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796Y1 - 신발밑창 접합용 사방압착기 - Google Patents

신발밑창 접합용 사방압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796Y1
KR970006796Y1 KR2019940010629U KR19940010629U KR970006796Y1 KR 970006796 Y1 KR970006796 Y1 KR 970006796Y1 KR 2019940010629 U KR2019940010629 U KR 2019940010629U KR 19940010629 U KR19940010629 U KR 19940010629U KR 970006796 Y1 KR970006796 Y1 KR 9700067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shoe
guide
cylinder
pist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06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1951U (ko
Inventor
임채령
Original Assignee
임채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채령 filed Critical 임채령
Priority to KR20199400106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796Y1/ko
Publication of KR9500319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19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7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796Y1/ko

Links

Landscapes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신발밑창 접합용 사방압착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일측의 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일측상단부분 분리사시도
제4도는 요부 결합 일부절취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신발을 잡아주는 작동상태도로서
(가)는 상부실린더가 작동전의 상태
(나)는 상부실린더가 작동하여 신발을 잡은 상태
제6도는 본 고안의 측면 압착편의 일부절취 단면도로서
(가)는 압이 제거되어 작동되기전의 상태
(나)는 압이 가해져 측면압착편이 작동되는 상태
제7도는 본 고안의 요부 작동상태로서
(가)는 신발이 투입된 상태 평면도
(나)는 신발을 전, 후면의 압착편이 잡아주는 상태
(다)는 신발을 측면을 압착편이 잡아주는 상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 가이드홈11, 11a : 연장축
13, 13a : 가이드파이프15, 15a : 가압대
30 : 실린더튜브31 : 작동공
32 : 관통공33 : 후방유압통로
35, 35a : 유압통로입구37 : 분지통로
45 : 밀판47 : 안내판
50 : 쿳션형틀71 : 선택스위치
72 : 후크스위치73 : 풋싱스위치
A : 상단압착부B : 측면압착부
C : 피스톤체
본 고안의 운동화나 구두 등 모든 신발의 제조에 있어 신발 갑피 바닥에 밑창을 접합하는데 사용하는 신발밑창접합용 사방압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신발갑피바닥에 밑창을 접합하는 압착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압착기는 신발을 압착기에 올려 놓은 후 신발이 얹힌 하부판을 위로 상승시켜 윗쪽에 고정된 지지대가 신발가이드를 눌러준 후 다시 측면 압착편을 움직여 신발갑피와 밑창을 접합하고 있다. 이것에 있어서는 신발이 얹힌 하부판 자체를 승강작동할 때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절하여야 하므로서 정확한 위치에 신발을 놓기 위해 숙련이 필요하며, 측면에는 4개의 실린더가 각각 별로 설치되며 이에 측면 압착편이 절단분리되어 각각 압착하므로 접착시 공간이 발생하여 접착율이 떨어져 불량품이 많이 발생하며, 이로인해 접착이 끝난 신발에는 압착자국이 나타나 상품의 질이 떨어지며 또 작업속도가 느려 생산성이 떨어지고 있는 시리정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측면압착판을 단일체로서 다분할한 밑판으로 압착가능토록 하였고 또 압착작업을 위해 신발 지지형틀을 잡아주는 실린더가 상, 하승강작동되게 하여 작업속도를 빠르게 진행토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상단부의 상단압착부(A)가 하강하여 신발을 눌러줌과 아울러 하단부의 측면압착부(B)가 대향되게 수평전진 작동하여 신발밑창을 접착하게 하였다. 상단압착부(A)는 몸체(1)의 상부고정판(80)에 실린더(4)(4a)를 고정한 지지판(3)(3a)을 플랜지(2)(2a)로서 고정하고, 지지판(3)(3a)에 고정한 실린더(4)(4a)의 피스턴축(5)(5a)선단에는 가이드홈(10)(10a)을 가진 연장축(11)(11a)을 고정볼트(12)(12a)로 고정하며, 가이드파이프(13)(13a)를 연장축(11)(11a)에 삽입시켜 지지판(3)(3a)하단에 고정하고, 연장축(11)(11a)의 가이드홈(10)(10a)에 삽입되는 위치에서 안내볼트(14)(14a)가 가이드홈(10)(10a)에 삽입되게 체결하며, 연장축(11)(11a)하선단에는 가압대(15)(15a)를 각각 고정 한것이다. 상기의 가이드홈(10)(10a)은 연장축(11)(11a)의 승강작동시 가이드파이프(13)(13a)에서 결합하는 안내볼트(14)(14a)가 가이드축 역할을 하여 연장축(11)(11a)하단에 고정되는 가압대(15)(15a)가 항상동일한 방향에서 작동되게 하여, 작업의 효율성과 불량 발생율을 최소화하였다. 또한 이 연장축(11)(11a)의 전방의 것은 길이가 다소 짧고 후방의 것은 길이가 다소길게 형성한 것이며, 이유는 신발의 압착작업상의 요인으로 전방의 것으로는 신발(20) 뒷축(21)부위의 신발지지형틀(23)을 눌러주고, 후방의 것은 신발(20)의 코(22)부위를 눌려주게 하기위한 신발 높낮이 차이에서 오는 것이다. 측면 압착부(B)는 단일체로된 실린더튜브(30)에 다수개의 작동공(31)을 뚫어 각각의 피스톤체(C)를 연동되게 설치한 것이다. 실린더튜브(30)는 제6도와 같이 각각의 실린더실과 연통되게 관통공(32)을 횡설하고, 후방에는 각각의 분지통로(37)를 헤드커버(34)의 후방유압통로(33)와 연통되게 형성하며, 실린더튜브(30)와 헤드커버(34)의 유압통로입구(35)(35a)에는 각각 유압호오스(36)(37)을 연결시켜 하나의 유압 통로를 통해 전체 실린더가 동시에 작동하게 한 것이다. 실린더튜브(30) 각각의 작동공(31)에 피스톤링(40)과 피스톤시일(41)을 결합한 피스톤(42)에 피스톤로드(43)를 결합한 후 로드커버(44)로 고정하였고 피스톤로드(43)선단에는 밀판(45)을 삽입한 후 고정볼트(46)로 고정하며, 밀판(45)상측에는 안내판(47)을 각각 결합하였다. 상기 안내판(47)은 피스톤로드(43)의 작동으로 밀판(45)이 앞으로 밀려나거나 원상태로 복귀할 때 상호간에 밀착되어 유동없이 직선운동되게하여 밀판(45)의 각도가 비틀리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여 준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다수의 밀판(45)의 중에서 양측끝단에 설치된 밀판에는 신발한쪽 측면 모양의 윤곽선을 기준으로 단일화된 쿳션형틀(50)을 보조판(51)(52) 및 고정볼트(53)로 체결하여 피스톤로드(43)의 작동시 쿳션형틀(50) 전체가 동시에 움직이도록 하였다. 이때 작동하는 피스톤로드(43)에 있어 양측 가장자리의 피스톤로드를 제외한 다수의 피스톤로드는 쿳션형틀(50)에 고정되지 않고 개별적으로 진퇴 작동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측면압착부(B)는 양측에 대향되게 설치하며, 측면의 쿳션형틀(50)은 신발의 내측과 외측모양에 따라 서로다른 모형의 단일체 쿳션형틀(50)을 결합한다.
그리고 양측 실린더튜브(30)의 반대쪽인 전·후면에는 안내스폰지(61)(61a)를 고정한 실린더(60)(60a)를 고정하였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기몸체(1) 전면상단부에 제어반(70)을 설치하여 각각 제어되게 조작가능하며, 제어반(70)에는 별도의 선택스위치(71)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편안한 위치에서 조작가능하게 상단에는 후크스위치(72)를 하단에는 풋싱스위치(73)를 동시에 설치하여 작업자가 편리하게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위의 후크스위치(72)는 수동작업시 사용하는 것으로 기계의 각 동작을 순간순간 작동 및 제동하게 하여주며, 풋싱스위치(72)는 한번 작동으로 연속적으로 기계를 움직이게 한다. 이와 같이 된 기기의 전체적인 구성은 제1와 같은 것으로 양측에 측면압축부(B)가 두개 나뉘어 진것은 왼쪽 신발과 오른쪽 신발을 분리하여 압착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기기에서 동시에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몸체(1)의 제어반(70)에 전원을 넣고 모든 동작이 정상작동되게 준비한다. 이후 신발갑피에 접착제를 칠한 밑창을 일시 접합시킨 상태에서 제7도의 (가)와 같이 측면압착부(B)사이에 안치시킨다. 그다음 제어반(70)을 작동시켜 상단압착부(A)를 움직이면 제5도의 (나)와 같이 전방의 눌름부(15)는 신발지지형틀(23)의 뒷축(21)부위를 눌러주고 후방의 눌름부(15a)는 신발의 코(22)부위를 눌러준다. 이와같이 작동할 때 피스턴축(5)(5a)에 고정된 연장축(11)(11a)은 가이드파이프(13)(13a)에 고정한 안내볼트(14)(14a)가 연장축(11)(11a)의 가이드홈(10)(10a)을 따라 하강함으로 하단부에 고정된 가압대(15)(15a)는 정위치에 작동한다. 상기와 같이 가압대(15)(15a)가 정위치에 작동되게 한 것은 아래에 눌러지는 신발의 표면에 상처가 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눌러짐과 동시에 제7도의 (나)와 같이 신발(20)의 전·후에 실린더(60)(60a)가 작동하여 안내스폰지(61)(61a)가 뒷축(21)부분과 코(22)부분을 감싸주면서 밀착시킨다. 이와 같은 순간에 제6도의 (나)와 같이 헤드커버(34)의 유압통로입구(35)에 결합된 유압호오스(36)를 통해 압을 가해 주면 후방유압통로(33)를 통한 유압이 분지통로(37)로 각각의 실린더튜브(30)작동공(31)으로 유입되어 피스톤(42)을 앞쪽으로 일시에 밀어준다. 그러면 실린더튜브(30)에 모여 있던 압이 실린더튜브(30)유압통로입구(35a)의 유압호오스(37)를 통해 압이 배출되면서 피스톤로드(43)가 전방으로 움직인다. 이렇게 유입되는 유압이 각각의 실딘더튜브(30)작동공(31)에 유입되어 피스톤로드(43)를 움직이면 피스톤로드(43) 선단에 고정된 쿳션형틀(50)이 신발(20)외주연을 감싸 쥐면서 압착하게 된다. 이ㅉ때 피스톤로드(43)는 신발형상에 따른 외압에 의해 선단에 고정된 밀판(44)이 제7도의 (다)와 같이 각기 다르게 돌출되어 쿳션형틀(50)을 밀착시켜준다. 이러한 쿳션형틀(50)은 양측선단에 고정된 보조판(51)(52)에 고정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일시에 움직이게 된다. 이와 같이 피스톤로드(43)가 움직일 때 밀판(45)상단에 결합된 안내판(47)은 서로 상호밀착 되며 진행방향으로 직선작동시켜 쿳션형틀(50)에 정확한 압이 가해지도록하여 신발의 모양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이 상태에서 신발밑창의 압착이 끝난 후 풋싱스위치(73)나 후크스위치(72)를 선택후 유압호오스(37)로 압을 가해주면 실린더튜브(30)의 선단부위에서 횡설된 관통공(32)을 통해 일시에 압이 각각의 작동공(31)으로 전달되어 피스톤(42)을 밀게 되면 피스톤로드가 후퇴하면서 쿳션형틀(50)을 원상태로 복귀시켜 준다. 이와 같이 동시에 신발(20)의 전후면을 고정하여 있던 실린더(60)(60a)의 축도 후진하면서 안내스폰지(61)(61a)가 신발(20)에서 벗어나고, 아울러 신발뒷축(21)부분과 코(22)를 누루고 있던 상단부의 축(5)(5a)이 상승되면, 신발을 제거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단압착부(A)의 파스톤 축(5)(5a)이 상승할 때 이에 결합된 연장축(11)(11a)이 가이드파이프(13)(13a)에 고정한 안내볼트(14)(14a)가 가이드홈(10)(10a)을 따라 상승하므로 하단의 가압대(15)(15a)가 정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고 한 방향에 정지된 상태로 승강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작업자가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해 몸체상단 전면에 후크스위치(72)와 몸체(1)하단의 풋싱스위치(73)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전면 제어판(70)에 선택스위치(71)를 부설하여, 작업자의 처리능력에 따라 자동 및 수동을 선택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선택의 폭을 넓혀 작업의 효율성을 배가 시켜주었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신발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작업이 가능하고 신발을 잡아눌러주는 피스턴축이 승강 작동되게 하므로 작업이 편리하며 단일체의 실린더튜브에 결합된 다수의 피스톤로드에 의해 균일하게 압을 가해주므로 종래와 같이 압착시 발생하는 틈(힘이 가해지지 않는 공간부분)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므로 접착강도의 신뢰감을 개선하고 불량율을 극소화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상하부 가압대가 설치된 본체의 전후측과 양측면부에 복수개의 실린더를 설치하여 각각의 피스톤로드선단에 우레탄패드를 고정시키고 이들의 진퇴운동에 의해 신발창이 접착되게 한 것에 있어서 단일체의 길다란 실린더튜브(30)에 다수개의 피스톤체를 설치하고 각 실린더실을 연통시켜 단일유압에 의해서 전체피스톤이 함께 진퇴작동되게하며 다수개의 피스톤러드(43)중에서 양측단에 설치한 피스턴로드선단에 신발외주면 형상이 된 단일체의 쿳션형틀(50) 양단부를 고전하고 나머지 중간부의 피스톤로드들은 비체결 상태로 진퇴작동되게 하며 상단압착부(A)를 형성하는 실린더(4)(4a)의 피스턴축(5)(5a)에 연장축(11)(11a)을 연결하고 외부에 설치되는 가이드파이프(13)(13a)는 실린더 지지판에 고정하며 가이드파이프(13)(13a)에 끼워진 고정볼트(12)(12a) 내단부를 내측의 연장축에 형성한 가이드홈(10)(10a)에 결합시켜 연장축과 그 하단에 연결한 가압대(15)(15a)가 회동없이 수직상으로 승강작동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 신발밑창 접합용 사방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분할밀판(45)상측에 각각 안내판(47)을 고정하여 피스톤로드(43)가 유동없이 직선왕복운동되게함을 특징으로 한 신발밑창 접합용 사방압착기.
KR2019940010629U 1994-05-13 1994-05-13 신발밑창 접합용 사방압착기 KR9700067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0629U KR970006796Y1 (ko) 1994-05-13 1994-05-13 신발밑창 접합용 사방압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0629U KR970006796Y1 (ko) 1994-05-13 1994-05-13 신발밑창 접합용 사방압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951U KR950031951U (ko) 1995-12-14
KR970006796Y1 true KR970006796Y1 (ko) 1997-07-08

Family

ID=19383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0629U KR970006796Y1 (ko) 1994-05-13 1994-05-13 신발밑창 접합용 사방압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7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895A (ko) *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성진인솔 구두 인솔의 허리쇠 고정구멍 천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717B1 (ko) * 2018-05-08 2019-12-11 이승희 신발밑창과 갑피를 접합시키는 접합압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895A (ko) *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성진인솔 구두 인솔의 허리쇠 고정구멍 천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951U (ko) 1995-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1111A (en) Forming press mat utilizes trays formed of thin bottom plates and separate annular frames
KR970006796Y1 (ko) 신발밑창 접합용 사방압착기
CN206675103U (zh) 一种鞋底自动压合装置
CN213675624U (zh) 一种鼓式制动器摩擦片压制成型装置
KR102054717B1 (ko) 신발밑창과 갑피를 접합시키는 접합압착기
US3557600A (en) Transfer press
US4557791A (en) Belt press with upper and lower bend compensators
CN208096203U (zh) 一种鞋帮机弹性压合装置
US256904A (en) Gang-press
CN206675104U (zh) 一种用于制鞋生产的压实机
US4263688A (en) Top and bottom die assemblies for folding the edges of a non-rigid workpiece
CN108099264A (zh) 一种自动折盒机
US4544429A (en) Process for bending cuts for manufacturing goods of leather or synthetical materials
CN213096468U (zh) 一种全包式压合机
US2822045A (en) Leather cutting machines
KR0120851Y1 (ko) 신발제조용 사방압착기
US2828496A (en) Sole pressing machine
CN216438650U (zh) 一种鞋底粘合压紧装置
CN209987272U (zh) 一种运动鞋鞋底成型模具
US2694821A (en) Machine for shaping shoe uppers
US4593423A (en) Lasting heel seat and side portions of a shoe
CN218737535U (zh) 一种制鞋用鞋面压平机
CN216776293U (zh) 一种鞋子制作用前帮机
CN219381586U (zh) 发泡鞋底拉伸机
CN210432948U (zh) 一种新型水压式压底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