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374Y1 - 무선 호출 수신기의 벨트클립 구조 - Google Patents

무선 호출 수신기의 벨트클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374Y1
KR970006374Y1 KR2019940035114U KR19940035114U KR970006374Y1 KR 970006374 Y1 KR970006374 Y1 KR 970006374Y1 KR 2019940035114 U KR2019940035114 U KR 2019940035114U KR 19940035114 U KR19940035114 U KR 19940035114U KR 970006374 Y1 KR970006374 Y1 KR 9700063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over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support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51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5917U (ko
Inventor
안경을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351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374Y1/ko
Publication of KR9600259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59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3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3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45F5/021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to the bel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tructure Of Receivers (AREA)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무선 호출 수신기의 벨트클립 구조
제1도는 일반적인 무선 호출 수신기의 구조를 보인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적용되는 무선 호출 수신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A"부의 조립상태를 보인 결합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B"부의 조립상태를 보인 결합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로서,
(가)는 착용시의 상태를 보인 것이고,
(나)는 호출시의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수용부11 : 플레이트
12 : 지지부20 : 안내고정부
21 : 안내돌기22 : 고정부
30 : 탄성걸림부100 : 몸체부
110 : 액정디스플레이부200 : 벨트클립
210 : 결합부220 : 클리부
300 : 보호커버310 : 차폐판부
320 : 힌지연결부
본 고안은 무선 호출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대방의 호출에 따른 액정디스플레이부의 메시지를 회전조작에 의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무선 호출 수신기의 벨트클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호출 수신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내부에 각종 전장품이 장착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를 사용자의 허리부근 벨트에 착용하고 다닐 수 있도록 한 벨트클립(200)으로 구성되고, 다시 상기 몸체(100)는 상대방의 호출에 따른 전화번호 또는 각종 메시지를 사용자가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도록 몸체부(100)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액정디스플레이부(110)와 상기 액정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는 각종 메시지를 사용자 임의의 선택에 의해서 조작할 수 있도록 수개의 조작버튼이 구비되는 조작부(120)와 상기 조작부(120)의 버튼조작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액정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몸체부(100)의 배면에 형성되는 배터리 장착실(1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벨트클립(200)은 몸체부(100)가 슬라이드식으로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면적과 길이를 갖는 판상(211)의 양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연장부(212)를 내부로 오므라지게 형성하여 삽입된 몸체부(100)를 양측으로 감싸는 식으로 판상(211)에 고정시키는 결합부(210)와 상기 결합부(210)의 판상(211) 배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누름 및 누름해제에 의한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벨트에 물림고정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한 클립부(220)가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무선 호출 수신기는 상대방으로부터 호출신호가 울리게 되면, 사용자는 벨트클립(200)의 결합부(210)에 끼움 결합된 무선 호출 수신기의 몸체부(100)를 결합부(210)로부터 빼낸 다음 손으로 들고 조작부(120)의 조작버튼을 눌러 액정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 전화번호 또는 메시지를 확인하거나 허리를 굽혀 액정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 전화번호 또는 각종 메시지를 확인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무선 호출 수신기의 벨트클립 구조는 상대방의 메시지가 표시되는 액정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의 시야와 동일방향으로 벨트크립에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있어 상대방의 호출에 따른 메시지의 확인시에는 항상 몸체부를 벨트크립으로부터 빼내어 확인하거나 허리를 굽힌 상태에서 액정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메시지를 확인해야만 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과 불편성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몸체부가 상시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사용자가 착용하도록 되어 있어, 외부와의 접촉 또는 외부에서 가해진 충격에 의해서 액정디스플레이부가 긁힘 등의 손상을 입게되거나 파손될 소지가 다분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상대방의 호출에 의한 메시지 확인시 사용자가 일일이 몸체부를 벨트클립으로부터 빼내거나 허리를 굽히지 않고서도 메시지 확인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무선 호출 수신기의 벨트클립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무선 호출 수신기의 벨트클립 구조는 일반 착용시에는 액정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 노출됨이 없이 벨트 클립 내부로 은폐될 수 있도록 하고 상대방의 호출에 따른 메시지 확인시에는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의한 몸체부의 회전에 의해서 액정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의 시야를 향하게 노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적용되는 무선 호출 수신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 "A"부의 조립상태를 보인 결합단면도이고, 제5도는 본 고안 "B"부의 조립상태를 보인 결합단면도이고, 제6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호출 수신기는 통상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수신된 신호나 시간 등의 각종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액정디스플레이부(110)가 전면부 소정위치에 구비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를 사용자가 벨트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벨트클립(200)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무선 호출 수신기에서 상, 하 얇은 유리판사이에 액정이 주입된 구조로 되어 있는 액정디스플레이부는 착용시 외부에 직접 노출되어 외부와의 접촉이나 외부에서 가해진 충격에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원인은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목적으로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액정디스플레이부(110)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몸체부(100)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별도의 보호커버(300)가 구비된 무선 호출 수신기를 제안하여 선출원한 바 있다.
한편, 상기 보호커버(300)는 몸체부(100)의 전면부 상부측에 위치된 액정디스플레이부(110)의 외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0)의 측부 외주연에 끼워질 수 있도록 외곽 단부를 따라 일측으로 곡면절곡된 차폐판부(310)와 상기 차폐판부(310)의 양측으로부터 소정길이 하향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100)에 힌지결합되는 힌지연결부(32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무선 호출 수신기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보호커버(300)가 힌지결합된 몸체부(10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면적과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11)의 하단에서 소정길이 연장된 지지부(12)가 내향으로 오무라지게 형성하여 삽입된 몸체부(100)를 지지하는 지지수용부(10)와 상기 지지수용부(10)의 소정위치에 몸체부(100)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상기 보호커버(300)가 안내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안내고정부(20)와 상기 안내고정부(20)에 의해 보호커버(300)와 고정결합된 지지수용부(10)를 벨트에 착용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수용부(10)의 플레이트(11) 소정위치에 양측 및 하단이 절개되고 상단의 이중절곡에 의한 자체탄성력에 의해서 벨트에 물림고정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걸림부(30)로 구성된 것으로, 이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안내고정부(20)는 상기 보호커버(300)의 양측에 소정길이 형성된 가이드슬로트(311)에 삽입되어 걸림단턱(312)에서 걸림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수용부(10)의 플레이트(11) 상단 양측에 소정길이 돌출하고, 재차 상호 대향되게 내향절곡된 안내돌기(21)와 상기 안내돌기(21)에 의해 소정위치에 안내되어 삽입되는 지지수용부(10)를 보호커버(300)와 상호 고정결합시키기 위해서 상기 보호커버(300)의 내측단에 소정길이 이격되어 형성된 결합홈(313)에 삽입에 의한 자체 탄성력으로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수용부(10)의 플레이트(11) 소정위치에 일정간격 이격되며, 상호 양측 및 상부를 절개하여 이단절곡에 의해 형성되는 탄성후크(22)로 구성된다.
다음은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과정 및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액정디스플레이부(110)의 외부를 보호하기 위해서 무선 호출 수신기의 몸체부(100)에 힌지결합되는 상기 보호커버(300)의 외면 양측에 소정길이 형성된 가이드슬로트(311)에 지지수용부(10)의 상단 양측에 돌출 및 상호 대향되게 재차 내향절곡되어 형성된 안내돌기(21)를 삽입하여 진행시키게 되는데 이때 지지수용부(10)의 프레이트(11) 소정위치에 일정길이 이격된 상기 탄성후크(22)는 보호커버(300)의 가이드슬로트(311)에 의해 소정위치에 안내되어 결합홈(313)에 기움에 의한 탄성복원력에 의해 걸림고정되므로서 상기 보호커버(300)의 지지수용부(10)가 상호 결합고정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상기 탄성후크(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한 걸림고정으로 상기 보호커버(300)와 상호 결합고정된 지지수용부(10)는 가이드슬로트(311)의 일단에 구비된 걸림단턱(312)에 걸림고정으로 더욱 견고하게 보호커버(300)에 결합고정되므로서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상태로 사용자의 벨트에 탄성걸림부(30)를 걸어끼워 착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대방의 호출에 따른 액정디스플레이부(110)의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보호커버(300)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무선 호출 수신기의 몸체부(100)를 외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서 상대방의 호출에 따른 메시지를 액정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술한 바와같다.
즉, 사용자가 보호커버(300)와 힌지결합된 무선 호출 수신기의 몸체부(100)를 외측으로 잡어당기게 되면, 이의 잡아당김력에 의해서 보호커버(300)와 상기 몸체부(100)간의 잠금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호출 수신기의 몸체부(100)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의 회전으로 상기 보호커버(300) 내부로 은폐되었던 액정디스플레이부(110)가 구비된 무선 호출 수신기의 몸체부(100) 전면부가 사용자측 방향으로 노출되므로서 사용자는 상대방의 메시지를 액정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서 간편하면서도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호커버(300)는 상기 탄성걸림부(30)에 의해 사용자의 벨트에 걸어 끼워져 착용된 지지수용부(10)에 끼움 고정되어 있어 무선 호출 수신기의 몸체부(100)만이 회전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와 같이 상대방 호출에 따른 메시지 확인이 종료된 후에 상기 몸체부(100)를 시계반대방향으로 역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몸체부(100)는 다시 미도시된 잠금수단에 의해서 보호커버(300)와 결합되고, 이와함께 상기 몸체부(100)의 전면부에 위치되고 상대방의 메시지가 표시되는 액정디스플레이부(110)가 상기 보호커버(300) 내부로 은폐되므로서 외부와의 접촉 또는 충격에 의한 액정디스플레이부(110)의 손상 및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상대방의 호출에 따른 메시지 확인시 일일이 무선 호출 수신기의 몸체부를 벨트클립으로부터 빼내거나 허리를 굽혀 확인할 필요가 없이 간단한 회전조작에 의해서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서 사용의 간편성을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시지 확인 이외에는 상기 액정디스플레이부가 상시 외부로 노출됨이 없이 은폐되어 있어 외부와의 접촉 및 충격에 의한 액정 디스플레이부의 손상을 방지하므로서 기기의 안정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2)

  1. 사용자가 수신된 신호나 시간 등의 각종 메시지를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액정디스플레이부(110)가 전면부 소정위치에 구비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액정디스플레이부(110)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몸체부(100)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보호커버(300)로 구성된 무선 호출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300)가 힌지결합된 몸체부(10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면적과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11)의 하단에서 소정길이 연장된 지지부(12)가 내향으로 오무라지게 형성하여 삽입된 몸체부(100)를 지지하는 지지수용부(10)와 상기 지지수용부(10)의 소정위치에 몸체부(100)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상기 보호커버(300)가 안내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안내고정부(20)와 상기 안내고정부(20)에 의해 보호커버(300)와 고정결합된 지지수용부(10)를 벨트에 착용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수용부(10)의 플레이트(11) 소정위치에 양측 및 하단이 절개되고 상단의 이중절곡에 의한 자체탄성력에 의해서 벨트에 물림고정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 걸림부(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호출 수신기의 개폐버튼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고정부(20)는 상기 보호커버(300)의 양측에 소정길이 형성된 가이드슬로트(311)에 삽입되어 걸림단턱(312)에서 걸림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수용부(10)의 플레이트(11) 상단 양측에 소정길이 돌출하고, 재차 상호 대향되게 내향절곡된 안내돌기(21)와 상기 안내돌기(21)에 의해 소정위치에 안내되어 삽입되는 지지수용부(10)를 보호커버(300)와 상호 고정결합시키기 위해서 상기 보호커버(300)의 내측단에 소정길이 이격되어 형성된 결합홈(313)에 삽입에 의한 자체 탄성력으로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수용부(10)의 플레이트(11) 소정위치에 일정간격 이격되며, 상호 양측 및 상부를 절개하여 이단절곡에 의해 형성되는 탄성후크(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호출 수신기의 개폐버튼 구조.
KR2019940035114U 1994-12-22 1994-12-22 무선 호출 수신기의 벨트클립 구조 KR9700063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5114U KR970006374Y1 (ko) 1994-12-22 1994-12-22 무선 호출 수신기의 벨트클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5114U KR970006374Y1 (ko) 1994-12-22 1994-12-22 무선 호출 수신기의 벨트클립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917U KR960025917U (ko) 1996-07-22
KR970006374Y1 true KR970006374Y1 (ko) 1997-06-24

Family

ID=19402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5114U KR970006374Y1 (ko) 1994-12-22 1994-12-22 무선 호출 수신기의 벨트클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37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917U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9879B1 (en) Protective cover for cellular telephone or the like
CA1313514C (en) Housing and holder assembly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US6081595A (en) Mobile radio terminal adapted to receive a protective cover
GB2199886A (en) Removable clip for portable equipment
WO1997036515A1 (en) Attachment system for a portable device
KR100189589B1 (ko) 보호 덮개를 갖는 무선 호출기
EP0751628B1 (en) Fitting piece in a mobile station for its attachment device
EP1739767B1 (en) Battery cover fixing means for portable terminal
KR970006374Y1 (ko) 무선 호출 수신기의 벨트클립 구조
KR970002685Y1 (ko) 무선 호출 수신기의 벨트클립 구조
WO1990008431A1 (en) Multi-attachment portable radio
US5346784A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integral battery door/belt clip element
KR19990046393A (ko) 손목에착용이가능한휴대용통신단말기
US6913174B1 (en) Detachable carry clip with swivel for electronic devices
KR970006375Y1 (ko) 무선 호출 수신기의 보호커버 힌지구조
JP3895027B2 (ja) 付加機器
JPH08274851A (ja) 携帯電話装置
KR20000009725U (ko) 이동전화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
KR200147343Y1 (ko) 무선호출수신기의 본체 개폐장치
JPH0646108Y2 (ja) 電子機器の携帯用ケース
JP2004214969A (ja) 携帯電子機器
KR200419350Y1 (ko) 폴더 및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이루는 휴대폰의 단말기보호케이스
KR100364049B1 (ko) 밴드용 버클
JP4147801B2 (ja) 着脱機構及び電子機器
KR200177012Y1 (ko) 핸드폰의 벨트 클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