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609Y1 - 버스의 전동식 선쉐이드 - Google Patents

버스의 전동식 선쉐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609Y1
KR970005609Y1 KR2019940021530U KR19940021530U KR970005609Y1 KR 970005609 Y1 KR970005609 Y1 KR 970005609Y1 KR 2019940021530 U KR2019940021530 U KR 2019940021530U KR 19940021530 U KR19940021530 U KR 19940021530U KR 970005609 Y1 KR970005609 Y1 KR 9700056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hade
driver
bus
driven shaft
sh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15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429U (ko
Inventor
정호권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215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609Y1/ko
Publication of KR9600074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4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6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6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6Control means for actuating the roller blind, e.g. using electronic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9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38Storage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75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fixed windows
    • B60J1/2077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fixed windows for wind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0/00Flexible or portable closure, partition, or panel
    • Y10S160/03Auto visors and glare shie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0/00Flexible or portable closure, partition, or panel
    • Y10S160/10Roll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요약 없슴.

Description

버스의 전동식 선쉐이드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일부절개 사시도
제2도A, B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정면도
제3도A, B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측면도
제4도는 종래의 버스용 선쉐이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1' : 선쉐이드 인출부
2 : 지지대3 : 모터
4 : 구동축5 : 구동기어
6 : 피동축7 : 피동기어
8 : 선쉐이드9 : 안내대
10 : 유지대11 : 통공
12 : 리미트 스위치
본 고안은 버스용 전동식 선쉐이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버스의 운전석 전방유리에는 운전자가 운행중 태양빛으로부터 시선방해를 받지 않도록 선쉐이드가 설치되어 전방유리로 태양빛이 비춰질때 선쉐이드를 내려 태양빛으로부터 운전자의 시야를 보호하여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선쉐이드(A)를 운전자가 선쉐이드(A)를 상부로 당겨주는 당김줄(B)을 당겨 선쉐이드(A)를 걷거나 당김줄(B)을 풀러 선쉐이드(A)를 내리거나 해야 하므로 운전중에 운전자가 일어나거나 운전자세가 흐트러져 돌발사태가 발생시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선쉐이드를 피동축에 권취되도록 하고 피동축의 피동기어를 모터에 의해 회동되는 구동축의 구동기어에 이맞물림시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의 구동기어에 이맞물림된 피동기어의 피동축이 회전됨에 따라 선쉐이드가 피동축에 감기거나 풀려 운전자가 수동으로 선쉐이드를 감거나 풀러주지 않아도 되므로 선쉐이드를 운전자가 직접 감거나 풀러주기 위해 운전자세가 흐트러져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케이스(1)의 지지대(2)에 축착되느 모터(3)의 구동축(4)에 축설된 구동기어(5)를 선쉐이드(8)가 권취되는 피동축(6)의 피동기어(7)에 이맞물림시키고 케이스(1)의 선쉐이드 인출부(1') 일측에는 리미트 스위치(12)를 설치하고 양측에는 안내대(9)를 설치하여 선쉐이드 끝단에 고착된 유지대(10)의 양끝단 통공(11)에 끼워지게 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운전자가 선쉐이드(8)를 내리고자 할 때에는 모터(3)를 작동시키면 모터(3)의 구동축(4)이 회전되고 구동축(4)의 구동기어(5)가 회전되면서 구동기어(5)와 이맞물림된 피동기어(7)가 회전되어 피동축(6)이 회전된다.
이렇게 피동축(6)이 회전됨에 따라 피동축(6)에 감겨져 있던 선쉐이드(8)가 풀러지게 되고 선쉐이드(8)가 풀러짐에 따라 선쉐이드(8) 하단에 고착된 유지대(10)의 자중에 의해 유지대(10) 양끝단의 통공(11)에 관통된 안내대(9)의 안내를 받아 선쉐이드(8)가 내려져 전방유리에 비춰지는 태양빛을 가려주게 된다.
이렇게 선쉐이드(8)를 내려 태양빛을 가려주다가 태양빛이 비추지 않아 선쉐이드(8)를 걷을 때에는 운전자가 스위치(도시되지 않음) 작동에 의해 모터(3)를 역회전 작동시키게 되면 모터(3)의 역회전에 의해 구동축(4)과 구동기어(5)가 역회전되고 구동기어(5)와 이맞물림된 피동기어(7)가 역회전되면서 피동축(6)이 역회전되어 선쉐이드(8)를 감아주게 된다.
이렇게 모터(3)의 역회전에 의해 피동축(6)에 선쉐이드(8)가 감겨질 때에도 선쉐이드(8) 하단에 고착된 유지대(10)의 양끝단 통공(11)에 안내대(9)가 관통되어 있어 유지대(10)가 안내대(9)의 안내를 받아 정렬되어 상승되므로 선쉐이드(8)가 구겨짐이 없이 피동축(6)에 감겨지게 된다.
이렇게 피동축(6)에 선쉐이드(8)가 다 감겨져 선쉐이드(8) 끝단에 고착된 유지대(10)가 케이스(1) 저면 선쉐이드 인출부(1') 하부에 도달되면 선쉐이드 인출부(1') 일측에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12)를 유지대(10)가 압압하여 눌러주게 되므로 모터(3)의 작동이 멈춰지게 되어 선쉐이드(8)의 권취가 끝나게 되어 선쉐이드(8)를 걷는 작동이 끝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전방유리로 태양빛이 비출 때 운전자세를 흐트리지 않고 운전자가 선쉐이드(8)를 운전석에서 일어나서 걷거나 내리지 않고 스위치 작동에 의해 선쉐이드(8)를 걷거나 내리게 하므로서 운전자가 운행도중 선쉐이드(8)를 걷거나 내리기 위해 운전자세를 흐트러지므로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케이스(1)의 지지대(2)에 축착되는 모터(3)의 구동축(4)에 축설된 구동기어(5)를 선쉐이드(8)가 권취되는 피동축(6)의 피동기어(7)에 이맞물림시키고 케이스(1)의 선쉐이드 인출부(1') 일측에는 리미트 스위치(12)를 설치하고 양측에는 안내대(9)를 설치하여 선쉐이드(8) 끝단에 고착된 유지대(10)의 양끝단 통공(11)에 끼워지게 하여서 된 버스용 전동식 선쉐이드
KR2019940021530U 1994-08-25 1994-08-25 버스의 전동식 선쉐이드 KR9700056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530U KR970005609Y1 (ko) 1994-08-25 1994-08-25 버스의 전동식 선쉐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530U KR970005609Y1 (ko) 1994-08-25 1994-08-25 버스의 전동식 선쉐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429U KR960007429U (ko) 1996-03-13
KR970005609Y1 true KR970005609Y1 (ko) 1997-06-09

Family

ID=19391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1530U KR970005609Y1 (ko) 1994-08-25 1994-08-25 버스의 전동식 선쉐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560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272B1 (ko) * 2009-06-18 2011-09-14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 윈드쉴드용 선블라인드 장치
AU2022224874B1 (en) * 2022-09-04 2023-11-09 Auz Delivery Motorized Smart Vehicle Sunshad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272B1 (ko) * 2009-06-18 2011-09-14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 윈드쉴드용 선블라인드 장치
AU2022224874B1 (en) * 2022-09-04 2023-11-09 Auz Delivery Motorized Smart Vehicle Sunsha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429U (ko) 1996-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7018A (en) Free standing sunshade assembly
US5605370A (en) Window shade and vehicle window combination
US5443300A (en) Powered glare screen device
GB2205343A (en) Window shade
KR20090060965A (ko) 덮개 부재, 도어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 및 구동 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US6131987A (en) Glare shielding assembly for use with an automobile
KR970005609Y1 (ko) 버스의 전동식 선쉐이드
JPS6141620A (ja) 自動車用電動式サンバイザ−
US20060033354A1 (en) Combination shade and handle device
JPH0427686Y2 (ko)
KR100433800B1 (ko) 자동차용 전면 윈도우의 햇빛 차단 장치
JP3451143B2 (ja) 巻取式シェード装置
KR200282687Y1 (ko) 차량용 커튼
KR0140700Y1 (ko) 윈드실드로의 햇빛 차단장치
KR100844420B1 (ko) 중대형차량의 전동식 선바이저 장치
KR900009162Y1 (ko) 자동차용 커텐
KR0169637B1 (ko) 자동차의 차광장치
KR20040098367A (ko) 차량의 자동 차양막 장치
KR200146799Y1 (ko) 자동차 원도우의 차양장치
KR100426874B1 (ko) 필라내장형 선바이저
KR200146800Y1 (ko) 자동차 윈도우의 차양장치
JPH0728984Y2 (ja) 電動式リヤカーテン装置
KR970005610Y1 (ko) 버스용 전동식 선 쉐이드
JPH04100913U (ja) 電動式リヤカ−テン装置
KR970034980A (ko) 차량의 선 블라인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