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871B1 - Horizontal transport apparatus for a parking garage - Google Patents
Horizontal transport apparatus for a parking gara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70003871B1 KR970003871B1 KR1019930007096A KR930007096A KR970003871B1 KR 970003871 B1 KR970003871 B1 KR 970003871B1 KR 1019930007096 A KR1019930007096 A KR 1019930007096A KR 930007096 A KR930007096 A KR 930007096A KR 970003871 B1 KR970003871 B1 KR 9700038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lift
- pallet
- frame
- outer en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movable platform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palettes
- E04H6/225—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movable platform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palettes without transverse movement of the parking palette after leaving the transf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요약없음No summary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계되는 차량 수평이송장치가 장착된 입체주차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개략 사시도이다.1 is an overall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equipped with a vehicle horizontal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의 리프트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ft portion of FIG.
제3도는 제2도에 나타내는 차량 수평이송장치도의 전체 사시도이다.3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horizontal transfer apparatus diagram shown in FIG.
제4도는 제3도에 나타내는 차량 수평이송장치의 세로단면도이다.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horizontal vehicle transport apparatus shown in FIG.
제5도는 제3도에 나타내는 차량 수평이송장치의 외단부 부근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near the outer end of the vehicle horizontal transfer apparatus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차량격납부2 : 리프트1: vehicle storage 2: lift
3 : 차량 얹어놓는용 팰러트6 : 차량이송장치3: vehicle mounting pallet 6: vehicle transport apparatus
7 : 프레임7b : 프레임의 외단부7: frame 7b: outer portion of the frame
9 : 외단부 스프로켓트11 : 리프트의 테9: outer end sprocket 11: lift frame
14 : 구동장치21 : 연동수단14 drive device 21 interlocking means
본 발명은 입체주차장치에 있어서의 차량 수평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정된 주차공간을 유효적절하게 활용하고 주차효율의 향상을 의도한 입체주차장치의 하나로서 이하와 같은 구성의 것이 알려져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rizontal vehicle transport apparatus for a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As one of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s intended to effectively utilize the limited parking space and to improve the parking efficiency, the following configurations are known.
우선, 차량을 내부에 격납하는 차량격납부가 상하로 겹쳐싸여서 실시된다. 이 차량격납부의 측방에는 차량격납부를 따라서 승각하는 리프트가 설치되어 있다.First, the vehicle storage part which stores a vehicle inside is piled up and down and implemented. The side of this vehicle storage part is provided with the lift which elevates along the vehicle storage part.
또, 상기 각 차량격납부에는, 각 상면에 차량을 얹을 수 있도록 형성된 차량 얹어놓기용의 팰러트가 설치되어 있다. 이 팰러트는, 상기 리프트와 상기 각 차량격부 사이에서 수평이동을 자유롭게 한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에 의한 팰러트의 승강이동과 상기 리프트와 상기 각 차량격납부 사이에서의 팰러트의 수평이동을 통해서, 상기 각 차량격납부내에 팰러트마다 각각 차량을 주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a pallet for vehicle mounting is formed in each of the vehicle storage sections so as to mount the vehicle on each upper surface. The pallet freely moves horizontally between the lift and the vehicle compartment. In addition, the vehicle can be parked for each pallet in each of the vehicle storage units by the lifting and lowering movement of the pallets by the lift and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pallets between the lift and each vehicle storage unit.
이런 종류의 주차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각 차량격납부와 상기 리프트 사이에서 상기 팰러트를 수평이동시키기 위하여 예를들면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택되고 있었다. 즉, 상기 각 차량격납부에는 한쌍의 스프로켓트가 상기 팰러트를 보내는 방향으로 가지런히 각각 설치된다. 이들의 스프로켓트는 각각 상기 팰러트를 보내는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상기 한상의 스프로켓트에는 무단체인이 각각 감겨져 걸려 있다. 이 무단체인은 각 차량격납고에 각각 설치된 정·역회전이 자유로운 구동장치에 의하여 정전방향 및 역전방향으로 회전한다.In this kind of parking lot valu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has been adopted, for example, to horizontally move the pallet between the respective vehicle housings and the lift. That is, a pair of sprockets are arranged in each of the vehicle housing parts in the direction of sending the pallet. Each of these sprockets is directed in the direction to which the said pallet is sent. Non-members are wound around each sprocket of the Hansang. This unmanned person rotates in the blackout direction and the reverse direction by means of a drive device freely rotating in the reverse direction.
상기 각 체인에는 훅이 각각 장착되고, 수평이송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각 팰러트에는 상기 체인의 회정에 의하여 상기 훅이 걸리는 걸어맞춤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가 주차하려고 하는 차량격납부의 바로 옆까지 상승하여 정지한후, 그 차량격납부에 설치된 상기 구동장치가 작동하여 상기 체인을 회전시킨다. 이에 의하여 상기 체인에 장착된 상기훅이 상기 팰러트에 설치된 상기 걸어맞춤부에 걸려서 상기 팰러트가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Each of the chains is provided with hooks, and a horizontal feeder is provided. Moreover, the engaging parts which catch the said hook are provided in each said pallet by rotation of the said chain, respectively. After the lift ascends and stops right next to the vehicle containment part to be parked, the drive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containment part operates to rotate the chain. As a result, the hook mounted on the chain is caught by the engaging portion installed on the pallet, thereby moving the pallet.
그러나, 상기 종래 구성에 의하면, 각 차량경납부 내에 각각 체인을 펴는 동시에 이들의 체인을 구동하는 구동장치를 각 차량격납부마다 설치해야 했다. 이 때문에 주차장치 설치현장에 있어서의 작업이 번잡한 외에 비용이 많아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 conventional configuration, a drive device for driving the chains while extending the chains in each of the vehicle storage units must be provided for each vehicle storage unit. For this reason, the work in the parking lot installation site is complicated and the cost increases.
이 대책으로서, 각 차량격납부마다 설치하고 있던 수평이송장치를 페지하고, 리프트측에 수평이송장치를 각각 설치하는 것이 고려되었지만, 리프트의 테위에 수평이송장치를 그래도 탑재한 것으로는, 수평이송장치의 두께분큼 리프트의 바닥부가 두꺼워지고 리프트상의 팰러트에의 차량을 타기가 곤란해지는 등의 불편이 생긴다.As a countermeasure, it has been considered to eliminate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installed in each vehicle storage unit and to install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on the lift side, but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is still mounted on the lift frame. The thickness of the lift increases the bottom of the lift, making it difficult to ride the vehicle on the pallet on the lift.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이다.It i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리프트측에 수평이송장치를 설치해도 리프트의 바닥부를 얇게 할 수 있고, 리프트상에 차량이 용이하게 승강할 수 있는 입체주차장치에 있어서의 차량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transport apparatus in a three-dimensional parking apparatus which can make the bottom of the lift thin even when a horizontal transport apparatus is provided on the lift side, and the vehicle can be easily elevated on and off the lift. .
또,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설치현장에 있어서의 작업이 간단하고 저렴한 주차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입체주차장치에 있어서의 차량 수평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Further,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horizontal transfer apparatus in a three-dimensional parking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a simple and inexpensive parking lot value at the installation sit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의 입체주차장치에 관하여 실시된다. 즉, 상하로 겹치는 적절한 수단의 차량격납부, 이들의 차량격납부 각각에 대응해서 설치된 차량 얹어 놓는용 팰러트, 및 상기 각 차량 격납부의 측방을 따라서 상기 각 팰러트를 승강시키는 리프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리프트와 상기 각 차량격납부 사이에서 상기 팰러트마다 차량의 수평이송이 행하여지는 입체 주차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implemented with respect to a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That is, it includes a vehicle storage unit of appropriate means overlapping up and down, a vehicle-mounting pallet install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f these vehicle storage units, and a lift for elevating the pallets along the sides of the vehicle storage units. It is a three-dimensional parking lot value in which horizontal transportation of the vehicle is performed for each of the pallets between the lift and the vehicle storage units.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의 구성요소, 즉 박형으로 형성된 양외단부를 가지며, 이 양외단부를 상기 리프트에 얹어 상기 팰러트를 보내는 방향을 항하여 상기 리프트내에 설치되는 프레임, 이 프레임의 상기 양외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팰러트를 보내는 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로운 외단부 스프로켓트, 이들의 외단부 스프로켓트 사이에 감겨져 걸린 무단체인, 이 무단체인을 회전시키는 정·역회전이 자유로운 구동장치, 상기 무단체인 및 상기 각 팰러트에 설치되어 상기 무단체인의 회전에 의하여 상호 걸어맞춤하여 상기 팰러트를 수평이동시키는 연동수단을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components, that is, both outer ends formed in a thin shape, and the frame is installed in the lift along the direction of sending the pallet by placing both outer ends on the lift, External end sprockets respectively mounted on the outer ends of the frame and free to rotate in the direction of sending the pallet, and driven freely and reversely for rotating this unmanned person, which is wound and wound between these outer end sprockets. Apparatus, the unmanned person and each of the pallets are interlocked means for horizontally moving the pallet by engaging with each other by the rotation of the unmanned person.
본 발명의 차량 수평이송장치는 박형으로 형성된 프레임의 양외단부를 리프트의 테위에 얹어놓고 리프트의 테내에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가 승강작동하여 목폭의 차량격납부의 바로 옆에 정지한다. 그후, 구동장치가 작동하여 무단체인을 팰러트를 보내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무단체인 회전하면, 무단체인과 상기 팰러트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연동수단이 상호걸어맞춤하고, 상기 무단체인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팰러트가 소정방향으로 이동된다.The vehicle horizontal transfe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s the outer end portions of the thin frame on the lift ledge and mounts the lift rim. Then, the lift is lifted and stopped next to the vehicle housing of the neck width. After that, the driving device is operated to rotate the unmanned person in the direction of sending the pallet. When the groupless rotation, the interlocking means and the interlocking means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pallet is engaged with each other, the pallet is mov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groupless.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이송장치는 프레임의 양외단부가 박형으로 형성되고, 이 양외단부를 리프트의 테위에 얹어놓고 리프트이 테내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리프트의 상부를 박형의 것으로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vehicle transpor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s of the frame are formed in a thin shape, and both ends are mounted on the rim of the lift, and the lift is mounted in the rim. Therefore, the upper part of the lift can be made thin.
또, 본 발명의 차량 수평이송장치는 리프트 측면에 장착되는 것이기 때문에 차량격납부가 몇개가 되더라도 장착작업이 1회로 끝난다. 따라서, 주차장치의 설치현정에 있어서의 작업이 용이하다. 또, 1기의 주차장치에 차량 수평이송장치가 1개로 족하고, 비용도 저렴하다.In addition, since the vehicle horizontal transfe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lift, the mounting operation is completed once even if there are any number of vehicle storage units. Therefore, the operation | work in the installation situation of a parking lot value is easy. In addition, there is only one vehicle horizontal transfer device in one parking lot value, and the cost is low.
이하,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를 들어 더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차량 수평이송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주차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우선, 동주차장치의 개략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차량격납부, 2는 리프트를 나타내고 있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arking lot value using the vehicle horizontal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n outline of the park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the figure, 1 denotes a vehicle storage portion and 2 denotes a lift.
상기 각 차량격납부(1)는, 각각 내부에 차량을 격납할 수 있는 넓이가 있고, 상하에 겹쳐서 복수단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편측 3단 구조이다. 상기 각 차량격납부(1) 내에는 상면에 차량을 얹고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을 시킬 수 있는 팰러트(3)가 각각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상기 리프트(2)는 상기 차량격납부(1)의 측방에 위치하고 상기 차량격납부(1)를 따라서 승강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각 차량격납부(1)내 및 상기 리프트(2) 위에는, 서로 상하위치를 합치면 직선적으로 접속하는 레일(4, 5)이 전후로 평행하게 2개씩 부설되어 있다. 또, 상기 팰러트(3)의 이면에는, 상기 레일(4, 5)의 위를 구르는 전동륜(28)이 전후에 1쌍씩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2)를 상승시켜서 어느 하나의 차량격납부(1)의 바로 옆에 상기 레일(4, 5) 서로의 상하위치를 맞추어서 정지시키고, 이어서 상기 차량격납부(1) 내의 상기 팰러트(3)를 지상까지 내리고, 제1도의 표시와 같이, 이 팰러트(3) 위에 차량 C를 얹는다. 그 후, 상기 리프트(2)를 상승작동시키고 차량 C를 얹은 팰러트(3)를 상기 차량격납부(1)의 바로 옆까지 들어올린다. 상기 리프트(2) 위의 팰러트(3)을 상기 차량격납부(1)내로 수평이동시켜서 주차가 완료한다.Each said vehicle storage part 1 has the area which can store a vehicle inside each, and is provided in multiple stages overlapping up and down. In the figure, it is a one-sided three-stage structure. In each of the vehicle housings 1, a pallet 3 is arranged, one for each of which allows the vehicle to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and to be slid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lift 2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vehicle storage unit 1 and moves up and down along the vehicle storage unit 1. In each of the vehicle storage sections 1 and on the lift 2, two rails 4 and 5 which are linearly connected when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are joined to each other are provid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Moreover, on the back surface of the said pallet 3, the pair of electric wheels 28 which rolls up the said rails 4 and 5 are provided in front and rear, respectively. Then, the lift 2 is raised to stop the rails 4 and 5 along the up and down positions of each other immediately next to any one of the vehicle storage units 1, and then the pallet in the vehicle storage unit 1 is stopped. The root 3 is lowered to the ground and the vehicle C is placed on the pallet 3 as shown in FIG. Thereafter, the lift 2 is lifted up and the pallet 3 on which the vehicle C is placed is lifted up to the immediate side of the vehicle housing 1. Parking is completed by horizontally moving the pallet 3 on the lift 2 into the vehicle housing 1.
제1도 중, 10은 상기 리프트(2)의 옆으로 옮겨진 팰러트(3) 위에 차량 C가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된 경사진 진입판이다. 이 진입판(10)은 상기 리프트(2)와 일체로 설치하면 좋다.In FIG. 1, 10 is an inclined access plate provided to allow the vehicle C to easily enter on the pallet 3 moved to the side of the lift 2. The entry plate 10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lift 2.
상기 리프트(2)는, 제2도의 표시와 같이, 전체가 대략 직사각형의 테체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리프트(2) 위에는 본 발명의 차량 수평이송장치(6)가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 수평이송장치(6)는, 제2도~제5도의 표시와 같이, 형강재(形鋼材)를 가늘고 긴 상사상으로 조합하여 이루어진 프레임(7)을 갖는다. 이 프레임(7)의 양외단부(7d)는 박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프레임(7)은 상기 박형의 양외단부(7d)를 상기 리프트(2)의 축방향테(11) 위에 얹어놓고, 상기 팰러트(3)를 보내는 방향으로 향하여 상기 리프트(2)의 전후 방향 대략 중앙부를 횡단하여 장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aid lift 2 i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teche. On the lift 2, the vehicle horizontal transfer device 6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The vehicle horizontal transfer apparatus 6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rame 7 formed by combining a shape steel material in a thin elongated analogous image as shown in FIGS. 2 to 5. Both outer ends 7d of the frame 7 are formed thin. The frame 7 is mounted on the axial rim 11 of the lift 2 on both sides of the thin outer end 7d, and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lift 2 are directed toward the pallet 3. It is mounted approximately across the center.
도면 중 8은 상기 프레임(7)의 상기 양외단부(7d)를 상기 리프트(2)의 축방향테(11)로 고착시키기 위한 사다리꼴의 장착부재이다.8 is a trapezoidal mounting member for fixing the both outer ends 7d of the frame 7 to the axial frame 11 of the lift 2.
상기 프레임(7)의 양외단부(7d)에는, 상기 팰러트(3)를 보내는 방향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로운 한쌍의 스프로켓트(9)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이하, 이들의 스프로켓트(9)를 "외단부 스프로켓트"라고 하지만, 단순히 롤러라도 좋다.On both outer ends 7d of the frame 7, a pair of sprockets 9, each of which is free to rotat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llet 3 is sent, are mounted. (Hereinafter, these sprockets 9) Is referred to as "outer sprocket", but may simply be a roller.
이들의 외단부 스프로켓트(9)는 지축(9a)을 상기 리프트(2)의 축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향해서 상기 프레임(7)의 양외단부(7d)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각 외단부 스프로켓트(9)는 어느것이나 상기 리프트(2)의 축방향테(11)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또한 치저원(齒底圓)이 상기 프레임(7)의 상면(7a)에서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제4도 참조).These outer end sprockets 9 are attached to both outer end portions 7d of the frame 7 with the supporting shaft 9a in a direction coinciding with the axial direction of the lift 2. Each of the outer end sprockets 9 protrudes outwardly from the axial frame 11 of the lift 2 and has a gingival circle above the upper surface 7a of the frame 7. It is installed so as to protrude (see Fig. 4).
또, 상기 프레임(7) 내의 아래쪽이고 이 프레임(7)의 양외단부(7d)에서 내측으로 치우친 위치에는, 상기 외단부 스프로켓트(9)와 동일간격으로 마주보고 향한 스프로켓트(12)가 한쌍씩 각각 장착되어 있다(이하, 이들의 스프로켓트(12)를 "내부 스프로켓트"라고 한다.). 이들의 각 내부 스프로켓트(12)는 상기 프레임(7)의 내부 상면(7d)에서 아래쪽으로 향해서 돌출하고 설치된 브라켓트(13)의 선단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축(12a)으로 지지되어 있고, 상기 각 외단부 스프로켓트(9)보다 아래쪽에 위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pair of sprockets 12 facing each other at the same interval as the outer end sprocket 9 are positioned downward in the frame 7 and inwardly shifted from both outer ends 7d of the frame 7. (These sprockets 12 a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 internal sprockets "). Each of these inner sprockets 12 is supported by a support shaft 12a so as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inner upper surface 7d of the frame 7 and freely rotate at the tip of the installed bracket 13. It is located below the end sprocket 9.
상기 각 한쌍의 외단부 스프로켓트(9) 및 각 1쌍의 내부 스프로켓트(12) 사이에는, 각각 무단체인(14)가 평행으로 걸려 띄워져 있다. 이 한쌍의 무단체인(14)은 상기 프레임(7)의 상부에서는 프레임(7)의 외부를 지나고, 상기 프레임(7)의 양외단부(7d)의 하부에서는 상기 사다리꼴상 장착부재(8)와 리프트(2)의 축방향테(11)와의 사이의 공간을 지나고, 중간부분에서는 프레임(7) 내부를 지나고 있다(제4도 참조).Between the pair of outer-end sprockets 9 and the pair of inner sprockets 12, a single member 14 is held in parallel, respectively. This unpaired pair 14 passes over the outside of the frame 7 at the top of the frame 7, and lifts the trapezoidal mounting member 8 and the lift at the bottom of both outer ends 7d of the frame 7. It passe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axial frame 11 of (2), and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frame 7 in the middle part (refer FIG. 4).
도면 중, 15는 상기 무단체인(14)의 팽팽한 정도를 조절하는 텐션스프로켓트이다. 이 텐션스프로켓트(15)는 상기 내부 스프로켓트(12)의 바깥축에 각각 한쌍씩기 설치되고, 상기 텐션스프로켓트(15) 상측의 이아 상기 무단체인(14)이 각각 맞물림하고 있다.In the figure, 15 is a tension sprocket which adjusts the tension degree of the said non-member 14. As shown in FIG. The tension sprocket 15 is provided in pairs on the outer shaft of the inner sprocket 12, respectively, and the teeth 14, which are the upper ends of the tension sprocket 15,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즉, 우선 상기 프레임(7)의 아래쪽 돌출부(7c)의 양단으로부터 평면에서 보아 그자형의 브라켓트(16)가 바깥쪽을 향하여 수평으로 각각 돌출되어 설치된다. 상기 각각의 텐션스프로켓트(15)는, 상기 각 무단체인(14)을 따라서 상기 각 수평 수평수프로켓스트(16)에 대해서 각각 한쌍씩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각 수평브라켓트(16)의 기부(16a)에는 상기 무단체인(14)을 축방향으로 긴 장공(1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수평브라켓트(16)는 이 장공(17)을 관통한 관통한 나사(18)를 상기 프레임에 나사 맞춤함으로서 상기 프레임(7)에 대해서 장착되어 있다.That is, first of all, the brackets 16 having a shape in plan view from both ends of the lower protrusions 7c of the frame 7 protrude horizontally outwards. Each of the tension sprockets 15 is provided in pair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horizontal water jacket 16 along the unintegrated member 14, respectively. The base 16a of each of the horizontal brackets 16 is provided with an elongated hole 17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with the unitless body 14. Each of the horizontal brackets 16 is mounted to the frame 7 by screwing the screws 18 through the long holes 17 into the frame.
따라서 상기 나사(18)을 느슨하게 하면, 상기 각 수평브라켓트(16)의 바깥쪽으로의 돌출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수평브라켓트(16)를 상기 프레임(7)의 양외단부 방향으로 보다 길게 돌출시키면 상기 무단체인(14)이 느슨해지고 반대로 상기 각 수평브라켓트(16)를 안으로 죄면 상기 무단체인(14)이 보다 긴장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무단체인(14)의 텐션정도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screw 18 is loosened, the protruding length to the outside of each of the horizontal brackets 16 can be properly adjusted. If the horizontal brackets 16 protrude longer in both the outer and outer ends of the frame 7, the flat 14 becomes loose and conversely, when the horizontal brackets 16 are tightened inward, the flat 14 is More tension and thereby the tension of the group 14 can be adjusted appropriately.
제5도는 상기 프레임(7)의 한쪽 방향의 외단부(7d) 부근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지만, 좌우 어느 외단부도 동일한 구성이다. 상기 프레임(7)의 내부이고, 상기 어느 한 내부 스프로켓트(12)의 가까이에는 정·역회전이 자유로운 모터(19)가 설치되어 있다. 이 모터(19)는 상기 무단체인(14)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이다. 모터(19)의 회전력은 톱니바퀴, 체인 등의 감속전동수단(30)을 통해서, 상기 내부 스프로켓트(12)의 지축(12a)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스프로켓트(20)에 적절하게 감속되어 전달된다. 상기 구동스프로켓트(20)는, 상기 내부 스프로켓트(12)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내부 스프로켓트(12)에 감겨 걸려져 있는 상기 무단체인(14)은 상기 모터(19)에 의하여 정전방향 및 역전방향으로 회전을 자유롭게 한다.5 shows a structure near the outer end 7d in one direction of the frame 7, but the left and right outer ends have the same configuration. The motor 19 which is inside of the said frame 7 and is fre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is provided near one of the said internal sprockets 12. As shown in FIG. This motor 19 is a drive device for rotating the said 14 memberles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19 is appropriately decel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drive sprocket 20 mounted on the support shaft 12a of the internal sprocket 12 through the deceleration transmission means 30 such as a gear wheel or a chain. do. The drive sprocket 20 rotates integrally with the inner sprocket 12. Therefore, the unrolled member 14 wound around the inner sprocket 12 frees rotation in the electrostatic direction and the reverse direction by the motor 19.
상기 평행한 무단체인(14)에는, 각 무단체인(14)의 회전방향과 직교하도록 수평인 걸어맞춤 롯드(21)가 장착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 롯드(21)는 그 양단부가 각각 상기 각 무단체인(14)의 옆쪽으로 돌출하고, 또한 그 길이는 상기 프레임(7)의 양외단부(7d)의 장착부재(8)내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이다. 상기 걸어맞춤 롯드(9)는, 상기 무단체인(14)의 회전에 따라서 이동하고, 상기 각 팰러트(3)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걸어맞춤 훅과 걸림이탈이 자유롭게 되며, 상기 무단체인(14)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각 팰러트(3)를 상기 리프트(2)와 상기 각 차량격납부(1)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연동수단을 구성한다. 즉, 상기 각 팰러트(3)에 대한 상기 걸어맞춤 훅의 설치위치는, 상기 리프트(2)측부의 하면이고 상기 차량 수평이송장치(6)의 각 외단부 스프로켓트(9)의 옆쪽이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2)가 승강 이동하여 어느 하나의 차량격납부(1)의 바로 옆에 정지하고 상기 무단체인(14)이 상기 팰러트(3)를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무단체인(14)에 장착된 상기 걸어맞춤 롯드(21)가 상기 팰러트(3)의 상기 걸어맞춤 훅에 걸린다. 그 결과 상기 무단체인(14)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팰러트(3)는 상기 전동륜(28)에 의하여 상기 레일(4, 5)위로 주행하고 상기 리프트(2)와 상기 차량격납부(1) 사이를 좌우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팰러트(3)가 수평이동할 때는 상기 차량격납부(1)와 상기 리프트(2)에 각각 설치된 서로 접속하는 상기 레일(4, 5) 상호가 정확하게 위치 맞춤되어 안정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그래서, 도면 실시예에 있어서는 우선, 상기 프레임(7)의 내부 중앙부에 회전축(22)을 수직으로 세우고 십자상의 회전체(23)를 장착하고 있다.The parallel rodless 14 is mounted with a horizontal engagement rod 21 that is orthogonal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each rodless 14. The engaging rod 21 has its both ends projecting to the side of each of the groups 14, and its length can pass through the mounting member 8 of the both outer ends 7d of the frame 7. It is enough. The engagement rod 9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unitless person 14, and the engagement hook and the engagement hook (not shown) installed in each of the pallets 3 are freed, and the personless person 14 The interlock means for moving the pallet 3 between the lift 2 and the vehicle storage unit 1 by the rotation of. That i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aid engagement hook with respect to each said pallet 3 is a lower surface of the said lift 2 side part, and is a side of each outer end sprocket 9 of the said vehicle horizontal transfer apparatus 6. When the lift 2 moves up and down and stops next to any one of the vehicle storage units 1, the unrolled person 14 rotates in the direction of moving the pallet 3. The engagement rod 21 mounted on 14 is caught by the engagement hook of the pallet 3. As a result, the pallet 3 travels on the rails 4 and 5 by the driving wheels 28 by the rotation of the unitless body 14, and the lift 2 and the vehicle storage unit 1. To move left and right. In addition, when the pallet 3 is horizontally moved, the rails 4 and 5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stalled on the vehicle storage unit 1 and the lift 2, respectively, need to be accurately positioned and s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 is.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drawing, first, the rotating shaft 22 is placed vertically in the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frame 7 and the cross-shaped rotating body 23 is mounted.
상기 회전체(23)는, 상기 프레임(7)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24)에 의하여 반전회전운동을 자유롭게 한다. 상기 회전체(23)의 4개의 돌출부 선단에는, 금속봉 등으로 이루어진 연동부재(25)의 일단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들의 연동부재(25)의 다른 단은, 상기 리프트(2)의 레일(5)의 양외단부에 각각 설치된 손톱부재(26)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각 손톱부재(26)는, 상기 리프트(2)의 바깥쪽에 수평으로 자유롭게 돌출되어 있고, 상기 회전체(23)의 반전회전운동에 의하여, 상기 리프트(2)의 바깥쪽에 돌출하기도 하고, 반대로 리프트(2)의 안쪽으로 들어가기도 한다.The rotating body 23 frees the reverse rotational motion by the motor 24 provided inside the frame 7. One end of the interlocking member 25 made of a metal rod or the like is connected to the tip of the four protruding portions of the rotating body 23, respectively. The other end of these interlocking members 25 is connected to the nail members 26 provided respectively at both outer end portions of the rail 5 of the lift 2. Each of the nail members 26 protrudes freely horizontally on the outside of the lift 2, and sometimes protrudes on the outside of the lift 2 by a reverse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ting body 23. It can also go inside the lift (2).
한편, 상기 각 차량격납부(1) 레일(4)의 상기 리프트(2)의 옆쪽의 단부에는, 상기 손톱부재(26)가 상기 리프트(2)의 바깥쪽으로 돌출할 때에는 이 손톱부재(26)와 걸어맞춤하는 수부(受部)(27)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펠러트(3)를 수평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리프트(2)가 목표의 차량격납부(1)의 바로 옆에 정지하고 각각의 레일(4,5)이 직선상으로 정렬된 후에, 상기모터(24)가 작동하여 상기 회전체(23)가 회전함으로서 상기 손톱부재(26)가 상기 수부(27)에 걸어맞춤한다. 이 결과, 차량 C 및 팰러트(3)의 이동에 수반하는 하중변동이 있어도 상기 리프트(2)와 상기 차량격납부(1)에 각각 설치된 레일(4, 5)은 위치 어긋남이 없다. 따라서, 차량 C가 안전하고 확실하게 이송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side end part of the said lift 2 of each vehicle storage part 1 rail 4, when the said nail member 26 protrudes outward of the said lift 2, this nail member 26 is carried out. The hand part 27 which engages with a is provided, respectively. Then, after the lift 2 stops next to the target vehicle containment unit 1 and the respective rails 4 and 5 are aligned in a straight line to horizontally move the pellets 3, The motor 24 operates to rotate the rotating body 23 so that the nail member 26 is engaged with the male part 27. As a result, even if there is a load change accompany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C and the pallet 3, the rails 4 and 5 provided in the said lift 2 and the said vehicle storage part 1, respectively, have no position shift. Therefore, the vehicle C is transported safely and securely.
본 발명의 차량 수평이송장치(6)는, 각 스프로켓트(9, 12, 15) 및 무단체인(14), 구동장치(19)등이 전부 상기 프레임(7)에 빽빽하게 장착되어 있다.In the vehicle horizontal transfer apparatus 6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sprockets 9, 12, and 15, the group 14, the drive unit 19, and the like are all tightly mounted on the frame 7.
따라서 공장에서 사전에 차량 수평이송장치(6)의 전체를 조립하여 놓고, 주차장치의 설치현장에서는 이것의 양외단부(7d)를 상기 리프트(2)의 테(11)에 장착하는 것으로 족하다. 이 때문에, 주차장치의 설치작업이 간단하고 또한 신속하다.Therefore, it is sufficient for the factory to assemble the entire vehicle horizontal transfer device 6 in advance, and to install the outer end 7d of the vehicle 2 on the frame 11 of the lift 2 at the installation site of the parking lot. For this reason,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parking lot is simple and quick.
또한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각 무단체인(14)은 피치 24.4mm의 롤러체인을 사용하고, 각 스프로켓트(9, 12, 15)는 이수 11개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figure, each non-molecular member 14 uses a roller chain having a pitch of 24.4 mm, and each of the sprockets 9, 12, 15 uses 11 pieces.
본 발명에 의하면 1기의 주차장치에 대해서 차량 수평이송장치가 1개로 되기 때문에 주차장치의 설치작업이 간단 및 신속히 될 수 있는 동시에 리프트의 바닥부를 박형으로하여 기초공사를 간략화할 수 있고,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e vehicle horizontal transfer device is provided for one parking lot value, installation work of the parking lot value can be simplified and speeded up, and the basic construction can be simplified by making the bottom of the lift thin. It can reduce the effect.
Claims (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992-035139 | 1992-04-27 | ||
JP1992035139U JP2580495Y2 (en) | 1992-04-27 | 1992-04-27 | Vehicle horizontal transfer device in multi-story parking equip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21903A KR930021903A (en) | 1993-11-23 |
KR970003871B1 true KR970003871B1 (en) | 1997-03-22 |
Family
ID=12433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30007096A KR970003871B1 (en) | 1992-04-27 | 1993-04-27 | Horizontal transport apparatus for a parking garage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580495Y2 (en) |
KR (1) | KR970003871B1 (en) |
TW (1) | TW197482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979247A (en) * | 2018-07-19 | 2018-12-11 | 江苏理工学院 | A kind of more parking stall stereo circulating parking garages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32068A (en) * | 1986-07-23 | 1988-02-10 | 斉藤 巧 | Multistoried garage |
-
1992
- 1992-04-27 JP JP1992035139U patent/JP2580495Y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2-06-30 TW TW081105173A patent/TW197482B/zh active
-
1993
- 1993-04-27 KR KR1019930007096A patent/KR970003871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21903A (en) | 1993-11-23 |
TW197482B (en) | 1993-01-01 |
JPH0587160U (en) | 1993-11-22 |
JP2580495Y2 (en) | 1998-09-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70003871B1 (en) | Horizontal transport apparatus for a parking garage | |
US5015140A (en) | Shuttle guide for a storage and retrieval machine | |
EP0417056B1 (en) | Lifting and turning device for work objects, especially motor vehicles | |
JP3640065B2 (en) | Automatic warehouse ground rail equipment | |
KR910007933Y1 (en) | Three dimensional parking garage | |
JP3003341B2 (en) | Automatic warehouse loading / unloading device | |
JP4329091B2 (en) | Parking device traverse drive device | |
JP3889249B2 (en) | Automatic warehouse | |
KR910004976Y1 (en) | Parking garage with mechanical means | |
JPH0447114B2 (en) | ||
JP2564481Y2 (en) | Underground buried multi-story parking device | |
KR920003060Y1 (en) | Device for shifting a pallet | |
JP3912510B2 (en) | Parking device boarding point | |
KR970003869B1 (en) | Supporting device for a lift in a parking garage | |
KR950008461Y1 (en) | Parking device for lifting vehicle | |
JPS63310405A (en) | Three-dimensional storing house | |
JPH0635077Y2 (en) | Longitudinal tray feeder for plane circulating parking system | |
KR900000797Y1 (en) | Mechanical means for a garage | |
JPH03247866A (en) | Multi storied parking garage for vehicle | |
KR930001487Y1 (en) | Parking equipment for shifting vehicles | |
JP2000062912A (en) | Tension adjusting device for traveling belt, traveling carriage system and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 |
JP2604538Y2 (en) | Multi-level parking device | |
JPS6339328Y2 (en) | ||
SU591379A1 (en) | Stacker for operation with shelf-type racks | |
KR950001674Y1 (en) | Parking apparatus for shifting a tra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0215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