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747B1 - 광픽업장치의 레이저 다이오드 - Google Patents

광픽업장치의 레이저 다이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747B1
KR970003747B1 KR1019930031550A KR930031550A KR970003747B1 KR 970003747 B1 KR970003747 B1 KR 970003747B1 KR 1019930031550 A KR1019930031550 A KR 1019930031550A KR 930031550 A KR930031550 A KR 930031550A KR 970003747 B1 KR970003747 B1 KR 970003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diode
light
glass block
glass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31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1917A (ko
Inventor
이형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부품 주식회사
김화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부품 주식회사, 김화수 filed Critical 엘지전자부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31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747B1/ko
Publication of KR950021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1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7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05Optical components external to the laser cavity,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homogenisation or merging of the beams or for manipulating laser pulses, e.g. pulse shap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7Lasers; Multiple laser arr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 Optical Head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요약없슴

Description

광픽업장치의 레이저 다이오드
제1도는 종래의 회절격자를 이용한 레이저 다이오드의 구조도.
제2도는 종래의 회절격자를 이용한 레이저 다이오드의 트랙킹 에러 전압검출장치의 구성도.
제3도는 제2도의 트랙킹 에러 검출상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다이오드의 구조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트랙에 놓인 빔의 상태도.
제6도는 제4도의 글래스 블럭내의 반사과정을 나타낸 상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다이오드의 빔형상도.
제8도는 제4도의 글래스 블럭의 세부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1 : 레이저 다이오드11 : 피트
12 : 트랙13 : 포토다이어드
14 : 비교기22 : 소오스
23 : 글래스블럭
본 발명은 광픽업장치의 레이저 다이오드에 관한것으로, 특히 3-3빔(Beam)을 발생시키는 광픽업장치의 레이저 다이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픽업장치는 곰팩트 디스크(Compact Disk)나 레이저 디스크(Laser Disk)와 같은 광디스크상의 정보를 레이저 및 광학계를 이용하여 읽어내는 장치이다.
광디스크에는 1.6um정도의 트랙피치(Track Pitch)가 있는데 실제로 정보가 기록되는 피트(pit)의 폭은 0.4um정도로 매우 미세한 크기이다.
상기와 같이 미세한 피트에 기록된 정보를 읽어내기 위해 레이저광도 회절한계까지 1um정도의 빔크기(Beam Size)로 집광한다.
상기 회절한계는 완전한 광학계로 빛을 집광시키더라도 빛의 회절때문에 더이상 작은 크기로 집광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광픽업장치는 디스크의 포커스 방향 및 프랙방행의 미세한 진동도 감지하여 반응해야 한다.
특히 트랙킹서보(Tracking Servo)는 0.1um정도로 서보해야 하는 정밀함이 요구된다.
이러한 트랙킹 서보는 3-빔 방식으로 회절격자(Grating)를 사용하여 0차광, ±1차광, ±2차광,...등 다수의 차광을 생성시켜 그중 0차광과 ±1차광을 사용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제1도는 종래의 회절격자를 이용한 레이저 다이오드의 구조이다.
종래의 회절격자를 이용한 레이저 다이오드(10)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레이저 다이오드(10)의 다수의 점(1,2,3)이 하나의 발광점이 되어 디스크상에 접합된 3개의 점(0,±1)이 나타나도록 구성된다.
실제로 레이저 다이오드(10)에서의 발광점은 2만개로 하나의 발광점이 되어 디스크상에 접합된 (conjugate) 3개의 점(0,±1)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회절격자의 재질, 피치(pitch), 및 깊이에 의해 회절각 및 분광비등이 결정된다.
이와같이 생성된 빔중 ±1차광을 사용하여 트랙킹 에러전압을 얻어낸다. 제2도는 종래의 회절격자를 이용한 레이저 다이오드의 트랙킹 에러 전압 검출장치의 구성도이다.
종래의 회절격자를 이용한 레이저 다이오드의 트랙킹 에러 전압 검출장치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트랙(12)상에 3-빔이 놓일때 빔(A,B)이 포토다이오드(13)의 부분(e,f)에 들어가 포토다이어드(13)에 들어가는 광량을 비교기(14)에서 비교하여 트랙킹 에러 전압(V)을 검출한다.
제3도는 제2도의 트랙킹 에러검출 상태도이다.
트랙(12)에 놓인 3-빔 각각의 경우에 따른 트랙킹 에러전압(V)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4상태(S4)일때의 트랙킹 에러 전압은 '+', 3상태(S3)일때의 트랙킹 에러 전압은 '0', 2상태(S2)일때의 트랙킹 에러 전압은 '-'로 된다.
결국 한개 트랙의 어떤 쪽으로 벋어나고 있는가의 정보와 벗어남의 양의 정보가 얻어지므로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트랙킹 서보를 한다.
그러나 트랙킹 서보를 위한 3-빔 방식을 이용하고 회절격자를 이용한 레이저 다이오드가 적용된 종래의 광픽업 장치는 3-빔 이외에 ±2차광, ±3차광, ±4차광,.. 다수의 빔이 발생되어 광의 손실이 발생되고, 상기 빔들이 내부에서 난반사를 일으켜 포토다이오드상에 잡음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광픽업장치에 있어서, 광의 손실을 줄이고, 조립을 간편하게 하고, 빔의 정형효과를 가져 높은 레벨의 신호를 얻도록 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3-빔(Beam)을 발생시키는 광픽업장치의 레이저 다이오드에 있어서, 빛이 발산되는 곳 전단에 유리로된 글래스 블럭(Glass Block)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다이오드의 구조도이고,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해 트랙에 놓인 빔의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다이오드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21)의 빛이 발산되는 소스(22)전단에 유리로된 글래스 블럭(Glass Block)(23)이 장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21)의 소스(22)에서 빛이 발산되며, 발산된 빛은 전단의 글래스 블럭(23)을 통해 각3부분의 3-빔(1,2,3)으로 분리된다.
즉, 첫번째 부분(1)의 빔은 첫번째점(1')에서 발광되고, 두번째부분(2)의 빔은 두번째점(2')에서 발광되고, 세째부분(3)의 빔은 세번째 점(3')에서 발광하는 셈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세개의 부분(1,2,3)은 디스크상에 3개의 접합한 점을 갖게되며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3개의 빔(1",2",3")이 되므로 트랙킹 에러전압이 '0'이 된다.
제6도는 제4도의 글래스 블럭(23)내의 반사과정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글래스블럭(23)내에서는 전반사가 이루어지도록해야 광의 손실을 최소로 할수 있다.
상기 글래스블럭(23)의 제1굴절각(Φ1)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굴절각(Φ2)보다 작으므로, 상기 제1굴절각(Φ1)을 임계각(θc)보다 크게하면 전반사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할수 있다.
굴절율(N)이 '1.5'인 유리를 글래스 블럭으로 사용하는 경우 임계각(θc)은 sin-1(nalss/nair)이므로, 즉 공기의 굴절율(nair)에 대한 유리의 굴절율(nglass)비를 아크사인(sin-1)한 것이 되므로, 임계각(θc)이 40°가 되고 레이저 다이오드의 발산각이 50°보다 작기만 하면 글래스 블럭(23)내에서 전반사가 일어나게 된다.
그런데 레이저다이오드의 발산각은 실제로 50°보다 작으므로 굴절율이 '1.5'인 유리를 사용하는 경우 전반사가 이루어진다.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다이오드의 빔형상도이다.
또한 레이저 다이오드(21)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행하는 방향에 수직인 두 방향에 대한 발산각이 다르게 되어 빔의 형상이 타원이 되므로, 글래스 블럭을 타원의 긴축방향이 반사되게 사용하면 빔의 정형효과를 가질수 있다.
제8도는 제4도의 글래스 블럭(23)의 세부구조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이저 다이오드(21)의 글래스 블럭(23)은 타원의 긴축방향을 반사되게 사용하면 빔의 정형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빔으로 분리시키는 6면체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6면체로 이루어진 글래스 블럭(23)을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21)내에 윈도우(window)대신 삽입하면 3-빔이 발생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본 발명은 종래의 회절격자를 사용한 광픽업장치에 나타나는 20% 광량 손실을 거의 없애고, 레이저 다이오드의 빔패턴을 타원으로 정형하여 레이저 다이오드의 효율을 증가시키고 경제적 이점이 있는 효과가 있으며 광량의 손실이 적으므로 녹음시 높은 광파워(power)가 필요한 복재형의 광픽업 장치에 유용하게 적용시킬수 있다.

Claims (4)

  1. 3-빔(Beam)을 발생시키는 광픽업장치의 레이저 다이오드에 있어서, 빛이 발산되는 곳 전단에 유리로된 글래스 블럭(Glass Block)(23)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의 레이저 다이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블럭은 빔을 3개로 분리시키는 6면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의 레이저 다이오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블럭은 전반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의 레이저 다이오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블럭(23)은 굴절율이 '1.5'인 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의 레이저 다이오드.
KR1019930031550A 1993-12-30 1993-12-30 광픽업장치의 레이저 다이오드 KR970003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1550A KR970003747B1 (ko) 1993-12-30 1993-12-30 광픽업장치의 레이저 다이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1550A KR970003747B1 (ko) 1993-12-30 1993-12-30 광픽업장치의 레이저 다이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917A KR950021917A (ko) 1995-07-26
KR970003747B1 true KR970003747B1 (ko) 1997-03-21

Family

ID=19374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31550A KR970003747B1 (ko) 1993-12-30 1993-12-30 광픽업장치의 레이저 다이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74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917A (ko) 1995-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7674A (en) Three-beam generating diffraction grating, transmission type holographic optical element and optical pickup apparatus using the same
KR970060089A (ko) 표면광 레이저의 광출력 제어장치 및 이를 채용한 광픽업장치
EP1049085A3 (en) Optical device
KR940000419B1 (ko) 광학정보기록재생용 광헤드
KR870008286A (ko) 광학메모리로 부터의 정보 재생시스템
EP0379363A3 (en) Optical head device for use in optical disk system
KR890005674A (ko) 광학 주사장치
CN1388960A (zh) 光学元件、光半导体装置及使用它们的光学式信息处理装置
KR970008230B1 (ko) 광픽업장치
KR950030064A (ko) 광픽업장치
EP0311463A2 (en) An optical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KR970003747B1 (ko) 광픽업장치의 레이저 다이오드
KR940006094A (ko) 광정보 처리 장치
US5317557A (en) Optical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on and/or from optical record medium
JP2508624B2 (ja) 光学式ヘツド装置
US7016274B2 (en) Optical pickup system with light receiving portion
JP2005513704A (ja) 光記録担体を走査する光学装置
JPH05273491A (ja) 光検知装置
EP0390445A3 (en) Optical pickup head
KR100457948B1 (ko) 광 픽업용 2파장 광원모듈
JP2735137B2 (ja)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の光学系
KR0137084Y1 (ko) Dvd용 광픽업장치
KR0137246B1 (ko)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광 픽업장치 (optical pick-up device of compact disc player)
KR0137247B1 (ko)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광 픽업장치(optical pick-up device of compact disc player)
JPS63259844A (ja) 光学ヘツ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