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010B1 - 지폐 출납기의 지폐박스 - Google Patents

지폐 출납기의 지폐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010B1
KR970007010B1 KR1019930012285A KR930012285A KR970007010B1 KR 970007010 B1 KR970007010 B1 KR 970007010B1 KR 1019930012285 A KR1019930012285 A KR 1019930012285A KR 930012285 A KR930012285 A KR 930012285A KR 970007010 B1 KR970007010 B1 KR 970007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plate
bill
doo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2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4061A (ko
Inventor
장연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12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7010B1/ko
Publication of KR950004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0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02Hou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지폐 출납기의 지폐박스
제1도는 본 발명 지폐박스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 지폐박스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 지폐박스의 내측면을 나타내는 확대도.
제4도는 본 발명 지폐박스의 전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지폐박스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 잠금장치의 케비넷잠금대의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 잠금장치의 밀판잠금대의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 도어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9도는 본 발명 잠금장치의 도어체결대와 도어의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지폐분리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섀시 11 : 가이드레일
12 : 직류모터 20 : 케비넷
21 : 밀판 30 : 잠금장치
31 : 케비넷잠금대 32 : 밀판잠금대
33 : 도어체결대 40 :지폐분리장치
41 : 위엄휠 50 : 도어
본 발명은 지폐 출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폐분리기능이 정확하고, 수납부에 장착과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지폐 출납기의 지폐박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지폐 출납기의 지폐박스는 지폐장입부와 지폐분리부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부의 분리롤러와 지폐 간의 연결이 불안정되어 픽업불량이 종종 발생되있으며, 도어가 지그를 이용하여 개폐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결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폐장입부와 지폐분리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분리기능이 안정되도록 하고, 도어에 기구적인 키트장치를 부가하여 도어 개폐가 용이하도록 하는 지폐 출납기의 지폐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제1도에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측에 밀판(21)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지폐가 이동 가능하게 장입되도록 하며, 전면에 손잡이(22)가 형성되고 후면에 동력전달구멍(23)이 형성되며, 후면의 저면에 지폐인출구(미도시)가 형성되는 케비넷(20)과; 케비넷(20)의 전면부에 후크들이 스프링에 탄지되어 케비넷(20)이 섀시(10)에 슬라이딩되는 것과 밀판(21)이 슬라이팅되는 것을 제한하는 잠금장치(30)와; 케비넷(20) 후면부에 장치되고, 동력전달구멍(23)을 통해 구동되어 장입된 지폐를 지폐인출구를 통해 케비넷(20) 외부로 인출시키도록 하는 지폐분리장치(40)와; 케비넷(20) 후면부에 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연결되어 케비넷(20)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덮여지며, 전면부 내측에 잠금장치(30)에 체결되는 후크(51)가 스프링(52)에 탄지되고, 후크(51) 일측에 후크(51)를 개폐해 주는 키이(53)가 취부되는 도어(50)로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지폐박스가 장착되는 지폐 출납기는 제1도와 제10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의 섀시(10) 하단부에 수납부가 형성되어 수납부 양 내측면에 가이드레일(11)이 취부되고, 가이드레일 상부에 체결돌기(13)가 형성되며, 수납부 후면쪽에 직류모터(12)가 장착되어 직류모터(12)에 연결되는 워엄(12a)이 수납부 내측으로 돌출되고, 수납부의 가이드레일(11)에 케비넷(20)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케비넷(20)이 수납부의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며, 케비넷(20)이 인출된 상태에서 도어(50)의 키이(53)를 돌리면 후크(51)가 잠금장치(30)에서 분리되어 도어(50)가 열리되고, 케비넷(20) 내부에 지폐를 장입한 후 도어(50)를 닫으면 후크가 잠금장치(30)에 체결되어 열리지 않게 된다. 또한, 케비넷(20)을 밀면 잠금장치(30)가 체결돌기(13)에 체결되고, 수납부에 수납되며 후면의 지폐 분리장치(40)가 동력전달구멍(23)을 통해 워엄(12a)에 연결되고, 직류모터(61)가 구동되면, 동력이 전달되어 지폐분리장치(40)가 지폐인출(24)로 지폐를 인출하게 된다.
여기에서, 케비넷(20)은 제1도 내지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 내측면에 슬라이드축(25)이 고정되어 슬라이드측(25)에 밀판(21)의 양측면이 각기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고, 슬라이드축(25) 상부에 각기 리턴 스프링(26)이 취부되어 리턴스프링(26)이 각기 밀판(21)의 양측면에 연결된다. 또한, 밀판(21)은 전면에 손잡이와 걸림대(21b)가 취부되어 잠금장치(30)의 후크에 걸림대(21b)가 체결 가능하게 되고, 밀판(2l) 후면에 지폐 장입부가 형성되어 지폐가 밀착되게 된다. 한편, 케비넷(20) 후면은 지폐분리장치(40)가 장착되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후면부의 내측면에 지폐픽업구멍들이 형성되며, 케비넷(20) 후면에는 지폐의 종류를 확인하는 권종 확인장치의 삽입구멍(28)이 양쪽에 형성되고, 케비넷(20) 후면쪽 양측에서 지폐의 끝부분을 감지하여 일정이하의 잔액상태를 체크하는 니어엔드(near end) 센싱장치의 센싱구멍(29)이 형성된다. 또, 양측면에는 섀시(10)의 가이드레일(11)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드레일(24)이 취부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케비넷(20)은 도어(50)가 열린상태에서 밀판(21)의 손잡이를 당기면, 리턴스프링(26)을 인장시키며 밀판(21)이 슬라이드축(25)에 안내되어 전면쪽으로 이동되고, 밀판(21)이 케비넷(20)의 전면 끝까지 밀착되면, 걸림대(21b)가 잠금장치(30)의 후크에 체결되어 지지되며, 밀판(21)과 케비넷(20) 후면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지폐가 장입되게 된다. 또한 지폐가 장입된 후 도어(50)가 닫히면, 도어(50)가 잠금장치(30)를 이완시켜 걸림대(21b)가 후크에서 분리되고, 걸림대(21b)가 분리되므로 밀판(21)이 리턴스프링(26)의 탄발력에 의해 지폐분리장치(40)가 장치된 후면부로 지폐를 가압하게 되며, 권종확인장치의 삽입구멍(28)을 통해 장입된 지폐의 권종을 감지하고, 니어엔드센싱장치의 센싱구멍(29)을 통해 케비넷(20)에 일정잔액 이하의 지폐가 장입되어 있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
한편, 케비넷(20) 내측에는 전면부와 후면주에 각기 풀리(26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일단부가 케비넷(20)에 고정되는 리턴스프링(26)을 풀리(26a) 외주면에 감겨지도록 하여 타단부가 밀판(21)에 연결되도록 하므로, 리턴스프링(26)의 길이가 비교적 길게 형성되어 탄발력의 변화가 적도록 하고, 풀리(26a)가 중간에 지지되어 유동성을 좋게함이 바람직하다.
잠금장치(30)는 제6도 내지 제9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캐비넷(20) 전면으로 선단이 스위칭노브(31a)가 돌출되고, 스위칭노브(31a) 후단부가 캐비넷(20)의 외측면으로 절곡 연장되어 끝에 후크(31b)가 형성되며, 스프링(31c)에 의해 케비넷(20)에 탄지되는 케비넷잠금대(31)와, 케비넷(20) 내측으로 후크가 돌출되고 선단부가 상부로 연장되어 스프링(32a)에 탄지되며, 후크가 밀판(21)의 걸림대(21b)에 체결되도록 하고, 상단부가 도어(50)의 개폐에 따라 상하로 연동되도록 하는 밀판 잠금대(32)와, 케비넷(20) 상부에 형성되어 도어(50)에 체결되는 도어체결대(33)로 구성되며, 도어(50)는 후크(51)가 스프링(52)에 탄지되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크(51)를 개폐해 주는 키이(53)가 후크(51) 일측에 취부되며 후크(51)가 하향으로 되어 후크(51)에 도어체결대(33)가 삽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잠금장치(30)는 케비넷(20)이 섀시(10)의 수납부에 수납되면 케비넷잠금대(31)의 후크(31a)가 섀시(10)에 체결되어 이동을 제한하게 되고, 밀판(21)이 전면부에 밀착되면 밀판잠금대(32)의 후크가 걸림대(21b)에 체결되어 밀판(21)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며, 도어(50)가 닫히면 도어(50)의 후크(51)가 도어체결대(33)에 체결되어 도어(50)가 잠기게 된다. 또한, 도어(50)가 닫히면 도어(50) 선단부가 밀판잠금대(32)의 선단 상부를 눌러 주어, 걸림대(21b)가 밀판잠금대(32)의 후크에서 분리되도록 하므로서 밀판(21)이 이동 가능하게 되며, 케비넷(20) 전면의 스위칭노브(31a)를 하부로 밀면, 케비넷잠금대(31)의 후크(31a)가 일체로 움직여 섀시(10)의 체결돌기(13)에서 분리되도록 하므로, 케비넷이(20) 이동 가능하게 된다.
지폐분리장치(40)는 제10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비넷(20) 후면부에 워엄휠(41)이 회전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워엄휠(41)에 연동되는 편심롤러(43)들이 장치되며, 워엄휠(41)이 수납부 내측면에 돌출된 워엄(12a)에 의해 직류모터(12)에 구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편심롤러(43)들은 케비넷(20) 후면의 지폐픽업구멍으로 편심부가 돌출되도록 장치되고, 지폐인출구쪽에 이송용 롤러(44)들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지폐분리장치(40)는 직류모터(12)가 회전되면, 워엄(12a)에 의해 워엄휠(41)이 회전되고, 편심롤러(43)들이 회전되며 편심부가 지폐픽업구멍을 통해 일정 주기로 돌출되며, 케비넷(20)에 장입된 지폐들중 가장 후면에 장입된 것이 편심롤러(43)의 편심부에 마찰되어 분리되고, 분리된 지폐가 이송용롤러(44) 사이에 밀려 지폐인출구를 통해 인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되는 본 발명은 잠금장치(30)가 케비넷(20)의 수납이나 인출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되고, 도오(50)의 개폐에 따라 밀판(21)의 이동이 자동으로 제한되며, 케비넷(20)이 수납부에 수납되면, 지폐분리장치(40)의 워엄휠(4l)이 워엄(12a)에 구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인출과 장착 및 지폐의 장입과 인출이 간편하다. 또한, 지폐인출구가 케비넷(20) 저면에 형성되어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 지폐인출이 되므로, 지폐 인출이 안정적이며, 리턴스프링(26)이 길게 형성되어, 장기간 사용하여도 밀판(21)의 작동이 원활하도록 한다. 또한, 권종확인장치와 니어엔드센싱장치가 부가되어 권종 선택의 실수를 방지하고, 지폐의 재장입시기를 미리 통보하여 효율적으로 대처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케비넷의 수납과 인출에 따라 잠금장치와 지폐박스의 밀판이 자동으로 제어되고, 지폐분리장치가 구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인출과 장착 및 지폐의 장입과 지폐인출이 간편하고 안정적이며, 권종확인장치와 니어엔드센싱장치에 의해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8)

  1. 내측에 밀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후면에 동력전달구멍이 형성되며, 후면의 저면에 지폐인출구가 형성되는 케비넷과, 상기 케비넷의 전면부에 후크들이 스프링에 탄지되어 상기 케비넷과 밀판의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장치와, 상기 케비넷의 동력전달구멍을 통해 연동 가능하게 장치되는 지폐분리장치와; 상기 케비넷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덮여지며, 상기 잠금장치에 체결되는 도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출납기의 지폐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케비넷은 양 내측면에 밀판이 삽입되는 슬라이드축이 고정되고, 밀판에 리턴스프링이 탄지되며, 밀판은 전면에 걸림대가 잠금장치에 체결 가능하게 형성되고, 후면에 지폐의 권종확인장치의 삽입구멍이 형성되고, 후면쪽양측에 지폐의 일정이하의 잔액상태를 체크하는 니어엔드센싱장치의 센싱구멍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출납기의 지폐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케비넷은 측벽에 풀리들이 지지되고, 리턴스프링이 상기 풀리들 외주면에 걸리도록 벤딩시켜 일단부가 케비넷 측벽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밀판에 연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출납기의 지폐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잠금장치는 본체의 체결돌기에 체결되는 케비넷잠금대와, 밀판에 체결되는 밀판잠금대와, 도어에 체결되는 도어체결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출납기의 지폐박스.
  5. 제5항에 있어서, 케비넷잠금대는 케비넷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프링에 탄지되어, 전면으로 선단이 돌출되고, 후크가 형성되는 후단이 케비넷 측면 외부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출납기의 지폐박스.
  6. 제5항에 있어서, 밀판잠금대는 후크가 케비넷 내측으로 돌출되고 선단부가 상부로 연장되어 도어에 의해 연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출납기의 지폐박스.
  7. 제1항에 있어서, 도어는 이동되어 잠금장치에 체결이 가능하게 후크가 스프링에 탄지되며, 상기 후크 선단에 편심캠이 밀착되는 키이가 취부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출납기의 지폐박스.
  8. 제1항에 있어서, 지폐분리장치는 워엄휠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워엄휠에 의해 연동되는 편심롤러들이 케비넷 내측으로 편심부가 돌출되도록 장치됨을 특징으로 지폐 출납기의 지폐박스.
KR1019930012285A 1993-07-01 1993-07-01 지폐 출납기의 지폐박스 KR970007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2285A KR970007010B1 (ko) 1993-07-01 1993-07-01 지폐 출납기의 지폐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2285A KR970007010B1 (ko) 1993-07-01 1993-07-01 지폐 출납기의 지폐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061A KR950004061A (ko) 1995-02-17
KR970007010B1 true KR970007010B1 (ko) 1997-05-01

Family

ID=19358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2285A KR970007010B1 (ko) 1993-07-01 1993-07-01 지폐 출납기의 지폐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70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940B1 (ko) 2015-10-30 2017-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엔진의 아이들 rpm 결정방법 및 결정장치
CN110232766A (zh) * 2019-07-10 2019-09-13 恒银金融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推钞板传动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061A (ko) 199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59236A3 (en) Bill deposit/withdrawal machine for depositing/withdrawing bills
AU2010306269A1 (en) Paper money transmission and storage device
KR20060073675A (ko) 지폐류 출금기용 카세트
AU758997B2 (en) Media cassette for automatic dispenser
EP2053572A2 (en) Apparatus for receiving and storing banknotes
US4913341A (en) Currency storage device
KR970007010B1 (ko) 지폐 출납기의 지폐박스
CN110570606A (zh) 一种具有较好防盗性能的收款箱
US4189139A (en) Note counting apparatus
KR20060127471A (ko) 리싸이클박스의 스택유니트
KR100607592B1 (ko) 자동서비스기기의 지폐적재함 및 이를 이용한 지폐적재장치
KR20060008843A (ko) 자동서비스기의 지폐보관장치
KR960001037Y1 (ko) 지폐 출납기 지폐박스의 로딩장치
KR200393252Y1 (ko) 리싸이클박스의 스택유니트
KR200240966Y1 (ko) 현금자동지급기의분리형현금보관함
JP3604603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2621527B2 (ja) 紙幣収納装置
KR200283942Y1 (ko) 금전등록기의 지폐 누름레버 승강장치
CN220855747U (zh) 一种多功能收费钱箱
JPH0431658Y2 (ko)
JPS5816038Y2 (ja) 紙幣収納装置の插入案内装置
KR950007855Y1 (ko) 현금자동지급기의 지폐인출 장치
US5649696A (en) Bill receiver
JP2000011234A (ja) 紙葉類収納庫
JPS5913076B2 (ja) 現金箱の受入口閉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