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583B1 - 엘리베이터의 카 진동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카 진동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583B1
KR970006583B1 KR1019940018307A KR19940018307A KR970006583B1 KR 970006583 B1 KR970006583 B1 KR 970006583B1 KR 1019940018307 A KR1019940018307 A KR 1019940018307A KR 19940018307 A KR19940018307 A KR 19940018307A KR 970006583 B1 KR970006583 B1 KR 970006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vibration
detection circuit
governor rop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8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5729A (ko
Inventor
기요시 고바야시
아키라 도비다
가즈히코 스기타
구니오 가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기타오카 다카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기타오카 다카시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05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in case of rope or cable sl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카 진동검출장치
제1도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카진동 검출장치를 표시하는 구성도.
제2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한 예를 표시하는 개략의 구성도.
제3도는 제2도의 진동억제장치를 확대해서 표시하는 구성도.
제4도는 제2도의 카에 진동이 생겼을 때의 조속기(調速機)로프의 카에 대한 상대적인 속도변화를 표시하는 관계도.
제5도는 제2도의 카의 주행속도 곡선의 한 예를 표시하는 관계도.
제6도는 제2도의 카에 제4도와 같은 진동이 생겼을 때에 조속기로 검출되는 조속기로프의 속도변화를 표시하는 관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카 8 : 조속기(調速機)로프
9 : 진동억제장치 22 : 검출스위치
25 : 검출회로 31 : 경부 부저(경보장치)
32 : 제어회로
이 발명은 승객의 장난 등에 의한 카의 진동을 엘리베이터의 카 진동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2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한 예를 표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1은 승강로 상부의 기계실에 설치되어 있는 권양기의 활차, 2는 권양기에 병설되어 있는 로프를 옆으로 당기게 하는 보조활차, 3은 활차 1과 당겨주는 보조활차 2에 감겨 걸려있는 주로프, 4는 주로프(3)의 일단부에 매달려 있는 카이고, 카실(4a)과 카틀(4b)을 갖고 있다.
5는 주로프(3)의 타단부에 매달려 있는 균형추이다.
6은 기계실에 설치되어 있는 조속기(調速機), 7은 승강로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조속기 로프 인장(引長)차, 8은 조속기(6)과 조속기 로프 인장차(7) 사이에 걸려있는 조속기 로프, 9는 카틀(4b)에 부착되어 있는 동시에, 조속기 로프(8)의 양단부가 접속되어 있는 진동억제장치(제진부)이다.
제3도는 제2도의 제동억제장치(9)를 확대해서 표시한 구성도이고,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 54-112276호 공보에 표시된 것과 같은 것이다.
도면에서 17은 카틀(4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비상정지레버이고, 이 비상정지레버(17)의 각도는 일정이상의 인상력이 작용했을 때만 변화하는 가구(도시않음)로 되어 있다.
11은 비상정지레버(17)의 선단에 부착된 지지용구, 12는 지지용구(11)를 카 승강 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이기 쉽게 관통되어 있는 롯드이고, 이 롯드(12)에는, 이 미끄러져 움직이는 스트로크를 규제하는 상부 및 하부 스톱퍼(12a), (12b)가 설치되어 있다.
또 롯드(12)의 상하단부에는 각각 조속기 로프(8)가 접속되어 있다.
13, 14는 각각 롯드(12)의 지지용구(11)로부터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 받침자리, 15, 16은 각각 스프링 받침자리(13), (14)와 지지용구(11)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진(制振)스프링이다.
또 18은 넛, 19은 조속기 로프(8) 접속용 롯드 단말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카(4)가 주행하고 있을 때 카틀(4b)에 비상정지레버(17)를 통해서 지지되어 있는 지지용구(11)는, 제진스프링(15)(16)에 의해 상하로부터 같은 스프링 압력으로 압압되어 있으므로, 진동억제장치(9)는 제3도의 상태로 카(4)에 대해 정지하고 있다.
즉 카(4)주행중의 통상의 진동은, 진동억제장치(9)에 의해 흡수되고 있다. 또, 카(4)의 하강속도가 비정상적으로 증대하면, 조속기(6)에 의해 조속기 로프(8)가 구속되므로, 롯드(12)는 제진스프링(15)(16)에 반해서 지지용구(11)에 대해 제3도의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스톱퍼(12b)가 지지용구(11)를 상방으로 끌어올린다.
이로인해, 비상정지레버(17)가 회동해서, 여기에 연결된 연결봉(도시않음)이 인상되고, 카(4)의 하부에 설치된 비상정지장치(도시않음)가 동작해서 카(4)가 비상정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주행중에 승객이 장난을 해서 일부러 카(4)를 흔들리게 했을 때, 카틀(4b)에 비상정지레버(17) 및 지지용구(11)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조속기 로프(8)에 진동이 전달된다.
이때, 제진스프링(15),(16)은 교호로 신축을 반복해 조속기 로프(8)의 카(4)에 대한 상대적인 속도가 제4도와 같이 변화한다.
또 카(4)의 주행속도 곡선을 제5도라고 하면, 조속기(6)로 검출되는 조속기 로프(8)의 속도는, 제4도와 제5도를 합성한 제6도와 같이 변환한다.
제6도에서, 실제의 카(4)의 주행속도를 표시하는 파선을 넘는 부분은, 카(4)의 진동에 의한 속도 초과분이다.
이럴 때 조속기(6)는 조속기 로프(8)가 실제의 속도보다 증속되어 있다고 판단해서 동작하고, 카(4)가 필요없이 비상정지 되어버려, 운전재개에 시간이 걸리는 동시에 승객이 카(4)내에 갇혀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해서 된 것으로, 카진동을 검출해서, 카진동에 의한 조속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승객이 카내에 갇혀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는 엘리베이터의 카 진동검출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카 진동검출장치는, 카진동에 의한 조속기 로프의 진동량이 설정치를 넘었을 때 신호를 발생하는 검출회로를 설치한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카 진동검출장치는, 검출회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카 및 엘리베이터 관리실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경보를 발하는 경보장치를 설치한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카 진동검출장치는, 검출회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카 조작판에 표시를 하는 표시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청구항 4의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카 진동검출장치는, 검출회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카를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키는 제어회로를 설치한 것이다.
청구항 5의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카 진동검출장치는, 검출회로에 자동복귀식의 검출 스위치를 설치하고, 또 검출회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카를 일시적으로 정지시켜 검출스위치가 자동복귀하게 되면 운전을 자동적으로 재개하는 제어회로를 설치한 것이다.
청구항 6의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카 진동검출장치는, 검출회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카 및 엘리베이터 관리실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경보를 말하는 경보장치와, 검출회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특정층에 카를 되돌리는 제어회로를 설치한 것이다.
이 발명에서는, 카에 진동이 생기면 카에 부착되어 있는 조속기 로프에 진동이 전달되므로, 이 진동에 의한 조속기 로프의 변위를 감시하고, 변위량이 설정치를 초과하면 검출회로에서 신호를 발해, 카의 진동을 검출해서 조속기의 오동작을 방지한다.
[실시예]
이하, 이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대해 설명한다.
제1도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카 진동검출장치를 표시하는 구성도이고, 제3도와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쳐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 있어서, 21은 롯드(12)의 상단부의 롯드단말(19)부분 에넛(18)으로 고정되어 있는 작동편, 22는 카(4)에 탑재되어 있는 검출스위치이고, 예를 들어 자동복귀식의 마이크로스위치가 사용된다. 23은 기단부가 검출스위치(2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선단부가 간격K를 두고 작동편(21)에 대향해 있고, 검출스위치(22)를 작동시키는 조작레버, 24는 검출스위치(22)에 접속되어 있는 검출릴레이이고, 이 검출릴레이(24)는 경보장치로서의 경보부저(31)와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회로(32)에 접속되어 있다. 25는 검출스위치(22) 및 검출릴레이(24)로 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전제로서의 구성은 제2도와 거의 같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의 운전시에는 종래와 같이, 지지용구(11)는 제진스프링(15), (16)에 의해 상하로부터 같은 스프링압으로 압압되어 있으므로, 진동억제장치(9)는 카(4)에 대해 정지하고 있다.
또, 카(4)의 하강속도가 이상적으로 증대하면, 조속기(6)에 의해 조속기 로프(8)가 구속되어 비상정지장치가 동작해서 카(4)가 비상정지한다.
또, 통상 운전시에 승객의 장난등에 의해 카(4)가 크게 흔들리면, 지지용구(11)에 대해 롯드(12)가 상하로 진동하고, 제진스프링(15), (16)이 교호로 신축을 반복한다. 그리고, 롯드(12)가 상동(上動)했을 때에 작동편(21)과 조작레버(23) 사이의 간격K가 짧아진다.
카(4)의 진동이 설정량보다 크게 되면, 작동편(23)이 조작레버(22)에 맞닿게 된다. 이로인해, 검출릴레이(24)가 동작해서, 카(4) 또는 엘리베이터 관리실의 경보부저가 울리는 동시에, 제어회로(32)에 신호가 보내져 카(4)가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그후 승객이 장난을 그만 두거나 해서, 카(4)의 진동이 없어지고, 조작레버(23)가 눌러지지 않게 되면, 검출스위치(22)가 자동복귀해서, 엘리베이터의 운전이 자동적으로 재개된다.
여기서 카(4)에 진동이 생기면, 작동편(21)이 조작레버(23)에 반복해서 접리함으로, 검출스위치(22)가 자동복귀해도 어느 정도의 시간은 운전을 재개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이런 카 진동검출장치에서는 카(4)에 대한 조속기 로프(8) 및 롯드(12)의 진동으로부터 카진동을 검출해서 경보부저(31)를 울리게 하는 동시에,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도록 하였으므로, 카진동에 의한 비상정상장치의 오동작이 방지된다.
여기서, 비상정지장치가 동작하였을 때는, 자동복귀하지 않는 자기 보존형의 스위치가 작동하고 있기 때문에 서비스맨이 도착할 때까지 승객이 카(4)에 갇히거나, 이 실시예의 검출스위치(22)는 자동복귀하므로, 갇히게 되는 일은 없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카 진동을 검출했을때에 경보부저를 울리게 하였으나, 예를 들면 아나운스 하거나 해도 되고, 또 카 조작판에 표시수단을 설치하거나, 램프나 문자로 표시하거나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작동편(21)을 롯드(12)에 부착하였으나, 제진스프링(15), (16)이나 조속기 로프(8)의 단부에 부착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작동편(21)이 조작레버(23)에 맞대여 줌으로서 작동되는 기계적인 검출스위치(22)를 표시하였으나 근접 스위치나 광학식 스위치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검출릴레이(24)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제어회로가 카(4)를 즉시 정지시키는 것을 표시하였으나, 카(4)를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키도록 해도 되고, 이 경우 승객의 갇혀짐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 미리 설정된 특정층에 카(4)를 호출시키도록 해도 되고, 관리인이 있는 층등을 특정층으로 설정하면, 안전의 확인이나 운전재개를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의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카 진동검출장치는, 카진동에 의한 조속기 로프의 진동량이 설정치를 넘었을 때 신호를 발하는 검출회로를 설치하였으므로 카 진동을 검출해서 카 진동에 의한 조속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청구항 2의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카 진동검출장치는, 검출회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카 및 엘리베이터 관리실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경보를 발하는 경보장치를 설치하였으므로, 상기 청구항 1의 발명과 같은 효과에 더해서, 장난 등에 의한 고의의 카진동을 중지시킬 수가 있고, 조속기의 오동작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을뿐 아니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또 청구항 3의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카 진동검출장치는, 검출회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카조작판에 표시를 하는 표시수단을 설치하였으므로, 상기 청구항 2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다시 또, 청구항 4의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카 진동검출장치는, 검출회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카를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키는 제어회로를 설치하였으므로, 상기 청구항 1의 발명과 같은 효과에 더해서, 승객이 카내에 갇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낸다.
또 청구항 5의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카 진동검출장치는, 검출회로에 자동복귀식의 검출스위치를 설치하고 또 검출회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카를 일시적으로 정지시켜, 검출스위치가 자동복귀하면 자동적으로 운전을 재개하는 제어회로를 설치하였으므로 상기 청구항 1의 발명과 같은 효과에 더해서, 갇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운전을 쉽게 재개할 수 있고, 보수하는 번거로움을 경감시킬 수 있고, 또 운전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또 청구항 6의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카 진동검출장치는, 검출회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카 및 엘리베이터 관리실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경보를 발하는 경보장치와, 검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카를 미리 설정된 특정층으로 부르는 제어회로를 설치하였으므로, 상기 청구항 2의 발명과 같은 효과와 더불어 갇혀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안전의 확인등을 특정층에서 쉽게 할 수가 있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운전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6)

  1. 진동억제장치를 통해서 카에 부착되어 있는 조속기 로프와, 카진동에 의한 상기 조속기 로프의 진동량이 설정치를 초과했을 때에 신호를 발하는 검출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카 진동검출장치.
  2. 진동억제장치를 통해서 카에 부착되어 있는 조속기 로프와, 카진동에 의한 상기 조속기 로프의 진동량이 설정치를 초과했을 때에 신호를 발하는 검출회로와 이 검출회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카 및 엘리베이터 관리실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경보를 발하는 경보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카 진동검출장치.
  3. 진동억제장치를 통해서 카에 부착되어 있는 조속기 로프와 카진동에 의한 상기 조속기 로프의 진동량이 설정치를 초과하였을 때에 신호를 발하는 검출회로와, 이 검출회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카 조작판에 표시를 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카 진동검출장치.
  4. 진동억제장치를 통해서 카에 부착되어 있는 조속기로프와, 카진동에 의한 상기 조속기 로프의 진동량이 설정치를 초과하였을 때 신호를 발하는 검출회로와, 이 검출회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카를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키는 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카 진동검출장치.
  5. 진동억제장치를 통해서 카에 부착되어 있는 조속기 로프와, 카진동에 의한 상기 조속기 로프의 진동량이 설정치를 초과하였을 때에 작동하는 자동복귀식 검출스위치를 갖고, 상기 검출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신호를 발하는 검출회로와, 이 검출회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카를 일시적으로 정지시켜, 상기 검출스위치가 자동복귀하면 운전을 자동적으로 재개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카 진동검출장치.
  6. 진동억제장치를 통해서 카에 부착되어 있는 조속기로프와, 카진동에 의한 상기 조속기 로프의 진동량이 설정치를 초과하였을 때에 신호를 발하는 검출회로와, 이 검출회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카 및 엘리베이터 관리실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경보를 발하는 경보장치와, 상기 검출회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특정층에 상기 카를 불러오는 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카 진동검출장치.
KR1019940018307A 1993-08-18 1994-07-27 엘리베이터의 카 진동검출장치 KR970006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204025A JPH0753155A (ja) 1993-08-18 1993-08-18 エレベーターのかご揺れ検出装置
JP93-204025 1993-08-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729A KR950005729A (ko) 1995-03-20
KR970006583B1 true KR970006583B1 (ko) 1997-04-29

Family

ID=16483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8307A KR970006583B1 (ko) 1993-08-18 1994-07-27 엘리베이터의 카 진동검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753155A (ko)
KR (1) KR970006583B1 (ko)
CN (1) CN105635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69988B1 (es) * 2000-03-17 2003-10-01 Otis Elevator Co Dispositivo controlador del accionamiento del limitador de velocidad de un ascensor.
JP5102546B2 (ja) * 2007-06-27 2012-12-1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ガバナロープ状態検出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JP2015003799A (ja) * 2013-06-21 2015-01-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テールコードの制振装置
CN106477408A (zh) * 2015-08-25 2017-03-08 韩国升降机安全公团 升降机品质性能诊断装置
CN107902512A (zh) * 2017-11-16 2018-04-13 东莞市联洲知识产权运营管理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晃动检测装置
CN107826921A (zh) * 2017-11-16 2018-03-23 东莞市联洲知识产权运营管理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摇摆检测系统
CN110775763B (zh) * 2019-11-05 2022-10-04 森赫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电梯的防摇摆检测方法及电梯防摇摆检测装置
CN110980467B (zh) * 2019-12-24 2021-04-27 福建快科城建增设电梯股份有限公司 轿厢运行质量检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145B2 (ko) * 1973-06-30 1981-03-26
JPH0653554B2 (ja) * 1988-06-25 1994-07-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油圧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いたずら揺動警報方法
JP2567956B2 (ja) * 1989-10-03 1996-12-25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サービス エレベータ乗りかごの異常振動検出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7469A (zh) 1996-02-28
CN1056356C (zh) 2000-09-13
KR950005729A (ko) 1995-03-20
JPH0753155A (ja) 1995-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274766A (ja)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昇降路監視装置の後付け方法
KR970006583B1 (ko) 엘리베이터의 카 진동검출장치
KR20040080006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초과 속도 조정 장치
JP2004059211A (ja) シャフトレス型エレベータシステム
US11046552B2 (en) Method and system of reducing false actuation of safety brakes in elevator system
JP2766946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H11171423A (ja) エレベーターの地震時自動復帰装置
JP3178110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H0755772B2 (ja) エレベータの救出運転装置
JPH08333066A (ja) エレベーター用ロープ破断検出装置
US5637842A (en) Elevator safety device
JPH10120327A (ja) エレベータのガバナロープの異常検出装置
JPH09194166A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JP2002154758A (ja) エレベーター及び巻上機の取付方法
JPH09156850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動装置
JPH1087228A (ja) エレベータ
EP1663837B1 (en) Elevator safety gear arrangement
JP3313022B2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JP494602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567956B2 (ja) エレベータ乗りかごの異常振動検出制御装置
US2493553A (en) Safety apparatus for elevators
JP2002060145A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JP2007302372A (ja) コンペンチェーンの引っ掛かり検出装置
JPH0427904Y2 (ko)
JPH09110336A (ja) エレベ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