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920Y1 - 위생기용 조절대 - Google Patents

위생기용 조절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920Y1
KR970003920Y1 KR2019940012288U KR19940012288U KR970003920Y1 KR 970003920 Y1 KR970003920 Y1 KR 970003920Y1 KR 2019940012288 U KR2019940012288 U KR 2019940012288U KR 19940012288 U KR19940012288 U KR 19940012288U KR 970003920 Y1 KR970003920 Y1 KR 9700039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nut
tube
adjust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22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409U (ko
Inventor
이내천
Original Assignee
이내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내천 filed Critical 이내천
Priority to KR20199400122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920Y1/ko
Publication of KR9500334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4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9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9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5Water supply lines as such, e.g. shower h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위생기용 조절대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3도는 너트가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
제4a, 4b도는 종래 물품의 단면도.
제5도는 본 물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무파이프 2 : 망체
3, 3' : 고정관 4, 4' : 고정구
5 : 너트 6 : 돌출편
7 : 단턱 8 : 요홈
9 : 패킹
본 고안은 위생기용 조절대에 관한 것으로 물 공급용 배관에 연결되는 것으로, 특히 물공급용 배관이 설치된 후에 위생기로 사용되는 용변기나 세면기에 배관파이프를 연결할 경우에 정확한 길이조정이 되지 않기 때문에 조절대를 이용하여 용변기나 세면기의 높이가 낮을 경우에도 조절대를 이용하여 높이를 조절하였던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절대는 제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관파이프로 된 것으로 일측으로는 확관을 하여 너트의 빠짐이 없도록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패킹을 이용하여 너트를 고정시키고 있으나 이러한 직관파이프의 단점은 패킹이 직관파이프에 삽입되어 있어서 약간의 힘을 가할 경우에는 패킹의 밀림현상으로 조절된 높이의 변경으로 인하여 누수의 원인이 되고 있고 배관파이프와 위생대의 거리가 직선일 경우에는 설치가 용이하나 직선으로 되지 않을 경우에는 직관 파이프를 구부려야 하기 때문에 비스듬하게 너트가 결합되어져서 정확한 너트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이러한 틈새로 누수의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제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성이 우수한 호스를 이용하여 너트로 결합시키고 있으나 유연성이 우수한 호스에 너트를 형성하기 위하여는 너트가 호스에 분리가 불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어서 배관파이프의 구경에 따라 다양한 종류를 구비하여야 하고 이로 인하여 배관파이프에도 너트가 결합되어 있을 경우에는
배관파이프에 결합되어 있는 너트를 뻬버리기 때문에 불필요한 부품(너트)의 낭비를 가져오고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유연성이 우수한 호스에 너트를 결합함에 있어서 삽입 내지 분리가 가능토록하여 너트를 결합할 경우에는 직관으로 사용된 조절대의 장점과 호스로 제조되는 조절대의 장점만으로 된 제품의 개발이 요구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개발된 것으로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와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유연성이 우수한 고무파이프(1)의 외측면에 금속재의 망체(2)를 씌워 유연성과 내압, 외압성을 우수하게 하며, 고무파이프(1)가 꺾어지는 폐단과 손상되는 것을 억제하고, 금속재의 망체(2)가 씌워진 고무파이프(1)의 양쪽 끝단에는 금속재의 고정관(3)을 삽입한후, 고정관(3)에 고정되는 고정구(4)를 형성하고 일측의 고정구(4)에는 상부에는 너트(5)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편(6)을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2단턱(7)이 형성되는 고정구(4')를 고정관(3')에 결합하고 단턱(7)으로 형성되는 요홈(8)에는 탈착이 가능한 패킹(9)을 형성하여 호스로 삽입된 너트가 임의대로 빠지지 않도록 하였다.
따라서 고무파이프(1)의 양쪽 끝단에 고정되는 고정구(4, 4')에서 타측의 고정구(4')를 너트(5)의 분리가 가능토록 2단턱(7)으로 형성하여 단턱(7)으로 구분되는 요홈(8)에 삽착된 패킹(9)의 분리만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함으로서, 너트(5)를 임의 대로 빼내거나 삽입이 가능하여 배관용파이프(21)의 구경과 맞지 않을 경우에도 너트(5)만을 교환함으로서 종래와 같이 호스로된 조절대가 너트의 분리가 불가능한 상태이므로 배관파이프의 구경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조절대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배관파이프에도 너트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조절대에 너트를 삽입하지 않고 판매를 함으로서 간단하게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또한 조절대가 유연성이 우수한 호스로 되어 있어서 높이나 위치가 서로 다를 경우에도 직관으로된 조절대와 같이 구부림이 용이하지 믓하고 설사 구부렸을 경우에도 구부림 각에 의하여 너트의 결합이 배관파이프와 정확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을 호스의 유연성으로 인하여 정확한 연결이 가능한 것이며 또한 패킹(9)이 요홈(8)에 삽입되어 지므로 종래의 직관 조절대와 같이 패킹의 밀림으로 인한 누수의 염려가 없는 것이다.

Claims (1)

  1. 유연성이 우수한 고무파이프(1)의 외측면에 금속재의 망체(2)를 씌워 유연성과 내압, 외압성을 우수하게 하며, 고무파이프(1)가 꺾어지는 폐단과 손상되는 것을 억제하고, 금속재의 망체(2)가 씌워진 고무파이프(1)의 양쪽 끝단에는 금속재의 고정관(3)을 삽입한 후, 고정관(3)에 고정되는 고정구(4)가 양측에 형성되는 공지의 것에 있어서, 타측으로는 2단턱(7)이 형성되는 고정구(4')를 고정관(3')에 결합하고 단턱(7)으로 형성되는 요홈(8)에는 탈착이 가능한 패킹(9)을 형성하여 호스로 삽입된 너트가 임의대로 빠지지 않도록 한 조절대의 구조.
KR2019940012288U 1994-05-30 1994-05-30 위생기용 조절대 KR9700039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2288U KR970003920Y1 (ko) 1994-05-30 1994-05-30 위생기용 조절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2288U KR970003920Y1 (ko) 1994-05-30 1994-05-30 위생기용 조절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409U KR950033409U (ko) 1995-12-16
KR970003920Y1 true KR970003920Y1 (ko) 1997-04-24

Family

ID=19384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2288U KR970003920Y1 (ko) 1994-05-30 1994-05-30 위생기용 조절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9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409U (ko) 199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90679A (en) Hose connector
NO20033494L (no) Rörkopling med separerbar rörgripingsanordning
US4276662A (en) Plug device for drainpipe of basin or bathtub
ATE274166T1 (de) Schauchverbindung und schraubmuffe dafür
NO20004789L (no) Gjengeforbindelse for metallrör beregnet til å inneholde et korrosivt fluid
CA2070241A1 (en) Replacement roof drain insert coupling
JPH05214749A (ja) カランの取付構造
KR970003920Y1 (ko) 위생기용 조절대
FR2548708B1 (fr) Garniture d'etancheite a manchon d'emboitement pour tuyaux en beton comportant un element d'etancheite fixe sur la cloche de tuyau
ES2069341T3 (es) Intercambiador de calor para tuberias o tubos flexibles que conducen aguas residuales.
DE29617552U1 (de) Leitungselement in Form eines Wellschlauches oder Balges
ATE378476T1 (de) Sanitäre auslaufarmatur
US5329646A (en) Drain flusher device
ATE478296T1 (de) Kupplungskörper für polymerrohre mit einer rohrstossfläche
US2050365A (en) Sink flusher
SE8203104L (sv) Vattenledningskran
ITPN970022A1 (it) Raccordo rapido per tubi flessibili di diametri diversi
ATA174694A (de) Bausatz von rohrförmigen armaturen für die wasserleitungs-, sanitär-, heizungs-, gasleitungstechnik u.dgl.
KR920006387Y1 (ko) 하수도관 청소구
KR0125198Y1 (ko) 위생기용 조절대
KR960005430Y1 (ko) 후렉시블 콘크리트관
JP3042899U (ja) 節水器具用アダプター
FR2381138A1 (fr) Raccord, notamment pour l'evacuation des eaux residuaires des appareils sanitaires
KR200174145Y1 (ko) 세탁기의 급수호오스
JP2005213725A (ja) 継手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