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971B1 - 테이프카세트 - Google Patents

테이프카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971B1
KR970006971B1 KR1019930001383A KR930001383A KR970006971B1 KR 970006971 B1 KR970006971 B1 KR 970006971B1 KR 1019930001383 A KR1019930001383 A KR 1019930001383A KR 930001383 A KR930001383 A KR 930001383A KR 970006971 B1 KR970006971 B1 KR 970006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plate
housing body
tape cassette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1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8566A (ko
Inventor
마사루 와타나베
토사쿠 니시야마
쯔모루 오아하타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01736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217332A/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18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8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9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11B23/08707Details
    • G11B23/08735Cov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테이프카세트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테이프카세트의 사시도,
제2도는 테이프카세트를 하면으로부터 본 평면도 및 부분단면도,
제3도 테이프카세트를 상면으로부터 본 평면도 및 부분단면도,
제4도는 테이프카세트의 셔터의 평면도, 측면도,
제5도는 테이프카세트를 상면으로부터 보았을때의 사시도 및 분해단면도,
제6도는 테이프카세트의 셔터의 측면도,
제7도는 테이프카세트의 셔터를 뗀 상태에서의 사시도,
제8도는 테이프카세트의 잘린부분 및 관통구멍부를 표시한 사시도,
제9도는 제7도의 C-C단면도,
제10도는 셔터의 평면도, 측면도,
제11도는 셔터에 형성한 절곡부와 돌기의 사시도,
제12도는 셔터가 개방된 상태의 테이프카세트 평면도,
제13도는 테이프카세트의 단면도,
제14도는 셔터가 폐쇄된 상태의 테이프카세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체 2 : 셔터
3,4 : 릴대삽입구멍 5,6,7 : 창
8 : 스프링 9 : 스프링걸어맞춤돌기
10 : 하면 11 : 상면판
12,13 : 제1걸어맞춤부 14,20 : 제2걸어맞춤부
15 : 안내홈 16,21 : 셔터압압판
17 : 돌기 19 : 안내홈
26 : 하면판 27 : 앞면판
28,29 : 걸어맞춤면 30 : 돌기
31 : 절곡부(折曲部) 32 : 허브
본 발명은, 음악등의 정보를 기록, 재생가능한 테이프를 수납하는 테이프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특원평 3-44857호에 표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형상기록매체(이하 테이프라 약칭함)를 수납해서 이루어진 테이프카세트에 있어서, 자기헤드삽입창 및 핀치로울러 삽입창이 개폐자재한 셔터로 덮여져 있는 것이 있다. 이것은 상기 삽입창으로부터 먼지 등이 진입해서 테이프의 기록재생면에 부착하는 것으로 인한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 에러가 증가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손 등이 테이프의 기록재생면에 접촉되어서 이것을 손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일본국 특원평 3-44857호에 표시된 테이프카세트에 있어서는 셔터의 이탈방지를 위하여, 셔터의 1면에 안내를 형성하고, 테이프카세트 본체인 하우징체(이하 하우징체라 약칭함)에 안내홈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 구조에서는 약간의 힘으로 셔터의 하우징체의 안내홈을 벗어나, 셔터가 하우징체로부터 이탈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셔터의 재질로서는 통상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이 사용되나, 금속제의 경우, 제조코스트가 높아진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셔터를 수지로 성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때 셔터는 매우 탄력성이 많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셔터의 구성으로는 하우징체로부터 셔터가 용이하게 이탈되어 버린다고 하는 중대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셔터가 하우징체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하는 일이 없는 테이프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셔터를 하우징체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테이프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며, 또 값싼 테이프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테이프형상기록매체가 수납되고 또한 복수의 창을 형성한 앞면과 앞면과 1쌍의 릴대삽입구멍을 형성한 하면과 상기 하면과 평행한 상면을 가진 하우징체와, 상기 하우징체하면과 당접하고 또한 접동하는 하면판과 상기 하우징상면과 당접하고 또한 접동하는 상면판과 상기 상면판과 상기 하면판을 서로 연결하고 또한 상기 하우징체 앞면과 당접하고 또한 접동하는 앞면판으로 구성되는 단면이 대략 ㄷ자 형성이고 상기 하우징체의 상기창을 상기 1쌍의 릴대삽입구멍의 중심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개폐하도록 접동가능한 셔터를 가진 테이프카세트에 관해서, 상기 셔터의 재질은 열가소성수지이고, 상기 셔터의 상면판 및 하면판의 앞면판 반대쪽 끝부분에는 상기 하우징내부를 향해서 직각이고 또한 상기 셔터의 앞면판과 평행이 되도록 절고한 제1걸어맞춤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체의 상면 및 하면에는 이 상면 및 하면에 대해서 직각인 걸어맞춤면을 가진 안내홈을 각각 형성해서, 상기 셔터의 상면판 및 하면판에 각각 형성한 제1걸어맞춤부와 상기 하우징체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한 안내홈의 걸어맞춤면이 각각 걸어맞추어지고 접동하도록 구성하며, 또한 상기 셔터의 하면판의 상기 제1걸어맞춤부의 선단부는 상기 하면판과 평행이고 또한 상기 하면판의 제1걸어맞춤부에 대해서 직각으로 절곡한 제2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체의 하면체는 이 하면에 형성한 안내홈 위로 셔터압압판을 형성해서, 상기 제2걸어맞춤부가 상기 하우징체의 하면쪽 안내홈과 상기 셔터압압판의 사이에서 끼워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이 결과 상기 셔터에 형성된 상기 구성의 제1걸어맞춤부와 하우징체의 상하면에 성형한 안내홈에 있어서의 걸어맞춤면이 항상 걸어맞추어지면서 접동할 수 있으므로, 셔터의 재질이 금속뿐만 아니라 탄력성이 많은 수지일지라도 하우징체로부터 셔터가 빠져나가는 일이 없다.
또 상기 하면판의 상기 걸어맞춤부의 선단부는 상기 하면판과 평행이 되도록 다시 직각으로 절곡한 제2의 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걸어맞춤부는 상기 하우징체의 하면쪽 안내홈과 상기 하우징체의 하면에 형성한 셔터압압판에 의해서 사이에 끼워 지지되도록 구성하므로써 하우징체로부터의 셔터의 이탈방지를 더욱 강화하는 일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하우징체하면 쪽에 형성한 가이드홈의 걸어맞춤면과 상기 셔터 압압판의 상기 하우징체 상면쪽 끝부분과의 거리는, 셔터판두께의 2배이상 10배 이하가 되게 구성하면, 셔터의 하우징체로부터의 이탈방지를 더 한층 강화할 수 있다.
또 상기한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셔터의 재질을 열가소성수지성으로 하면, 셔터가 하우징체로부터 이탈하는 일 없이, 제조코스트는 셔터가 금속성의 경우에 비해서 현저하게 낮추는 일이 가능하며, 또 하우징체와 접동할 때에 하우징체를 깍는 일이 거의 없고 따라서 마모가루가 발생하기 어려우므로,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에러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면판의 제2걸어맞춤부가 하우징체의 하면에 형성한 셔터압압판과 안내홈의 바닥면에 의해서 사이에 끼워지지 되어있고, 그 위에 또 상기 하우징체 하면쪽에 형성한 안내홈의 걸어맞춤면과 상기 셔터압압판의 상기 하우징체 상면쪽끝부분과의 거리는, 셔터판두께의 2배이상 l0배이하인 구성이므로, 셔터의 제2걸어맞춤부를 하우징체의 셔터압압판과 안내홈과의 사이에 삽입하는데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점에 관해서는 본 발명에 본 발명의 테이프카세트는 셔터가 탄력성에 뛰어난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또 하우징체에 셔터압압판을 투명하였을 때의 세로방향 및 폭방향의 치수보다도 큰 잘린부분을 형성하므로써 셔터의 제2걸어맞춤부를 하우징체에 조립삽입할 때에, 상기 잘린부분에서 셔터의 제2걸어맞춤부의 부근을 하우징체쪽으로 강제적으로 밀어넣으므로서 셔터가 변형하고, 용이하게 셔터의 제2걸어맞춤부를 하우징체쪽에 조립해 넣는 일이 가능하다.
또, 셔터압압판을 하우징체에 투영한 위치에 셔터압압판과 동일치수의 관통구멍을 하우징체하면에 형성하므로써, 제품구조상 소위 언더커트가 없어지기 때문에 하우징체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구조가 간단하게 되고, 값싼 테이프카세트를 생산하는 일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셔터의 재질이 열가소성수지의 경우, 상기 셔터하면판에는, 상기 하우징체의 내부를 향해서 직각의 절곡부와, 이 절곡부에는 상기 하우징체내에 배치된 1쌍의 허브에 형성된 기어에 걸어맞추어지는 돌기를 가지고, 상기 질곡부의 상기 돌기를 가지지 않는쪽의 면에 1개이상의 리브이거나 또는 상기 절곡부의 두께를 상기 셔터하면판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두껍게 한다. 또 상기 돌기의 두께는 상기 질곡부면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두껍게 한다. 이에 의해서, 금속에 비해서 강성이 작은 수지일지라도, 상기 절곡부나 상기 돌기에 외부로부터의 힘이 가해졌다해도 파손되는 일이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셔터가 하우징체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는 일이 없으므로 셔터를 수지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제품코스트를 현저하게 낮추는 일이 가능하게 되고, 또 셔터가 수지의 경우에는 셔터가 하우징체와 접동할 때에 마모가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제품품질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또 하우징체로부터 셔터가 용이하게 빠지는 일이 없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극히 높다. 그위에 또 하우징체와 셔터를 조립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것과, 금형의 구조가 간단하게 되므로 생산성이 높고, 제품코스트를 현저하게 낮추는 일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 셔터에 형성한 돌기 및 절곡부가 파손되기 어려우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높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서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24)가 수납된 하우징체(1)에 설치하는 셔터(2)는,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이고 1쌍의 릴대삽입구멍(3),(4)의 중심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개폐가능하다. 창(5)은 자기헤드삽입용의 창이며, 창(6),(7)은 핀치로울러 삽입용의 창이다.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8)은, 일단부는 하우징체(1)에 걸어맞추어지고, 타단부는 셔터(2)에 형성되니 스프링 걸어맞춤도기(9)에 걸어맞추어져, 하우징체(1)에 형성한 장(5),(6),(7)을 폐쇄하도특 팽창하게 가설되어 있다. 하우징체(1)에는, 셔터(2)가 접동하는 범위내에서 셔터(2)의 두께보다도 약간 깊은 단차를 가진 하면(10)을 형성하여, 셔터(2)가 하우징체(1)의 두께방향치수보다도 바깥쪽으로 나가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셔트(2)는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면판(11)과 하면판(26)과 앞면판(27)로 이루어진 측면에서 봐서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셔터(2)가 하우징체(1)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면판(11) 및 하면판(26)에는 하우징체(1)의 내부방향을 향해
시 직각이고 또한 앞면판(27)파 평행이 되도록 절곡된 제1걸어맞춤부(12) 및 (13)이 형성되어 있다. 또 하면판(26)의 걸어맞춤부(l2)의 선단부에는 하면판(26)과 평행이고 또한 제1걸어맞춤부(12)와 직각으로 절곡된 제2걸어맞춤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셔터(2)는 하우징(1)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는, 상면판(11)과 하면판(26)이 선단부로 향할수록 근접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셔터(2)를 하우징체(1)에 조립삽입하였을 때에는, 상면판(11) 및 하면판(26)이 하우징체(1)에 밀착하여, 하우징체(l)내에의 먼지의 진입을 방지가능하다. 또 셔터(2)의 재질로서는, 탄력성과 접동성에 뛰어단 열가소성수지가 좋으며, 예를들면 폴리아세탈수지나 폴리아미드수지등이 적합하다. 또 셔터(2)는, 탄력성을 가지게 하기 위하여 그 판두께는 0.3mm 이상 04mm 이하의 범위가 좋다. 이 범위보다 판두께가 얇으면 셔터의 강성이 너무 낮아져서 부러지거나 변형하기 쉽게 된다. 또 판두께가 이 범위보다도 두꺼우면 강성이 너무 높아져서 셔터(2)를 하우징체(1)에 삽입하였을 때에 필요하게 되는 적당한 정도의 탄력성이 없어져서, 꺽어지거나 삽입방법에 따라서는 깨어져 버린다.
하우징체(1)의 하면쪽에 형성한 안내홈(15)은 제2도(C)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체(1)의 하면(l0)과 직각 걸어맞춤면(28)을 가지고, 셔터(2)의 제1걸어맞춤부(12)와 걸어 맞춤면(28)이 맞물리도록 걸어맞추어져 있으므로 셔터(2)는 용이하게 하우징체(1)로부터 빠지는 일이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셔터(2)는 하우징체(1)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는, 상면판(11)과 하면판(26)이 선단부로 향할수록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걸어맞춤부(12)가 걸어맞춤면(28)에 대해서 위로 뜨는 일 없이 밀착하여 맞물린다. 이것은 셔터(2)의 재질이 상기한 탄력성에 뛰어난 수지이기 때문에 가능하게 되었다. 즉, 셔터(2)를 금속으로 만들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체(1)로부터 떼어낸 상태에 있어서 상면판(11)과 하면판(26)이 선단부로 향할수록 근접하도록 하면 금속은 수지에 비해 강성이 지나치게 높아, 금속셔터가 하우징체를 끼워넣게 되어, 금속셔터는 하우징체(l)에 대해서 접동시키는 일을 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자들에 의하면, 홈(15)의 걸어맞춤면(28)이 하우징체의 하면(10)에 대해서 직각인 것과, 셔터의 제1걸어맞춤부(12)가 셔터(2)의 하면판(26)에 대해서 하우징체 방향으로 직각으로 질곡하는 것에 의해 양자가 맞물려 걸어맞추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이, 셔터(2)가 하우징체(1)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비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걸어맞춤면(28)과 걸어맞춤부(12)의 어느 한 쪽이 상기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 않으면 본 발명의 효과는 손상되는 것이다. 또 셔터(2)의 제2걸어맞춤부(1)를 압압하도록 하우징체(l)에는 셔터압압판(16)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사람이 고의적으로 셔터(2)를 하우징체(1)로부터 떼어내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안내홈(15)의 걸어맞춤면(28)과 셔터압압판(1)의 하우징체 상면쪽 끝부분과의 거리, 즉 제2도(b) 및 제2도(c)에 표시한(L)의 치수는, 셔터판두께의 2배이상, 10배이하일 것이 필요하다. (L)의 값이 이 범위 이하이면 셔터의 제1걸어맞춤부(12) 및 제 2걸어맞춤부(14)를 안내홈(15)내에 삽입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조립의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한다. 또(L)의 값이 상기 범위이상이면, 사람이 고의적으로 셔터(2)를 빼려고 하였을 경우 빠지기 쉽게 되어 버린다.
또한, 셔터(2)의 제2걸어맞춤부(14)에는 제2도(b)에 표시한 바와 같이 돌기(17)를 형성하고, 또 셔터압압판(16)에는, 돌기(l7)에 맞물리는 위치에 작은홈(18)을 형성하면, 하우징체(1)로부터의 셔터(2)의 이탈방지의 효과가 한층 더 향상하게 된다.
하우징체(1)의 상면에 형성한 안내홈(19)은 제3도(b)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체(1)의 상면에 대해서 직각의 걸어맞춤면(29)을 가지고, 하우징체(1)에 셔터(2)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셔터(2)의 상면판(l1)에 대해서 하우징체방향으로 긱각으로 절곡된 제1걸어맞춤부(13)와 걸어맞추어지고 또한 접동하도특 되어 있으므로 셔터(2)는 용이하게 하우징체(1)로부터 빠지는 일이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셔터(2)는 하우징체(1)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는, 상면판(11)과 하면판(26)이 선단부로 향할수록 근접하도록 되어있으므로, 제1걸어맞춤부(13)가 안내홈(19)의 걸어맞춤면(29)에 대해서 위로 뜨는 일 없이 밀착하여 맞물린다. 본 발명자들에 의하면, 안내홈(19)의 걸어맞춤면(29)의 하우징체(1)의 상면에 대하여 직각인 것과 셔터(2)의 하우징체(1)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걸어맞춤부(13)가 셔터(2)의 상면판(11)에 대해서 하우징체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하는 것에 의해 양자가 맞물리도록 걸어맞추어져 있는 것이, 셔터(2)가 하우징체(1)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따라시 걸어맞춤면(29)과 걸어맞춤부(13)의 어느 한 쪽이 상기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 않으면 본 발명의 효과는 손상되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실시예와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셔터(2)는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대략 ㄷ자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ㄷ자의 양선단부에는 하우징체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된 걸어맞춤부(12) 및 (13)이 형성되어 있고, 또 각각의 선단부에는, 계단형상의 걸어맞춤부(14) 및 (2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5도(a) 및 (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셔터(2)의 상면판(11)에 형성한 계단형상의 걸어맞춤부(20)를 사이에 끼워지지하도특 하우징체(1)에는 셔터압
압판(21)이 형성되어 있고, 또 셔터(2)의 하면판(26)에 형성한 계단형상의 걸어맞춤부(l4)를 압압하도특 하우징체(1)에는 셔터압압판(l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제l실시예에 비해시 셔터(2)가 하우징체(1)로부터 빠지기 어렵고, 또 사람이 고의로 셔터(2)를 하우징체(1)로부터 떼어내는 것을, 방지하는 일이 가능하게된다.
본 발명의 테이프카세트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사람이 고의적으로 셔터(2)를 하우징체(1)로부터 떼어내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안내홈(15)의 걸어맞춤면(28)과 셔터압압판(16)의 하우징상면쪽 끝부분과의 거리, 즉 제2도(b) 및 제2도(c)에서 표시한(L)의 치수는 셔터판두께의 2배이상, 10배이하일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이때 셔터(2)의 제2걸어맞춤부(14)를 하우징체의 셔터압압판(16)과 안내홈(15)과의 사이에 삽입하려면, 상기(L)의 치수가 작기 때문에 구조상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테이프카세트에서는, 셔터(2)를 하우징체(1)에 짜넣는 경우, 하우징체(1)에 형성한 셔터압압판(16)과 안내홈(15)과의 사이에 셔터(2)의 제2걸어맞춤부(14)를 삽입하기 쉽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서,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체(1)의 하면에 셔터압압판(16)을 투영하였을 때의 세로방향 및 폭방향의 치수보다는 큰 잘린부분(22)을 하우징체(1) 형성하고 있다. 또 셔터(2)를 하우징체(1)에 조립할 때, 셔터(2)를 하우징체(1)의 헤드삽입쪽으로부터 삽입해간다. 이때 셔터(2)의 제2걸어맞춤부(14)가 잘린부분(22)의 부위에 온 시점에서 하우징체(1)쪽에 걸어맞춤부(14)를 밀어넣도록 하면, 걸어맞춤부(14)가 일시적으로 잘린부분(22)을 따르도특 변형하고, 셔터압압판(16)과 안내홈(15)과의 사이에 셔터(2)의 제2걸어맞춤부(14)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일시적으로 변형한 셔터(2)는 수지성이므로 셔터(2)를 하우징체(1)에 삽입한 후는 즉시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므로, 삽입시의 변형은 전혀 문제가 없다. 이상의 것은, 본 발명의 셔터(2)의 재질이 탄력성에 뛰어난 상기 수지인 것과, 상기한 셔터(2)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셔터판두께를 0.3mm 이상 0.4mm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서 가능하게 되었다. 가령 셔터가 금속성의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잘린부분(22)의 곳에서 금속셔터의 선단부를 하우징체(1)쪽으로 밀어넣도록 하면, 금속셔터는 소성변형하여, 셔터로서 사용불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테이프카세트를 값싸게 제조하기 위하여, 이하와 같은 구조로 해도 된다. 제8도와 제9도(제9도는 제7도의 화살표시 C-C에시 본 단면도이다)에 표시한 바와 같이, 셔터아압판(16)을 하우징체(1)에 투영한 위치에 셔터압압판(16)과 동일치수의 관통된 구멍(23)이 하우징체(1)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23)을 형성하므로써 하우징체(1)를 형성할 때, 셔터압압판(16)이 소위 연더커트로는 되지 않는다. 따라서 하우징체(1)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구조가 매우 간소화되어 금형코스트 및 금형 정비코스트를 대폭적으로 낮출 수 있고, 그 결과 하우징체(1)의 생산코스트를 저감
시킬 수 있고, 본 발명의 테이프카세트의 제품코스트를 저하하는 일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상은, 셔터(2)의 재질이 열가소성수지의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셔터(2)가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성의 경우에도, 하우징체(1)로부터의 셔터(2)의 이탈방지효과는 충분히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드시 셔터(2)의 재질이 열가소성수지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그 위에 또, 이상의 설명에서는 제2걸어맞춤부(14)를 형성한 경우의 실시예였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2걸어맞춤부가 없는 셔터라도 된다.
다음에, 셔터(2)를 열가소성수지로 형성하는 경우의 실시예에 있어서, 셔터(2)에 하우징체(1)내에 배치한 허브를 록하기 위한 절곡부 및 돌기를 형성한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곳은 생략하였다
제10도∼제1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셔터(2)의 하면판(26)과 직각인 절곡부(31)의 선단부에는, 테이프(24)를 감아내는 1쌍의 허브(32)를 록하기 위하여, 허브(32)에 형성한 기어(33)에 걸어맞추어지는 돌기(30)가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31)와 돌기(30)에는 보강을 위하여, 절국부(31)의 돌기를 가지지 않는 쪽의 면에 1개 이상의 리브이거나 또는 제1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절곡부(31)의 두께를 셔터하면판(26)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두껍게 하다. 또, 돌기(30)의 두께를 질곡부(31)쪽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두껍게 한다.
스프링(8)의 팽팽하게 걸린 힘의 의해 셔터(2)가 페쇄된 상태에서는, 셔터(2)에 형성된 돌기(30)가 하우징체(1)에 수용된 허브(32)에 형성된 기어(33)와 걸어맞추어지고 허브(32)는 록된다. 또 셔터(2)를 강제적으로 개방한 상태에시는, 돌기(30)가 허브(32)의 기어(33)로부터 빠지고, 록이 해제된 상태, 즉 허브(32)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Claims (8)

  1. 자기헤드 및 핀치로울러가 삽입되는 복수의 창(5)(6)(7)을 형성한 앞면과,1쌍의 릴대삽입구멍(3)(4)을 형성한 하면(l0)과, 상기 하면(10)과 평행한 상면으로 이루어지고, 테이프형상기록매체(24)가 수납되는 하우징체(1)와, 상기 하우징체하며(10)과 당접 및 접동하는 하면판(26)과, 상기 하우징체상면과 당접 및 접동하는 상면판(11)과 상기 상면판(l1)과 상기 하면판(26)을 서로 연결하고 또한 상기 하우징체앞면과 당접 및 접동하는 앞면판(27)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체(l)의 상기 창(5)(6)(7)을 상기 1쌍의 릴대삽입구멍(3)(4)의 중심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개폐하도록 접동가능한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의 셔터(2)를 가진 데이프카세트에 있어서, 상기 셔터(2)를 상기 하우징체(1)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셔터(2)의 상면판(11) 및 하면판(26)의 앞면판(27) 반대쪽 끝부분에는 상기 하우징체(1) 내부를 향해서 직각이고 또한 상기 셔터(2)의 앞면판(27)과 평행이 되도록 절곡한 제1걸어맞춤부(13)(12)를 직각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체(1)의 상면 및 하면에는 이 상면 및 하면에 대해서 직각인 걸어맞춤면(29)(28)을 가진 안내홈(19)(15)을 각각 형성해서, 상기 셔텨(2)의 상면판(11) 및 하면판(26)에 각각 형성한 제1걸어맞춤부(13)(12)와 상기 하우징체(1)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한 안내홈(19)(15)의 걸어맞춤면(29)(28)이 각각 걸어맞추어지고 접동하도록 구성하며, 또한 상기 셔터(2)의 하면판(26)의 상기 제1걸어맞춤부(12) 선단부는 상기 하면판(26)과 평행이고 또한 상기 하면판(26)의 제1걸어맞춤부(12)에 대해서 직각으로 절곡한 제2걸어맞춤부(l4)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체(1)의 하면(10)에는 이 하면(10)에 형성한 안내홈(15) 위로 셔터압압판(16)을 형성해서, 상기 제2걸어맞춤부(14)가 상기 하우징체(1)의 하면(10)쪽 안내홈(15)과 상기 셔터압압판(16)의 사이에서 끼워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카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체(1)에 상기 셔터압압판(16)을 투영하였을 때의 세로방향 및 폭방향의 치수보다는 큰 잘린 부분(22)을 상기 하우징체의 하면(10)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카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압압판(16)을 상기 하우징체(1)에 투영한 위치에 상기 셔터압압판(16)과 동일치수의 관통된 구멍(23)을 상기 하우징체 하면(10)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카세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2)의 판두께가 0.3mm 이상 0.4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카세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체 하면(10)쪽에 형성한 안내홈(15)의 걸어맞춤면(28)과 상기 셔터압압판(16)의 상기 하우징체상면 끝부분과의 거리는, 셔터판 두께의 2배이상, 10배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카세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2)는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카세트.
  7. 제l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2)의 하면판(26)에는, 상기 하우징체(1)의 내부를 향해서 직각 절곡부(31)와, 상기 절곡부에는 상기 하우징체(1)내에 배치된 1쌍의 허브(32)에 형성된 기어(33)에 걸어맞추어지는 돌기(30)를 가지고, 상기 절곡부(31)의 상기 돌기(30)를 가지지 않는 쪽의 면에 1개 이상의 티브이거나 또는 상기 절곡부(31)의 두께를 상기 셔터하면판(26)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두껍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카세트.
  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30)의 두께를 상기 절곡부(31)면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두껍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카세트.
KR1019930001383A 1992-02-03 1993-02-02 테이프카세트 KR9700069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17368 1992-02-03
JP92-17367 1992-02-03
JP1736792 1992-02-03
JP4017368A JPH05217332A (ja) 1992-02-03 1992-02-03 テープカセ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566A KR930018566A (ko) 1993-09-22
KR970006971B1 true KR970006971B1 (ko) 1997-05-01

Family

ID=26353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1383A KR970006971B1 (ko) 1992-02-03 1993-02-02 테이프카세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372320A (ko)
EP (1) EP0554813B1 (ko)
KR (1) KR970006971B1 (ko)
CN (1) CN1026635C (ko)
AU (1) AU647985B2 (ko)
CA (1) CA2088397A1 (ko)
DE (1) DE6931963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120494T2 (de) * 1990-10-11 1997-01-23 Philips Electronics Nv Kassette mit Magnetband
US5826480A (en) * 1995-08-22 1998-10-27 Eastman Kodak Company Externally driveable cassette with knife for cutting photosensitive material and latching cassette driv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4270A (en) * 1983-09-16 1986-09-30 Fuji Photo Film Co., Ltd. Magnetic tape cassette
NL8401028A (nl) * 1984-04-02 1985-11-01 Philips Nv Magneetbandcassette.
JPH0644381B2 (ja) * 1984-04-10 1994-06-08 ソニー株式会社 テ−プカセツト
JPH0521721Y2 (ko) * 1985-12-18 1993-06-03
JPS6311782U (ko) * 1986-07-03 1988-01-26
JPS6361484A (ja) * 1986-09-01 1988-03-17 Toshiba Corp 情報記憶媒体用カ−トリツジ
US5022520A (en) * 1988-12-07 1991-06-11 Skc Limited Slider locking device of digital audio tape cartridge
YU123090A (sh) * 1989-07-03 1994-04-05 N.V. Philips Gloelampenfabrieken Sistem za snemanje/reprodukcijo signalov na/s magnetnega traku v kaseti
JPH03183078A (ja) * 1989-12-11 1991-08-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ープカセット
US5161079A (en) * 1990-01-19 1992-11-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ape cassette with slidable shutter
JPH04132063A (ja) * 1990-09-20 1992-05-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ープカセット
AT394788B (de) * 1990-10-11 1992-06-25 Philips Nv Kassette fuer einen aufzeichnungstraeger
AT394789B (de) * 1990-10-11 1992-06-25 Philips Nv Kassette fuer einen aufzeichnungstraeger
DE9109790U1 (ko) * 1991-08-07 1991-10-17 N.V. Philips' Gloeilampenfabrieken, Eindhoven, N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3210393A (en) 1993-08-26
EP0554813A2 (en) 1993-08-11
DE69319634T2 (de) 1999-04-01
EP0554813A3 (en) 1994-10-26
CN1076541A (zh) 1993-09-22
KR930018566A (ko) 1993-09-22
CN1026635C (zh) 1994-11-16
DE69319634D1 (de) 1998-08-20
US5372320A (en) 1994-12-13
CA2088397A1 (en) 1993-08-04
AU647985B2 (en) 1994-03-31
EP0554813B1 (en)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1669B2 (en) Magnetic tape cartridge
GB1599190A (en) Latch assembly for a video tape cassette
KR970006971B1 (ko) 테이프카세트
KR910001955B1 (ko) 기록테이프용 카아트리지
KR100196585B1 (ko) 테이프 카세트
CA1258528A (en) Magnetic tape cassette with improved spring member
KR100292731B1 (ko) 테이프 카셋트
US5524005A (en) Cartridge for a recording reproducing medium having a shutter configured to reduce damage to the casing
EP0153085A1 (en) Spring mechanism for lid of video cassette
JP2581400Y2 (ja) 記録再生用カートリッジ
JPH0828091B2 (ja) テープカセット
US5144511A (en) Magnetic tape cassette
US5484117A (en) Reel spring for a thin-walled videocassette
JPH0547142A (ja) テープカセツト
JP2926015B2 (ja) カートリッジ
JP3118062B2 (ja) カートリッジ
JPH0513352B2 (ko)
KR960008043Y1 (ko) 오디오 카세트의 테이프 지지체
JP3393233B2 (ja) 記録再生用カセットの基板取付構造
JP2508451B2 (ja) テ―プカセット
JPS61265784A (ja) デイスクカ−トリツジ
JPH05217332A (ja) テープカセット
EP0529515A2 (en) Magnetic tape cassette
JPH09180399A (ja) 操作部材及びこの操作部材を備える情報信号記録カートリッジ
JPH05182403A (ja) 記録再生用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