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846Y1 - 사무기기의 래치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사무기기의 래치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846Y1
KR970003846Y1 KR2019940003624U KR19940003624U KR970003846Y1 KR 970003846 Y1 KR970003846 Y1 KR 970003846Y1 KR 2019940003624 U KR2019940003624 U KR 2019940003624U KR 19940003624 U KR19940003624 U KR 19940003624U KR 970003846 Y1 KR970003846 Y1 KR 9700038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opening
closing
reactan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36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6144U (ko
Inventor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036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846Y1/ko
Publication of KR9500261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61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8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8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1Locks; La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사무기기의 래치개폐장치
제1도는 래치개폐부를 구비하는 휴대용컴퓨터를 보인 것으로
(a)는 제품외관도
(b)는 디스플레이이부 열린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서 종래의 래치 개폐구조와 그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A-A선 단면도이고
(b)는 B-B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래치개폐장치의 개폐부를 보인 도면
제4도의 (a)(b)는 본 고안의 래치개폐장치의 동작을 위한 것으로 덮개가 닫힌 상태의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디스플레이부
3 : 탑케이스 4 : 키보드
5 : 래치놉(Latch Knob) 6 : 래치
7 : 래치홈 9 : 하우징
10 : 가압반응체 11 : 개구부
12 : 수용공간 13 : 안내홈
14 : 중앙안내홈 15 : 안내리브
16 : 돌출리브 17 : 탄성부재
본 고안은 래치개폐부를 구비하는 사무기기를 포함한 전자, 전기제품 분야 등에서 래치홈의 형성에 따른 제품외관 품질저하를 줄여주기 위한 것이다.
사무기기, 컴퓨터, 가전제품등에서 덮개 또는 도어가 있는 것은 선택적으로 래치개폐부가 덮개 또는 도어의 개폐수단으로 채택된다.
제1도는 이러한 래치개폐부를 구비하는 휴대용컴퓨터의 제품외관 구조를 보인 것으로 휴대용 컴퓨터는 제품 본체(1)와, 상기 본체(10)의 윗부분하우징인 탑케이스(3)와, 시스템에 명령을 입력시키기 위한 입력장치인 키보드(4)와, 본체(1)측에서 회전되게 고정되어 입력내용을 보여주기 위한 액정화면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2)로 제품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휴대용컴퓨터에서 제품본체(1)측에 여닫힐 수 있도록 고정되는 디스플레이부(2)는 개폐수단인 래치놉(5)이 있는 래치개페부를 구비하는데 종래의 래치개폐부구조는 제2도와 같이 제품본체(l) 측에 디스플레이부(2)에 있는 래치(6)를 안내 고정할 수 있는 래치홈(7)을 형성하고 디스플레이부(2)측에는 상기 래치홈(7)에 안내되어 걸릴 수 있는 턱이 형성된 래치(6)를 설치하여 래치놉(5)의 작동에 의해 래치(6)를 움직여 줌으로서 본체(1)측으로 부터 디스플레이부(2)를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휴대용컴퓨터에 구비된 래치개폐부는 디스플레이부(2)의 여닫힘에 관계되어 작동된다.
즉, 디스플레이부(2)부 닫혀진 상태에서 키보드(4)를 이용하여 자료를 시스템에 입력시킬 경우 디스플레이부(2)를 젖힌 후 키보드조작을 실행하게 되는데 이때 래치놉(5)을 이동시켜 본체(1)측 안내홈(7)에 걸려 있던 래치(6)를 움직여 래치(6)의 턱이 래치 홈(7)에서 이탈되도록 하면 디스플레이부(2)를 젖힐 수 있고 반대로 닫을 경우 디스플레이부(2)를 본체(1)방향으로 밀면 래치(6)가 탄성적으로 래치홈에 걸려 닫힘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종래 래치개폐부의 구술구성은 디스플레이부가 열린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부측의 래치가 걸려있던 본체측 좌우양단의 래치홈이 그대로 드러나 보여 제품외관상 좋지 못한 부분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부피가 작은 이물질등이 래치홈을 통해 들어가 래치개폐부의 정상적인 작동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고 내장부품의 오동작 발생원인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래치홈이 있는 래치개폐부에서 래치홈을 막아 주어 제품외관을 좋게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다른 목적은 래치홈을 통하여 먼지등의 이물질이 내부로 들어가 래치개폐부의 작동성을 좋지 않게 하는 요인을 줄어주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갖는 본 고안은 래치개폐부에서 래치홈인 개구부에 인도되어 이탈되지 않고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돌출된 래치와, 상기 래치를 안내유도하는 개구부가 있고 운동체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이동공간이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부에 수축복원되도록 수용되어 래치이동에 반응하여 래치홈을 가려주는 가압반응체를 제공하여 상기 목적에 이를 수 있다.
제품본체(1), 이 본체(1)측에 대하여 여닫힐 수 있도록 결합된 디스플레이부(2). 상기 본체(1)와 디스플레이부(2)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기능하는 래치개폐부가 있는 휴대용 컴퓨터에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의 래치개폐부의 평면구조를 보인 것으로 래치개폐부는 디스플레이부(2)의 선단양측면부에 돌출된 래치(6)와, 상기 래치(6)를 안내하기 위한 본체(1)측 래치홈(7)에 상기 래치홈(7)을 가려주기 위한 수단이 구성된다.
본 고안의 래치개폐부에서 필요로하는 래치(6)는 새로운 재구성없이 디스플레이부(2)에서 돌출된 상태의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다만 상기 래치(6)의 상대측 고정체인 본체(1)측에 디스플레이부(2)의 여닫힘이 구현되도록 하기 위한 적절한 공간으로 형성된 하우징(9)과, 여기에 수용되는 래치(6)의 위치에 관계되어 수축 또는 원위치 복귀되어 래치홈(7)을 가려주는 가압반응체(10)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9)은 본체(1)측 상면에 위치하여 래치(6)를 안내하는 개구부(11)와, 상기 개구부(11)에서 내향되는 방향에 가압반응체(10)를 안착하기 위한 공간으로 형성된 가압반응체 수용공간(12)과,
상기 수용공간(12)내에 가압반응체(10)를 유동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안내홈(13)과, 상기 안내홈(13)에 안내된 가압반응체(10)의 중심을 지지하는 중앙안내홈(14)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반응체(10)은 하우징(12)의 안내홈(13)에 안내되어 소정의 영역에서 이동하는 수개의 리브(15)와, 상기 리브(15)의 중심부에 가깝게 형성되어 중앙안내홈(14)에 안내되고 가압반응체의 이동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돌출리브(16)로 구성되고 상기 돌출리브(16)에 탄성부재(17)를 끼워 가압반응체(10)가 하우징(12)내에서 탄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래치개폐부 작용은 제4도 및 제5도와 같이 래치(6)의 위치에 따라 이 래치(6)의 가압력에 반응하여 움직이는 가압반응체(10)에 의해 래치개폐부에 필수적으로 형성되는 개구부(11)를 가려주도록 하기 위하여 적절하게는 제품의 본체(1)측에 하우징(9)과 이 하우징(9)내에 수용되어 래치(6)의 가압력 유무에 의해 수축되거나 복귀되는 가압반응체(10)를 구성한다.
제4도는 휴대용컴퓨터에서 제품본체(1)와, 상기 제품본체(1)에 여닫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부(2)를 래치에 의해 개폐되도록한 구조로서 디스플레이부(2)가 래치(6)에 의해 본체(1)측에 고정되어 닫힌 상태를 각기 다른 방향에서 보인 것이다.
이러한 닫힘 동작은 본체(1)측을 향하여 래치개폐부가 돌설된 디스플레이부(2)를 누르면 래치(6)의 선단이 A방향으로 밀리면서 개구부(11)를 통과하여 래치홈(7)에 걸려 빠지지 않게 디스플레이부(2)를 본체(1)상에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래치(6)의 이동과정에 있어 래치(6)는 개구부(11)를 지나 래치홈(7)에 걸리게 되고 하우징(9)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하우징(9)내부에는 가압반응체(10)가 있어 이 가압반응체(10)를 누르면서 걸림홈(7)에 걸린다.
이때 가압반응체(10)는 탄성부재(17)를 수축시켜 최초위치에서 변위된 위치에서 대기하는데 구성물인 리브(15)와 돌출리브(16)는 하우징(9)에 있는 안내홈(13)과 중앙안내홈(14)에 각각 안내되어 가압반응체(10)의 바른 이동이 구현되도록 한다.
제5도는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부(2)의 닫힘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의 열림 동작과 이에 따른 가압반응체(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열림동작은 디스플레이부(2)측에 구성된 래치놉(5)을 움직여 주면 래치(6)가 하우징(9)내의 래치홈(7)에서 빠져나와 디스플레이부(2)가 젖혀질 수 있게 된다.
래치놉(5)과 래치(6)의 상호동작은 일반적으로 실시되는 래치개폐구조와 같이 래치놉(5)을 어느 한쪽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가압력에 의한 구조 또는 적어도 래치놉(5)에 의해 래치(6)를 움직여 줄 수 있는 매개수단에 의해 쉽게 움직여 줄 수 있다.
이렇게 래치놉(5)의 작동에 의해 래치(6)가 래치홈(7)에서 빠져나가면 래치(6)에 의해 일정한 가압력을 받고 있었던 가압반응체(10)는 탄성부재(17)의 탄성력에 의해 하우징(9)내 수용공간(12)의 빈공간을 보상하고 탄성력 작용방향으로 이동하여 하우징(9)의 입구인 개구부(11)를 가릴 수 있는 위치에 있게 된다.
가압반응체(10)의 복원위치는 본체(1)의 상면부와 일정한 수평상태이거나 적어도 개구부(11)의 구멍이 겉으로 드러나 보이지 않도록 복원위치를 설정하면 바람직한 래치개폐부 설치외관과 이물질유입방지 목적에 이를 수 있다.
가압반응체(10)의 복원위치 설정은 탄성부재(17)의 탄성계수에 의해 복원위치를 조절하거나 가압반응체(10)의 안내리브(15)이 이동거리제한 등의 방법으로도 복원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래치개폐부는 사무기기, 전자제품분야등에서 도어, 덮개등의 개폐수단으로 래치개폐부를 구비할 경우 래치의 안내홈인 개구부가 겉으로 드러나 보이지 않고 래치이동에 반응하여 작용하는 가압반응체에 의해 개구부를 가려주도록 함으로서 개구부 형성에 따른 제품외관 품질저하와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신뢰도 높은 래치개폐부를 제공한다.

Claims (4)

  1. 래치개폐부에서 래치홈에 인도되어 이탈되지 않고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래치와, 상기 래치를 안내 유도하는 개구부가 있고 운동체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이동공간으로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수축복원되어 래치이동에 반응하여 개구부를 가려주는 가압반응체를 구비하는 사무기기의 래치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래치를 안내하기 위한 입구인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로부터 내향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가압반응체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내에 가압반응체를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과 병행하여 가압반응체의 중심을 안내하는 중앙안내홈을 갖는 사무기기의 래치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가압반응체는 하우징의 안내홈에 안내되어 소정의 영역에서 이동하는 수개의 리브와, 상기 리브의 중심부에 가깝게 형성되어 가압반응체의 이동균형을 유지하는 도풀리브로 구성되어 복원력에 의해 개구부를 가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의 래치개폐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하우징내에 안내되는 가압반응체는 탄성부재에 탄지되어 탄성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의 래치개폐장치.
KR2019940003624U 1994-02-26 1994-02-26 사무기기의 래치개폐장치 KR9700038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3624U KR970003846Y1 (ko) 1994-02-26 1994-02-26 사무기기의 래치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3624U KR970003846Y1 (ko) 1994-02-26 1994-02-26 사무기기의 래치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144U KR950026144U (ko) 1995-09-18
KR970003846Y1 true KR970003846Y1 (ko) 1997-04-24

Family

ID=19377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3624U KR970003846Y1 (ko) 1994-02-26 1994-02-26 사무기기의 래치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84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144U (ko) 1995-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8181B1 (ko) 휴대용 컴퓨터
CA2108334C (en) Enclosing having cov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aratus
US5823644A (en) Personal computer with an easy assembly structure
EP0635776A1 (en) Lock apparatus
JP4586982B2 (ja)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のラッチ装置
KR930000832Y1 (ko) 플래트 디스플레이 지지구
KR920010439B1 (ko) 표시부 개폐 검출 기구 및 이것을 사용한 휴대전자장치
EP0666523A2 (en) Notebook type personal computer and battery case
US7388758B2 (en) Computer enclosure with connecting device
KR19990000303A (ko) 노트북 컴퓨터의 개폐장치
US678854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ith front cover
KR100541458B1 (ko) 휴대용 컴퓨터
US6158105A (en) Assembly and disassembly of a computer case housing components of a personal computer
EP0635775A1 (en) Removal prevention for detachable unit
KR970003846Y1 (ko) 사무기기의 래치개폐장치
KR960003057B1 (ko) 데이터처리장치
KR100461183B1 (ko) 휴대용 컴퓨터
JPH0435940Y2 (ko)
KR940001834Y1 (ko)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덮개 개폐장치
KR19990024833A (ko) 퍼스널 컴퓨터 본체의 덮개 개폐장치
JPH01239284A (ja) 筐体の密閉装置
KR0137716Y1 (ko)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덮개부 개폐제어장치
KR19990003568U (ko) 모니터의 도어 개폐 구조
JPH08781Y2 (ja) コンピュータ装置
KR200213026Y1 (ko) 스키드로다의 도어 록킹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