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684B1 - 현상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70003684B1 KR970003684B1 KR1019880015299A KR880015299A KR970003684B1 KR 970003684 B1 KR970003684 B1 KR 970003684B1 KR 1019880015299 A KR1019880015299 A KR 1019880015299A KR 880015299 A KR880015299 A KR 880015299A KR 970003684 B1 KR970003684 B1 KR 9700036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ge
- roller
- color paper
- paper
- photosensitive fil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5/00—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no immersion is effected; Washing apparatus in which no immersion is effected
- G03D5/02—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no immersion is effected; Washing apparatus in which no immersion is effected using rupturable ampoules of liqui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e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내지 제9도는 본원 발명 현상장치를 압력식 프린터에 적용한 제1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제1도는 일부를 절단해서 나타내는 요부의 확대사시도.
제2도는 정면도.
제3도는 평면도.
제4도는 제2도의 Ⅳ-Ⅳ선에 의한 확대단면도.
제5도는 일부를 절단한 상태로 요부를 분해해서 나타낸 확대사시도.
제6도는 제1도의 Ⅵ-Ⅵ선에 의한 확대단면도.
제7도는 현색지 등의 패스규제수단의 일부의 지지구조를 나타내는 요부의 사시도.
제8도는 요부를 확대해서 작용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9도는 변형예를 나타내는 요부의 측면도.
제10도는 본원 발명 현상장치의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의 확대측면도.
제11도는 종래의 압력식 현상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
제12도는 종래의 압력식 현상장치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A)는 개략사시도.
(B)는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C) 및 (D)는 가압자의 현색지에 대한 상대적인 주사궤적의 각기
다른 예를 현색농도로 나타낸 도면.
제13도는 현상장치의 시안의 일예를 나타내는 요부의 측면도.
제14도 및 제15도는 그 문제점을 나타내는 요부의 확대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현상장치,(7) : 스테이지,
(8) : 재치면,(8a) : 재치면의 현색지 등에 가장 가까운 부분,
(9),(10),(20),(21) : 패스규제수단,
(55),(55') : 롤러,(55A) : 롤러,
(62) : 감광재료,(64) : 현색지,
(69) : 현상장치,(70) : 스테이지,
(70a) : 재치면.
본원 발명은 신규의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현상물질과 화합하여 발색하는 색소전구물질(色素前 t1 物質) 또는 그 자체발색성을 가진 발색물질이 노광경화형(露光硬化型) 또는 노광연화형(露光軟化型)의 극히 미소한 캡슐에 봉입되어 이루어진 감광재료와 소정의 현색지( t2 色紙)를 가압수단에 의해 서로 압접시킴으로써 이 현색지에 소정의 화상을 현출시키는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며, 감광재료와 현색지를 압접시키기 위한 가압부의 구성요소의 하나인 스테이지의 형상과 그 전후에 위치한 현색지의 패스규제 수단의 위치를 연구하므로써, 이 종류의 현상장치를 소형이고 저코스트로 구성할 수 있는 동시에 균일한 현상농도에 의한 현상을 고속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현색지나 감광재료에 손상이 생기지 않도록한 신규의 현상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원 발명 현상장치는 감광재료와 현색지를 가압수단에 의해서 소정의 압력으로 압접시킴으로써 상기 현색지에 소정의 화상을 현상하는 현상장치로서, 감광재료 및 현색지를 사이에 두고 스테이지에 압접된 상태로 전동(轉動)하면서 현색지 등의 주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롤러를 설치하는 동시에, 스테이지의 현색지등이 재치되는 재치면을 현색지 등의 이송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양끝이 현색지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위한 곡면으로 형성하고, 스테이지의 전후에 위치한 현색지 등의 패스를 규제하는 패스규제수단을 스테이지의 상기 재치면의 중앙에서 반현색지측에 대응한 곳에 위치시키고, 이로써 감광재료와 현색지가 스테이지의 재치면으로부터 떠오르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스테이지나 롤러의 에지에서 현색지나 감광재료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써 이 종류의 현상장치를 소형이고 저코스트로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현상농도에 불균일이 없는 깨끗한 현상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현상을 고속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현색지나 감광재료에 손상이 생기지 않도록 한 것이다.
오늘날, 소정의 화상을 소정의 현색지에 현상하는 현상시스템에는 각종의 것이 있으며, 그중 하나의 발색요소를 가진 감광재료와 소정의 현색지를 서로 압접시킴으로써 상기 현색지에 소정의 화상을 현상하도록 한 것이 있으며, 이와 같은 현상시스템이 압력식 프린터 또는 압력정착식의 복사기 등에 사용되고 있다.
예를들면, 상기 압력식 프린터의 소정의 빛으로 노광되므로써 항압적(抗壓的)인 비파괴성이 생기는 극히 미소한 캡슐내에 소정의 현상물질과 화합하므로써 발색하는 색소전구물질을 봉입하여 이루어지는 색소전구체가 도포된 감광필름을 감광재료로서 사용하고, 이 감광필름의 노광면을 예를들면 자외광에 의해 소정의 화상이 분해된 각 화소에 따라서 노광하므로써 포지티브한 인화필름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상태의 감광필름을 소정의 현상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현색지와 포개어서 가압하므로써 노광되어 있지 않은 캡슐이 파괴되어 이 캡슐내의 색소전구물질이 현색지에 전사되고, 그에 따라 상기 현색지에 소정의 화상이 현출되도록 되어 있다.
제11도 및 제12도는 종래의 압력식 프린터의 각기 다른 예(a) 및 (b)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며, (c)는 길다란 감광필름, (d)는 단표지형(單票紙型)의 현색지이다.
제11도에 있어서, (e) 및 (f)는 현색지(d)의 폭보다 약간 긴 길이를 가진 대략 원주형을 한 가압롤러이며, 하측의 가압롤러(e)는 도시하지 않은 지지프레임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또한 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상측의 가압롤러(f)는 강력한 탄발부재에 의해 아래쪽으로 향해서 눌리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가압프레임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또한 하측의 가압롤러와 압접되어 있으며, 감광필름(c) 및 현색지(d)는 감광필름(c)에 대한 소정의 노광이 된후, 서로 포개진 상태에서 가압롤러(e)와 (f)와의 사이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의 가압롤러(f)가 회전하면 이것에 압접된 상측의 가압롤로(e)도 함께 회전하므로, 감광필름(c) 및 현색지(d)가 서로 압접되면서 주행되는 동시에, 이 압접에 의해서 감광필름(c)의 노광되어 있지 않은 색소전구체의 캡슐이 파괴되어서 그것에 봉입되어 있던 색소전구물질이 현색지(d)에 전사되고, 그로 인해 상기 색소전구물질이 현색지상에 있어서 현상되어 현색지에 소정의 화상이 프린트되게 된다.
또, 제12도에 있어서 (g)는 스테이지, (h)는 하단부에 공모양의 볼콘텍트(i)가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또한 이 볼콘텍트(i)가 스테이지(g)의 상면과 압접된 상태로 현색지(d)의 폭보다 약간 긴 거리를 왕복이동되는 가압자(加壓子)이다.
그래서, 감광필름(c) 및 현색지(d)가 포개어진 상태로 스테이지(g)상에 공급되는 동시에 일정한 피치로 간헐적으로 주행되고, 또 가압자(h)가 감광필름(c) 및 현색지(d)의 주행이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 그 이동범위의 양끝사이를 이동하며, 이로 인하여 감광필름(c)와 현색지(d)가 이들의 폭방향에 따라서 뻗는 대략 선형(線型)의 영역(이하, 압접영역이라 함)이 순차적으로 압접되어 현색지(d)에 소정의 화상이 프린트되어가게 된다.
제11도에 나타낸 프린터(a)에 의하면, 프린트동작을 쉬지 않고 연속해서 할 수 있기 때문에 프린트속도가 빠르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하 2개의 가압롤러(e),(f)는 감광필름(c) 및 현색지(d)의 폭방향으로 뻗는 띠모양의 압접영역 전체를 한번에 가압하기 위해서 매우 큰 압력이 필요하게 된다. 예를들면 가압롤로(d)(f)가 A4 판 사이즈의 현색지와 대응한 크기의 것인 경우, 가압롤로(e)(f)에 의한 가압력은 1,000kg 내지 1,500kg 필요하게 되고 상측의 가압롤로(f)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프레임에는 이와 같응 강도의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매우 큰 압력원, 예를들면 매우 높은 스프링상수를 가진 압축스프링 등이 설치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가압롤로(e),(f)를 사용한 프린터(a)는 그 각부에 매우 높은 기계적 강도가 요구되는 동시에, 출력이 큰모터를 사용하거나, 이 모터의 회전력을 하측의 가압롤러(e)에 전달하는 전달기구에 체인등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프린트하는 화상의 사이즈에 비해서는 형상이나 중량이 크고, 또한 코스트가 높아지는 동시에, 조립이나 보수가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제12도에 나타낸 프린터(b)에 의하면, 가압수단인 가압자(h)가 감광필름(c) 및 현색지(d)를 주사하도록 이동하므로, 가압력이 매우 작아도 된다고 하는 이점은 있다.
그러나, 그 프린트동작은 가압자(h)의 이동과 감광필름(c) 및 현색지(d)의 주행을 교대로 행하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프린트속도가 늦다고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가압자(h)의 볼콘텍트(i)와 스테이지(g)와의 사이의 접촉압이 균일하게 되지 않으므로, 현색농도에 불균일이 생긴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즉, 제12도(B)에 있어서의 (j)는 볼콘텍트(i)와 스테이지(g)의 상면과의 접촉부에 있어서의 압력분포곡선의 일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 압력분포곡선(j)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볼콘텍트(i)와 스테이지(g)의 상면과의 사이의 접촉압은 그 중앙부가 제일 높고 양끝으로 갈수록 낮아진다.
따라서, 감광필름(c) 및 현색지(d)의 압접영역에 있어서의 압력은 그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부가 제일 높고 양끝으로 갈수록 낮아지므로, 상기 압접영역에 있어서의 감광필름(c)상의 색소전구체의 캡슐파괴량이나 이 캡슐에 봉입되어 있는 색소전구물질의 현색지(d)에의 전사량은 양끝부로 감에따라 작아지고, 현색지(d)에 있어서의 현색농도는 제12도(C)에 나타내는 농도분포곡선(k, k ....)와 같이 중심부가 제일 짙으며, 양끝부로 갈수록 엷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감광필름(c) 및 현색지(d)의 주행피치를 볼콘텍트(i)와 현색지(d)와의 접촉폭(w)과 같은 피치로 하면, 줄무늬모양의 농도얼룩이 나타나게 된다.
그래서, 가압자(h)의 주사궤적이 그 폭방향에 있어서 반쯤 중복되는 피치로 감광필름(c) 및 현색지(d)를 주행시키면, 제12도(D)의 농도분포곡선(k. k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색지(d)에 있어서의 현색농도에 얼룩이 생기지 않도록 프린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좁은 피치로 감광필름(c) 및 현색지(d)를 주행시키면, 프린트시간이 대략 2배로 되므로, 프린트속도가 매우 늦어진다고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가압력이 작아도되고 더욱이 1회의 주사에 의한 감광필름(c)과 현색지(d)의 압접영역의 폭을 넓히기 위해, 제13도에 나타내는 대략 원판형을 이루는 롤러(1)를 감광필름(c) 및 현색지(d)를 사이에 두고 스테이지(g)에 압접된 상태로 전동시켜서 감광필름(c)와 현색지(d)를 서로 압접시키는 것을 고려해 보았다.
이와 같은 원판형을 이룬 롤러(1)에 의하면, 상기 볼콘텍트(1)에 의한 가압에 비해서 1회의 주사로 상당히 넓은 폭의 영역을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 롤러(1)가 감광필름(c) 및 현색지(d)의 한쪽의 옆에지에서 벗어난 곳에서 감광필름(c) 및 현색지(d)가 소정의 피치만큼 이송되며, 이어서 롤러(1)가 감광필름(c) 및 현색지(d)를 타고 다른쪽의 옆에지로 향해서 이동해가며 이 다른쪽의 옆에지에서 벗어난 곳에서 감광필름(c) 및 현색지(d)가 소정피치만큼 이송되며, 이어서 롤러(1)가 감광필름(c) 및 현색지(d)를 타고 한쪽의 옆에지로 향해서 이동해 간다. 이와 같은 동작이 반복되어서 압력현상이 이루어져 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테이지(g)와 롤로(1)를 사용한 장치의 경우 스테이지(g)의 전후에 배치된 구동롤러(m)와 종동롤러(n) 및 텐션롤러(o)와 종동롤러(p)에 의해 감광필름(c) 및 현색지(d)에 텐션을 걸어도 스테이지면(g') 중앙에서 감광필름(c) 및 현색지(d)가 스테이지면(g')에 떠올라 버려서(제14도 참조), 감광필름(c) 및 현색지(d)의 옆에지에서 벗어나 있던 롤러(1)가 다시 감광필름(c) 및 현색지(d)를 타게될 때, 롤러(1)이 감광필름(c) 및 현색지(d)에 걸려서, 감광필름(c)이나 현색지(d)의 옆에지가 상처를 입거나, 롤러(1)를 지지하고 있는 도시하지 않은 캐리지가 정지하는 등의 사고가 일어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감광필름(c) 및 현색지(d)의 옆에지에 대응한 곳에서 롤러(1)를 상하로 이동하면 되지만, 감광필름(c)이나 현색지(d)가 스테이지면(g')에 부상되어 있으면, 롤러(1)가 하강할때에 감광필름(c)이나 현색지(d)가 롤러(1)에 접촉하고나서 롤러(1)와 스테이지면(g') 사이에 끼워지는 동안에 감광필름(c)이나 현색지(d)가 지니고 있는 약간의 탄성에 의해서 롤러(1)와의 접촉위치에 어긋남이 생기고, 이것이 현상피치의 어긋남으로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감광필름(c) 및 현색지(d)를 스테이지면(g')에 대해서 평행으로 이송하는 것이 고려되고, 이렇게 하므로써 감광필름(c)이나 현색지(d)의 스테이지면(g')으로부터의 떠오름은 방지할 수 있으나, 감광필름(c) 및 현색지(d)가 스테이지면(g')으로부터 떠오르지 않도록 주행시키는데는 매우 높은 부품의 정밀도 및 조립정밀도를 필요로하므로 실용상은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는 정도인 동시에, 가령 감광필름(c)과 현색지(d)의 그와 같은 주행이 가능하다해도, 이번에는 롤러(1)의 에지에서 감광필름(c) 또는 현색지(d)를 손상케할 우려가 있다.
그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제1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1)의 압접면(q)을 그 폭방향으로 볼록원호형상으로 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그 폭이 좁기 때문에 압력이 부분적으로 집중해서 현색지(d)의 뒷면(r)이 고르지 않게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원 발명 현상장치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소정의 감광재료 및 현색지를 사이에 두고 스테이지에 압접된 상태로 상기 현색지등의 주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전동하는 롤러를 설치하여 이 롤러와 스테이지에 의해 감광재료와 현색지를 압접시키는 동시에 스테이지의 현색지등이 재치되는 재치면을 현색지등의 이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양끝이 현색지등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 곡면으로 형성하고 스테이지의 전후에 위치한 현색지 등의 패스를 규제하는 패스규제수단을 스테이지의 상기 재치면의 중앙으로부터 반현색측에 대응한 곳에 위치시킨 것이다.
따라서, 본원 발명 현상장치에 의하면, 감광재료와 현색지를 서로 압접시키기 위한 가압수단인 롤러가 감광재료나 현색지에 대하여 주사하도록 이동하는 것이므로 가압수단의 형상 및 이 가압수단에 필요한 가압력을 상당히 작게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이 종류의 현상장치를 소형경량으로 또한 저코스트로 구성할 수 있는 동시에, 현상농도에 불균일이 없는 깨끗한 현상을 할 수 있다. 더우기, 감광재료와 현색지가 스테이지의 재치면으로부터 떠오르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스테이지나 롤러의 에지에서 현색지나 감광재료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원 발명 현상장치의 상세를 도시한 각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1) 제1의 실시예(제1도 내지 제9도)
제1도 내지 제9도는 본원 발명 현상장치를 감광재료로서 길다란 감광필름을 사용하는 프린터에 적용한 제1의 실시예(1)을 나타내는 것이다.
(a) 베이스부, 스테이지 (제1도 내지 제4도, 제6도, 제8도)
(2)는 프린터(1)의 베이스부이며, 직사각형의 판모양을 한 저판(3)과 이 저판(3)의 좌우(제3도에 있어서의 왼쪽을 좌측이라하고, 오른쪽을 우측이라 한다. 또, 이 도면에 있어서의 아래쪽을 앞쪽이라 하고, 위쪽을 뒤쪽이라 한다. 다음의 설명에 있어서 방향을 나타낼때는 이 방향에 따른 것으로 한다) 양끝부에서 위쪽으로 향해서 세워진 측벽(4),(4')와 이 측벽(4),(4')의 앞끝부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간부 사이를 연결한 축모양의 틀(5)과 측벽(4),(4')의 뒤끝부 사이를 연결한 배면판(6)으로 이루어진다.
(7)은 스테이지이며, 후술하는 가압롤러와의 사이에서 감광필름 및 현색지를 사이에 두고 이들 감광필름 및 현색지를 서로 압접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스테이지(7)는 비교적 높은 경도를 가진 금속으로 형성되고, 좌우방향으로 세장하고, 또한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형상이 상하방향으로 긴 대략 타원형을 이루는 동시에, 그 양끝부가 상기 측벽(4),(4')의 상단부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간의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스테이지(7)의 상면(8)은 좌우방향에서 보아 그 중앙부가 제일 높은 원호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원호면의 곡율반경은 10㎜ 전후가 좋다.
(b) 이송롤러, FOT 등(제1도 내지 제4도)
(9)는 후술하는 감광필름 및 현색지를 주행시키기 위한, 이송롤러이며, 상기 스테이지(7)의 뒤쪽에 약간 떨어진 위치에서 또한 스테이지(7)의 상면(8)에서 약간 아래쪽의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10)은 스테이지(7)의 앞쪽으로 약간 떨어진 위치이며 또한 스테이지(7)의 상면(8)보다 약각 아래쪽 위치에 배치된 텐션롤러이고, 이들 롤러(9),(10)는 그 양끝부가 측벽(4),(4')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으며, 또한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서 소정의 타이밍으로 제4도에 있어서의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송롤러(9)쪽이 텐션롤러(10)보다 약간 느리게 회전하고, 이로인해 후술하는 감광필름과 현색지가 이들 롤러(9),(10)의 사이에서 약간 긴장하도록 되어 있다.
(11)은 베이스부(2)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후술하는 가동프레임을 베이스부(2)에 대하여 로크(lock)하기 위한 코르자(子)이며, 그 좌우 양끝부가 상기 틀(5)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며, 또한 좌우양끝부의 상단부에 로크클릭(11a),(11a)이 형성되어 있다.
(12)는 후술하는 감광필름을 소정의 화상신호에 맞는 패턴으로 노광하기 위한 다수의 옵티컬 파이버를 묶어서 이루어진 광원(이하, FOT라 함. 그리고, 이 FOT(12)는 제4도에만 도시되어 있음)이며, 그발광면(12a)이 뒤쪽을 향한 상태로 베이스부(2)에 고정되어 있다.
(c) 가동프레임, 가이드축, 종동롤러(제1도 내지 제4도, 제6도, 제7도)
(13)은 가동프레임이며, 베이스부(2)의 측벽(4),(4')과 대략 같은 크기이며 또한 좌우방향으로 사이가 떨어져 평행으로 대향한 2매의 측벽(14),(14'), 이들 측벽(14),(14')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한 연결판(15),(16)등으로 이루어지며, 측판(14),(14')의 위끝의 하단부가 지지축(17),(17)에 의해 베이스부(2)의 측벽(4),(4')의 뒤끝의 상단부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측판(14),(14')의 내면중 앞끝에지와 하단에지가 교차하는 모서리부로부터 피(被)로그핀(18),(18)이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가동프레임(13)은 이것이 지지하고 있는 후술하는 이동블록의 가압롤러가 상기 스테이지(7)의 상면(8)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피로그핀(18),(18)에 상기 로크자(11)의 로크클릭(11a),(11a)이 위쪽으로부터 걸어 맞추어짐으로써 베이스부(2)에 대하여 로크된다.
(19),(19)는 죄우방향으로 세장한 원추형을 한 가이드축이며, 상기 스테이지(7)의 위쪽에서 서로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떨어진 상태로 배치되고, 그 양끝부가 측판(14),(14')에 고정되어 있다.
(20) 및 (21)은 상기한 이송롤러(9) 및 텐션롤러(10)와 각각 별도로 쌍을 이루는 종동롤러이며, 그 양단부가 측판(14),(14')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지지암(22),(22),....의 회전 끝부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각 롤러(9),(10)에 대략 위쪽에서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가동프레임(13)이 베이스부(2)에 대해서 로크되면, 지지암(22),(22),....에 설치된 토션스프링(23),(23),....의 탄발력에 의해서 각 롤러(9),(10)에 탄접되도록 되어 있다. 토션스프링(23),(23),....은 그 코일부(23a),(23a),....이 측판(14),(14')에 고정되어 지지암(22),(22),....의 기부를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고 있는 지지축(24),(24)에 외부에서 끼워지고, 한쪽의 암(23b),(23b),....이 지지암(22),(22),....의 회동끝쪽의 상부에지에 걸어 맞추어지고, 다른쪽 암(23c),(23c),....가 측판(14),(14')에 고정된 받이부(25),(25),....에 걸어 맞추어지며, 이로 인해 지지암(22),(22),....에 그 회전끝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이동력이 가해진다.
(d) 이송벨트, 센서(제1도 내지 제4도, 제6도)
(26)은 모터이며, 가동프레임(13)의 죄측의 측판(14)에서 좌측을 향해 돌출설치된 부착판(27)에 지지되는 동시에, 축방향이 상하방향에 따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그 회전축(26a)에 구동풀리(28)가 고정되어 있다.
또(29)는 종동풀리이며, 가동프레임(13)의 우측의 측판(14')에서 우측에 향해서 돌출설치된 지지판(30)에 고정된 지지축(31)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풀리(28) 및 종동풀리(29)는 상기 가이드축(19),(19)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구동풀리(28)와 종동풀리(29)와의 사이에 무단형(無端刑)의 이송벨트(32)가 걸쳐져 있다.
또한, 이솔벨트(32)에는 후술하는 이동블록의 캐리지가 연결되어 있으며, 그리고 모터(26)는 상기 이동블록을 우측으로 이동시킬때는 제3도에 있어서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이하, 정회전이라 함)하고, 이동블록을 좌측으로 이동시킬때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하, 역회전이라 함)하도록 되어 있다.
(33) 및 (34)는 후술하는 이동블록이 그 이동범위에 있어서의 끝에 온 것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이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한 1쌍의 발광소자(35),(35)와 수광소자(36),(36)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발광소자(35),(35)와 수광소자(36),(36)는 전후방향으로 떨어진 상태로 대향한 방향으로, 연결판(15)의 좌우 양끝부에 고정된 지지편(37),(37)에 지지되어 있다.
(e) 이동블록(제1도 내지 제6도)
(38)은 이동블록이며, 상기 가이드축(19),(19)에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 캐리지와 이 캐리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 2개의 롤러지지암과 이 롤러지지암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 2개의 가압롤러와 롤러지지암을 항상 아래쪽에 향해서 탄발부세하기 위한 압축스프링등으로 이루어진다.
(e-1) 캐리지, 비편(庇片)
(39)는 캐리지이다.
(40)는 캐리지(30)의 주부(主部)이며, 이 주부(40)는 위쪽에서 보아 대략 정방형을 하고, 또한 가동프레임(13)의 높이의 반정도의 두께를 가진 블록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그 상면의 전후 양끝부가 그 나머지부분보다 약간 높아져 있으며, 또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높이 방향으로 관통된 2개의 스프링배치공(41),(41)이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42),(42)는 주부(40)의 하면중 상기 스프링배치공(41),(41)을 전후 양측에서 사이에 끼운 위치에서 아래쪽에 향해서 돌출한 암지지편이며, 이 암지지편(42),(42)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간부에 이들 암지편(42),(42)을 그 두께방향으로 즉 전후방향으로 관통한 지지공(43),(43)이 형성되어 있다.
(44),(44),(44)은 주부(40)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간의 부분을 좌우방향으로 관통한 삽입공이며, 이 삽입공(44),(44),(44)은 스프링배치공(41),(41)을 가로지르도록 뻗어있다.
(45),(45')는 위쪽에서 보아 좌우방향으로 긴 장방형상을 이룬 비편이며, 이들 비편(45),(45')은 폭방향에 있어서의 절반정도의 부분이 캐리지(39)의 주부(40)의 상면에서 전후로 돌출하도록 위치한 상태로 캐리지(39)에 고정되는 동시에, 그 하면에 돌출부(46),(46)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앞쪽의 비편(45)에는 그 앞에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 차광부(45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47),(47), ....은 캐리지의 주부(40)의 전후 양면중 좌우방향으로 사이가 떨어진 2개의 위치에서 돌출설치된 지지축이며, 이들 4개의 지지축(47),(47),....피가이드롤러(48),(48),....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이들 피가이드롤러(48),(48),....의 외주면에 단면형상이 V자형을 이룬 깊은 결함홈(48a),(48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캐리지(39)는 그 피가이드롤러(48),(48),....의 결함홈(48a),(48a),....이 가동프레임(13)에 설치된 가이드축(19),(19)에 아래쪽으로 전동할 수 있게 결합되고, 또한 그 비편(45),(45')에 형성된 돌출부(46),(46)가 가이드축(19),(19)에 위쪽에서 약간의 간격을 두고 대향함으로써, 가이드축(19),(19)에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또 주부(40)의 상면에 고정된 연결편(49)이 상기 이송벨트(32)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캐리지(39)는 이송벨트(32)가 주행함으로써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가동프레임(13)이 베이스부(2)에 대하여 로크된 상태에 있어서, 후술하는 가압롤러가 스테이지(7)에 압접함으로써 생기는 반력에 의해 캐리지(39)가 위쪽으로 힘을 받고, 그로 인하여 피가이드롤러(48),(48),....가 가이드축(19),(19)에 아래쪽에서 탄접되어서 캐리지(39)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규정된다.
(e-2) 롤러지지암, 가압롤러(제1도, 제2도, 제4도 내지 제6도)
(e-2-a) 구조
(50) 및 (51)은 롤러지지암이다.
(50a),(51a)는 롤러지지암(50),(51)의 주부이며, 그 전후 양끝부에서 서로 평행하게 대향한 지지편(50b),(50b),(51b),(51b)가 아래쪽에 향해서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지지편(50b),(50b),(51b),(51b)의 대략 중앙부에 이들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한 삽통공(52),(52),....이 형성되고, 또 주부(50a),(51a)의 상면에 원형의 얕은 오목한 부분(53),(5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좌측의 롤러지지암(50)의 주부(50a)의 우측면의 두쪽 대략 절반에서 오른쪽을 향해서 돌출한 지지부(54)가, 또 우측의 롤러지지암(51)의 주부(51a)의 좌측면이 앞쪽 대략 절반에서 왼쪽을 향해서 돌출한 지지부(5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지지부(54),(54)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한 삽통공(54a),(54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 지지부(54),(54)의 앞끝면(54b),(54b)은 상하방향으로 뻗는 원호면으로 되어 있다.
(55),(55') 가압롤러이며, 이들 가압롤러(55),(55')는 상기 스테이지(7)의 폭의 4분의 1정도의 두께 예를 들면 4㎜정도의 두께를 가진 원판형을 이루는 동시에, 경도가 높은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55a),(55'a)는 그 폭방향에 있어서의 전역이 가압롤러(55),(55')의 축심과 평행으로 뻗는 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 (56),(56)은 롤러지지암(50),(51)의 지지편(50b),(50b),(51b),(51b)에 형성된 삽통공(52),(52),....에 압입된 지지축이며, 가압롤러(55),(55')는 롤러지지암(50),(51)의 지지편(50b)와 (50b)와의 사이 및 (51b)와 (51b)와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그 중심부에 형성된 지지공(55b),(55'b)에 상기 지지축(56),(56)이 회전할 수 있도록 삽통되어 있다.
따라서, 가압롤러(55),(55')는 롤러지지암(50),(51)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또 그 일부가 지지편(50b)(50b),(51b),(51b)의 하단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e-2-b) 캐리지에의 지시
그리고, 2개의 롤러지지암(50) 및 (51)은 그 지지부(54),(54)가 전후방향으로 겹쳐진 상태로 그 하단부를 제외한 대부분이 상기 캐리지(39)에 설치된 2개의 암지지편(42)와 (42)와의 사이에 위치되고, 지지부(54),(54)에 형성된 삽통공(54a),(54a)에 상기 암지지편(42),(42)에 형성된 지지공(43),(43)에 삽통된 지지축(57),(57)이 회전할 수 있도록 삽통되고, 이에 의해 캐리지(39)의 하단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58),(58)은 대략 원주형의 스프링받이축이며, 이 상단에 치우진 위치에 플랜지(58a),(58a)가 형성되고, 또 이 플랜지(58a),(58a)에서 약간 아래쪽으로 치우진 위치에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한 삽통공(58b),(58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받이축(58),(58)은 캐리지(39)의 주부(40)에 형성된 스프링배치공(41),(41)내에 그 주위에 약간 여유를 가진 상태로 삽통되는 동시에, 그 삽통공(58b),(58b)에 주부(40)에 형성된 삽통공(44),(44),(44)에 압입된 지지편(59)이 삽통됨으로써 캐리지(39)에 지지되어 있으며, 또 이 스프링받이축(58),(58)의 플랜지(58a),(58a)와 롤러지지암(50),(51)의 주부(50a),(50a)의 상단면에 형성된 오목한 부분(53),(53)과의 사이에서 압축스프링(60),(60)이 압축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압축스프링(60),(60)의 탄발력에 의해 좌측의 롤러지지암(50)에는 제6도에 있어서의 반시계회전 방향의 회전력의 힘을 받고, 우측의 롤러지지암(51)에는 시계회전방향의 회전력이 힘을 받게된다.
그리고, 롤러지지암(50),(51)의 주부(50a),(51a)의 서로 대향하는 대향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부가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가압롤러(55),(55')는 상대적으로 위쪽에 향해서 눌리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주부(50a),(51a)의 상기 대향면과 이 스토퍼부와 맞닿음으로써 롤러지지암(50),(51)의 상기 회전력에 의한 회전이 일정한 곳에서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e-3) 가압롤러의 스테이지에의 압접 및 이동
가동프레임(13)의 베이스부(2)에 대한 로크는 가압롤러(55),(55')가 스테이지(7)의 상면(8)에 당접된 상태에서 가동프레임(13)을 약간 아래쪽으로 밀어내린 곳에서 로크된다.
따라서, 롤러지지암(50),(51')는 압축스프링(60),(60)의 탄발력에 의해서 스테이지(7)에 압접되고, 또 이 압접의 반력에 의해서 캐리지(39)가 위쪽으로 향해서 힘을 받기 때문에 피가이드롤러(48),(48)가 가이드축(19),(19)에 아래쪽에서 탄접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이송벨트(32)가 주행하면 캐리지(39)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므로, 가압롤러(55),(55')가 스테이지(7)의 상면(8)에 압접된 상태로 전동되어 스테이지(7)에 따라서 이동된다.
그리고, 가압롤러(55),(55')의 스테이지(7)의 상면(8)에 대한 접촉은 가압롤러(55),(55')의 외주면(55a),(55'a)중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부가 스테이지(7)의 상면(8)의 정상부(8a)와 대향한 상태로 이루어진다.
이동블록(38)이 가동프레임(13)의 좌측판(14)에 근접한 위치(이하, 이동범위에 있어서의 일단(一端)위치라고 함)에 오면, 앞족의 비편(45)의 차광부(45a)가 좌측의 센서(33)의 발광소자(35)와 수광소자(36)와의 사이에 들어가 이 발광소자(35)에서 수광소자(36)에 향해서 조사된 빛을 차단하고, 또 이동블록(38)이 가동프레임(13)의 우측판(14')에 근접한 위치(이하, 이동범위에 있어서의 타단의 위치라고 힘)에 오면, 상기 차광부(45a)가 우측의 센서(34)의 발광소자(35)와 수광소자(36)와의 사이에 들어가 이 발광소자(35)에서 수광소자(36)에 향해서 조사된 빛을 차단하게 되고, 이에 의해 이동블록(38)이 이동범위에 있어서의 일단의 위치 또는 타단의 위치에 왔다는 것이 검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프린트동작이 개시되면, 모터(26)가 정회전 및 역회전을 교대로 또한 간헐적으로 반복하고, 이에 따라 이동블록(38)이 간헐적으로 그 이동범위에 있어서의 양단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f) 감광필름, 현색지등(제1도, 제3도, 제4도, 제6도, 제8도)
(61)은 길다란 감광필름(62)이 롤형상으로 감겨진 상태로 수납된 필름카세트(제4도에만 나타냄)이며, 그 축방향이 좌우방향에 따라서 뻗고, 또한 필름출구(61a)가 위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베이스부(2)의 하단부 후단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감광필름(62)은 필림카세트(61)에서 인출된 후 필름가이드(63)(제4도에만 나타냄)에 감겨지는 동시에 여기서부터 옆쪽으로 향해서 뻗고, 상기 텐션롤러(10)와 종동롤러(21)과의 사이 및 구동롤러(9)와 종동롤러(20)와의 사이를 지나서 도시하지 않은 권취스풀에 감겨지도록 되어 있으며, 필름카세트(61)와 필름가이드(63)와의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FOT(12)의 발광면(12a)과 접촉하고, 또 텐션롤러(10)와 종동롤러(21)에 의해 끼워진 부분과 구동롤러(9)와 종동롤러(20)에 의해 끼워진 부분과의 사이의 부분이 스테이지(7)의 상면(8)에 접촉되어 있다.
그리고, 감광필름(62)는 적절한 필름기재(基材)의 한쪽면(62a)(이하, 노광면이라 함)에 감광성의 색소전구체를 무수히 도포해서 이루어지며, 또 이 색소전구체는 노광경화형의 즉 소정의 파장의 자외광이 조사됨으로써 항압적(抗壓適)인 비파괴성을 발생하는 극히 미소한 캡슐내에 소정의 현상물질과 화합하여 소정의 발색을 하는 색소전구물질이 봉입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64),(64),....는 화상이 프린트되는 현색지이며, 상기 감광필름(62)의 폭보다 약간 큰쪽을 가진 대략 장방형의 단표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한쪽의 면(64a)(이하, 현상면이라 함)에 상기 색소전구체의 색소전 구물질과 화합하여 소정의 발색을 하는 현상물질이 도포되어 있다.
(65)는 상기 현색지(64),(64),....가 다수 수납된 급지트레이, (66)은 급지롤러(이것들은 제4도에만 나타냄)이며, 프린트동작이 개시되면 현색지(64),(64),....가 1매씩 소정의 타이밍으로 텐션롤러(10)와 종동롤러(21)와의 사이에 공급되어 가도록 되어 있다.
(67)은 배지(排紙)안내판이다.
그리고, 이동블록(38)이 그 이동범위에 있어서의 양단의 위치에 오면, 그 가압롤러(55),(55')가 감광필름(62) 및 현색지(64)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옆에지에서 벗어나서 위치한다.
(g) 프린트
그래서, 이와 같이 구성된 프린터(1)에 의한 프린트동작은 예를들면 다음과 같이 행하여진다.
(g-1) 동작
프린트동작 개시를 지령하면, 이동블록(38)이 그 이동범위에 있어서의 일단 또는 타단으로 이동되어서 그 위치에 있어서 대기하게 되는 동시에, 감광필름(62)이 텐션롤러(10), 종동롤러(21) 및 구동롤러(9), 종동롤러(20)에 의해 일정한 피치씩 주행되고, 또한 그 노광면(62a)이 FOT(12)에 의해 일정한 라인마다 노광되어서 하나의 화상의 인화필름이 형성된다.
또, 이 인화필름의 형성이 완료된 후 또는 완료되기전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현색지(64)가 1매, 그 선단이 인화필름의 선단보다 약간 앞선위치에 오는 상태로 송출되는 동시에 감광필름(62)과 포개어져서 스테이지(7)위에 공급된다.
그리고, 감광필름(62)중 인화필름이 된 부분의 선단이 스테이지(7)의 상면(8)의 정상부(8a)위에 왔을 때 또는 그 직전부터 모터(26)가 회전하여 이동블록(38)을 이동시킨다. 따라서, 가압롤러(55),(55')가 현색지(64) 및 감광필름(62)를 사이에 두고 스테이지(7)에 압접된 상태로 좌우방향으로 전동되고, 즉 현색지(64) 및 감광필름(62)을 폭방향으로 주사하게 되고, 이에 의해 현색지(64)와 감광필름(62)의 폭방향에 띠모양으로 뻗는 소정의 영역(이하, "압접영역" 이라 함)이 가압롤러(55),(55')와 스테이지(7)에 의해 서로 압접된다.
그리고, 이동블록(38)이 이동범위에 있어서의 일단 또는 타단의 위치에 오면, 모터(26)의 회전이 정지되는 동시에, 현색지(64) 및 감광필름(62)이 소정의 피치, 즉 상기 압접영역의 폭보다 약간 좁은 피치로 주행되고, 이 주행이 완료된후 모터(26)가 회전하게 되고, 이와 같은 현색지(64) 및 감광필름(62)의 주행과 모터(26)의 회전이 교대로 되어 간다. 또한, 감광필름(62)과 현색지(64)의 주행에 관해서, 구동롤러(9)의 회전속도 쪽이 텐션롤러(10)의 회전속도보다 약간 느리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서 감광필름(62) 및 현색지(64)는 긴장되며, 따라서 스테이지(7)의 상면(8)의 정상부(8a)에 있어서 감광필름(62)이나 현색지(64)가 스테이지(7)의 상면(8)중 정상부(8a)에서 떠오르는 일이 없다.
이리하여, 가압롤러(55),(55')가 감광필름(62) 및 현색지(64)를 폭방향으로 1회 주사할때마다, 감광필름(62)의 인화필름으로 된 부분의 상기 압접영역에 있어서의 FOT(12)에 의해 노광되어 있지 않은 색소전구체와 캡슐이 파괴되어서 그 색소전구물질이 현색지(64)의 현상면(64a)에 전사되어서 발색하고, 이에 의해 소정의 화상의 일부가 현색주(64)에 프린트되고, 이와 같은 프린트가 반복됨으로써 하나의 화상이 현색지(64)에 현출하게 된다.
그리고, 가압롤러(55),(55')는 감광필름(62) 및 현색지(64)에 대하여 그 폭방향으로 주사하도록 이동되므로, 스테이지(7)에 대한 가압력은 예를 들면 감광필름(62) 및 현색지(64)의 압접영역 전체에 대하여 1,000kg 내지 1,500kg의 가압력이 필요해지는 경우는 2 내지 3kg정도의 강도로 족하게 된다.
그리고, 가압롤러(55),(55')가 감광필름(62) 및 현색지(64)의 옆에지로부터 벗어나도 감광필름(62) 및 현색지(64)의 패스를 규제하고 있는 수단인 구동롤러(9)와 종동롤러(20)와의 접촉부 및 텐션롤러(10)와 종동롤러(21)와의 접촉부가 스테이지(7)의 상면(8)의 정상부(8a)보다 낮은 위치에 있으며, 또한 스테이지(7)의 상면(8)이 원호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감광필름(62)이나 현색지(64)가 스테이지(7)의 상면(8), 특히 가압롤러(55),(55')가 압접되는 정상부(8a)로부터 떠오르는 일이 없으며, 따라서 가압롤러(55),(55')에 의해 감광필름(62)이나 현색지(64)에 손상을 입히는 일없고, 또한 현상피치의 어긋남을 일으키는 일도 없다.
또한, 스테이지(7)의 상면(8)과 가압롤러(55),(55')와의 접촉부와 롤러(9),(10)와 종동롤러(20),(21)와의 접촉부와의 사이의 단차(1)의 최적치는 가압롤러(55),(55')의 폭과 관계되지만, 이 값(1)이 너무 작으면 가압롤러(55),(55')의 에지도 현색지의 배면을 비벼서 손상시킬 염려가 있다. 그리고, 이 단차(1)가 너무 크면, 감광필름이나 현색지를 로딩하기 어려워지고, 또한 스테이지에의 권취각이 커지므로 현색지가 구겨지는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가압롤러의 폭을 5-6㎜로 한 경우 가압롤러의 에지와 현색지와의 사이에 0.2-0.5㎜정도의 사이가 떨어질 정도의 단차(1)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지, 상기 단차(1)를 작게하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 가압롤러의 에지에 의해 현색지의 뒷면을 비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9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롤러(55A)의 에지(68),(68)를 곡면으로 하든가 또는 모접기처리를 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2개의 가압롤러(55),(55')가 순차적으로 같은 곳을 가압하게 되므로, 가압력을 더욱 작게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첫번째의 가압으로 완전히 파괴되지 않았던 캡슐이 두번째의 가압으로 완전히 파괴되게 되어, 농도불균일을 거의 완전히 없앨 수 있다. 또, 일시에 일부위에 걸리는 압력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감광재료나 현색지에 부여하는 손상을 작게할 수 있다. 즉, 이들의 찌부러짐, 구김, 단부의 상처등을 없앨 수 있다.
그리고, 앞에서 가압롤러의 압접면을 곡면으로 하는 문제를 설명하였으나, 스테이지의 재치면을 곡면으로 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즉, 스테이지는 감광필름이나 현색지의 이송방향에 있어서의 폭을 넓게 취할 수 있으므로, 거기에는 비교적 완만한 곡면처리를 할 수 있으므로 가압롤러의 압접면을 곡면으로 했을 경우 일어나는 것과 같은 압력의 국부적인 집중을 피할 수 있다.
(2) 제2의 실시예(제10도)
제10도는 본원 발명 현상장치의 제2의 실시예(69)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제2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현상장치(69)가 상기 프린터(1)와 다른점은 스테이지의 구조뿐이다. 따라서, 도면에는 스테이지 및 가압롤러만을 나타내고 있다.
스테이지(70)는 원주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 중심이 베이스부에 지지된 지지축(71)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스테이지(70)는 가압롤러(55),(55')에 의한 가압중에는 도시하지 않은 로크수단에 의해 회전하지 않도록 로크되고, 감광필름(62) 및 현색지(64)를 보낼때에는 상기 로크수단에 의한 로크가 해제된다.
따라서, 이 제2의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69)에 있어서는 감광필름(62) 및 현색지(64)가 보내질때는 감광필름(62) 및 현색지(64)의 이동과 함께 스테이지(70)가 회전하므로, 스테이지(70)의 외주면(70a)과 감광필름(62)이나 현색지(64)와의 사이에 마찰이 생기는 일이 없고, 감광필름(62)이나 현색지(64)의 스테이지와의 사이에 마찰이 기인하는 이송불균일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명백하게, 본원 발명 현상장치는 감광재료와 현색지를 스테이지상에서 접촉시키면서 주행시키는 동시에 이 주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롤러를 상기 스테이지에 감광재료와 현색지를 끼우고 압접한 상태로 전동시키는 현상장치이며, 스테이지의 현색지등이 재치되는 재치면을 현색지등의 이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양단이 현색지등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 곡면으로하고, 현색지등의 이송방향에 관해서 스테이지의 직전 및 직후에 위치한 현색지등의 패스규제수단을 스테이지의 상기 재치면의 현색지등에 가장 가까운 부분에서 반현색지축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원 발명 현상장치에 의하면 감광재료와 현색지를 서로 압접시키기 위한 가압수단인 롤러가 감광재료나 현색지에 대해서 주사하도록 이동하는 것이므로 가압수단의 형상 및 이 가압수단에 필요한 가압력을 상당히 작게할 수 있으며, 이로써 이 종류의 현상장치를 소형경량으로 또한 저코스트로 구성할 수 있는 동시에, 현상농도에 불균일이 없는 깨끗한 현상을 행할 수 있다. 더우기, 감광재료와 현색지가 스테이지의 재치면으로부터 떠오르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서는 스테이지나 롤러의 에지로 현색지나 감광재료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패스규제수단을 구동롤러(9) 및 텐션롤러(10)와 종동롤러(20),(21)로 한 것을 나타냈으나, 패스규제수단은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안혹, 예를 들면 단순한 가이드롤러 등 다른 형태의 것이라도 실질적으로 현색지 등의 패스를 규제하는 것이면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롤러를 그 이동방향으로 2개 배열하였으나, 이와 같이 하면 롤러를 한 번 이동하는것만으로 감광재료나 현상용지의 같은 곳을 2회 가입할 수 있으므로, 롤러에 의한 가압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무엇보다도 본원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가압롤러는 1개라도 되며, 또는 이동방향으로 3개이상 배열하도록해도 된다.
또한,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롤러의 이동방향이 감광재료 및 현색지의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주행방향과 사교(斜交)되는 방향이라고 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원 발명을 감광성 색소전구체가 도포된 감광필름을 노광하므로써 인화필름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인화필름을 현색지와 포개서 가압하므로써 소정의 화상이 상기 현색지에 현상되는 프린터에 적용한 것을 나타냈으나, 본원 발명은 이와 같은 적용예에 한정되지 않고, 감광성의 색소전구체 및 현상물질의 양쪽이 형성된 현상용지 즉 감광재료 현상재료 일체형의 현상용지를 사용해서 소정의 화상을 현상하는 현상장치 또는 감광성의 인화용토너등을 사용한 복사기에 있어서의 상기 토너를 복사용지에 압력정착시키기 위한 현상장치등 각종 현상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즉, 이러한 현상장치도 감광재료와 현색지를 스테이지상에서 접촉시키면서 주행시키는 현상장치에 해당되는 것이다.
Claims (1)
- 감광재료와 현색지를 스테이지상에서 접촉시키면서 주행시키는 동시에 이 주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롤러를 상기 스테이지에 감광재료와 현색지를 끼워 압접한 상태로 전동시키는 현상장치이며, 스테이지의 현색지등이 재치되는 재치면을 현색지등의 이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양끝이 현색지등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 곡면을 하고, 현색지등의 이송방향에 관해서 스테이지의 직전 및 직후에 위치한 현색지등의 패스규제수단을 스테이지의 상기 재치면의 현색지등에 가장 가까운 부분에서 반현색지측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62295796A JPH01136155A (ja) | 1987-11-24 | 1987-11-24 | 現像装置 |
JP87-295796 | 1987-11-2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08609A KR890008609A (ko) | 1989-07-12 |
KR970003684B1 true KR970003684B1 (ko) | 1997-03-21 |
Family
ID=17825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80015299A KR970003684B1 (ko) | 1987-11-24 | 1988-11-21 | 현상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H01136155A (ko) |
KR (1) | KR970003684B1 (ko) |
-
1987
- 1987-11-24 JP JP62295796A patent/JPH01136155A/ja active Pending
-
1988
- 1988-11-21 KR KR1019880015299A patent/KR97000368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01136155A (ja) | 1989-05-29 |
KR890008609A (ko) | 1989-07-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727392A (en) | Pressure development apparatus for imaging sheets employing photosensitive microcapsules | |
KR920022052A (ko) | 쉬트 교정장치 | |
KR970003684B1 (ko) | 현상장치 | |
KR0123812B1 (ko) | 현상장치 | |
KR970006926B1 (ko) | 현상장치 | |
US4885601A (en) | Apparatus for developing imaging sheets employing photosensitive microcapsules | |
KR970003686B1 (ko) | 현상장치 | |
KR0123811B1 (ko) | 현상장치 | |
EP0317246B1 (en) | Apparatus to develop an image on a sheet of developing paper | |
KR970003685B1 (ko) | 가압장치 | |
KR20050058972A (ko) | 연속 용지용 프린터의 용지 이송 기구 및 연속 용지용프린터 | |
US4908633A (en) | Photosensitive microcapsule recorder with transfer sheet transported at an angle relative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pressure rollers | |
US4872032A (en) | Image fixing device | |
US6668722B2 (en) | Sheet member holding apparatus | |
JP2000086030A (ja) | 感光材料搬送装置 | |
JPH01163744A (ja) | 現像装置 | |
JPH01166042A (ja) | 現像装置 | |
US5080010A (en) | Pressure roller device | |
JPH01154059A (ja) | 現像装置 | |
JPH01166043A (ja) | 現像装置 | |
US5130744A (en) | Image recording apparatus capable of maintaining a constant tension in a photosensitive recording medium | |
JPH05303314A (ja) | 電子写真装置 | |
JPH07261493A (ja) | 画像形成装置 | |
US5103256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mask original form | |
JPS63284550A (ja) | 圧力現像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217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