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606B1 - 가중치를 이용한 오디오주파수 이퀄라이져 - Google Patents

가중치를 이용한 오디오주파수 이퀄라이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606B1
KR970005606B1 KR1019950001298A KR19950001298A KR970005606B1 KR 970005606 B1 KR970005606 B1 KR 970005606B1 KR 1019950001298 A KR1019950001298 A KR 1019950001298A KR 19950001298 A KR19950001298 A KR 19950001298A KR 970005606 B1 KR970005606 B1 KR 970005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ubband
frequency band
weight
con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1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0740A (ko
Inventor
이상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50001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606B1/ko
Publication of KR960030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0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6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03G5/005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of digital signals

Landscapes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중치를 이용한 오디오주파수 이퀄라이져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신호 이퀄라이저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가중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롬테이블.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서브밴드부 20 : 저장부
30 : 곱셈부 40 : 롬테이블
50 : 어드레스발생부 60 : 콘솔
70 : 서브밴드합성부
본 발명은 별도의 필터뱅크(Filter Bank)를 사용하지 않고 각 분할대역의 주파수성분에 가중치를 곱한 다음 합성함으로써 이퀄라이징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오디오주파수 이퀄라이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디오신호를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하기 위해 서브밴드코딩(sub-band-coding)이나 변환코딩(transform coding)을 사용하여 압축하거나 신장시키는 기법을 사용한다. 서브밴드코딩 기법은 오디오신호대역의 저주파부터 고주파까지 소정 주파수대역으로 분할하여 부호화하는 것으로, 분할된 주파수 대역별로 오디오신호의 특성을 추출하여 수신측으로 전송하면, 수신측에서는 각 서브밴드별로 주파수대역신호를 디코딩하여 원래의 오디오신호를 재생하였다.
종래에는 재생된 오디오신호의 출력단에 다수개의 대역통과필터를 구비한 필터뱅크(Filter Bank)를 접속하여 주파수특성을 보상하였다. 즉, 필터계수를 조정함으로써 오디오신호의 특성을 보상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필터뱅크를 접속시키지 않고 각 서브밴드에서 출력하는 주파수대역신호에 기설정된 가중치를 곱하여 주파수특성을 바꿀수 있도록 한 가중치를 이용한 오디오주파수 이퀄라이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서브밴드에서 출력하는 주파수대역신호와 롬테블에 기설정된 해당 가중치를 곱하여 주파수특성을 보상하는 오디오신호의 이퀄라이저에 있어서, 소정 주파수대역신호를 출력하는 서브밴드부,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며 가중치에 상응하는 지정신호를 어드레스발생부로 출력하는 콘솔, 상기 콘솔의 지정신호에 따라 해당 어드레스를 출력하는 어드레스발생부, 상기 어드레스발생부가 출력하는 어드레스를 입력받아 해당 가중치를 출력하는 롬테이블, 상기 롬테이블의 가중치와 상기 서브밴드의 주파수대역신호를 곱하는 곱셈부, 상기 곱셈부가 출력하는 주파수대역신호를 합성하는 서브밴드 합성부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신호 이퀄라이저의 구성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오디오신호 이퀄라이저는 32개의 서브밴드로 이루어진 서브밴드부(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서브밴드부(10)의 출력단에 곱셈부(30)가 접속된다. 곱셈부(30)는 서브밴드로부터 주파수대역신호가 인가되면 그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저장부(20)로부터 입력받아 주파수대역신호와 곱한 후 서브밴드합성부(70)로 출력한다. 상기 가중치는 콘솔(60)에서 출력하는 지정 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콘솔(60)의 출력단에 연결된 어드레스발생부(50)가 콘솔(60)의 지정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어드레스를 롬테이블(40)로 출력한다. 롬테이블(40)은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찾아내어 저장부(20)의 각 레지스터로 출력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가중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롬테이블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번 인덱스에서 62번 인덱스까지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상기 가중치는 후술할 서브밴드합성부(70)가 각 서브밴드의 출력신호를 합성시 오버플로우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0과 1사이의 값을 갖도록 설정한다. 다시, 제1도에서 콘솔(6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특정 서브밴드의 주파수대역신호에 곱해지는 가중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일예로, 제1서브밴드가 저주파대역의 오디오신호이고, 제32서브밴드로 갈수록 고주파대역의 오디오신호라고 가정할 경우 만약, 사용자가 저주파대역을 의도적으로 강제보상시키고자 콘솔(60)을 조작하면 그에 상응하는 소정 제어신호가 어드레스발생부(50)에 각각 인가된다. 이에 따라 어드레스발생부(50)는 해당 어드레스들을 롬테이블(40)으로 출력한다. 롬테이블(40)은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저장부(20)의 각 레지스터로 출력하는데, 결과적으로 제1레지스터에는 높은 가중치가 인가되는 반면 제2레지스터, 제3레지스터, …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가중치가 인가된다. 상기 레지스터는 인가된 가중치를 저장하고 있다고 각 레지스터의 출력단에 접속된 곱셈기로 가중치를 출력한다. 각 곱셈기는 서브밴드가 출력하는 주파수대역신호와 가중치를 곱하게 되면 가중치의 값에 따라 감쇠보상된 후 서브밴드합성부(70)에 인가된다. 이와 같이 가중치를 1보다 작게 설정하는 것은 각 곱셈기의 출력신호를 합하여 원래의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서브밴드합성부(70)에서 오버플로우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콘솔의 조작범위를 32개의 대역에 한정하였으나 확장 및 감축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외부에 별도의 필터뱅크를 사용하지 않고 각 서브밴드에서 출력하는 주파수대역신호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곱함으로써 오디오신호의 주파수특성을 보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다수개의 서브밴드에서 출력하는 주파수대역신호와 롬테이블에 기설정된 소정 가중치를 곱하여 주파수특성을 보상하는 오디오신호의 이퀄라이저에 있어서, 소정 주파수대역신호를 출력하는 다수개의 서브밴드로 이루어진 서브밴드부,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며 가중치에 상응하는 지정신호를 어드레스발생부로 출력하는 콘솔, 상기 콘솔의 지정신호에 따라 해당 어드레스를 롬테이블로 출력하는 어드레스발생부, 상기 어드레스발생부의 어드레스를 인가받아 그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롬테이블상에서 찾은 다음 저장부의 각 레지스터로 출력하는 롬테이블, 상기 저장부에서 출력하는 가중치와 상기 서브밴드부의 주파수대역신호를 곱하는 곱셈부 및 상기 곱셈부에서 보상된 소정 주파수대역신호를 합성하는 서브밴드합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중치를 이용한 오디오주파수 이퀄라이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서브밴드합성부에서 오버플로우가 발생되지 않도록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범위내에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중치를 이용한 오디오주파수 이퀄라이저.
KR1019950001298A 1995-01-25 1995-01-25 가중치를 이용한 오디오주파수 이퀄라이져 KR970005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1298A KR970005606B1 (ko) 1995-01-25 1995-01-25 가중치를 이용한 오디오주파수 이퀄라이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1298A KR970005606B1 (ko) 1995-01-25 1995-01-25 가중치를 이용한 오디오주파수 이퀄라이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740A KR960030740A (ko) 1996-08-17
KR970005606B1 true KR970005606B1 (ko) 1997-04-18

Family

ID=19407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1298A KR970005606B1 (ko) 1995-01-25 1995-01-25 가중치를 이용한 오디오주파수 이퀄라이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560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740A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3855B1 (ko) 고능률디지털데이터부호화및복호화장치
US5264846A (en) Coding apparatus for digital signal
US4216354A (en) Process for compressing data relative to voice signals and device applying said process
US531156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ng a digital input signal with block floating applied to blocks corresponding to fractions of a critical band or to multiple critical bands
US5260980A (en) Digital signal encoder
US5157760A (en) Digital signal encoding with quantizing based on masking from multiple frequency bands
US5151941A (en) Digital signal encoding apparatus
US51152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voice signal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US5867819A (en) Audio decoder
US6240388B1 (en) Audio data decoding device and audio data coding/decoding system
US4354273A (en) ADPCM System for speech or like signals
JPH04304029A (ja) ディジタル音声信号符号化方法
JPS6014539B2 (ja) 雑音軽減符号化フイルタ装置
EP07563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ding a digital, acoustic signal
EP0772925B1 (en) Non-linearly quantizing an information signal
JP3572090B2 (ja) ディジタル伝達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機,受信機及び記録担体
KR970005606B1 (ko) 가중치를 이용한 오디오주파수 이퀄라이져
KR19990045053A (ko) 음성 대역 분할 디코더
US7343292B2 (en) Audio encoder utilizing bandwidth-limiting processing based on code amount characteristics
JP3211832B2 (ja) ディジタルオーディオ信号のプリエコーを低減するためのフィルタリング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263484B2 (ja) 音声帯域分割復号化装置
JP2001343998A (ja) ディジタルオーディオデコーダ
JP3089692B2 (ja) ディジタルデータの高能率符号化方法
JP3010663B2 (ja) ノイズシェーピング回路
EP1176743B1 (en) Methods for non-linearly quantizing and dequantizing an information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