제어를 받아 세탁기 모터와 각종 밸브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21)과, 상기 제 1 수압감지수단(17) 및 제 2 수압감지수단(18)의 출력을 마이컴(20)의 제어를 받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여 마이컴(20)에 공급하는 스위칭 수단(22)과, 상기 마이컴(2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오존 발생부(8)를 구동시키는 오존 구동수단(22)과, 상기 마이컴(2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정수기(2)를 구동시키는 정수 구동수단(23)과,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여 상기 마이컴(20)에 공급하는 포량 감지수단(24)과, 세탁 진행중의 세탁수 오염 정도를 감지하여 마이컴(20)에 공급하는 오염 감지수단(25)과, 상기 수위센서(9)로 감지된 신호를 수위에 대응하는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마이컴(20)에 공급하는 수위 감지수단(26)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세탁기에 의한 세탁 제어방법은, 급수 밸브(10)를 온시켜 급수를 실행하고 정수기능의 실행 여부를 판단하여 정수 기능을 실행하지 않을 경우는 세탁조(4)내의 설정 수위까지 급수한 후 급수 밸브(10)를 오픈시키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정수 기능 실행의 경우는 급수 밸브(10)를 온 시킨 후 일정한 시간(T)이 경과되었을때 제 1 수압감지수단(17)으로 감지된 정수필터 입력수압(Psa)을 판단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 이어서 제 2 수압감지수단(18)으로 감지된 정수필터 출력수압(Psb)을 판단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 및 제 3 단계에서 판단한 입력수압(Psa) 및 출력수압(Psb)의 차이값(dP)을 산출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에서 산출된 차이값(dP)을 필터 교환시기 판단 기준값(Pref)과 비교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제 5 단계의 비교 결과 차이값(dP)이 기준값(Pref) 미만이면 설정 수위까지 급수후 급수 밸브(10)를 오프시키고, 차이값(dP)이 기준값(Pref) 이상이면 조작 및 표시수단(19)에 필터 교환을 표시한 후 설정 수위까지 급수하고 급수 밸브(10)를 오프시키는 제 6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세탁기와 이 세탁기에 의해 실행되는 세탁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세탁기 사용자가 조작 및 표시수단(19)을 조작하여 세탁을 실행시키면 마이컴(20)이 이것을 인식하고 구동수단(21)을 통해 급수밸브(10)를 온시켜 급수구(1)로 급수된 물을 정수기(2) 측으로 입력시킨다.
급수밸브(10)를 온시킨후 마이컴(20)은 조작 및 표시수단(19)의 정수 기능 스위치를 온시켰는가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정수기(2)로 정수된 세탁수의 사용을 원하는가의 여부를 인식한다.
제 5 도는 이와같은 조작 및 표시수단(19)의 회로를 나타낸 것으로서, 정수 기능 스위치(30)가 온되면 다이오드(D1)와 스위치(30) 및 저항(R3)(R4)을 통해 마이컴(20)의 입력포트(P4)에 하이 신호가 입력되고, 이 신호를 마이컴(20)이 인식하여 정수 기능의 실행 명령이 입력된 것을 판단하게 된다.
조작 및 표시수단(19)에서 발광다이오드(LED1)는 급수 밸브(10)가 열렸어도 사용자가 수도 꼭지를 열어놓지 않아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을때 이를 경보하기 위해 온되는 소자이고, 발광다이오드(LED2)는 정수 필터의 교환시기를 표시해 주는 소자이며, 저항(R1)(R2)는 발광 다이오드의 부하 저항이다.
즉, 마이컴(20)의 출력포트(P2)(P3)에서 출력되는 하이 또는 로우 신호에 의해 버퍼(29)를 통해 발광다이오드(LED1)(LED2)가 온 또는 오프되어 상기한 기능의 표시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마이컴(20)에서 정수 기능 스위치(30)의 온 오프를 판단한 결과 오프된 경우에는 정수기(2)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이므로 이 경우에 마이컴(20)은 정수 구동수단(23)을 제어하며 정수기(2)의 밸브(14)(15)를 오프시키고 밸브(16)는 온시켜 세탁조(4)에 직접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이 경우에 사용자가 정수기(2)는 사용하지 않고 오존 발생부(8)는 사용하고자 조작 및 표시수단(19)의 해당 스위치를 온시켰다면 마이컴(20)은 정수 구동수단(23)을 제어하여 밸브(15)(16)를 오프시키고 밸브(14)를 온시키며, 오존 구동수단(22)를 제어하여 오존 발생기(8A)를 동작시켜 정수필터(2A)를 통과하지 않고 오존 발생부(8)의 오존 발생기(8A)를 거쳐 오존이 함유된 물을 세탁조(4)에 직접 급수 처리한다.
세탁조(4)에 급수되는 물은 세탁 수위센서(9)로 감지되며, 이 감지된 신호는 수위 감지수단(26)에서 세탁 수위에 대응하는 정보, 예를 들면 전압값을 디지탈 변환한 값으로 마이컴(20)에 입력된다.
마이컴(20)은 입력된 수위정보를 설정되어 있는 수위와 비교하여 설정 수위에 도달할때까지 급수를 진행하고 설정 수위에 도달하면 급수밸브(10)를 오프시켜 급수를 완료한다.
그러나, 조작 및 표시수단(19)의 정수 기능 스위치(30)가 온된 경우에는 급수된 물이 정수기(2)를 통과하여 정수된 후 배출되어 세탁조(4)에 급수가 개시되기까지의 안정 시간 확보를 위해 설정한 설정 시간(T)에 도달할때까지 진행 시간(t)을 카운트(+1)한다.
진행 시간(t)의 카운트 결과가 설정 시간(T)에 도달하면 마이컴(20)은 제 1 수압감지수단(17)과 제 2 수압감지수단(18)으로 감지된 수압을 저장한다.
이때, 마이컴(20)의 인터럽트단(INT)을 수압감지를 위해 1개만 할당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스위칭 수단(22)을 구비하고 출력 포트(P1)를 이용해 스위칭 수단(22)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수압감지수단(17)과 제 2 수압감지수단(18)의 감지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받는다.
즉, 마이컴(20)의 출력포트(P1)에서 로우신호(L)를 출력하면 스위칭 수단(22)은 제 1 수압감지수단(17)의 출력을 선택하여 마이컴(20)의 인터럽트단(INT)에 공급하고, 마이컴(20)의 출력 포트(P1)에서 하이신호(H)를 출력하면 스위칭 수단(22)은 제2감지수단(18)의 출력을 선택하여 마이컴(20)의 인터럽트단(INT)에 공급한다.
제 4 도에는 이와같은 스위칭 수단(19)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즉, 마이컴(20)의 출력 포트(P1)에서 로우 신호가 출력되면 이 로우신호가 앤드 게이트(32)의 일측에 입력되므로 앤드 게이트(32)에 타측에 입력되는 제 2 수압감지수단(18)의 출력은 차단되고, 인버터(33)로 반전된 하이신호가 앤드 게이트(31)의 일측에 입력되므로 앤드 게이트(31)의 타측에 입력되는 제 1 수압감지수단(17)의 출력은 게이트를 통과하여 마이컴(20)의 인터럽트단(INT)에 공급된다.
그러나 마이컴(20)의 출력포트(P1)에서 하이신호가 출력되면 인버터(33)로 반전된 로우신호에 의해 앤드 게이트(31)에 입력되는 제 1 수압감지수단(17)의 출력은 차단되고, 앤드 게이트(32)에 입력되는 제 2 수압감지수단(18)의 출력은 마이컴(20)의 인터럽트단(INT)에 공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제 1 수압감지수단(17)은 제 1 수압센서(12)로 감지되는 정수기(2) 입력측 수압(Psa)을 수압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펄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제 2 수압감지수단(18)은 제 2 수압 센서(13)로 감지되는 정수기(2) 출력측 수압(Psb)을 수압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펄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 1 수압 센서(12)와 제 2 수압센서(13)는 수압에 의해 상기 제 1 수압감지수단(17) 및 제 2 수압감지수단(18)의 발진 펄스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소자로 구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정수기(2)의 필터 입력 수압(Psa)과 출력 수압(Psb)을 감지하고 이를 입력받은 마이컴(20)은 입력 수압과 출력 수압의 차이값(dP)을 산출한다.
수압 차이값(dP)의 산출은 Psa-Psb의 계산을 실행하여 산출하며, 이 산출된 값을 상기한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컴(20)내의 기억수단에 저장된 기준값(Pref)과 비교한다.
비교 결과 Pref〉dP이면 필터를 교환할 시기가 아닌 경우로 판단하고 수위 감지 수단(26)으로 세탁조(4)내의 수위를 감시하면서 설정 수위까지 급수를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비교 결과 Pref≤dP이면 정수기 필터(2A)의 정수 능력이 상실된 것으로 판정하고 조작 및 표시 수단(19)의 발광다이오드(LED2)를 온시켜 필터 교환이 요구됨을 표시해 준 후 설정 수위까지 급수를 진행한다.
이와 같이 정수기 필터의 교환시기를 세탁수의 급수와 함께 판단하여 표시해 주고, 급수가 완료되면 포량 감지수단(24)으로 세탁조(4)내의 세탁물량을 감지하여 세탁 코스를 결정한 후 오염 감지수단(25)으로 세탁 진행중의 세탁수 혼탁도를 감시하면서 급수와 배수, 세탁 및 탈수 행정을 실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정수기의 필터 수명을 실제 정수기가 사용되는 급수 환경을 고려하여 판정하고, 이 판정된 결과를 이용해서 세탁기의 세탁 제어를 실행하므로 오염되지 않은 세탁수를 이용한 높은 세정력의 세탁 효과를 보장해 줄 수 있으며, 정수 필터의 수명을 정확하게 판정하여 표시해 줄 수 있고, 또한 마이컴(20)에서 수압감지수단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여 그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수압 입력을 위한 인터럽트 포트의 할당을 하나의 포트로 제한할 수 있어 마이컴(20)운용에 편리를 기할 수 있으며, 마이컴(20)의 내부 제어회로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는 포량 감지수단과, 세탁 진행중의 혼탁도를 감지하는 오염 감지수단과, 세탁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수단과, 각종 센서로 감지된 신호 및 세탁기 제어 스위치를 이용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 세탁 코스를 진행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를 받아 모터 및 각종 급/배수 밸브들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조로 급수되는 세탁수를 정수하는 정수필터를 갖는 정수수단과; 상기 정수수단으로 입력되는 수압과 출력되는 수압의 차이로부터 상기 정수필터의 교환시기를 판단하는 정수필터 교환시기 판단수단과; 상기 정수필터 교환시기 판단수단에 의해서 산출된 교환시기를 표시하는 조작 및 표시수단과, 상기 정수필터 교환시기 판단 수단에 의한 교환시기 신호를 상기 조작 및 표시수단을 제어하여 표시해주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정수수단을 구동시키는 정수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수단을 갖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필터 교환시기 판단수단은; 상기 정수수단에 입력되는 물의 수압을 감지하는 제 1 수압센서와, 상기 정수수단에서 출력되는 물의 수압을 감지하는 제 2 수압센서와, 상기 제 1 수압센서로 감지된 신호를 수압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1 수압감지수단과, 상기 제 2 수압센서로 감지된 신호를 수압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2 수압감지수단과, 상기 정수수단에 입력되는 각각 다른 수압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 출력수압과의 차이값을 필터교환시기의 판단 기준값으로 저장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수압감지수단으로 감지된 정수기 입출력 수압의 차이를 산출하고 이 산출된 차이값을 상기 기억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값과 비교하여 필터의 교환시기 신호룰 출력하는 비교연산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수단을 갖는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압감지수단 및 제 2 수압감지수단의 출력을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받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여 상기 비교연산수단에 공급하는 스위칭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수단을 갖는 세탁기.
  4. 급수 밸브를 온시켜 급수를 실행하고 정수기능의 실행 여부를 판단하여 정수 기능을 실행하지 않을 경우는 세탁조(4)내의 설정 수위까지 급수한 후 급수 밸브를 오프시키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정수 기능 실행의 경우는 급수 밸브를 온시킨 후 일정한 시간(T)이 경과되었을때 제 1 수압감지수단(17)으로 감지된 정수필터 입력수압(Psa)을 판단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 이어서 제 2 수압감지수단(18)으로 감지된 정수필터 출력수압(Psb)을 판단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 및 제 3 단계에서 판단한 입력수압(Psa) 및 출력수압(Psb)의 차이값(dP)을 산출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에서 산출된 차이값(dP)을 필터 교환시기 판단 기준값(Pref)과 비교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제 5 단계의 비교 결과 차이값(dP)이 기준값(Pref) 미만이면 설정 수위까지 급수 후 급수 밸브를 오프시키고, 차이값(dP)이 기준값(Pref) 이상이면 조작 및 표시수단(19)에 필터 교환을 표시한 후 설정 수위까지 급수하고 급수 밸브를 오프시키는 제 6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수단을 갖는 세탁기 제어방법.
KR1019930017879A 1993-09-07 1993-09-07 정수수단을 갖는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970007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7879A KR970007523B1 (ko) 1993-09-07 1993-09-07 정수수단을 갖는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7879A KR970007523B1 (ko) 1993-09-07 1993-09-07 정수수단을 갖는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790A KR950008790A (ko) 1995-04-19
KR970007523B1 true KR970007523B1 (ko) 1997-05-10

Family

ID=19363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7879A KR970007523B1 (ko) 1993-09-07 1993-09-07 정수수단을 갖는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75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191B1 (ko) * 2004-11-11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12841B1 (ko) * 2004-11-11 200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586B1 (ko) * 1999-02-18 2006-06-0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반도체 리이드프레임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191B1 (ko) * 2004-11-11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12841B1 (ko) * 2004-11-11 200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790A (ko) 1995-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1609B1 (ko) 세탁기의 세탁 제어방법과 장치
CN104803426A (zh) 净水机及净水机的控制方法
US5855796A (en) Water discharg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water purifier tank
KR970007523B1 (ko) 정수수단을 갖는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186294B1 (ko) 세탁기의 배수시간 자동조정 및 오물제거 알람방법
KR19980077111A (ko) 정수기필터의 막힘감지방법
KR950004286B1 (ko) 세탁기의 급수이상 경보회로
DE60204923D1 (de) Auf Stromanalyse basiertes Verfahren zum Betrieb einer Pumpe
KR0167325B1 (ko) 정전발생시의 정수기 배수제어방법
KR100237691B1 (ko) 수위센서의 노이즈 방지장치
KR100215039B1 (ko) 세탁기의 세탁수처리장치 및 구동제어방법
KR19990012482A (ko) 만수위설정에 의한 정수기의 수위제어방법
KR0151288B1 (ko) 세탁기의 정수필터 교환감지장치 및 방법
KR0172704B1 (ko) 수압변동에 따른 정수기 제어방법
KR100476095B1 (ko) 이온수 생성기의 제어구조
JPH09174039A (ja) 飲料水製造装置
JPH06261995A (ja) 洗濯機
KR0135331Y1 (ko) 정수기의 단수감지스위치
KR950001527Y1 (ko) 정수기의 오염도 표시장치
KR100646823B1 (ko) 이온수기 및 표시부 제어방법
KR100447758B1 (ko) 식기 세척기의 이물질 받이 착탈 유무 감지 장치및 그 제어 방법
KR100216745B1 (ko) 세탁기의 필터막힘 감지방법
KR20020008454A (ko) 세탁기의 제어 방법
JPH067773A (ja) 浄水器
KR20060110265A (ko) 유효 재생 신호 자동 감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