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773Y1 - 조립식 논두렁 - Google Patents

조립식 논두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773Y1
KR970005773Y1 KR2019930021074U KR930021074U KR970005773Y1 KR 970005773 Y1 KR970005773 Y1 KR 970005773Y1 KR 2019930021074 U KR2019930021074 U KR 2019930021074U KR 930021074 U KR930021074 U KR 930021074U KR 970005773 Y1 KR970005773 Y1 KR 9700057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dy field
wall
prefabricated
rice
pad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10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1727U (ko
Inventor
최충열
Original Assignee
최충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충열 filed Critical 최충열
Priority to KR20199300210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773Y1/ko
Publication of KR9500117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7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7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7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요약없슴

Description

조립식 논두렁
제1도는 본 고안 조립식 논두렁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조립식 논두렁의 설치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 조립식 논두렁의 설치상태의 단면도(제2도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논두렁2 : 상면
3 : 하측면4 : 벽면
5 : 보강벽체7 : 미끄럼 방지돌기
8 : 결합홈11 : 결합돌기
12 : 통공13 : 물넘이구멍
16 : 돌출부17 : 절삭면
15 : 차수판14 : 차수판 삽입공
10 : 융출부
본 고안은 합성수지 또는 폐비닐 등으로 제작되는 조립식 논두렁에 관한 것으로서, 본출원인의 선출원 고안인 92년 실용신안출원 제12584호(공번 : 95-001659, 등록번호 : 087897호)를 더욱 개량 발전시킨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논두렁은 논바닥 흙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상면은 좁고 밑면은 넓은 삼각형 형태로 구성될 수 밖에 없어 논두렁이 차지하는 면적이 매우 많아 농토의 실제 이용율이 줄어들며, 장마철이면 쉽게 무너지고, 논두렁의 풀을 수확기까지는 2-3번 풀을 베어내어야 함은 물론 겨울을 지내고 봄에 농사철이 시작되면 논두렁을 보수하여야 하는등 많은 인력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선행기술로는 선출원공고번호 77-40호와 92-8318호 등이 있다.
선출원공고번호 77-40호는 그 구성이 레일형으로된 블록체(1)의 지벽(2) 상부를 평판상의 도로판(3)으로 형성하고 지벽(2) 하부는 받침판(4)으로 형성한 것에 있어서, 블록체(1) 선단에 연결삽착부(5)를 돌출하고 후단에는 삽착홈(6)을 요설하며, 지벽(2)의 양단 내 외측에는 보강부(7)(7')로 형성하여된 구조이며, 또 다른 선출원공고번호 92-8313호는 그 구성이, 상하부 평면대(1)(2)를 일체로 형성하는 기대(3)로 이루어진 몸체(10)의 양측면에 반원형의 요홈(4)과 반원형의 돌기(5)가 형성되고 상기 기대(3)의 양측벽상에는 상하부 평면대(1)(2)를 지지하는 다수의 보강대(6)가 등간격으로 상기 몸체(1)와 일체 형성되어져 그 사이에 대공(7)과 소공(8)이 기대(3)상에 상하부에서 동수로 천설된 구조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들에서는 흙으로 구성되는 논두렁을 콘크리트나, 합성수지등으로 조립식으로 구성하므로서, 논두렁이 차지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고, 논두렁풀이 자라지 않으므로 풀을 벨 필요가 없으며, 장마철에는 논두렁이 무너지는 폐단등이 해결되는등 이론상으로는 많은 특징으로 가지고 있으나, 실제 논두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몇가지의 중요한 기술문제들이 해결되지 못하고 있어, 실제는 논두렁으로 사용되지를 못하고 있다.
즉, 그 이유는 상기 선행기술의 조립식 논두렁들은 그 사용처가 일반 농촌에서 사용하기 보다는 대부분이 우리나라 남쪽의 평야지대와 서해안의 간척사업으로 생겨난 넓은 논에서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인데, 이와 같은 평야지대의 논이나 간척지등에서는 이미 모든 영농작업이 기계화로 바뀌고 있다.
따라서 논에 볍씨를 뿌릴때도 비행기로 뿌리고 그이외의 모든 작업이 트랙터, 콤바인 등의 대형 농기계로서 이루어지며 특히 농업용수의 공급이나 배수가 빠른 시간동안에 정확히 이루어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선출원공고번호 제77-40호, 및 제92-8318호의 경우, 첫째, 전체적인 형태가 레일형상으로서 상면과 하측바닥의 평면상태이므로, 비행기로 볍씨를 뿌릴 때 조립식 논두렁 상면에 떨어진 볍씨가 논바닥으로 굴러떨어지지를 못하고 논두렁 상면에 그대로 위치하기 때문에 볍씨의 낭비가 매우 많다.
둘째; 트랙터 또는 콤바인 등의 대형 농기계가 논두렁 가까이 지나가면 논두렁이 쉽게 밀려나서, 조립식 논두렁의 이음부가 파손되어 누수현상이 발생하므로 논두렁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며 또한 밀려난 논두렁을 보수하기 위해서는 포크레인 등의 중장비가 동원돼야 하는등 기계화 영농에 많은 문제가 있다.
셋째; 논두렁과 논두렁을 연결하는 부위가 단순히 돌기와 홈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연결부위로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92-8318호의 경우는 기대(3)에 대공(7)과 소공(8)이 무수히 천공되어 있어서 이곳으로 누수가 되므로 완전환 기계화 영농을 하는 논의 두렁으로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넷째; 선행기술에서는 온도에 따라 논두렁이 수축 팽창을 하는점을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추수가 끝난 겨울철에 논두렁을 시공하면 여름철에는 논두렁이 팽창이 되어 길어지므로 이음부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종래 선행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용신안출원 제92-12584호(공번 : 95-001659, 등록번호 : 087897호)를 개발한바 있는데, 이것의 기술구성은 전체적인 상면(2)과 하측면(3) 그리고 벽면(4)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면(2)과 하측면(3) 사이에는 보강벽체(5)가 형성되었으며, 길이방향 양단에는 결합홈(8)과 안내홈(9) 그리고 결합돌기(11)와 안내돌기(16)가 형성된 공지의 조립식 논두렁(1)에 있어서, 상면(2)과 하측면(3)을 원호면으로 둥글게 형성하고, 하측면(3) 중앙 길이방향으로는 고정돌기(7)를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 고정돌기(11)를 결합홈(8) 보다 조금 작게하여 결합돌기(11)를 결합홈(8)에 결합하였을 때 일정길이(ℓ) 만큼 공간에 생기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논두렁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선등록고안에 몇가지의 기능을 추가하여 보다 실용성을 증진시킴에 그 목적이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본 고안에서는 벽면의 중앙부분 상측에 물넘이 구멍을 천공하고 차수판을 설치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별도의 물넘이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하였고, 벽면의 하측에는 다수개의 커다란 결합공을 천공하여 논두렁 양측의 흙이 서로 결속될 수 있게하여 논두렁이 더욱 견고히 매설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조립식 논두렁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조립식 논두렁은 제1도의 도시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직사각형태로서 상면(2)과 벽면(4) 그리고 하측면(3)이 "I"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길이방향의 일측에는 융출부(10)가 마련되어 그 중앙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원형의 결합홈(8)과 안내홈(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타측 끝단에는 상면에서 보아 "T" 자형의 결합돌기(11)가 일체로 형성되었는데 이의 상하길이는 안내홈(9)과 결합홈(8)의 상하 길이와 동일하거나 짧다.
상면(2)과 하측면(3) 사이에는 벽면(4)과 일체로 보강벽체(5)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보강벽체와 보강벽체 사이의 하측면(3)에는 각각 절삭면(17)이 형성되어 있고 보강벽체의 하측 끝단과 하측면(3)이 접하는 부분은 뾰족한 돌출부(1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면(2)은 모두 완만한 원호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면(2)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세한 미끄럼 방지돌기(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벽면의 중앙 상단에는 물넘이 구멍(13)이 마련되어 있고 그 직상방의 상면(2)에는 차수판(15)이 삽입되어 물넘이 구멍(13)을 개폐할 수 있게 차수판 삽입공(14)이 형성되어 있고, 벽면(4)의 하측 길이 방향에는 보강벽체(5) 사이마다 흙의 결속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통공(12)이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논두렁(1)의 양측면인 융출부(10)와 결합돌기(11)의 하측 부분에는 절삭면(6)이 형성되어 있고, 벽면(4)의 중앙부분에는 길이 방향으로 표시눈금(17)이 마련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1)은 벼포기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의 조립식 논두렁(1)은 제2도의 도시와 같이 결합홈(8)과 안내홈(9)에 결합돌기(11)를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밀어 끼워 결합시키는 것인데 농로와 농수로, 또는 농로와 농로사이를 일자로 가로지르는 경우의 논두렁은 제2도 처럼 조립식 논두렁(1)만을 계속하여 조립하여 설치하는 것이고 논두렁의 형태가 "+" 형으로 구성되는 곳에서는 논두렁이 마주치는 곳에 연결구(도시생략)를 결합시켜 사용하면 된다. 이때 결합홈(8)에 결합돌기(11)가 결합되면 제2도와 같이 공간이 생기게 된다. 이는 온도차이에 의한 신축성에 대비하고 공간에 흙이나 패킹을 끼워 방수효과를 얻기 위함이다.
한편 본 고안 논두렁의 설치상태의 단면도는 제3도와 같다.
즉, 본 고안의 조립식 논두렁(1)은 제3도와 같이 하측면(3)을 논바닥 하측의 지면(20)을 파고 묻는 것인데, 계단식 논일 경우에는 상측논과 하측논이 지면을 표시눈금(17)에 각각 맞추어 매립을 하면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립식 논두렁(1)에서 물넘이 구멍(13)은 계단식 논 일경우 상측논의 물을 하측으로 내려 보낼때 사용이 되는데 치수판 삽입공(14)을 통하여 차수판(15)을 삽입하면 차수판이 물넘이 구멍(13)을 막아 물을 가두어둘 수 있고 반대로 차수판(15)을 조금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물넘이 구멍(13)이 개방되어 물을 하측논으로 흘려보낼 수 있다. 그리고 벽면(4) 하측의 통공(12)을 통해서는 상측논과 하측논의 흙이 서로 합쳐져 논두렁 자체를 더욱 견고히 고정시켜준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조립식 논두렁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 트랙터등의 중기를 논두렁 가까이 까지 근접시켜 논을 갈거나 써려도 논두렁이 밀려나거나 훼손되지 않는다.
둘째 : 상면이 둥그런 형태이므로 씨앗이나, 비료 농약등을 살포할때 논두렁에 쌓이지 않고 논으로 굴러떨어지기 때문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셋째 : 물넘이 기능을 갖추고 있어 별도로 물넘이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넷째 : 상측효과 하측논의 흙인 서로합쳐서 논두렁 자체를 더욱 견고히 고정시켜 준다.

Claims (1)

  1. 완만한 원호면으로된 상면(2)과 하측면(3) 그리고 벽면(4)이 일체로 형성되어 I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상면(2)과 하측면(3) 사이에는 벽면과 일체로 보강벽체(5)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었고, 길이방향 일측에는 결합홈(8)과 안내홈(9)이 그리고, 길이방향 타측단에는 결합돌기(11)가 형성된 조립식 논두렁(1)에 있어서,
    벽면(4)의 하측면에는 다수개의 통공(12)이 천공되고, 벽면(4)의 중앙부분 상측에는 물넘이 구멍(13)이 천공되고 이의 직사방 상면(2)에는 상하로 관통되게 차수판 삽입공(14)을 뚫어 형성하고 이에 차수판(15)을 끼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논두렁
KR2019930021074U 1993-10-14 1993-10-14 조립식 논두렁 KR9700057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1074U KR970005773Y1 (ko) 1993-10-14 1993-10-14 조립식 논두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1074U KR970005773Y1 (ko) 1993-10-14 1993-10-14 조립식 논두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727U KR950011727U (ko) 1995-05-16
KR970005773Y1 true KR970005773Y1 (ko) 1997-06-13

Family

ID=19365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1074U KR970005773Y1 (ko) 1993-10-14 1993-10-14 조립식 논두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57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441B1 (ko) * 2012-12-07 2014-06-11 주식회사 에스에치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441B1 (ko) * 2012-12-07 2014-06-11 주식회사 에스에치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727U (ko) 1995-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40346A (en) Landscaping bed divider
KR970005773Y1 (ko) 조립식 논두렁
US4809460A (en) Bank planter
CN210580198U (zh) 一种坡地集水保土结构
US4890417A (en) Bank planter
KR950001659Y1 (ko) 조립식 논두렁
KR200349427Y1 (ko) 수로구축용 콘크리트구조물
KR200394946Y1 (ko) 환경식생 옹벽블록
KR100317472B1 (ko) 사면 보호용 조경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200246789Y1 (ko) 친환경 수로겸용 옹벽
KR20050018919A (ko) F·p 환경블록
KR200330338Y1 (ko) 식생 호안블록
CN220768129U (zh) 一种可组装形成排水沟渠的边坡保护块
CN215223341U (zh) 一种用于混凝土挡土墙生态改造的挂壁式花槽
KR100416952B1 (ko) 다기능 법면 보호구조체
KR900008714Y1 (ko) 배수 파이프
KR200163427Y1 (ko) 천연잔디산마루측구용블럭
KR200247956Y1 (ko) 지지홀을 가지는 호안블록의 구조
JPH0352824Y2 (ko)
KR100402203B1 (ko) 옹벽블록
KR100870825B1 (ko) 방패연 키형 식생 블럭
KR200290728Y1 (ko) 떼붙임 시공사각틀
KR100424941B1 (ko) 호안블록의 시공방법
KR790001816Y1 (ko) 합성수지제 비탈면 보호블럭
KR200222403Y1 (ko) 식생환경블록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