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844Y1 - 주사기 - Google Patents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844Y1
KR970004844Y1 KR2019940005686U KR19940005686U KR970004844Y1 KR 970004844 Y1 KR970004844 Y1 KR 970004844Y1 KR 2019940005686 U KR2019940005686 U KR 2019940005686U KR 19940005686 U KR19940005686 U KR 19940005686U KR 970004844 Y1 KR970004844 Y1 KR 9700048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yringe
piston rod
cover
an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56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6744U (ko
Inventor
김동준
Original Assignee
김동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준 filed Critical 김동준
Priority to KR20199400056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844Y1/ko
Publication of KR9500267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67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8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8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57Semi-automatic sleeve extens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sleeve extension requires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e.g. manual release of spring-biased exten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16Caps placed transversally onto the needle, e.g. pivotally attached to the needle base
    • A61M5/3219Semi-automatic repositioning of the cap, i.e. in which the repositioning of the cap to the needle covering position requires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to trigger the repositioning of the cap, e.g. manual release of spring-biased cap repositio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13Caps placed axially onto the needle, e.g. equipped with finger protection guards
    • A61M2005/3215Tools enabling the cap plac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57Semi-automatic sleeve extens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sleeve extension requires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e.g. manual release of spring-biased extension means
    • A61M2005/3258Semi-automatic sleeve extens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sleeve extension requires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e.g. manual release of spring-biased extension means being compressible or compressed along the need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주사기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주사기의 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의한 덮개의 종단면도.
제 3 도는 주사 바늘과 함께 본 고안에 의한 실린더의 종단면도.
제 4a 도는 실린더의 일부를 절단한 실린더의 평면도.
제 4b 도는 제 4 도의 선(A-A)에 의한 단부도.
제 5a 도는 본 고안에 의한 피스톤 로드의 측면도.
제 5b 도는 제 5 도의 선(B-B)에 의한 단면도.
제 6 도는 피스톤이 장착된 상태의 피스톤 로드의 평면도.
제 7 도는 조립된 상태의 본 고안에 의한 주사기의 종단면도.
제 8 도 내지 제 11 도는 본 고안의 주사기의 작동 단계를 단계별로 도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덮개 3 : 스프링
4 : 주사바늘 5 : 실린더
6 : 피스톤 로드 14 : 관통 구멍
15 : 멈춤 부재 24,28 : 슬롯
26 : 안내 돌기 29 : 걸쇠 부재
29a : 걸림턱 32 : 피스톤
33 : 판 부재 35 : 정렬판
37 : 안내판 38 : 차단판
본 고안은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시 살갗이나 약병 등의 대상물에 주사 바늘을 찌르는 경우에도 주사 바늘이 대상물 외에는 전혀 노출되지 않도록 새로운 형태의 덮개를 구비한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 주사기의 주사 바늘은 사용시 및 사용후에 노출된 채로 사용 및 처리되므로 사용자의 취급부주의나 실수로 인하여 사용자 자신이나 타인이 찔리는 경우가 흔히 발생한다. 사용전, 후의 찔린 주사 바늘에는 혈액이 묻어 있으므로 이에 찔리게 되면 감염될 우려가 있으므로, 사용자는 취급에 각별히 조심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공포감을 갖게 된다. 특히, 요사이 기하 급수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현대 의학으로 치료되지 않는 에이즈(AIDS)와 같은 가공할 만한 질병을 갖고 있는 환자 및 미확인 감염 환자에게 주사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취급 부주의나 실수로 인한 한번의 찔림만으로도 치명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주사기를 매우 조심스럽게 다루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찔림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시 주사 바늘이 살갗이나 약병 등의 대상물 속으로 삽입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주사 바늘을 보호하는 덮개를 구비한 주사기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한 예로써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에는 본 고안에 의한 주사기(1)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주사기(1)은 덮개(2)와, 스프링(3)과, 주사 바늘(4) 그리고 실린더(5) 및 피스톤 로드(6)으로 구성된다.
덮개(2)는, 제 2 도의 단면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선단부에 주사 바늘(4)가 관통하는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구멍(11)에는 덮개(2)와 일체로 얇은 막을 형성하여 주사기의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선단부 부근의 내측면에 스프링(3)의 한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환형요홈(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부면에는 실린더(5)가 스프링(3)의 스프링력에 의해 덮개 외측으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환형 돌출 멈춤부(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멈춤부(13)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관통 구멍(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14)에는 덮개와 일체로 성형되고 덮개의 한 측면에 띠에 의해 고정된 멈춤부재(15)가 끼워진다. 이 멈춤 부재(15)는 덮개(2) 안으로 주사 바늘(4)를 장착한 실린더(5)가 삽입될 때 주사 바늘이 구멍(11)을 통해 밖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실린더(5)가 덮개(2)의 선단부쪽으로 더 이상 진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시에는 이 멈춤 부재(15)를 관통 구멍(14)로부터 빼서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재차 관통 구멍(14)에 끼울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잃어버리지 않도록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2)의 말단부에는 후술하는 실린더(5)의 걸쇠 부재(29)와 맞물릴 수 있도록 링형 플랜지(16)이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16)의 선단부쪽 측면은 덮개 표면에 수직이지만, 말단부쪽 측면은 실린더의 걸쇠부재(29) 밑으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후방 중심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3)은 실린더(5)가 덮개(2)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실린더(5)를 덮개 외측으로 밀러내지만 후술하는 실린더(5)의 걸림턱(23)이 덮개(2)의 환형 멈춤부(13)을 지나 실린더(5)가 덮개(2)로부터 빠져나가지 않을 정도의 스프링력을 갖는 코일 스프링을 사용한다.
바늘(4)는 통상의 바늘이다.
실린더(5)는, 제 3 도 및 제 4 도의 단면도에 잘 도시한 바와 같이, 바늘(4)가 그 선단부(21)에 끼워지는 통상의 구조를 가지며, 선단부 경사벽면에 스프링(3)의 다른 단부가 끼워지는 환형 요홈(22)와, 덮개(2) 내부에 실린더(5)가 삽입된 후 큰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실린더(5)가 덮개(2)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덮개의 환형 멈춤부(13)과 맞물리는 환형 걸림턱(23)이 형성되고, 이 원형 구멍(27)의 상부로부터 종방향 슬롯(24)와 정렬되어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된 방사상 슬롯(2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린더(5)의 말단부에는 종방향의 슬롯(24)와, 플랜지(25) 및 경사 안내 돌기(26)이 형성되어 있다. 슬롯(24)는 후술하는 피스톤 로드(6)의 정렬판(35)가 이를 통해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플랜지(25)는 제 4a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 형상이고, 그 중앙에는 피스톤 로드(6)이 관통하는 원형 구멍(2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롯(28)은 슬롯(24)와 함께 피스톤 로드의 정렬판(35)가 통과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플랜지(25)의 외측에는 한쌍의 경사 안내 돌기(26)이 형성되어 있다. 각 안내 돌기(26)은 실린더의 구멍(27) 둘레에 일정 각도만큼 형성되고 각 내부 경사면은 종방향 슬롯(24)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피스톤 로드의 삽입시 후술하는 정렬판(35)의 양 측면에 마련된 수직면(35c)와 맞물려서 피스톤 로드의 정렬판(35)가 슬롯(24,28) 내부로 유도되도록 피스톤 로드를 안내한다. 안내 돌기(26)과 반대 방향의 플랜지(25)의 외주연에는 슬롯(24)의 상부를 덮고 주사 바늘(4)쪽으로 연장된 걸쇠 부재(2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걸쇠 부재(29)의 선단에는 걸림턱(29a)가 마련되고 그 중간에는 걸림 해제용 돌기(29b)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턱(29a)는 바늘쪽 부분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그 반대쪽 측면은 거의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돌기(29a)는 양측면이 경사져 있다.
피스톤 로드(6)은, 제 1 도 및 제 5 도 그리고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피스톤 로드의 횡단면이 +자형인 것과는 달리 ㅅ형으로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재료 절감을 위한 것이다. 피스톤 로드(6)의 선단부(31)에는 피스톤(32)가 끼워지며, 이 선단부(31)은 그 단면이 선단부로 갈수록 감소되는 ㅅ형인 돌기(31a)와 이 돌기(31a)의 외경보다 큰 직경의 원형 돌기(31b)로 구성된다.
피스톤(32)는 통상의 고무 재질로 이 선단부(31)에 끼워져서 피스톤(32)가 피스톤 로드(6)에 대하여 불필요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 선단부(31)과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6)의 중간 부분은 단면이 ㅅ형이 되도록 3개의 긴 판 부재(33)으로 구성된다. 이 판 부재의 외경은 원형 돌기(31b)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다. 이 판 부재(33)의 중간 부분에는 그 상부 양측면에 보강 부재(34)가 마련되어 있다. 이 보강 부재는 피스톤 쪽의 전면이 경사진 표면을 가지며 상부쪽이 판 부재(33)의 상부면과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은 피스톤 로드(6)을 실린더(5)에 삽입할 때 상부의 판 부재(33)이 실린더(5)의 슬릿(24)에 끼워지더라도 피스톤 로드(6)을 원활히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이 피스톤 로드(6)의 상부 판 부재(33)의 단부에는, 실린더(5)의 내부 구멍(27)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고 피스톤 로드의 원판형 손잡이(40)쪽으로 높이가 증가되는 경사면(35a)와, 산형의 돌기(35b) 그리고 경사면(35a)와 돌기(35b) 사이의 수직면(35c)를 구비한 정렬판(3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수직면(35c)는, 피스톤로드가 피스톤 로드의 작동시 좌우 비틀림에 의해 실린더에 의해 실린더에 대하여 잘못 정렬 되었을 때, 실린더(5)의 경사 안내 돌기(26)과 맞닿아서 이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피스톤 로드를 제위치로 회전시켜 정렬되도록 하여 정렬판(35)를 슬롯(24,28)로 안전하게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돌기(35b)의 작용은 본 고안의 주사기 작동과 함께 설명한다. 피스톤 로드(6)의 양측면의 판 부재(33)의 단부에는, 정렬판(35)의 경사면(35a)와 동일한 형태의 경사면(36a)와, 실린더(5)의 내부구멍(27)과 맞물리는 수평면(36b)를 구비한 안내판(36)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수직으로 위치한 정렬판(35)의 선단부에는, 그 양측면에 이 정렬판(35)의 경사면(35a)보다 급격한 경사면(37a)와, 수평면(37b)를 구비한 안내판(37)이 마련되어 있다. 경사면(37a)는 그 선단부에서 안내판(35)의 경사면(35a)보다 낮게 구성되지만 그 말단부에는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구성되어, 정렬판(35)가 실린더의 슬롯(24,28) 내부를 안전하게 삽입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두 안내판(36)의 두 수평면(36a)와 두 안내판(37)의 두 수평면(37b)는 실린더 내부의 구멍(27)과 거의 동일한 크기의 원상에 존재하여 피스톤 로드(6)을 실린더(5) 내부에서 그 중심축에 대하여 수평으로 안내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정렬판(35) 및 안내판(36)의 말단부는 차단판(38)까지 연장되며, 차단판(38)은 제 5a 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부분(38a)와 수직 연장부(38b)로 구성된다. 이 삼각형 부분(38a)는 그 상부 꼭지점이 실린더(5)의 구멍(27)의 내경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차단판(38)이 실린더(5)의 (제 3 도의) 종방향 우측면과 맞닿을 때 돌기(26)과 맞닿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수직 연장부(38b)는 삼각형 부분(38a)의 꼭지점 부분으로부터 정렬판(35)와 동일한 두께로 상방으로 연장되고, 그 높이는 정렬판의 돌기(35b)보다는 높도록 구성되어 있다. 차단판(38)과 원판 손잡이(40)은 단면이 ㅅ형인 연결 부재(39)에 의해 연결된다.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주사기를 작동시키는 방법을 제 7 도 내지 제 12 도에 의해 설명한다.
먼저, 제 7 도에는 상기 구조를 갖는 각 구성 부품들을 조립한 상태의 주사기(1)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는 최초 출하될 때의 상태이다. 제 7 도의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는 스프링(3)에 의해 실린더(5)로부터 가장 멀리 연장되어 있지만, 덮개(2)의 환형 멈춤부(13)에 실린더의 걸림턱(23)에 걸려 더 이상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덮개가 주사 바늘(4)를 완전히 덮은 상태이다. 또한, 실린더(5) 내부에 피스톤 로드(6)이 완전히 삽입된 상태이다.
병(41)속에 내장된 주사 용액을 주사기로 흡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 8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41)의 표면에 주사기(1)의 선단부를 가압하면 덮개(2)는 스프링(3)의 스프링력을 이겨 실린더(5)에 대하여 화살표(C) 방향으로 이동하여 주사 바늘(4)의 선단이 병(41)의 표면을 관통하기 시작한다. 주사 바늘(4)가 병(41)의 표면을 어느 정도 관통하면, 실린더(5)에 대하여 피스톤 로드(6)을 화살표(C) 방향으로 당기면 병(41)속의 주사용액은 주사 바늘(4)를 통해 실린더(5)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주사기(1)을 수직으로 세우고 피스톤 로드(6)을 화살표(C)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약간 밀어주면 실린더(5)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실린더(5)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그 연후에 주사 바늘(4)를 병(41)로부터 빼내게 되면 제 9 도와 같이 병(41)과 주사기는 분리되게 된다. 이때, 덮개(2)는 스프링(3)에 의해 실린더(5)에 대하여 화살표(C)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항상 가압되기 때문에 덮개(2)의 선단부는 병(41)의 표면에 항상 가압되므로, 주사 바늘(4)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채로 병(41)으로부터 빠져 나와 덮개(2)에 의해 보호된다. 병(41)속의 주사 용액이 실린더(5)로 유입된 주사기를 사람이나 동물 등의 살갗에 주사하고자 하면, 주사기의 실린더(5)를 잡고 덮개(2)의 선단부를 살갗에 계속 누르면 주사 바늘(4)가 살갗을 뚫고 들어가고 제 10 도와 같이 덮개(2)의 링형 플랜지(16)이 걸쇠 부재(29)의 걸림턱(20a)와 맞물리게 된다. 그 연후에 피스톤 로드(6)을 화살표(C)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밀면 주사 용액이 혼자에게 투입된다. 피스톤 로드(6)을 계속 밀게 되면 제 1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6)의 정렬판(35)에 형성된 돌기(35b)의 전방 경사면이 걸림턱(29b)의 후방 경사면을 이동함에 따라 실린더(5)의 걸쇠 부재(29)가 화살표(D) 방향으로 서서히 들어올려져서, 돌기(35b)와 걸림턱(29b)의 각 정점이 만나는 순간 덮개(2)의 링형 플랜지(16)과 걸쇠 부재(29)의 걸림턱(29a)와의 맞물림을 해제하고 주사 바늘(4)를 환자의 살갗으로부터 빼면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 바늘(4)가 덮개(2)내에 보호된 채로 일련의 주사 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작동 구성에 의하면, 주사기 작동시 주사 바늘(4)는 병의 표면과 환자의 살갗만을 관통하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주사 바늘(4)의 찔림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작동시에, 덮개(2)의 멈춤 부재(15)는 뺀 채로 사용됨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멈춤 부재는 최초 조립 후 사용전에는 덮개(2) 내부로 피스톤 로드(6)이 화살표(C)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구성되고, 덮개(2) 내부의 환형 멈춤부(13)과 실린더(5)의 걸림턱(23)의 맞물림에 의해 실린더(5)가 덮개(2) 밖으로 빠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주사 바늘(4)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피스톤(32)는 그 단면이 ㅅ형태인 피스톤 로드(6)의 선단부(31)에 끼워짐으로써 피스톤(32)가 피스톤 로드(6)에 대하여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므로, 주사기 사용시 실린더 내부에서 피스톤 로드가 불필요하게 회전되지 않으므로, 보다 안정적이고 정확한 작동에 의한 주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주사 작업시, 피스톤 로드(6)의 상부측판 부재(33)이 실린더(5)의 슬롯(24)에 끼워지더라도, 피스톤 로드(6)의 전면쪽이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보강 부재(34)와 안내판(37)의 경사면(37a)에 의해, 피스톤 로드(6)를 안전하게 내부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주사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렬판(35)의 수직면(35c)가 실린더의 경사 안내 돌기(26)과 맞물림으로써 정렬판(35)가 실린더의 슬롯(24,28)과 정렬되도록 하고, 피스톤 로드(6)의 두 안내판(36)의 두 수평면(36a)와 안내판(37)의 수평면(37b)에 의해 피스톤 로드(6)을 실린더(5) 내부에서 그 중심축에 대하여 수평으로 안내함으로써,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동을 갖는 본 고안의 주사기는 덮개의 주사 바늘 보호 작동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주사 바늘을 덮개 안에 항상 내장 및 보호한 상태로 주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피스톤 로드를 실린더 안에서 원활히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6)

  1. 주사기에 있어서,
    그 내부에 스프링의 한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환형 요홈(12)와 환형 플랜지(16)을 구비한 덮개(2)와;
    이 덮개(2)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3)과;
    상기 스프링(3)의 다른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환형 요홈(22)와, 환형 플랜지(25)와, 그 외주연에 형성된 종방향의 슬롯(24)와, 이 슬롯(24)와 연통되고 상기 환형 플랜지(25) 상에 형성된 방사상 슬롯(28)과, 상기 환형 플랜지(25) 상에 실린더의 구멍(27) 둘레에 형성된 한쌍의 경사 안내 돌기(26)과, 상기 환형 플랜지(25)로부터 상기 슬롯(24) 위로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환형 플랜지(16)과 맞물리는 걸쇠 부재(29)를 구비한 실린더(5)와;
    상기 실린더(5)의 선단에 끼워지는 주사 바늘(4)와;
    피스톤(34)가 끼워지는 선단부(31)과, 그 단면이 ㅅ형상이 되도록 서로 연결된 3개의 판 부재(33)과, 이 판부재 중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고 경사면(35a) 및 돌기(35b)를 구비한 정렬판(35)와, 상기 판 부재 중 다른 두판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경사면(36a)와 실린더의 내부 구멍(27)과 맞물리는 수평면(36b)를 구비한 두개의 안내판(36)과, 상기 정렬판(35)의 양측면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고 경사면(37a) 및 수평면(37b)를 구비한 안내판(37)과, 삼각형 형상의 차단판(38)과, 손잡이(40)을 구비한 피스톤 로드(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가, 그 외부면에 형성된 관통 구멍(14)와, 이 관통 구멍(14)에 끼워지는 멈춤 부재(15)와, 그 내부면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환형 돌출 멈춤부(13)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5)가 상기 덮개의 환형 돌출 멈춤부(13)과 맞물리는 걸림턱(23)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5)의 걸쇠 부재(29)가, 덮개의 플랜지(16)과 맞물리기 위한 걸림턱(29a)와, 피스톤 로드(6)의 돌기(35b)와 맞닿도록 구성된 걸림 해재용 돌기(29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6)의 선단부(31)이, 그 단면이 선단부로 갈수록 감소되는 ㅅ형인 돌기(31a)와, 이 돌기의 외경보다 큰 직경의 원형 돌기(31b)로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32)에 상기 피스톤 로드(6)의 선단부(31)과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6)의 중간 부분에 피스톤 로드(6)을 보강하고 안내하기 위하여 전면이 경사진 표면을 갖는 보강 부재(34)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의 선단부 구멍(11)에 주사기의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얇은 막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KR2019940005686U 1994-03-21 1994-03-21 주사기 KR9700048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5686U KR970004844Y1 (ko) 1994-03-21 1994-03-21 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5686U KR970004844Y1 (ko) 1994-03-21 1994-03-21 주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744U KR950026744U (ko) 1995-10-16
KR970004844Y1 true KR970004844Y1 (ko) 1997-05-21

Family

ID=19379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5686U KR970004844Y1 (ko) 1994-03-21 1994-03-21 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8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744U (ko) 199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2868B2 (en) Safety needle assembly
KR100314479B1 (ko) 루어니들유닛트 및 이를 구비한 주사기
AU2006276794B2 (en) Needle guard mechanisms
US8162881B2 (en) Needle guard mechanism with angled strut wall
US4927416A (en) User-protective hypodermic syringe holder
ES2784426T3 (es) Kit para un dispositivo de inyección automática
TWI612982B (zh) 藥物輸送裝置
US6325781B1 (en) Puncturing device
JP2974299B2 (ja) 片手操作可能な針バリアーを備えた針アセンブリ
EP0815890B1 (en) Method of making a needle shield assembly
US7250038B2 (en) Fixed needle syringe with protective needle housing
JP2018140221A (ja) 安全ペンニードルアセンブリ
US20070073221A1 (en) Needle guard mechanism with leaf spring
BRPI0510480B1 (pt) dispositivo de injeção
JPS63317160A (ja) 遮蔽された注射器アセンブリ
JP2007521918A (ja) ニードル先端保護装置
JPH0221876A (ja) 流体通過装置
JP2005152541A (ja) 注射針
TW201600135A (zh) 藥物輸送裝置
JP2003520649A (ja) 針保護装置
KR20180098864A (ko) 일회용 안전 주사기
EP3270990B1 (en) Hinged shield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KR970004844Y1 (ko) 주사기
JP3536847B2 (ja) 誤穿刺防止用シールド付き医療用針装置
KR20060057594A (ko) 불능화 메카니즘을 가진 주사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