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014Y1 - 개량 뜰채 - Google Patents

개량 뜰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014Y1
KR970004014Y1 KR2019940021689U KR19940021689U KR970004014Y1 KR 970004014 Y1 KR970004014 Y1 KR 970004014Y1 KR 2019940021689 U KR2019940021689 U KR 2019940021689U KR 19940021689 U KR19940021689 U KR 19940021689U KR 970004014 Y1 KR970004014 Y1 KR 9700040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ixing
fixed
gardening
squ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16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6759U (ko
Inventor
최종대
Original Assignee
최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대 filed Critical 최종대
Priority to KR20199400216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014Y1/ko
Publication of KR9600067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7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0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0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7/00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 A01K77/005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foldab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개량 뜰채
제1도는 본고안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고안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제 3도의 A-A ' 선 단면도.
제5도는 종래고안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뜰채, 2,2a,2b,2c : 만곡봉
3,3a,3b : 절첩구, 4 : 고정구
5 : 삽입고정부, 6 : 구멍
7 : 사각돌부, 8 : 고정나사
9 : C형링, 10 : 조립구
11 : 외곽고정체, 12 : 관통구멍
13 : 삽입고정사각돌부, 14 : 자루
15 : 사각구멍, 16 : 나공
17 : 연결관체
본고안은 강이나, 바다 및 호수나 저수지 등에서 낚시를 할 때, 낚시로 건져올리기 힘든 큰 물고기가 걸렸을때,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잡을수 있도록 하는 뜰채로서, 특히, 뜰채와 자루의 조립분해가 손쉽고 사용도중 조립부위가 풀리거나 망실되지 않도록 구성을 개량하여서 된 개량뜰채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생활 구조 및 문화. 그리고 과학의 발달로 인하여 인간에게 필요한 모든 기구들이 경량화, 소형화되고 있으며. 소형화 시키기 곤란한 기구들은 주로 절첩구조나 삽탈구조를 응용하여 사용할 때에는 펼쳐 사용하고, 휴대, 운반, 보관시에는 주로 절첩시켜 부피를 최소화한후 사용하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라 할수 있다.
또 이러한 추세는 생활, 사무용품 뿐만이 아니라 레져용에 까지 미치고 있으며 특히 낚시분야에서의 보조재, 즉 받침대, 뜰채, 낚시용 의자등등에서도 찾아볼수 있는데, 본고안에서는 낚시용품중 뜰채의 구조만을 개선하고자 하려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뜰채는 경질이면서 경량인 금속관체를 원호상으로 절곡시켜 뜰채를 구성함에 있어서, 뜰채 자체를 4등분하여 절첩구조로 한것과, 또 뜰채와 자루의 조립 및 분해를 원활하게 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할때는 뜰채를 펴고 자루를 조립하여 사용하고, 휴대시에는 뜰채를 절첩시키고 자루를 분해하여 부피가 작게 되도록 구성함으로서 휴대 및 운반, 사용을 보다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할수 있도록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위와같은 뜰채구성에 있어서, 뜰채와 자루가 서로 조립되는 부분은 가장 힘을 많이 받는 부분으로 볼 수 있는데, 종래의 뜰채는 제 5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뜰채(la)를 구성하는 일측 만곡봉(2)의 끝단과 타측만곡봉(2c)의 끝단에 각각 나사봉(21)을 돌설한 구정구(22)와 구멍(23)을 가진 조립구(24)를 핀(25)으로 고정시켜, 조립시에는 타측만곡봉(2c) 끝단에 형성된 나사봉(21)에 일측만곡봉(2)에 조립고정된 조립구(24)의 구멍(23)을 끼운후, 상기 구멍(23)을 통하여 돌설된 나사봉(21)에 너트(2b)를 나합시킨다음, 자루 선단을 나합고정시켜서 뜰채(1a)사용이 가능토록 하였기에 사용할 때 물고기의 중량등으로 인하여 체결부위가 풀어질 염려가 컸고, 뜰채와 자루조립 분해시 뜰채를 회전시키거나 아니면 자루를 회전시켜야만 하였음으로 매우 번거로웠음은 물론 너트의 분실이 잦은 등의 폐단이 따랐던 것이다.
따라서 본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폐단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뜰채와 자루의 조립분해가매우 손쉬우면서, 뜰채사용증 풀릴염려가 전혀 없도록 하고, 이와더불어 부품이 망실될 임려가 전혀 없도록 하며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뜰채 및 자루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4개의 만곡봉(2)(2a)(2b)(2c)을 절첩구(3)(3a)(3b)와 고정구 및 조립구로써 조립고정시켜 절첩 및 조립이 가능케 하여서 된 뜰채(1)와 자루에 있어서,
일측만곡봉(2) 끝단부에 조립고정된 고정구(4)는 삽입고정부(5) 선단에 구멍(6)을 가진, 사각돌부(7)를 형성하여, 구멍(6)에 고정나사(8)를 관통시킨후 C 형링(9)을 체결하여 분해되지 않도록 설치하고, 타측만곡봉(2c) 끝단부에 조립고정되는 조립구(10)는 상기 사각돌부(7)외주연에 삽입고정되도록 외곽 고정체(11)를 형성하되, 상면에는 중앙부에 관통구멍(12)을 가진 삽입고정사각들부(13)를 형성하며, 자루(14) 선단에 사각구멍(15) 및 나공(16)을 가진 연결관체(17)를 삽입 고정시켜 낚시대처림 삽탈자재한 자루(14)와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였다.
미설명 부호 18은 와셔이고, 19는 고정판이며, 20은 망이다
위와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고안의 뜰채(1)와 자루(14)를 조립고정시킬때의 과정을 설명하면. 절첩구(3)(3a)(3b)의 작용에 의하여 절첩상태에 놓여있던 만곡봉(2)(2a)(2b)(2c)을 펼쳐 환형의 링으로 형성하되, 이때. 일측만곡봉(2) 끝단부에 조립고정된 고정구(4)의 사각돌부(7)에 타측만곡봉(2c)끝단부에 조립고정된 조립구(10)의 외곽고정체(11)를 와삽하면, 사각돌부(7)에 관통설치된 고정나사(8) 선단부가 외곽고정체(11)의 관통구멍(12)을 통하여 삽입고정사각돌부(13) 쪽으로 관통되어 돌설되고 이때 자루(14) 선단의 연결관체(17)에 형성된 사각구멍(15)을 삽입 고정사각돌부(13)로 끼우면서 고정나사(8)를 체결시키면 되는 것이다.
즉, 본고안은 종래 일일이 자루나 뜰채 자체를 회전시키던 것과는 달리 고정나사(8)만 회전시켜주면 되므로,조립사용시 매우 편리하며, 또, 자루(14) 선단의 연결관체(17)에 사각구멍(15)을 형성하고, 외곽고정체(11)에는 삽입고정 사각돌부(13)를 돌설함으로써 조립사용시 자루(14)나 뜰채가 사용도중 서로 풀어질 염려가 전혀없어 안정적으로 사용할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또 전술한 바와같은 본고안의 사각구멍(15)이나 삽입고정 사각돌부(13)는 반드시 사각이 아니더라도 육각이나 팔각 또는 타원형등으로 형성할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사각으로 형성하였을때와 같이 풀어져 회전되거나 분해될 염려가 전혀 없으며, 설사 연결관체(17)가 삽입고정사각돌부(13)와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나사(8)가 견고하게 체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 하더라도 결코 풀어질 염려가 전혀 없어 안정적인 사용이 용이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고안은 뜰채와 자루(14)를 조립시, 뜰채나 자루(14)를 회전시키지 않고도 고정나사(8)만으로 견고하면서도 간편하게 조립사용할수 있게되고, 또 고정나사(8)가 뜰채에 조립된 상태에서 항상 존재하므로서 분실 될 염려가 전혀 없음은 물론 사용중 분해될 임려가 전혀 없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4개의 만곡봉(2)(2a)(2b)(2c)을 절첩구(3)(3a)(3b)와 고정구 및 조립구로써 조립고정시켜 절첩 및 조립 분해가 가능케 한 뜰채와 자루에 있어서, 일측 만곡봉(2) 끝단부에 조립고정된 고정구(4)는 삽입고정부(5)선단에 구멍(6)을 가진 사각돌부(7)를 형성하여 구멍(6)에 고정나사(8)를 관통시킨후 C형링(9)을 체결하여 분해되지 않도록 설치하고, 타측만곡봉(2c) 끝단부에 조립고정되는 조립구(10)는 상기 사각돌부 외주연에 삽입고정되도록 외곽고정체(11)를 형성하되, 상면에는 중아부에 관통구멍을 가진 삽입고정사각돌부(13)를 형성하며,자루(14) 선단에 사각구멍(15) 및 나공(16)을 가진 연결관체(17)를 삽입고정시켜 뜰채(1)와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뜰채.
KR2019940021689U 1994-08-24 1994-08-24 개량 뜰채 KR9700040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689U KR970004014Y1 (ko) 1994-08-24 1994-08-24 개량 뜰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689U KR970004014Y1 (ko) 1994-08-24 1994-08-24 개량 뜰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759U KR960006759U (ko) 1996-03-13
KR970004014Y1 true KR970004014Y1 (ko) 1997-04-25

Family

ID=19391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1689U KR970004014Y1 (ko) 1994-08-24 1994-08-24 개량 뜰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0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759U (ko) 1996-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6091A (en) Collapsible tripod stool
US6237169B1 (en) Foldable trampoline
WO1995009555A1 (en) Beverage container holder with alternate supports
US20080156715A1 (en) Modular Designed Handle/Net Apparatus
CA2311102A1 (en) Exercise device and kit
CA2022369A1 (en) Tent positionable between collapsed and erect conditions
KR20120024226A (ko) 일자형 뜰채
KR970004014Y1 (ko) 개량 뜰채
US10687628B1 (en) Beach chair securing device
KR20090098164A (ko) 막대걸레
KR100394237B1 (ko) 시비기
KR200198351Y1 (ko) 신축 가변형 빗자루
KR20060012496A (ko) 낚싯대용 팔 받침대
JPH0750938Y2 (ja) 多種の方向に回転する釣竿フレーム
KR950005932Y1 (ko) 뜰채
RU2056778C1 (ru) Трость с зонтом
KR200229868Y1 (ko) 낚시용 뜰채의 후레임 고정장치
KR850000775Y1 (ko) 회전식 파라솔
JP2005137230A (ja) 背負い式粒状物散布器
KR900005163Y1 (ko) 절첩식 낫
JPH0124966Y2 (ko)
JPS5975017A (ja) 人造クリスマスツリ−
KR910001499Y1 (ko) 파라솔 지게
JPH068861Y2 (ja) 柄付き掃除具
KR950003824Y1 (ko) 휴대용 야전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