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499B1 - 유기 폐수 처리방법 및 그 방법에서 사용하는 유기 폐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폐수 처리방법 및 그 방법에서 사용하는 유기 폐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499B1
KR970006499B1 KR1019940008013A KR19940008013A KR970006499B1 KR 970006499 B1 KR970006499 B1 KR 970006499B1 KR 1019940008013 A KR1019940008013 A KR 1019940008013A KR 19940008013 A KR19940008013 A KR 19940008013A KR 970006499 B1 KR970006499 B1 KR 970006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ed
organic wastewater
filter
bed
wastewater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8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유끼 고또오
마스미 오까모또
가쯔히로 스즈끼
데루유끼 가니에
이쯔끼 우찌까와
류우지 나까가끼
Original Assignee
데콘따인떼그레 가부시끼가이샤
이쯔끼 우찌까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콘따인떼그레 가부시끼가이샤, 이쯔끼 우찌까와 filed Critical 데콘따인떼그레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4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4Aerobic processes using trickle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유기 폐수 처리방법 및 그 방법에서 사용하는 유기 폐수 처리장치
제1도는 세균의 배양 시간과 생균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증식 변화의 설명도이고,
제2도는 유기 폐수 공급후에 있어서의 배수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폐수 처리장치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폐수 처리장치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폐수 처리장치의 실시예 3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폐수 처리장치의 실시예 4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폐수 처리장치의 실시예 5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여과조 2 : 배수구
3 : 바닥깔개판 4 : 나무소편
5 : 폐수 파이프 6 : 제어기구
6a : 정량펌프 6b : 타이머
7 : 송풍기 8 : 파이프
9 : 활성탄
본 발명은 가정이나 공장등에서 배출되는 유기 폐수를, 미생물이 갖고 있는 소화분해 작용에 의해 정화처리하는 폐수처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유기 폐수라 함은 수분 함유량이 약 98% 이상인 것을 말하며, 단, 함유된 유기물이 설탕과 같이 가용성이 높은 것인 경우에는 예외로 하여 수분이 95% 정도의 것까지도 포함된다.
유기 폐수의 생물 처리로서는 활성오니법, 생물막법, 안정화연못법 등의 호기적 처리법과, 소화법 등의 혐기적 처리법이 알려져 있다.
상기 생물 처리중 생물막법은 고체(기반)의 표면에 형성한 생물막과 유기 폐수를 접촉시켜, 폐수중의 오니 물질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그 대표적인 것은 살수식 여과베드이다.
살수식 여과베드를 항상 활성 상태로 하여두고, 그 처리 기능을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산소를 끊임없이 공급하여, 호기성 미생물의 활동을 중진시킬 필요가 있고, 산소의 공급이 부족하면 여과베드는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지배되어, 여과베드의 처리기능은 상실한다고 생각되어 왔다.
이러한 살수 여과베드를 구성하는 여과재로는 안산암, 화강암 등의 쇄석, 석탄, 코크스, 광재 등이 있고, 생물막의 박리를 방지하기 위해 면질이 거칠어야 하고, 통기의 저해나 폐색을 피하기 위해 입경은 30mm 이상일 것 등이 요구되어, 입경 30mm 이하의 것은 사용되지 않았다.
종래의 살수식 여과베드에서는 BOD 부하는 0.7∼2,1kg/m2/일이고, BOD 제거율은 최종 침전지를 사용해도 60∼80%에 이르러 여과베드만으로 50%가 한도이다.
그 위에, 악취나 여과베드 파리의 발생도 있고, 처리쉥 요구되는 BOD 회망치의 3배 이상의 BOD 농도를 가진 유기 폐수를 정화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언급되어 있어, 그 점에서는 활성오니법이 유리하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활성오니법은 폭기에 의한 경비의 증가, 과잉 오니가 발생한다는 결점도 있다.
따라서, 염가이고, 고도로 유기 폐수를 처리하며, 과잉 오니의 발생이 없이, 여과베드 파리나 악취의 발생을 억제하고, 여과베드의 폐색에 의한 기능저하도 적은 고성능의 유기 폐수 처리 기술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미생물, 특히 세균의 배양시간과 생균수의 비례 관계를 나타내면, 제 1도와 같이 S자상의 곡선이 얻어지며, 각각의 기간에 있어서의 특징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① 유도기 : 세균을 새로운 배지에 접종하여도 곧 증식을 시작하는 것은 아니다. 이 시기는 증식의 준비기간에 상당하고, 대사 활동은 왕성하게 되며, 세포의 크기도 증대하나, 균수는 거의 증가하지 않는다.
② 비례기 : 서서히 균의 분열이 시작되어, 증식이 급속히 행해지는 시기에 상당하고, 균수는 비례적으로 증가한다. 이 시기는 세대 시간도 일정하게 된다.
③ 정상기 : 생균수가 절정에 이르나, 영양소가 결핍되고, 대사 산물이 축적하는 등으로 세균에는 불리한 조건이 되어, 증식이 행해지지 않는 시기에 해당된다.
④ 감쇠기 : 사멸기라고도 하며, 이윽고 세균의 세포는 사멸하기 시작해 생균수는 점점 감소한다.
그러므로, 이들의 생태를 개별적으로 상세히 조사해 보면, 유도기는 미생물에 있어서는 증식의 준비기간에 상당하고, 대사 활동은 왕성하게 되며, 세포의 크기는 증대하나 균수는 거의 증가하지 않는다.
본 출원인은 이 기간의 미생물 활동을 적극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대량의 사멸 미생물도 없이 오니나 여과베드의 폐색이 생기지 않게 되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유도 기간중에 급격한 환경의 변화를 부여함으로써 미생물은 일종의 쇼크를 받아 비례기로의 이행이 억제되는 경향이 있는 것도 알게 되었다.
때문에, 입자크기가 약 l0mm 이하인 여과재를 사용한 여과베드의 경우, 3m 깊이에서는 하층의 80%는 산소부족의 상태가 되어, 혐기성 미생물, 통기 혐기성 미생물이 주로 발생한다.
이 여과베드에 상기와 같은 환경 변화쇼크를 정기적으로 부여하면, 증식이 억제된다. 특히, 집괴(floc)를 형성하는 대형의 미생물은 이러한 경향이 현저하여, 쇼크를 부여함으로써 여과베드의 폐색을 막을 수가 있다는 것도 판명되있다.
또한, 여과베드 바닥부로부터 공기를 공급하고 있는 경우에도 상층의 산소가 부족하면, B0D 제거율이 90% 이상으로 되는 것도 판명되었다. 특히 상층에 톱밥(목질소편)을, 하층에 활성탄을 사용하면, B0D 제거율이 95% 이상이 되고, 또한 여과베드에 통기관을 배치하여 상층의 산소를 더욱 부족하게 만들면, BOD 제거율은 97% 이상이 되며, 다시 작은 입경의 여과재를 채용하면 BOD 제거율은 97%에서 99.9%로 되는 것도 확인되어, 어느 것이나 1일당 BOD 부하는 2.8∼3kg/m2/일을 기록하였다.
이들 데이터를 분석하면, 강한 집괴를 형성하기 위하여는, 미생물의 유도기는 약 4시간이라고 말하고 있으나, 증식은 역시 시간의 경과와 함께 조금씩이지만 행해지고 있기 때문에, 될 수 있는대로 짧은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좋다.
그리하여, 지금까지의 연구과정의 경험으로부터 우선,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유기 폐수의 주가(注加)를 행하는 것이 이상적이란 결론에 도달하였다.
미생물에 부여한 쇼크, 결국 미생물이 받은 스트레스의 크기에 따라 유도 기간은 변화하고, 스트레스가 작으면 유도 기간도 짧게 된다.
따라서 약 1시간을 유도 기간으로 보면 거의 틀림이 없다.
예를 들면, BOD 3000ppm의 유기 폐수의 경우, 대체로 이 장치의 BOD 부하량은 3kg/m2이상이므로 3kg÷3000ppm=×kg으로 하면 ×=1000kg이 되어 1일에 1m3의 폐수를 처리할 수 있다는 결론이나, 주기(週期)를 1시간으로 했으므로, 1m3÷24회=41.7l/시간,1회 1m2의 면적에 41.7l의 폐수를 주가하면 된다.
흘러내려가는 폐수 보다도 주가하는 폐수의 양이 많으면 많을수록, 여과재간에 체류하는 폐수는 희석되므로 짧은 시간내에 투입하는 것이 좋으며, 여과베드 면적 1m21초당 0.2l 이상의 속도로 공급하는 편이 좋은 결과가 나온다.
여과베드의 높이에 따라 여과베드 용적을 구해 1시간당 20.8l/m3(여과베드 높이를 2m로 하고)로 계산해도 좋다. 또한, 유기질을 함유하지 않은 물을 1m2당 50l의 비용로, 1시간 걸러 공급한 때, 2m 깊이의 여과베드의 하단에서 흘러나오는 수량을 계측하면, 물을 주입해서부터 15분∼20분에서 피크를 넘는다(제 2도 참조).
이와 같은 시험을 유기 폐수의 경우에 행하면 25∼30분이 소요되므로 주기는 30분 이상으로 하면, 여과베드내에 물이 고이지 않게 되어 농담(濃淡)의 변화 비용은 최대로 된다.
확률의 문제이는 하나, 여과베드를 통과하는 물의 피크 통과 시간 보다는 길지만, 물론 집괴를 형성하는 미생물의 증식이 확대되기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 보다는 짧은 범위내에서 주기를 결정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며, 통상 30분∼1시간의 범위로 하면 좋은 결과가 얻어진다.
물을 주입한 후에는 소형(광학 현미경으로 겨우 볼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의 미생물이 급격히 증식한다고 하나, 소형의 미생물은 거의 집괴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폐색의 원인으로는 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실에 기초하여 개발된 유기 폐수 처리방법 및 장치로, 그 유기 폐수 처리방법의 제1형태는 강한 집괴를 형성하는 미생물의 유도기 보다는 짧은 시간이고, 그리고 미생물의 대사활동을 이용하기에는 충분한 시간을 주기(週期)로 하고, 유기 폐수의 유기물 농도와 성상에 따라, 여과베드 면적당 또는 여과베드 용적당 주가수량(注加水量)을 정하고, 10mm 이하 입경의 여과재를 충전한 살수 여과베드식 수처리장치에, 유기 폐수를 극히 단시간내에 급격히 주가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미생물막이나 오니 등의 처리 부산물의 생성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그러면서, 유기 폐수를 고도로 처리하는 방법이며, 또 제2의 유기 폐수 처리방법은, 10mm 이하 입경의 여과재를 충전한 여과베드 하부에, 송풍기에 의한 공기 공급수단을 설치한 살수 여과베드식 수처리 장치의 여과베드내의 통기량을 하층보다 상층을 적게한 데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 폐수 처리장치는 여과베드 하부에 송풍에 의한 공기 공급수단을 설치하고, 10mm 이하 입경의 여과재를 충전한 살수 여과베드식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여과베드내의 중층에서 외부로 연통하는 통기로를 설치한 데에 특징이 있고, 또한 상기 여과베드를, 상층이 목질 소편, 하층이 활성탄 소립으로 되는 이층식으로도 할 수 있다.
또한, 여과재가 8mm 이하의 것을 특히 첨부식 여과베드로 구별하는 경우도 있으나, 본 발명의 살수식 여과베드는 그와 같은 침투식 여과베드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주가(注加)라 함은 주수(注水), 가수(加水), 살수등을 의미한다.
여과베드에 대하여 유기 폐수를 급격히 주가하면, 유기 폐수가 도달한 여과베드내의 각 개소가, 급격히 유기물 농도가 희박해져 미생물 주위의 영양 기질(基質)도 급변한다. 그들의 작용에 의해 미생물에 스트레스를 부여하여 그 결과, 강한 집괴를 형성하는 미생물의 비례증식(분열)을 억제한다.
그후 여과베드내에서 여과가 진행되어, 미생물의 영양기질로 되는 유기물의 농도가 서서히 높아짐에 따라, 미생물의 증식과정에 있어서 유도기에 유사한 미생물의 대사활동이 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강한 집괴를 형성하는 미생물의 유도기보다는 짧은 시간이며, 그리고 미생물의 대사활동을 이용하기에는 충분한 시간을 주기로 하고, 유기 폐수의 유기물 농도와 성상에 따라 여과베드 면적당 또는 여과베드 용적당의 공급수량을 정해, 극히 단시간에 집중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서 미생물막이나 오니 등의 처리부산물의 생성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또한 고도의 처리가 실현된다.
또한, 상층의 통기량을 하층의 통기량 보다 적게함으로써 상층이 산소부족 상태로 되어 혐기성 미생물, 통기혐기성 미생물의 활성이 높아져, 여과베드에 체류한 유기물은 보다 저급의 물질로 분해된다. 저급의 물질 대부분은 물에 녹기 쉬우므로 다음에 주가된 폐수에 의해 차례로 흘러내려가게 된다.
보다 저급이 되면 될수록, 여과베드 하부로 이행하기 쉬워진다.
혐기성 발효는 산발생기, 산퇴행기, 최종 분해기로 진행하나, 1.5∼4mm정도의 채로 분류한 여과재를 사용하면, 산퇴행기에는 여과베드에서 흘러 떨어져 버리므로 여과베드내에는 최종 분해기에 발생하는 메탄이나 암모니아는 극히 소량(냄새가 밖으로 나오지 않는 정도)밖에 확인되지 않는다. 하층에 산소가 충분히 있으면 호기성 미생물과 후생층의 활동으로 저급물질은 용이하게 탄산가스와 물과 극히 소량의 염류로까지 산화된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유기 폐수 처리방법 및 그 방법에서 사용하는 유기 폐수 처리장치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낸 것으로, 높이 2.8m. 직경 1.13m의 원통형으로 상단이 개방된 여과조(1)의 저부에는 배수구(2)가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에서부터 l0cm 위쪽의 위치에 16멧쉬 스테인레스제의 망이 설치된 바닥깔개판(3)이 배치되어 있다.
이 여과조(1)내에는 여과재인 1.5mm∼4.5mm로 분쇄한 나무소편(4)을 바닥깔개판(3)위에 약 2.4m의 높이까지 충전함으로써 살수식 여과베드가 형성되어 있다.
여과조(1)의 바로위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유기 폐수 탱크에 접속된 폐수 파이프(5)의 공급구가 개구되어 있고, 이 폐수 파이프(5)에는 정량펌프(6a)와 타이머(6b)로 구성되어 단속적으로 유기 폐수를 주가하는 제어기구(6)가 장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유기 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폐수 파이프(5)의 공급구로부터 5분간에 45l의 공장 배수를 주가하고, 그것을 1시간 마다 반복하였다.
상기 폐수 주가의 타이밍은 미리 설정된 타이머(6b)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해지고, 공장 폐수로는 제빵공장에서 배출된 폐수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들 처리 결과는 다소의 변동이 있기는 하지만 6개월 이상 계속 운전하여도 여과베드의 폐색을 일으킨적이 없고, 상기 이상의 성능 보유도 확인되었다.
B0D 부하량은 3.0kg/m2일로 BOD 제거율은 90% 이상이며, 실용성이 높은 것도 확인하였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실시예 1의 장치에서 제어기능을 제거하고, 송풍기능을 부가한 것이다.
실시예의 송풍기능은 여과조(1)의 하부에, 송풍기(7)의 공기 토출구를 접속함과 동시에 배수구(2)를 밀봉포트 구조로 하여, 송풍기에서 토출된 공기가 배수구(2)에서 누출되지 않아 모두 여과재내를 상방으로 통과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나무소편(4)으로 이루어진 여과층내에는 여과조의 상부에서 10cm 직경의 염화비닐제품의 파이프(8.8,8) 3개를, 각각 중층에 다다르는 약 1.6m의 깊이까지 매립하여 그 때문에 여과베드의 상층부에서는 대부분의 공기가 상기한 염화비닐제 파이프(8)를 통과해서 배출되므로 상층부에서의 송기량은 대폭으로 감소한다.
상기 송풍기(7)에서는, 0.1KW의 모터에 의해 36m/m Aq의 공기 공급을 행하면서, 정량펌프(6a)를 작동 시켜 유기 폐수를 1시간당 45l의 비율로 약 2주간 연속하여 공급한바, 여과베드에 폐색 감소가 보였다. 이때, 약 3∼4일 공급을 정지시킨바 폐색은 해소되었으므로, 그후 약 2주간 연속하여 공급하는 방식으로 단속적인 주가를 3개월 이상 반복하였다.
또한, 본 유기 폐수 처리장치는 타이머를 이용한 제어기구는 장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폐수의 주가, 정지는 수동으로 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이, 살수식 여과베드의 하층에서 공기를 송풍하고, 그러면서 상층의 통과랑을 하층의 통과량 보다 적게 했으므로, 상층부는 보다 혐기성 미생물에 적합한 환경으로, 하층부는 호기성 미생물에 알맞는 환경으로 되어, 처리능력이 향상되었다.
처리 결과의 변동은 다소 있을 수 있지만, 2주간 운전후에 3일간 정지시키면 되기 때문에, 정지기간을 달리하여 복수의 장치를 운전시키면, 연속하여 유기 폐수를 처리할 수 있게 되고, 17일간중 3일간만 급수를 정지하는 결과이므로 BOD 부하량을 82.3%로 감소시킨 것과 같은 것으로, 그 부하량은 2.4kg/m2일로 BOD 제거율은 95% 로 되어, 충분히 실용화할 수 있는 범위로 말할 수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나타낸 것으로, 실시예 1의 장치의 하부에 송풍기(7)의 공기 토출구를 접속함과 동시에 여과베드내에 여과조의 상부에서 l0cm 직경의 염화비닐제 파이프(8,8,8)3개를, 각각 약 1.6m의 깊이까지 매립시키고, 0.lKW의 모터를 사용하여 송풍기(7)로부터 36m/m Aq의 공기 공급을 행하면서, 제어기구(6)를 이용하여 폐수를, 1시간마다, 45l를 3분간에 급격히 공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상의 결과를 얻음과 동시에 지금도 또한 6개월에 걸친 연속운전을 계속하고 있다. 또한 BOD 부하량은 3.0kg/m2일이고, BOD 제거율은 97.5%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나타내는 것으로, 실시예 2의 장치에 있어서, 여과베드의 하층부 50cm를 활성탄(9)으로 대체한 것이다.
또한 염화비닐제 파이프(8)은 3개에서 1개로 감소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4주간의 연속 운전후, 여과베드가 폐색되었다.
그 상태에서 4일간 운전을 정지해 보니 여과베드의 폐색은 해소되고, 그 후에 운전을 재개하여 보니 다시 4주간의 연속운전이 가능하였고, 6개월 이상 반복 운전하고 있다.
4일간의 정지는 28일 가동÷32일=87.5%의 가동율이고, 실시예 2와 같이 복수개의 동형장치를 병렬로 설치하여, 정지일을 순서대로 어긋나게 하여 운전하면 연속처리를 행한 것과 같은 것이 된다.
이때, B0D 부하량은 2.62kg/m2일이고, BOD 제거용은 99.8%이었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5를 나타내는 것으로, 실시예 3의 장치에서, 여과베드 하층부를 1∼3mm 입경의 활성탄(9)으로 바꾸어 넣고, 직경 10cm의 염화비닐제 파이프(8) 1개를, 활성탄층의 상부에 이를때까지 끼워넣고, 그 이외는 실시예 3과 완전히 같게 하였다.
이 실시예에서는 여과베드내의 공기 송풍량을 하층보다 상층을 적게하기 위해서, 상층내에 직경 10cm의 염화비닐제 파이프를 매립시키고 있으나, 이러한 파이프는 염화비닐제에만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고, 상층과 하층의 경계에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설치하는 등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여과재도 미생물 담지기능이 있는 것이라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설시예 5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상의 결과를 얻고, 지금도 6개월 이상에 걸친 연속운전을 행하고 있으며, 상기의 성능을 지속하고 있다.
또한 BOD 부하량은 3.0kg/m2일이고, BOD 제거용은 99.9%로 경이적인 수치를 기록하였다.
상기한 실시예 2 내지 5에 있어서, 공기 송풍온도를 20℃로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유기 부하량을 상승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동절기 최저기온이 5℃ 이하로 된 때, 성능이 저하하기 시작했으므로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함으로써 대응했으나, 실온(20℃)의 공기를 송풍하면 가열할 필요는 없다.
나무소편으로 이루어진 상층에 공기를 공급하면, 완전히 마르지 않은 나무인 경우에는 리그닌이 용출되어 처리수가 착색된다.
이러한 문제는 하층, 결국 공기가 통과하는 층의 여과재를 활성탄으로 함으로써 리그닌의 용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하여 고도로 처리하지 않아도 무방한 경우에는 활성탄 대신에 클링커재 입자나 다공성 세라믹 입자등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활성탄을 사용한 때와 같이 고도로 안정적으로 좋은 처리수를 얻는 것은 기대할 수 없다.
상기한 어느 실시예에서도 악취나 여과베드 파리의 발생은 확인되지 않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기 폐수를 단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그리고 유기 폐수의 통과 방향과 역방향으로 송풍을 행함과 동시에 여과베드의 송풍량을 하층 보다 상층을 적게함으로써 미생물의 비례 증식을 억제하고, 증식과정에 있어서의 유도기의 미생물 활동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이용한 고도의 유기 폐수의 처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래서 이들 폐수 처리에서는 여과베드의 폐색에 의한 기능저하나 과잉 오니, 악취, 여과베드 파리의 발생도 없고, 경제적이며 실용성이 크다.

Claims (4)

  1. 강한 집괴를 형성하는 미생물의 유도기 보다 짧은 시간이면서도 미생물의 대사활동을 이용하기에는 충분한 시간을 주기(週期)로 하고, 유기 폐수의 유기물 농도와 성상에 따라 여과베드 면적당 또는 여과베드 용적당의 주가수량을 정해, 10mm 이하 입경의 여과재를 충전한 살수 여과베드식 수처리 장치에, 유기 폐수를 극히 단시간에 급격히 주가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미생물이나 오니 등의 처리 부산물의 생성을 현저히 감소시키며, 유기 폐수를 고도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폐수 처리방법.
  2. 10mm 이하 입경의 여과재를 충전한 여과베드 하부에 송풍에 의한 공기 공급수단을 설치한 살수 여과 베드식 수처리 장치의 여과베드내의 통기량을, 하층 보다 상층을 적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폐수처리 방법.
  3. 여과베드 하부에 송풍에 의한 공기 공급수단을 설치하여 10mm 이하 입경의 여과재를 충전한 살수 여과베드식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여과베드중의 중간층에서 외부로 연통하는 통기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폐수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여과베드를 상출이 나무소편, 하층이 활성탄 소립자로 구성하여 이층식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폐수 처리장치.
KR1019940008013A 1993-05-31 1994-04-16 유기 폐수 처리방법 및 그 방법에서 사용하는 유기 폐수 처리장치 KR9700064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29077 1993-05-31
JP12907793A JP2602164B2 (ja) 1993-05-31 1993-05-31 有機廃水処理方法及びその方法で使用する有機廃水処理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499B1 true KR970006499B1 (ko) 1997-04-28

Family

ID=15000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8013A KR970006499B1 (ko) 1993-05-31 1994-04-16 유기 폐수 처리방법 및 그 방법에서 사용하는 유기 폐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679252A (ko)
EP (1) EP0627387A1 (ko)
JP (1) JP2602164B2 (ko)
KR (1) KR970006499B1 (ko)
CN (1) CN1099011A (ko)
AU (1) AU671909B2 (ko)
CA (1) CA21245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3237B2 (en) 2010-10-26 2016-01-26 Hanmi Science Co., Ltd Method for mass production of factor VII/VII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09367A1 (de) * 1995-03-15 1996-09-19 Linde Ag Verfahren zur Fest-Flüssig-Trennung und/oder Emulsionsspaltung
US6123840A (en) * 1997-05-06 2000-09-26 Sanyo Electric. Co., Ltd. Organic waste water treating apparatus having treating layer and auxiliary layer
US6436288B1 (en) 1999-02-08 2002-08-20 Mississippi State University Bast medium biological reactor treatment system for remediation and odor suppression of organic waste streams
KR20000073723A (ko) * 1999-05-13 2000-12-05 이상권 오폐수처리장치
CA2323980A1 (en) 2000-10-19 2002-04-19 Rosaire Tremblay Device for filtering air polluted with gases and odours
US20030085174A1 (en) * 2001-04-19 2003-05-08 Zappi Mark E On-site biological treatment of contaminated fluids
JP2005288271A (ja) * 2004-03-31 2005-10-20 Asaoka Kogyo Kk 家畜糞尿等の高濃度有機性廃液の処理方法、及びその処理装置
NZ560613A (en) * 2005-01-17 2011-02-25 H2O World Wide Water Solutions Pty Ltd Water treatment with sand between aggregate layers, and distribution of water evenly at inlet
CN101090871A (zh) * 2005-10-28 2007-12-19 国际环保私人有限公司 废水处理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83166A (en) * 1937-06-23 1942-05-19 Walter E Buell Method of treating sewage material
JPS5327586B2 (ko) * 1972-08-23 1978-08-09
US4009099A (en) * 1974-07-12 1977-02-22 Ecolotrol, Inc. Apparatus and process for removing ammonia nitrogen from waste water
IT1036285B (it) * 1975-06-12 1979-10-30 Azienda Acquedotto Municipale Procedimento per la depurazione biologia delle acque di fogna
JPS52103839A (en) * 1976-02-25 1977-08-31 Tokai Kagaku Kk Method of purifying waste water
US4177144A (en) * 1978-07-19 1979-12-04 Ecolotrol, Inc. Excess-growth control system for fluidized-bed reactor
JPS56144793A (en) * 1980-04-11 1981-11-11 Miura Eng Internatl Kk Filtration of drainage containing organic suspensoid
FR2539407B1 (fr) * 1983-01-19 1986-02-21 Degremont Sa Procede et appareil pour le traitement d'eau par cultures aerobies fixees sur un support granulaire
DE3414999A1 (de) * 1984-04-19 1985-10-31 Linde Ag, 6200 Wiesbad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aeroben abbau von organischem substrat
DE3816679A1 (de) * 1988-05-17 1989-11-23 Int Biotech Lab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beseitigung von schadstoffen aus waessern
US4931183A (en) * 1988-06-24 1990-06-05 Klein Hans U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ter
WO1990001465A1 (en) * 1988-08-08 1990-02-22 Alko Ltd. A process for the microbiological purification of water and a microorganism for use in said process
JPH0321394A (ja) * 1989-06-17 1991-01-30 Ryohei Koike 汚水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H04250892A (ja) * 1990-11-17 1992-09-07 Dekonta Integure Kk 液状有機廃棄物処理用生物反応装置
JPH07121397B2 (ja) * 1990-11-17 1995-12-25 デコンタインテグレ株式会社 汚泥状、固形状有機廃棄物処理用生物反応装置
DE4137554C2 (de) * 1991-11-15 1993-10-21 Braun Medical Ag Emmenbruecke Verfahren zur Entsorgung von Abwass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3237B2 (en) 2010-10-26 2016-01-26 Hanmi Science Co., Ltd Method for mass production of factor VII/VI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679252A (en) 1997-10-21
JPH06335691A (ja) 1994-12-06
AU6333394A (en) 1994-12-15
CA2124548A1 (en) 1994-12-01
AU671909B2 (en) 1996-09-12
EP0627387A1 (en) 1994-12-07
CN1099011A (zh) 1995-02-22
JP2602164B2 (ja) 1997-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987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urification of agricultural animal waste
US4895645A (en) Anaerobic/aerobic filter plant
US6398959B1 (en) Aerobic treatment of liquids to remove nutrients and control odors
US5670046A (en) Treatment of nutrient-rich water
US70050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animal waste and wastewater
US619388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urification of agricultural animal waste
KR100992080B1 (ko) 무급수 무방류 순환 수세식 고도처리장치를 갖춘 친환경 화장실
WO1997041074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flowable waste
KR970006499B1 (ko) 유기 폐수 처리방법 및 그 방법에서 사용하는 유기 폐수 처리장치
KR101113083B1 (ko) 순환식 무 방류 분뇨처리장치
CN107500479A (zh) 一种农村生活污水处理方法
Torrens et al. Design and performance of an innovative hybrid constructed wetland for sustainable pig slurry treatment in small farms
Lester et al. Sewage and sewage sludge treatment
US200302094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ediation of waste
CN110540293A (zh) 适用于水量大幅波动的污水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KR100453806B1 (ko)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정화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113090B1 (ko) 순환식 무 방류 분뇨처리방법
KR100237041B1 (ko) 미생물 담체를 다공성 상자에 충전한 살수여상식 오폐수 처리장치
US7513997B2 (en) Recirculating wastewater evapotranspiration and disinfection system
KR100762376B1 (ko) 친환경 오수처리시스템
CN210030338U (zh) 基于人工湿地的黑臭水治理系统
CN209974421U (zh) 利于治理黑臭水体的人工湿地系统
KR20040026324A (ko) 오·폐수처리장치
CN211644985U (zh) 酿酒生产废水净化生态系统
AU639642B2 (en) Domestic waste water treatment and apparatu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