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700B1 - 원심 분리기 - Google Patents

원심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700B1
KR970004700B1 KR1019880013273A KR880013273A KR970004700B1 KR 970004700 B1 KR970004700 B1 KR 970004700B1 KR 1019880013273 A KR1019880013273 A KR 1019880013273A KR 880013273 A KR880013273 A KR 880013273A KR 970004700 B1 KR970004700 B1 KR 970004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separation
compartment
outlet
dis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3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6301A (ko
Inventor
스트로욱켄 클라우스
Original Assignee
알파-라발 세퍼레이션 에이비
잉게마트 콜리베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파-라발 세퍼레이션 에이비, 잉게마트 콜리베모 filed Critical 알파-라발 세퍼레이션 에이비
Publication of KR890006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1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with discharging outlets in the plane of the maximum diameter of the bowl
    • B04B1/12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with discharging outlets in the plane of the maximum diameter of the bowl with continuous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04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with inserted separating walls
    • B04B1/08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with inserted separating walls of conical shape

Landscapes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원심 분리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기.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원심 분리기의 간막이 부재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따른 다소 수정된 간막이 부재의 축방향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원심 분리기의 일부분이 수정된 실시예의 축방향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로우터 2 : 구동축
3 : 구동장치 4 : 하부하우징
5 : 상부 하우징 6 : 입구관
7,9 : 수납 격실 8,10 : 출구
11,12 : 로우터 부분 13 : 분리 격실
14 : 중앙 기둥 15 : 환상 체결 부재
16 : 중앙 입구 격실 17 : 개구부
18 : 슬리이브 형성 부분 19 : 원추형 부분
20,24,29,30,31 : 통로 21 : 분리 디스크
22 : 관통 통로 23 : 관형 부재
25 : 환상 부재 26 : 격실
27 : 주연부 출구 28 : 환상 부재
32 : 관 33 : 홈
34 : 일류 출구 35 : 배출 통로
36 : 보호 부재 37 : 출구
38 : 관형 부재 39 : 리지(ridge)
40 : 요구부 41,42 : 슬리이브 형성 연장부
43,44,45 : 환상 플랜지 46 : 환상 단부 벽면
본 발명은 상이한 밀도들을 가지고 있는 2종의 액체들의 혼합물로부터 상기 2종의 액체들을 분리하기 위한 원심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원심 분리기는 로우터 본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우터 본체는 분리 격실을 가지고 있으며, 그 기부 부분들이 분리 격실의 한쪽 단부 쪽으로 향해지고 정점 부분들이 분리 격실의 반대쪽 단부쪽으로 향해지도록 분리 격실내에 로우터와 동축으로 배설된 일련의 원추형 분리 디스크들을 가지고 있고, 중앙 입구 격실을 가지고 있으며, 분리 디스크들의 정점 부분들이 향하고 있는 쪽의 분리 격실의 단부에서 입구 격실을 분리 격실과 연결하는 입구 통로들을 가지고 있고, 또한 비교적 가벼운 분리된 액체와 비교적 무거운 분리된 액체를 위한 별도의 출구들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2개 출구들은 로우터의 동일한 축방향 출구 단부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입구 통로들은 분리 디스크들과 대체로 동일한 정도의 로우터축에 대한 경사도를 가지고 있는 종류이다. 이와 같은 종류의 원심 분리기는 예컨대 1904년 이래로 스웨덴 왕국 특허 제19666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류의 원심 분리기가 실제로 제조 및 사용되었는지는 공지되어 있지 않다.
그 후로 원심 분리기들은 정상적으로는 전술한 방식으로 설계되지 않았다. 그 대신에, 분리 격실의 인구는, 분리 디스크들의 기부 부분들이 향하고 있는 쪽의, 분리 격실의 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류의 종래의 원심 분리기는 예컨대 미합중국 특허 제3,986,663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류의 원심 분리기들로 로우터의 동일한 축방향 단부에 위치된 2개의 분리된 액체들을 위한 출구들을 갖는 로우터를 가지고 있다. 이는 여러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그밖의 다른 것들 중에는, 조절되지 않으면 안되는 로우터의 출구 부재들이 보다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분리된 액체들의 로우터로부터의 방출을 위한 고정된 소위 페어링 부재(paring member)들의 사용이 이에 의해 용이하게 된다.
혼합물이, 분리 디스크들의 정점 부분들이 향하고 있는 쪽의, 분리 격실의 단부에서 분리 격실내로 유입되는, 첫번째로 기술한 종류의 원심 분리기의 장점은, 혼합물이 분리 격실로 유입되기 이전에 상기 입구 통로들 내에서 이미 발생되는, 예 분리의 결과가 최대로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비교적 무거운 액체 성분의 일부 및 액체 혼합물내에 잔존 가능한 고체들은 혼합물이 중앙 입구 격실과 분리 격실의 입구 사이의 상기 입구 통로들을 통과하는 도중에 이미 분리되게 된다. 입구 통로들 내에서 분리된, 공급된 혼합물의 비교적 무거운 성분은 분리 격실내로 유동할 때 혼합물의 나머지 성분을 방해하거나 방해 받음이 없이 입구 통로들의 외측 벽면들을 따라 분리 디스크들의 반경 방향 외측의 분리 격실의 최외측 부분내로 직접 활주해 나가게 된다.
액체 혼합물이 분리 디스크들의 기부 부분들이 향하고 있는 분리 격실의 단부에 있는 입구 통로들을 통해 유입되는 종래의 원심 분리기(미합중국 특허제3,986,663호 참조)에 있어서는, 입구 통로내에서 분리된 혼합물의 비교적 무거운 성분은 혼합물이 분리 격실로 들어갈 때 혼합물의 나머지 성분의 유동을 방해하게 된다. 이는 입구 통로들이 원추형 분리 디스크들과 꼭 같은 정도의 로우터 축에 대한 경사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입구 통로들 내의 예 분리의 결과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손상된다. 이와 같은 방해 유동의 부적합한 효과는 혼합물이 입구 통로들에 가장 가깝게 위치된 분리 디스크의 외측 연부에서 온전히 그대로 분리 격실 내로 유입될 때 최대로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심 분리기의 로우터가, 첫째로, 액체 혼합물을 분리 격실 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적어도 1904년 이래로 공지된 적합한 배열을 가지고 있으며, 둘째로, 로우터의 동일한 단부에서 이용 가능한 분리된 액체들용 양쪽 출구들을 가지고 있어서, 전술한 스웨덴왕국 특허 제19666호에 기재된 종류의 원심 분리기에 비해 상이한 밀도들을 갖는 2종의 액체들의 보다 효과적인 분리가 가능하도록 개량 설계된 원심 분리기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출구 통로가 분리 디스크들의 기부 부분들이 향하고 있는 쪽의 분리 격실의 단부에서 분리 격실의 반경방향 외측 부분으로부터 로우터 중심을 향해 연장되며, 또한 상기 출구 통로가 로우터의 상기 출구 단부에서 분리된 무거운 액체용 로우터 출구와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초에 기술한 종류의 원심 분리기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심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입구 통로들 내에 예 분리의 결과는 혼합물의 비교적 무거운 액체 성분에 분리 격실내의 긴 축방향 유동로가 주어질 때, 최대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비교적 무거운 액체는 비교적 가벼운 액체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또한 동시에, 비교적 무거운 액체보다 더 무거운, 혼합물 내에 존재하는 고체들로부터도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분리된 액체들은 양쪽 다 로우터의 동일한 단부에서 로우터로부터 방출되도록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로우터가 그 반대쪽 단부에서 구동축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분리된 액체들용 양쪽 로우터 출구들을 로우터 단부들중 어느쪽에라도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로우터출구들은 분리 디스크들의 정부부분들이 향하고 있는 쪽의 로우터의 단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관통 통로를 가지고 있는 출구 장치는 비교적 무거운 분리된 액체를 상기 출구 통로로부터 분리 격실을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분리된 무거운 액체용 로우터 출구로 안내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따라서, 로우터는 축방향으로볼 때, 무게 중심이 가능한 한 구동축 및 구동축의 베어링들에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구동축과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제1도는 로우터(1), 상기 로우터를 지지하는 수직 구동축(92), 상기 구동축과 계합되어 있는 구동장치(3), 구동장치(3)을 위한 하부 하우징(4) 및 로우터를 위한 상부 하우징(5)를 갖는 원심 분리기를 도시한다.
상부 하우징(5)는 상이한 밀도들 및 그 내부에 매달린 입자들을 갖는 2종의 액체의 혼합물을 위한 입구관(6)을 형성한다. 또한 하우징(5)는 비교적 가벼운 분리된 액체를 위한 출구(8)을 갖는 수납 격실(7) 및 비교적 무거운 분리된 액체를 위한 출구(10)을 갖는 수납 격실(9)를 형성한다.
로우터(1)은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있고 분리 격실(13)을 감싸는 2개의 로우터 부분(11) 및 (12)들로 구성된다. 분리 격실(13) 내에서 바닥을 형성하며 구동축(2)에 연결되어 있는 로우터 부분(11)은 중앙 기둥(14)를 갖는데 상기 기둥의 상부는 환상 체결 부재(15)에 이해 보유되어 있다. 로우터 부분(12)는 대체로 원통형의 둘레 벽면 및 대체로 원추형의 로우터의 상부 단부 벽면을 갖는다.
입구 관(6)의 협소 단부 부분은 체결 부재(15)를 통해 중앙 기둥(14)의 관형 상부 부분 내에 형성된 중앙입구 격실(16)내로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기둥(14)의 상기 관형 부분은 자체의 둘레 벽면 내에 몇개의 개구부(17)들을 갖는다. 체결 부재(15)는 입구 격실(16) 내의 상부 환상 단부 벽면을 형성한다.
슬리이브 형성 부분(18) 및 원추형 부분(19)를 갖는 간막이 부재가 중앙 기둥(14) 주위에 배열되어 있다. 슬리이브 형성 부분(18)은 상기 개구부(17)들 아래의 기둥(14)를 감싼다. 환상 가스킷은 슬리이브 형성 부분(18)과 기둥(14) 사이를 밀봉한다. 원추형 부분(19)는 로우터의 상기 상부 단부 벽면에 대해 접촉한다. 원추형 부분(19) 내의 반경 방향 요구부들은 상기 부분과 로우터 단부 벽면 사이에 몇 개의 통로(20)들을 형성하는데 상기 통로들은 개구부(17)들을 분리 격실(13)과 연결시킨다.
원추형 부분(19)과 하우 로우터 부분(11) 사이에는 일련의 프러스토(frusto)-원추형 분리 디스크(21)들이 로우터 축과 동축으로 분리 격실(13) 내에 배열되어 있다. 분리 디스크(21)들의 외측 연부들은 전술한 원추형 부분(19)의 외축 연부와 동일한 반경 방향 높이에 위치되어 있다. 분리 디스크(21)들의 내측 연부들은 슬리이브 형성 부분(18)의 외측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약간 격설되어 있으므로, 분리 격실(13) 내에 분리 디스크(21)들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중앙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간은 슬리이브 형성 부분(18)에 의해 지지되는 반경 방향으로 및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날개들에 의해 평행한 축방향 통로들로 분할된다.
원추형 부분(19)는 다수의, 예컨대 3개의, 관통 통로(22)들을 가지며 동일한 수의 관형 부재(23)들을 자체의 상부 측면상에 지지하는데, 상기 관형 부재의 내부는 통로(22)와 연통된다. 로우터 부재(12)도 역시 관형 부재(23)들을 통해 각각의 통로(22)들과 연통하도록 위치된 동일한 수의 축방향 관통 통로(24)들을 갖는다. 환상 가스킷은 관형 부재(23)들과 서로 연통되는 통로들 주위의 로우터 부분(12) 사이를 밀봉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로우터 부분(12)의 상부에는 환상 부재(25)가 배열되어 있는데, 상기 환상 부재는 로우터 부분(12)와 함께 격실(26)을 형성하며, 상기 격실 내에는 로우터 부분(12)를 통해 통로(24)들이 개구되어 있다. 격실(26)은 하나 또는 몇 개의 주연부 출구(27)들을 갖는다.
분리 격실(13)의 하부 부분 내에 환상 부재(28)이 위치되어 있는데 상기 환상 부재는 로우터 부분(11)에 대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및 축방향 아래로 밀봉하며 분리 격실(13) 내에서 분리 디스크(21)들보다 더 먼 거리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환상 부재(28)은 자체의 바닥측에 다수의 반경 방향 홈들을 갖는데, 상기 홈들은 분리 격실(13)과 로우터 부분(11) 내의 동일한 수의 중앙 반경 방향 통로(30)들 사이로 연장되는 통로(29)들을 형성한다. 반경 방향 통로(30)들은 다수의 축방향 통로(31)들과 연통되며, 상기 축방향 통로(31)들내에는 관(32)들이 삽입되어 있다.
관(32)들은 분리 디스크(21)들 내의 정렬된 구멍들 및 상기 원추형 부분(19) 내의 구멍들, 로우터 부분(12)내의 구멍들 및 환상 부재(25) 내의 구멍들을 통해 연장된다. 밀봉 가스킷들은 상기 구멍들 주위에 및 로우터 부분(12)와 원추형 부분(19) 및 환상 부재 (25) 각각 사이의 관(32)들 주위에 배열되어 있다.
통로(29) 내지 (31)들을 통해 분리 격실(13)과 연통되는 관(32)들의 내부는 환상 부재(25)내의 개방홈(33)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개구된다. 홈(33)의 상부 연부는 이로부터 일류 출구(34)를 형성한다.
배출 통로(35)는 로우터 부분(11)을 통해 각각의 통로(30)의 반경 방향 최내측 부분으로부터 로우터의 외측까지 연장된다. 보호 부재(36)은 구동축(2)와 연결되어 있고 배출 통로(35)들을 통해 로우터를 이탈하는 액체가 구동 장치의 하우징(4) 내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로우터 하우징(5)는 상기와 같은 액체를 위한 별도의 출구(37)을 갖는다.
제2도는 원추형 부분(19)로 구성되는 간막이 부재의 평면도이다. 상기 3개의 관형 부재(23)들로부터 격설되어 있는 또다른 3개의 관형 부재(38)들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또다른 관련 부재들의 개구부들을 통해 관(32)(제1도)들이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제2도에서 잘 볼 수 있듯이, 관형 부재(38)들은 관형 부재(23)들보다 큰 반경으로 위치되어 있다.
원추형 부분(19)의 상부측 상에서 반경 방향 및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리지(ridge)(39)들은 제1도의 로우터 부분(12)와 통로(20)들을 함께 형성하는 상기 요구부들을 리지들 사이에 형성시킨다.
원추형 부분(19)의 주연부 주위에서 상기 부분은 다수의 요구부(40)들을 갖는데 이들의 기능은 후술하기로 한다. 요구부(40)들과 축방향으로 정렬된 대응 요구부들은 분리 격실(13)내의 모든 분리 디스크(21)들내에 존재한다.
제3도는 원추형 부분(19a), 슬리이브 형성 부분(18a) 및 관형 부재(23a) 및 (38a)들로 구성되는 약간 변경된 간막이 부재의 단면도이다. 제3도에 도시된 간막이 부재는 전체적으로 플래스틱으로 제조되도록 되어 있고, 도시한 바와 같이, 관형 부재(23a) 및 (38a)는 이들과 로우터 부분(12) 사이의 견고한 연결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소형 외측 환상 단부 플랜지(43) 및 (44)들을 각각 갖는 슬리이브 형성 연장부(41) 및 (42)들은 로우터 부분(12) 내의 구멍들 내로 삽입되게 될 때 탄성을 갖는 치수로 되어 있다.
제4도는 제3도에 따른 간막이 부재로 구성되는 제1도에 따른 로우터의 상부 부분을 도시한다. 관형 부재(23a) 및 (38a)들은 로우터 부분(12a) 내의 관통 통로 내로 삽입되어 있다. 상기 통로들의 벽면들은 환상 단부 플랜지(43) 및 (44)(제3도)를 수납하기 위한 환상 홈들을 갖는다. 따라서 간막이 부재는 스냅-록 연결이라 칭해지는 장치에 의해 로우터 본체(12a)와 연결되어 있다.
또다른 스냅-록 연결이 로우터 부분(12a)와 환상 부재(25a) 사이에 존재한다. 상기 환상 부재는 로우터 부분(12a)내의 외부 홈 내로 계합되는 내부 환상 플랜지(45)를 갖는다.
고정된 단부 벽면 대신에 환상 부재(25a)는 제거가능하며 교체가능한 환상 단부 벽면(46)을 갖는데, 상기 환상 단부 벽면의 내측 연부는 제1도의 일류 출구(34)에 대응하는 일류 출구를 형성한다. 또한 단부 벽면(46)도 스냅-록 연결에 의해 환상 부재(25a)에 위치되어 있다.
제1도의 원심 분리기는 로우터(1)이 구동 장치(3)에 의해 회전된 후에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이한 밀도들을 갖는 2종의 액체들 및 상기 액체내에 현탁된 그 내부에 매달린 고체들의 혼합물이 파이프(6)들 통해 중심 입구 격실(16) 내로 유입된다. 혼합물은 개구부(17)들 및 통로(20)들을 통해 분리 격실(13)으로 유동한다. 혼합물은 주로 원추형 부분(19)내의 요구부(40)들 및 분리 디스크(21)들 내의 대응 요구부들을 통해 분리 디스크 사이로 분포된다.
통로(20)들 내에서 공급된 혼합물을 형성하는 3개의 성분들의 예 분리가 이미 발생하게 된다. 현탁된 고체들의 많은 부분 및 액체들 중 무거운 성분의 일부는 액체 혼합물의 분리 격실 내로의 계속적인 유동을 방해함이 없이 로우터 부분(12)를 따라 분리 격실(13)의 둘레 벽면으로 이동한다. 잔존하는 고체들과 함께 액체 혼합물은 다음에 분리 디스크(21)들 사이로 분포된다. 분리 디스크 사이에서 상이한 밀도들을 갖는 액체들은 분리되어, 최경량의 액체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유동하고 통로(22) 및 (24)들을 통해 격실(26)으로 인도되며, 최중량의 액체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유동한다. 분리 디스크(21)들이 외측에서 상기 최중량의 액체는 분리 격실 내에서 축방향 아래로 유도하여 통로(29)들을 통해 상기 분리 격실 밖으로 유출된다. 상기 액체는 도한 관(32)에 의해 통로(30) 및 (31)들을 통해 환상 홈(33)으로 인도된다.
분리된 무거운 액체가 일류 출구(34) 상부로 방출되는 동안, 분리된 가벼운 액체는 격실(26)의 출구(27)을 통해 방출된다. 출구(27)은 정상 작동중에 격실(26)이 단지 부분적으로 충전되도록 충분히 크다. 이는 관형 부재(23)들 및 통로(22) 및 (24)들의 반경 방향 위측 제한 벽면들이 분리된 가벼운 액체를 위해 분리 격실(13)으로부터 일류 출구들을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작동중에 분리 격실 내에서 2개의 분리된 액체들 사이에 형성된 접촉층의 위치는 분리 격실의 상기 2개의 일류 출구들의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접촉층의 위치는 또다른 위치를 위해 환상 부재(25)의 교체에 의해 변화될 수 있고, 상기 부재의 일류 출구(34)는 상이한 반경 방향 수준에 위치되어 있다. 물론, 선택적으로, 교환 가능한 소위 중력 디스크가 격실(26) 및 홈 (33)중 하나 내에 배열될 수도 있다.
필요한 경우, 분리 디스크(21) 및 원추형 부분(19)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래의 분포 통로들이 로우터 축으로부터 임의의 적당한 거리에 위치될 수 있다.
분리 격실의 바닥에 환상 부재(28)은 필요에 따라 더 큰 또는 더 작은 반경 방향 연장부를 갖는 또다른 부재로 교체될 수 있다.
분리된 고체들을 분리 격실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는 체결 부재(15)가 제거되어야 하고 로우터 부분(11) 및 (12)들이 분리되어야 한다.
작동중에 통로(22) 및 (24)들은 분리 격실(13)의 일류 출구들로서 작용하므로, 자유 액체 표면은 중앙 기둥(14) 주위의 슬리이브 형설 부분(18)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분리 격실 내에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기둥(14)와 슬리이브 형성 부분(18) 사이의 가스킷을 통과할 수 있는 누출은 입구 격실(16)으로부터 분리 격실(13)으로 향하게 된다. 슬리이브 형성 부분(18)의 하부 부분이, 분리된 가벼운 액체를 위한 일류 출구(24)로부터 대체로 축방향으로 격설되어 위치되어 있으므로, 작은 크기의 상기와 같은 발생 가능한 누출은 로우터 내의 분리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서, 부분(11), (12) 및 (32)들은 금속으로 제조되어 있으나 부분(18),(19),(25) 및 (28)들은 플래스틱으로 제조되어 있다. 따라서 관형 부재(23),(38)들과 로우터 부분(12) 사이에 위치된 가스킷들과 같은 별도의 밀봉 부재들 대신에, 플래스틱으로 제조된 관형 부재(23) 및 (38)들이 자체로서 밀봉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적합하게, 문제의 부재들을 예컨대, 스냅-록 연결이라 칭해지는 견고한 연결이 상기 부재들과 로우터 부분(12)(제4도) 사이에 마련되도록 성형함으로써 수행된다. 따라서 관형 부재(23,38)들과 로우터 부분(12) 사이의 중요한 밀봉이 로우터가 분해될 때마다 매번 파괴되어야 하는 것을 피하게 된다. 달리말하면 밀봉 기능은 더욱 안전하게 되고 마모 또는 손상에 의해 위험하지 않게 된다. 나아가서, 로우터가 소수의 부품들로 구성되게 됨으로써 로우터의 분해 및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최상부 환상 부재(25)도 상기 부재와 로우터 부재(12)(제4도)사이에 견고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성형될 수 있다.
관(32)들은 로우터 부분(11)내에 적합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로우터 부분(12)가 제거될 때 분리 디스크(21)들을 변화되지 않는 위치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관(32)들은 분리 디스크(21)들의 안내 장치로서 역할을 하며 로우터가 회전되는 동안 상기 디스크들이 서로에 대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Claims (10)

  1. 분리 격실(13), 분리 디스크의 기부 부분들이 분리 격실(13)의 한쪽 단부 쪽으로 향해지고 그 정점 부분들이 분리 격실(13)의 다른 단부 쪽으로 향해지도록 로우터와 동축으로 상기 분리 격실(13)내에 배설된 일련의 원추형 분리 디스크(21)들, 중앙 입고 격실(16), 분리 디스크(21)들의 정점 부분들이 향하고 있는 쪽의 분리 격실의 단부에서 입구 격실(16)을 분리 격실(13)과 연결하고 또한 로우터 축에 대하여 분리 디스크(21)들과 거의 동일한 경사를 갖는 입구 통로(20)들, 및 비교적 가벼운 분리된 액체와 비교적 무거운 분리된 액체를 위한 각각의 출구들(27,34)를 갖는 로우터 본체로 구성되고, 상기 2개의 출구들(27,34)가 로우터의 축방향 출구 단부의 한족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이한 밀도들을 가지고 있는 2종의 액체들의 혼합물로부터 상기 2종의 액체들을 분리하기 위한 원심 분리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출구 통로(29)가 분리 디스크(21)들의 기부 부분들이 향하고 있는 쪽의 분리 격실의 단부에서 분리 격실(13)의 반경 방향 외측 부분으로부터 로우터 중심을 향해 연장되며, 또한 상기 출구 통로(29)가 로우터의 상기 출구 단부에서 분리된 무거운 액체용 로우터 출구와 연동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분리된 비교적 무거운 액체용 출구 통로(29)가 원추형 분리 디스크(21)들의 외측 연부들의 반경 방향 외측의 분리 격실(13)내의 소정의 수준으로부터 작동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2개의 분리된 액체들용 출구들(27,34)가 분리 디스크들의 정점 부분들이 향하고 있는 쪽의 로우터의 단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관통 통로를 가지고 있는 출구 장치(28,32)는 비교적 무거운 분리된 액체를 상기 출구 통로(29)로부터 분리된 무거운 액체용 로우터 출구(34)로 분리 격실 (13)을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유출시키도록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장치(28,32)가 로우터 축 둘레에 분포되어 있는 몇 개의 관(32)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장치(28,32)가 분리 디스크(21)들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6. 제3항에 있어서, 간막이 부재(18,19)가 상기 입구 통로(20)들을 한정하며 또한 이를 위해 분리 디스크(21)들의 정점 부분들이 향하고 있는 쪽의 분리 격실의 단부에서 일련의 분리 디스크들과 로우터 본체의 부분(12) 사이에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출구 장치(28,32)가 간막이 부재(18,19)를 관통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7. 제6항에 있어서, 2종의 분리된 액체들용 로우터 본체 출구들(27,34)가 분리 디스크(21)들의 정점 부분들이 향하고 있는 쪽의 로우터 단부에 위치되어 있고, 간막이 부재(18,19)가 분리된 가벼운 액체용 출구로서 다수의 관통 구멍(22)를 가지고 있으며 로우터 본체의 상기 부분(12)는 대응하는 관통 구멍(24)를 가지고 있고, 또한 분리된 가벼운 액체들을 위해 분리 격실(13)으로부터 근접된 출구 통로들이 형성되도록 관형 부재(23)들이 각각의 관통 구멍들(22,24) 둘레의 로우터 본체의 상기 부분(12)뿐만 아니라 간막이 부재(18,19)와도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8. 제7항에 있어서, 관형 부재(23)들이 로우터 본체의 상기 부분(12)와 간막이 부재(18,19)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로우터가 구동축의 단부에 지지되고, 분리 디스크들은 분리 디스크들의 정점 부분들이 구동축으로부터 격설되게 행해지며, 또한 2종의 분리된 액체용 로우터 출구가 구동축으로부터 격설되게 향해진 로우터 단부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10. 제9항에 있어서, 로우터가 구동축으로부터 격설된 쪽의 중앙 입구 격실(16)내로의 혼합물의 유입을 위한 입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KR1019880013273A 1987-10-13 1988-10-12 원심 분리기 KR9700047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8703965A SE8703965D0 (sv) 1987-10-13 1987-10-13 Centrifugalseparator
SE8703965-7 1987-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301A KR890006301A (ko) 1989-06-12
KR970004700B1 true KR970004700B1 (ko) 1997-04-02

Family

ID=20369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3273A KR970004700B1 (ko) 1987-10-13 1988-10-12 원심 분리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930412A (ko)
EP (1) EP0312233B1 (ko)
JP (1) JP2667223B2 (ko)
KR (1) KR970004700B1 (ko)
CN (1) CN1016321B (ko)
BR (1) BR8805243A (ko)
DE (1) DE3871481D1 (ko)
ES (1) ES2032974T3 (ko)
SE (1) SE8703965D0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4227C2 (sv) * 1995-04-18 1996-12-09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Centrifugalseparator
SE504231C2 (sv) * 1995-04-18 1996-12-09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Centrifugalseparator
SE514134C2 (sv) 1999-04-07 2001-01-08 Alfa Laval Ab Separeringsanordning för rening av en vätska från däri suspenderade fasta- eller vätskeformiga partiklar, som är lättare och/eller tyngre än vätskan
SE514135C2 (sv) 1999-04-07 2001-01-08 Alfa Laval Ab Sätt och anordning för separera ett ytskikt av en vätskekropp
US6579220B2 (en) 1999-07-07 2003-06-17 Fleetguard, Inc. Disposable, self-driven centrifuge
US6793615B2 (en) * 2002-02-27 2004-09-21 Fleetguard, Inc. Internal seal for a disposable centrifuge
SE522524C2 (sv) * 2002-06-19 2004-02-10 Nine Ab 3 Anordning vid en rotationskropp
WO2004091800A1 (ja) * 2003-04-15 2004-10-28 Able Corporation 分離板型遠心分離機
DE102005005660A1 (de) * 2005-02-08 2006-08-10 Westfalia Separator Ag Separatortrommel
DE102008008120A1 (de) 2008-02-08 2009-08-20 Gea Westfalia Separator Gmbh Separatortrommel mit mehrteiligem Trommeldeckel
CN103272705A (zh) * 2013-06-04 2013-09-04 无锡市博迪电子设备有限公司 用于离心分离器转子单元的盘组件
CN105396702A (zh) * 2015-12-10 2016-03-16 中国矿业大学 一种连续排料的细粒煤离心分选设备
TWI586417B (zh) * 2016-04-08 2017-06-11 ren-hao Xiao Centrifugal oil and water separator
USD879170S1 (en) * 2017-06-30 2020-03-24 Gea Mechanical Equipment Gmbh Centrifugal separato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8615C (de) * CL. Freiherr VON BECHTOLSHEIM in München, Kaulbachstrafse 3 Neuerung an Scheidecentrifugen
DE342445C (ko) *
DE115438C (ko) *
US797297A (en) * 1905-03-14 1905-08-15 Separator Ab Centrifugal liquid-separator.
US1721230A (en) * 1927-10-29 1929-07-16 Molbach Elias Bernhard Centrifugal separator
GB429574A (en) * 1934-02-26 1935-05-31 Koefoed Hauberg Marstrand & Helweg As Tita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entrifugal separators
GB434263A (en) * 1935-01-24 1935-08-28 Aage Nyrop Process and separator for preparing concentrated creams of saps
US2331352A (en) * 1941-05-21 1943-10-12 Sharples Corp Centrifugal separator and process
GB580384A (en) * 1943-07-08 1946-09-05 Separator Ab An improve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entrifugal treatment of liquid mixtures
SU707606A1 (ru) * 1978-03-23 1980-01-05 Московское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Мясной И Молоч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Сепаратор дл разделени дисперсных сред
NO850266L (no) * 1985-01-22 1986-07-23 Malmberg Knut Fa Sentrifu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30412A (en) 1990-06-05
DE3871481D1 (de) 1992-07-02
SE8703965D0 (sv) 1987-10-13
BR8805243A (pt) 1989-05-30
EP0312233A1 (en) 1989-04-19
EP0312233B1 (en) 1992-05-27
CN1032501A (zh) 1989-04-26
ES2032974T3 (es) 1993-03-01
KR890006301A (ko) 1989-06-12
JPH01130747A (ja) 1989-05-23
JP2667223B2 (ja) 1997-10-27
CN1016321B (zh) 1992-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4700B1 (ko) 원심 분리기
EP0221723B1 (en) Centrifuge rotor inlet device
US5052996A (en) Centrifugal separator
US4622029A (en) 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a centrifugal separator
EP0390899B1 (en) Centrifugal separator
US10493468B2 (en) Centrifugal separator for cleaning gas
KR970004702B1 (ko) 원심 분리기
US3117928A (en) Centrifugal separator
US5941811A (en) Centrifugal separator to free a liquid from both lighter particles and heavier particles
SE459159B (sv) Centrifugalseparator med utmatningsorgan
US3036759A (en) Centrifugal bowl for separating sludge-containing liquids
US5160309A (en) Centrifugal separator with pumping means, arranged to accomplish a circulating flow
EP0824379B1 (en) Centrifugal separator
US809685A (en) Liner for centrifugal liquid-separators.
US3442445A (en) Centrifuge for complete phase separation of two liquids
US26332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entrifugal separation
KR920703208A (ko) 원심 분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