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503Y1 - 가전제품의 조작 손잡이 구조 - Google Patents

가전제품의 조작 손잡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503Y1
KR970004503Y1 KR92004548U KR920004548U KR970004503Y1 KR 970004503 Y1 KR970004503 Y1 KR 970004503Y1 KR 92004548 U KR92004548 U KR 92004548U KR 920004548 U KR920004548 U KR 920004548U KR 970004503 Y1 KR970004503 Y1 KR 9700045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andle structure
free deformation
control unit
deforma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45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2597U (ko
Inventor
김재수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920045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503Y1/ko
Publication of KR9300225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25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5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5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Handles; Gri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가전제품의 조작 손잡이 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한실시예를 나타낸 발췌 단면도
제3도의 (a)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이고,
제3도의 (b)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발췌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작손잡이 10 : 축
2, 2a, 2b : 자유변형부 20a : 제1절개부
21a : 제2절개부 3 : 콘트롤부
30 : 회전축
본 고안은 콘트롤부를 회전조작하기 위한 조작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작 손잡이와 콘트롤부의 조립공차의 폭을 크게하여 줌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킨 가전제품의 조작손잡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내부에서 이의 기능을 제어하는 콘트롤부를 외부에서 임의 조작하기 위하여 조작손잡이를 외부로 부터 콘트롤부의 회전축상에 끼움 고정식으로 연결하여 주었으나, 상기 콘트롤부의 회전축이 조작손잡이의 축이 끼워지는 제품전면판의 통공으로부터 약간 편심된 상태로 내부에 조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손잡이의 축을 콘트롤부의 회전축에 끼움 고정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설사 조립이 된다하여도 축이 제품의 통공에 간섭되어 조작손잡이의 회전 조작이 원활치 못한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어, 상기 내부의 콘트롤부를 재차 정확하게 조립해 주어야 되는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불합리한 점들이 야기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의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제품 내부에 조립된 콘트롤부의 회전축이 약간 편심된 상태로 조립되더라도 이 편심된 만큼의 조립공차를 허용하는 자유변형부를 조작손잡이의 축상에 마련하여 줌으로써 편심결합시에도 조작손잡이의 회전력이 정확하게 콘트롤부에 전달되도록 한 가전제품의 조작손잡이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콘트롤부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조작손잡이의 축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축에 회전축과의 조립공차의 폭을 크게할 수 있는 자유변형부를 마련하여서 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또, 상기 자유변형부를 축 외주연에 수평중심선을 대칭축으로 한 한쌍의 반원호형 제1절개부와 수직중심선을 대칭축으로한 한쌍의 반원호형 제2절개부를 교대로 형성하여서된 다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또, 상기 자유변형부를 비틀림성과 신축성이 양호한 합성고무부재로 형성하여서 된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조에 따른 조작손잡이(1)와 콘트롤부(3)와의 결합관계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로서, 제품 전면판(4)에 상기 조작손잡이(1)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40)와 조작손잡이의 축(10)이 끼워지는 통공(41)을 형성하고, 상기 조작손잡이(1)의 축(10) 적소에는 상, 하, 좌, 우로 휨변형성이 우수한 자유변형부(2)를 형성한다.
상기 자유변형부(2)의 일실시예로서, 축(10)의 외주연 적소에 수평중심선(CL)을 대칭축으로 한 한쌍의 반원호형 제1절개부(20a)와 수직중심선(CL')을 대칭축으로 한 한쌍의 반원호형 제2절개부(21a)를 일정폭만큼 교대로 형성하여 자유변형부(2a)로 할 수 있다.
상기 자유변형부(2)의 다른 실시예로서, 축(10)의 적소에 비틀림성과 신축성이 양호한 재질의 합성고무부재(20b)를 개재시켜 자유변형부(2b)로 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30은 콘트롤부(3)의 회전축, 11은 상기 회전축(30)에 끼워지는 축(10)의 축 끼움공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제품 전면판(4)에 형성된 오목부(40)의 통공(41) 중심에 콘트롤부(3)의 회전축(30)이 정확히 일치하도록 제품 내부에 마련된 브래킷에 상기 콘트롤부(3)를 고정시켜 준 다음, 전면판(4)의 오목부(40)와 통공(41)을 통하여 상기 조작손잡이(1)를 끼워 이의 축(10)상에 형성된 축 끼움공(11)을 콘트롤부의 회전축(30)에 끼워준다.
상기와 같이 조립하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작용에 있어서, 조작손잡이(1)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축(10)을 통하여 이의 회전력이 회전축(30)에 전달되어 콘트롤부(3)를 제품 외부에서 임의로 조작할 수 있게 되고, 만약 회전축(30)이 오목부(40)의 통공(41) 중심으로부터 약간 편심된 상태로 조립되어 있는 경우에도 축(10)상에 형성된 자유변형부(2)로 인하여 조작손잡이(1)의 회전이 정확하게 전달된다.
이와 같이 편심조립된 조작손잡이(1)의 회전 전달 과정을 본 고안의 한실시예인 자유변형부(2a)를 통하여 설명하면, 조작손잡이(1)의 외주연을 오목부(40) 내주연에 회전가능토록 약간 헐겁게 끼워 상, 하, 좌, 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축(10)의 축 끼움공(11)을 회전축(30)에 끼워주면 축(10)상에 형성된 제1, 제2절개부(20a)(21a)로 인하여 축(10)의 자유변형부(2a)가 상, 하, 좌, 우로 신출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상기 편심 정도를 허용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자유변형부(2b) 역시 상기 자유변형부(2a)와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어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효과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콘트롤부(3)가 제품내부에 어느정도 편심조립되어 있더라도 축(10)에 형성시킨 자유변형부(2)로 인하여 편심정도가 허용되기 때문에 상기 콘트롤부를편심되지 않도록 재차 조립을 해야되는 번거로움이 생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구조가 적용된 조작손잡이로 인하여 콘트롤부와의 조립 공차의 폭을 크케하여줄 수 있으므로 해서 조립성의 향상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게 된 신규유용의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콘트롤부(3)의 회전축(30)에 결합되는 조작손잡이(1)의 축(10)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축(10)에 회전축(30)과의 조립공차의 폭을 크게 할 수 있는 자유변형부(2)를 마련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의 조작손잡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변형부(2)를 축(10) 외주연에 수평중심선을 대칭측으로한 한쌍의 반원호형 제1절개부(20a)와 수직중심선을 대칭축으로 한 한쌍의 반원호형 제2절개부(21a)를 교채로 형성하여된 자유변형부(2a)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의 조작손잡이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변형부(2)를 비틀림성과 신축성이 양호한 합성고무부재(20b)를 형성한 자유변형부(2b)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의 조작손잡이 구조
KR92004548U 1992-03-21 1992-03-21 가전제품의 조작 손잡이 구조 KR9700045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4548U KR970004503Y1 (ko) 1992-03-21 1992-03-21 가전제품의 조작 손잡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4548U KR970004503Y1 (ko) 1992-03-21 1992-03-21 가전제품의 조작 손잡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597U KR930022597U (ko) 1993-10-16
KR970004503Y1 true KR970004503Y1 (ko) 1997-05-12

Family

ID=19330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4548U KR970004503Y1 (ko) 1992-03-21 1992-03-21 가전제품의 조작 손잡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5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434B1 (ko) * 2018-11-07 2019-05-30 이보영 지관용 권취장치, 이를 이용한 무진지관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무진지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434B1 (ko) * 2018-11-07 2019-05-30 이보영 지관용 권취장치, 이를 이용한 무진지관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무진지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597U (ko) 199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130438A (en) Rotary knob
US8079287B2 (en) Auto-alignable knob
US3994608A (en) Adapter between knob and shaft
US5284455A (en) Shaft coupling having multiple rib connectors
US5678312A (en) Electric shaver with reduced vibration
KR970004503Y1 (ko) 가전제품의 조작 손잡이 구조
JP3734353B2 (ja) 回転型電気部品の操作機構
US5225970A (en) Twist-in mounting for electromechanical component
US3386127A (en) Control knob connecting means
KR200343607Y1 (ko) 전자렌지의 볼륨노브 구조
JPH0658231U (ja) ヒンジ機構
CN217080858U (zh) 摇头装置及家用电器
KR200228834Y1 (ko) 노브고정장치
KR200325800Y1 (ko) 도어로크의 래치작동용 연결구
CN214254217U (zh) 旋钮操作组件和家用电器
CN212465727U (zh) 一种触控组件及液体加热容器
KR860002882Y1 (ko) 가전 제품의 편심 방지용 회전노브
KR200203822Y1 (ko) 엔코더 겸용 택트 스위치
KR20050123430A (ko) 드럼세탁기의 오조립 방지용 버튼구조
JPH0538641Y2 (ko)
JPS5928887Y2 (ja) 車両用機器の操作装置
KR200202565Y1 (ko) 와이퍼모터용 워엄기어와 릴레이플레이트의 조립구조
JPH09259703A (ja) シーソースイッチ
KR900002117Y1 (ko) 슬라이드 스위치의 작동 장치
KR200189532Y1 (ko) 전자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