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278B1 - 조합형 릴레이 박스 - Google Patents

조합형 릴레이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278B1
KR970004278B1 KR1019930026555A KR930026555A KR970004278B1 KR 970004278 B1 KR970004278 B1 KR 970004278B1 KR 1019930026555 A KR1019930026555 A KR 1019930026555A KR 930026555 A KR930026555 A KR 930026555A KR 970004278 B1 KR970004278 B1 KR 970004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bracket
fastener
relay box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6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0833A (ko
Inventor
유승권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6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278B1/ko
Publication of KR950020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0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2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5/00Details of relays
    • H01H45/02Bases; Casings; Co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조합형 릴레이 박스
제1도는 종래 릴레이 박스에 릴레이가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박스의 분리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릴레이15,55 : 릴레이 박스
20 : 브라켓 고정공21 : 소켓 장착공
24 : 가이드 리브25 : 가이드 홈
26 : 외측 체결구28 : 걸림편
29 : 내측 체결구30 : 브라켓
40 : 연결소켓50 : 평소켓
본 발명은 조합형 릴레이 박스(RELAY BOX)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소켓을 필요에 따라 임의의 수만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조합형 릴레이 박스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릴레이는 입력신호에 따라 전기회로를 개폐해주는 제어용 기기로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10)에 장착하여 회로를 구성토록 되어 있다. 상기 소켓은 다수의 릴레이(12)를 수용할 수 있도록 다수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면부에 소켓편(14)을 형성하여 하나의 릴레이 박스(15)를 형성하며, 상기 릴레이(12)의 리드핀(16)을 상기 소켓편(14)에 삽설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릴레이 박스(15)는 상자 형태이고 자체의 크기가 클 뿐만 아니라 다수의 소켓(1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경우에 따라서는 미사용 소켓(10)이 불필요하게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공간 활용의 측면에서 상당히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브라켓 고정공과 소켓 장착공을 고정판에 천공하고, 수평판 상에 가이드홈을 형성한 브라켓과; 상면에 소켓편을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의 소켓장착고에 삽설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걸림편을 형성하며, 그 대향면에 내측 체결구 또는 외측 체결구를 종방향으로 돌설하는 한편, 상기 가이드홈 내측에서 섭동할 수 있도록 상기 대향면과 인접하는 양측면 하단에 가이드리브를 돌설한 연결 소켓과; 상기 연결소켓의 걸림편 대신에 외측 체결구 또는 내측 체결구를 돌설한 평소켓으로 구성함으로서, 필요한 수만큼의 소켓만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경제적이며 미사용소켓이 불필요하게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공간활용을 극대화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조합형 릴레이 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 고정공(20)과 소켓 장착공(21)을 고정판(22)에 천공하고, 수평판(23)상에 가이드홈(Guide Groove)(25)을 형성한 브라켓과; 상면에 소켓면(27)을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30)의 소켓장착공(21)에 삽설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걸림편(28)을 형성하며, 그 대향면에 내측 체결구(29) 또는 외측 체결구(26)를 종방향으로 돌설하는 한편, 상기 가이드홈(25) 내측에서 섭동할 수 있도록 상기 대향면과 인접하는 양측면 하단에 가이드리브(Guide RiB)(24)를 돌설한 연결소켓(40)과; 상기 연결소켓(40)의 걸림편(28) 대신에 외측 체결구(26) 또는 내측 체결구(29)를 돌설한 평소켓으로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브라켓(30)의 고정판(22)상에 브라켓고정공(20)이 있어 소켓(40,50)이 장착된 상기 브라켓(30)을 고정할 수 있으며, 소켓 장착공(21)은 연결소켓(40)의 걸림편(28)이 삽착되는 부위이다. 또한 수평판(23)에 가이드홈(25)이 형성되어 있어 연결소켓(40)의 가이드리브(24)가 섭동장착된다. 상기 소켓(40,50)은 두가지 형태로 제작된다. 하나는 연결소켓(40)으로, 일측면에는 내측 체결구(29)가 있고 타측면에는 걸림편(28)이 형성되어 있어 평소켓(50)을 장착하기 전, 상기 브라켓(30)의 소켓장착공(21)에 먼저 장착하며 다른 하나는 상기 연결소켓(40)에 삽설하는 평소켓(50)으로, 외측 체결구(30)와 내측 체결구(29)가 장착되어 있을 뿐이다. 상기 내측 체결구(29)의 하단에는 받침턱(32)이 형성되어 있어 외측 체결구(3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박스(55)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브라켓(30)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다수의 소켓(40,50)을 장착할 수 있도록 발명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필요한 수만큼의 소켓만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경제적이며, 미사용 소켓이 불필요하게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공간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브라켓 고정공(20)과 소켓 장착공(21)을 고정판(22)에 천공하고, 수평판(23)상에 가이드홈(25)을 형성한 브라켓과; 상면에 소켓편(27)을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30)의 소켓장착공(21)에 삽설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걸림편(28)을 형성하며, 그 대향면에 내측 체결구(29) 또는 외측 체결구(26)를 종방향으로 돌설하는 한편, 상기 가이드홈(25) 내측에서 섭동할 수 있도록 상기 대향면과 인접하는 양측면 하단에 가이드리브(24)를 돌설한 연결소켓(40)과; 상기 연결소켓(40)의 걸림편(28) 대신에 외측 체결구(26) 또는 내측 체결구(29)를 돌설한 평소켓(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릴레이 박스.
KR1019930026555A 1993-12-06 1993-12-06 조합형 릴레이 박스 KR970004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6555A KR970004278B1 (ko) 1993-12-06 1993-12-06 조합형 릴레이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6555A KR970004278B1 (ko) 1993-12-06 1993-12-06 조합형 릴레이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833A KR950020833A (ko) 1995-07-24
KR970004278B1 true KR970004278B1 (ko) 1997-03-26

Family

ID=19369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6555A KR970004278B1 (ko) 1993-12-06 1993-12-06 조합형 릴레이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27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833A (ko) 199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15381A (ko) 전기 커넥터
KR970018869A (ko) 단자 모듈을 구비한 전기 커넥터
KR900015384A (ko) 기판상에 장착되기 위한 접속기
KR950000307A (ko) 볼트조임형 커넥터
KR930018780A (ko) 전기 코넥터의 제1 및 제2절반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장치
KR890009021A (ko) 다중폴 전기플럭 및 소켓
KR970004278B1 (ko) 조합형 릴레이 박스
KR920017304A (ko) 콘넥터 하우징 및 이를 사용하는 콘넥터
KR950004646A (ko) 전선연결용 코넥터
KR960706212A (ko) 전기 커넥터 및 고정 부재(Electrical Connector and Affixing Member)
KR950034929A (ko) 기판 고정기구를 가지는 전기 커넥터
KR0122537Y1 (ko) 콘넥터
KR940000742Y1 (ko) 전자 기기용 그라운드(Ground)접지장치
KR20030014000A (ko) 회로기판 설치구조
KR920004829Y1 (ko) 전기, 전자기기의 부재연결용 보스
KR860000790Y1 (ko) 분전반 배선용 차단기
KR910005795Y1 (ko) 콘센트 고정 장치
KR890004481Y1 (ko) 택 스위치용 노브의 고정 장치
KR20050114507A (ko) 커넥터하우징
KR930005055Y1 (ko) 콘트롤부의 pcb 고정용 브라켓
KR950002909Y1 (ko) 전자레인지의 디지트론 고정구조
KR200186999Y1 (ko) 튜너의 핀블럭 결합구조
KR200279074Y1 (ko) 도어핸들의 고정구조
KR200187000Y1 (ko) 튜너의 핀블럭 결합구조
KR0112969Y1 (ko) 전원 접속용 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