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858Y1 - 캔용기의 주입구 밀폐장치 - Google Patents

캔용기의 주입구 밀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858Y1
KR970006858Y1 KR2019940003494U KR19940003494U KR970006858Y1 KR 970006858 Y1 KR970006858 Y1 KR 970006858Y1 KR 2019940003494 U KR2019940003494 U KR 2019940003494U KR 19940003494 U KR19940003494 U KR 19940003494U KR 970006858 Y1 KR970006858 Y1 KR 9700068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inlet
upper peripheral
peripheral frame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34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5006U (ko
Inventor
김기현
Original Assignee
김기현
한진제관공업 주식회사
한정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현, 한진제관공업 주식회사, 한정관 filed Critical 김기현
Priority to KR20199400034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858Y1/ko
Publication of KR9500250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50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8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8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08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캔용기의 주입구 밀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주입구 밀폐장치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체의 구조를 보인 발췌단면도.
제3도는 (가)(나)도는 본 고안에 따른 주입구 밀폐상태를 보인 요부 발췌 확대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캔용기 본체의 상부주연테의 다른 구조상태를 보인 분리 발췌 단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종래의 주입구 밀폐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및 발췌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캔용기본체11 : 주입구
12 : 상부주연테13 : 뚜껑체
15 : 지지턱16 : 감합부
17 : 걸림턱18 : 감합리브
19 : 재침면
본 고안은 원통형의 캡용기 주입구를 확실히 밀폐하면서도 외부 충격시 뚜껑체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밀폐구조를 개선한 캔용기의 주입구 밀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캔용기의 주입구를 밀폐하기 위한 구조를 보면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캔용기본체(100)의 상부주입구(101) 외주연부 상부주연체(102)가 일회권회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구(101)를 밀폐하는 뚜껑체(103)에는 중앙부로 평면상태의 상부면(104)과 연설되게 이의 외주면으로 감합부(105)가 돌설되어 있으며, 이의 하단으로는 재침구(107)이 형성된 감합리브(106)가 일정길이 상태로 각각 분할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6도와 같이 캔용기본체(100)의 주입구(101)상의 상부주연테(102)상측으로 뚜껑체(104)의 감합부(105)를 위치시킨 다음 상기 감합부(105) 하단으로 연결된 감합리브(106)를 외방에서 조작되는 통상의 클램프수단(108)으로 클램핑하면 상기 감합리브(106)가 도면상 2점 쇄선 상태로 상부주연테(102)하단부를 감싸면서 감합되어져 최종적으로 주입구(101)를 밀폐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도면상으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감합부(104) 내측상면으로는 이와 밀폐되는 상부주연테(102)면과 밀접되어져 밀폐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한 실링콤파운더가 발포되어져 있는 것이며, 이는 캔용기 밀폐수단에서는 통상적으로 쓰이고 있는 방법이라 하겠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밀폐 결합구조에 있어서는 감합리브(106)를 클램프수단(108)으로 클램핑할때, 상기 감합리브(106)가 직선상태로 감합부(105)와 연설되어져 있어 클램프수단(108)에 의해 클램핑될때 직선상태의 감합리브(106)가 상측으로 약간 들려지면서 상부주연체(102)하단부를 감싸면서 감합되어져 주입구(101)를 밀폐하게 되었던 것이며, 그로 인하여 최초 느슨한 상태로 감합부(105)내에 삽설되어져 있던 상부주연테(102)와의 사이가 완전히 밀착상태로 당겨져 감합되지 못하였던 까닭에 상기 감합상태에 의해 보관시나 유동시 용기내의 내용물이 주입구로 누설되는 경우가 있었으며, 또한 뚜껑체(103)에 약간의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뚜껑체(103)가 주입구(101)에서 쉽게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상기 느슨한 상태로 감함된 부위가 더욱 느슨해지는 현상이 다발하였던 것이다.
한편 감합리브(105)의 클램핑시 작용관계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즉, 클램프수단(108)으로 클램핑할때 상부주연테(102)를 감싸고 있던 감합부(105)가 상기 클램프수단(108)에 의해 하방으로 당겨지면서 감합리브(106)가 상부주연테(102) 하단부를 감싸는 상태로 밀착되어져야 견고한 상태로 밀착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상기 종래의 경우 이와 반대로 감합리브(106)가 단순히 직선상태로 되어 있고 클램프수단(108)면이 직선상태로된 감합리브(106)의 일면에 단순히 접촉되어져 있기 때문에 오히려 클램프수단(108)에 의해 내측으로 구부려질때 감합리브(106) 하단부가 상측으로 약간 들려지면서 감싸지기 때문에 들려진 길이 만큼 감합부(106)는 하방으로 덜 당겨지는 결과가 발생하게되어 주입구(101)의 상부주연테(102) 상면부가 완전히 밀착되지 못하게 되는 구조상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경우 감합리브(106)상에 뚜껑체(104) 분리를 위한 재침구멍(107)을 각각 천공하였기 때문에 그 만큼 강도가 약화되어 감합력이 저하되었으며 또한 감합부(105)가 일회만 권회되어 있어 클램프 작업시 이의 부분에 찌그러짐이 발생하였으며 그로 인한 주입구(101)의 밀폐력 유지 및 밀폐작업시 곤란한 결점이 있었을 뿐 아니라 용기의 낙하시 충격시 실제로 상기한 결점에 의해 뚜껑체(103)가 쉽게 이탈되어지고 또는 주입구(101)가 벌어져 내용물이 누설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더욱이, 근자에 들어서는 유엔국제해사지구(IMO)가 제정한 국제해상위험물 규칙에 의거 공인기관에서 인증 검사 기준에 불합격된 캔용기로 위험물질을 더이상 해상운송할 수 없도록 한 규정을 보더라도 상기한 종래 캔용기의 결점은 시급히 해결되어져야 할 사안이며, 그렇지 않을 경우 수출에도 상당한 영향이 있을수 밖에 없어 국가적으로도 크나큰 손실이라 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제반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뚜껑체의 감합부와 재침편이 형성된 감합리브 사이에 일정폭으로 걸림턱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주입구 밀폐시 클램프수단이 상기 걸림턱에 걸려져 클램핑되게 함으로써 감합부가 하측으로 눌려 당겨지면서 감합되어져 확실한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충격시 감합리브에 의해 뚜껑체가 주입구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아 견고한 밀폐력을 갖도록 한 캔용기의 주입구 밀폐장치를 안출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캔용기의 주입구 밀폐장치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로서, 통상의 원통형태의 캔용기본체(10) 상단으로는 주입구(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의 외주면으로는 상부주연테(12)가 두번에 걸쳐 권회되어 외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입구(11)를 밀폐하여주는 뚜껑체(13)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외주면 상부로는 중앙부의 상면(14)과 연결되게 상부주연테(12)가 삽설되어지는 감합부(16)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14)과 감합부(16)사이의 내측면으로는 지지턱(15)이 경사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용기 운반시나 적재시 이의 상부에 올려지는 다른 용기의 하단부가 지지되어 용이한 적재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감합부(16)의 하단둘레에는 일정폭의 감합리브(18)가 소정간격으로 다수 분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감합부(16)와 감합리브(18)와의 사이로는 즉 상기한 지지턱(15)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외측으로 경사진 걸림턱(17)이 절곡형성 되어 있고 각 감합리브(18)의 단부는 끝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공간부(19a)가 형성되게 말려지도록한 재침편(19)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재침부(19)는 밀폐상태의 내용물을 인출하고자 할때 통상의 일자 드라이브등의 공구를 각각의 공간부(19a)내에 넣고 외측으로 재쳐 결합상태의 뚜껑체(13)를 주입구(1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감합부(16) 내측면으로는 통상의 실링콤파운더(20)가 발포되어 있으며, 상기한 감합부(16)의 내측 크기는 이에 삽설되는 주입구(11)의 상부주연테(12)크기를 감안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제3도를 참조하여 밀폐상태를 설명한다.
즉 제3도의 (가)도는 클램핑전의 단면도로서, 캔용기본체(10)의 주입구(11) 상부주연테(12)상의 상부면을 뚜껑체(13)의 감합부(16)가 어느 정도 밀착한 상태로 덮혀져 있는 것이며 이때 감합리브(18)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턱(17)상에는 통상의 클램프수단(21)이 걸려지게 위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3도의 (나)도와 같이 상기 클램프수단(21)이 내측으로 말려지면서 클램핑하게 되는 것인 바, 이때 감합부(16)는 클램프수단(21)이 걸림턱(17)부에 걸려 이를 내측으로 감싸지게 압착하게 될때 상기 클램프수단(21)이 계속적으로 걸림턱(17)부에 접촉 작동되어져 하방으로 당겨지게 되고 상기 동작에 의해 느슨한 상태로 접촉되어 있던 상부주연테(12)와 실링콤파운더(20)층과 완전히 밀착되면서 당겨져 감싸게 되는 것이며, 이때 실링콤파운더(20)층에 의해 상부주연테(12)는 밀폐되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감합리브(18)는 상부주연테(12)의 하단부면을 감싸면서 압착되어지고 이의 단부면은 최종적으로 캔용기본체(10)의 측면부와 밀착되어지면서 주입구(11)를 완전히 밀폐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감합리브(18)상에 외측으로 향하여 경사지게 걸림턱(17)을 일체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클램핑 작업시 감합부(16)가 하방으로 당겨지면서 상부주연테(12)를 완전히 밀착시킬 수 있어 주입구(11)의 밀폐를 더욱 확실히 할수 있으며, 또한 감합리브(18) 단부로 뚜껑체(13)분리를 위한 재침편(19)이 말아올려지게 일체 형성하여 줌으로써 그 만큼 각각의 감합리브(18)의 클램핑 강도가 강화되어 종래에 비해 더욱 강력한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을뿐 아니라 외부충격시나 낙하시에도 감합리브(18)가 상부주연테(12)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아 뚜껑체(13)가 주입구(11)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상부주연체(12)를 2회에 걸쳐 권회하였기 때문에 클램핑 작업시 쉽게 찌그러지지 않아 뚜껑체(13)의 밀폐작업에 따른 불량율을 종래에 비해 그 만큼 줄일수 있는 잇점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뚜껑체(13) 분리시는 일자 드라이브등의 공구를 각각의 감함리브(18)상에 형성된 재침편(19)의 공간부(19a)내에 넣고 외방으로 재쳐주면 감합상태의 감합리브(18)가 벌려지게 되어 뚜껑체(13)를 분리 내용물을 인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캔용기본체(10)상의 주입구(11)에 형성된 상부주연테(12)의 다른 구조를 보인 단면도로서, 상부주연테(12)내에 금속재의 보강링(30)을 삽설하여 클램핑작업시 상기 상부주연테(12)가 찌그러지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며, 기타 뚜껑체(13)의 구조 및 작용효과 설명은 동일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밀폐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주입구의 밀폐 상태를 더욱 확실히 할수 있으며, 또한 감합리브의 강한 클램핑력에 의해 외부 충격시에도 쉽게 클램핑부위가 찌그러지지 않아 밀폐유지 및 뚜껑체가 분리되지 않는 등의 효과를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본 고안은 비록 첨부된 도면에 의거 기술되었을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많은 변경 및 수정이 있을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

  1. 캔용기본체(10)의 주입구(11)를 상부면(14)과 감합부(16)가 형성된 뚜껑체(13)로 밀폐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캔용기본체(10)의 주입구(11)상에 형성되는 상부주연테(12)를 2회이상 권회형성하며, 뚜껑체(13)의 감합부(16)내측으로 상면(14)과 연설되게 지지턱(15)을 형성하고, 외측 대응면으로는 일정폭의 경사면을 갖는 걸림턱(17)을 감합리브(18)와 일체로 연설하여 클램핑작업시 상기 걸림턱(17)에 의해 감합부(16)가 하방으로 당겨지면서 상부주연테(12)를 감합되게 하며, 분할 형성된 각 감합리브(18)의 각단부로는 공간부(19a)를 갖는 재침편(19)을 일체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의 주입구 밀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캔용기본체(10)의 주입구(11)에 형성된 상부주연테(12) 내측으로는 금속재의 보강링(30)을 삽설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의 주입구 밀폐장치.
KR2019940003494U 1994-02-25 1994-02-25 캔용기의 주입구 밀폐장치 KR9700068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3494U KR970006858Y1 (ko) 1994-02-25 1994-02-25 캔용기의 주입구 밀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3494U KR970006858Y1 (ko) 1994-02-25 1994-02-25 캔용기의 주입구 밀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006U KR950025006U (ko) 1995-09-15
KR970006858Y1 true KR970006858Y1 (ko) 1997-07-09

Family

ID=19377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3494U KR970006858Y1 (ko) 1994-02-25 1994-02-25 캔용기의 주입구 밀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8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730Y1 (ko) * 2011-04-15 2012-01-02 오영옥 손상방지부가 구비된 드럼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730Y1 (ko) * 2011-04-15 2012-01-02 오영옥 손상방지부가 구비된 드럼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006U (ko) 199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3501B (fi) Anordning foer tillslutning av behaollare.
US5402835A (en) Drum funnel
RO117781B1 (ro) Capac filetat, din material plastic
ITTO20000112A1 (it) Chiusura per contenitori, in particolare tappo per bottiglie.
JP3610068B2 (ja) 蓋付き樽
ES2323133T3 (es) Barril con tapa.
US3897884A (en) Drum closure
US5676185A (en) Vented drum funnel
US3269575A (en) Multipart closure for filling and discharging openings for containers
KR970006858Y1 (ko) 캔용기의 주입구 밀폐장치
EP0259292B1 (fr) Fermeture à couvercle d'une boîte métallique
EP3693294A2 (en) Hermetic seal for foil-lined fibc , bag
CN110606269B (zh) 用于容纳放射性废料的容器和容器组件
US3039666A (en) Fiber container and locking rim therefor
US10968036B2 (en) Hermetic seal for foil-lined FIBC (bulk bag)
JP2929036B2 (ja) 二重エアゾール容器の内筒
CA2204459A1 (en) A container and end closure adapted for evacuating and back-flushing of gases during closing
US3834572A (en) Closure cap for container
US5590802A (en) Salvage drum with protected clamping
KR200265076Y1 (ko) 저장용기의 원터치캡
JPS6020604Y2 (ja) 液体用二重密閉容器
BE1007765A5 (fr) Fut metallique a ouverture totale.
KR101959297B1 (ko) 누설 방지 구조를 강화한 밀폐 용기
KR200386518Y1 (ko) 감염성 폐기물 밀폐 용기
KR200251349Y1 (ko) 합성수지재 용기의 뚜껑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