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648Y1 - 무선전화기의 전원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의 전원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648Y1
KR970003648Y1 KR2019910020785U KR910020785U KR970003648Y1 KR 970003648 Y1 KR970003648 Y1 KR 970003648Y1 KR 2019910020785 U KR2019910020785 U KR 2019910020785U KR 910020785 U KR910020785 U KR 910020785U KR 970003648 Y1 KR970003648 Y1 KR 9700036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portable
fixed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07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2351U (ko
Inventor
서철
Original Assignee
금성알프스전자 주식회사
이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알프스전자 주식회사, 이종수 filed Critical 금성알프스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207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648Y1/ko
Publication of KR9300123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3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6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6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무선전화기의 전원 제어장치
제1도는 종래의 무선전화기 휴대부와 고정부 블록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전원 제어장치를 적용한 무선전화기의 휴대부와 고정부의 블록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휴대부 나 : 고정부
11, 11' : 충전감지부 12, 12' : 전원스위칭부
13 : 링검출부 14 : 부저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의 휴대부를 고정부에 장착시켜 휴대부가 충전모드로 동작될 때 휴대부 및 고정부측의 전화벨 검출동작을 제외한 각 회로의 전원공급을 차단시켜 소비전력의 절약과 불필요한 고조파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한 무선전화기의 전원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선전화기는 제1도에서와 같이 휴대부(가)와 고정부(나)로 나뉘며 휴대부(가)및 고정부(나)에는 각각 송수신 제어를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1')와, 송신을 위한 송신부(2,2')와 수신을 위한 수신부(3,3')와, 송,수신을 위한 발진기를 포함하는 PLL합성부(4,4')와, 송,수신 결합부(5,5')와, 송,수신 안테나(6,6')와,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부(7,7')와, 충전을 위한 충전단자부(8,8') 구비되고 고정부(나)에는 충전상태 표시를 위한 충전지시부(9) 및 전화회선에 연결되는 회선결합부(10)가 구비된 것으로 그 동작은 다음과 같다.
휴대부(가)와 고정부(나)가 분리된 상태에서 수신부(3,3')는 통화 가능하게 항상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전화가 걸려오거나 또는 전화를 거는 경우 상호간의 송신부(2,2')및 수신부(3,3')와 안테나(6,6')를 통한 통화가 이루어지는 바 이때 PLL합성부(4,4')내의 발진기는 항상 또는 주기적으로 동작하여 통화대기 및 통화가능 상태로 제어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무선전화기에 의하면 휴대부(가)를 충전시키기 위하여 휴대부(가)를 고정부(나)에 결합시키면 충전단자부(8,8')를 통한 전원 충전이 이루어질 때 휴대부(가)와 고정부(나)의 송신부(3,3')를 제외한 모든 회로에 전원이 공급되어 소비전력이 급증하고 또한 PLL합성부(4,4')에도 전원이 공급되어 발진기가 동작되므로 고조파 성분의 누설로 인한 타 기기(예 : TV)와의 간섭현상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휴대부의 충전모드에서 통화대기 상태를 유지하면서 PLL합성부를 포함하는 모든 회로의 전원을 차단시키므로서 절전을 가하고 누설전파에 의한 타 기기의 간섭, 전파장애를 방지할 수 있도록한 무선전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제2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무선전화기는 휴대부(가)와 고정부(나)로 나뉘며 휴대부(가)및 고정부(나)에는 각각 송수신 제어를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1')와, 송신을 위한 송신부(2,2')와, 수신을 위한 수신부(3,3')와, 송,수신을 위한 발진기를 포함하는 PLL합성부(4,4')와, 송,수신 결합부(5,5')와, 송,수신 인테나(6,6')와,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부(7,7')와, 충전을 위한 충전단자부(8,8')가 구비되고 고정부(b)에는 충전상태 표시를 위한 충전지시부(9)및 전화회선에 연결되는 회선결합부(10)가 구비된 것으로 휴대부(가) 및 고정부(나)에 각각 충전모드 검출을 위한 충전검지부(11,11')와 충전검지부(11,11')로부터 충전모드임이 검출된 경우 각각 휴대부(가)및 고정부(나) 전체의 전원공급을 차단시키는 전원스위칭부(12,12')와, 고정부(나)측에서 링신호를 검출하는 링검출부(13) 및 링출력을 위한 부저(14)를 포함하며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장치에 의한 전원 제어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휴대부(가)와 고정부(나)가 분리된 경우 충전단자부(8,8')가 분리되어 비충전모드이므로 이 경우에 충전검지부(11,11')는 비충전 모드를 검출하게 되어 전원스위칭부(12,12')는 각각 휴대부(가)와 고정부(나)에 전원부(7,7')의 출력전원을 공급시켜 통화대기 및 통화상태로 동작시키게 된다.
한편 휴대부(가)를 고정부(나)에 장착시키면 양측의 충전단부(8,8')가 결합되므로 휴대부(가)의 전원부(7)는 충전모드가 되며 이는 충전검지부(11,11')에 의하여 검출되므로 이때 전원스위칭부(12,12')는 전원부(7,7')로부터 제반 회로에 공급되던 전원을 모두 차단시킨다.
한편 이 경우에 착신신호는 링검출부(13)로 검출되어 부저(14)를 울리게 되므로 걸려오는 전화는 회로의 전원공급 여부에 관계없이 착신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무선전화기를 사용함에 있어 소비전력을 줄일수 있고 불필요한 누설전파의 출력을 방지시켜 혼신, 간섭, 전파 장애등의 불편을 배제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휴대부(가)및 고정부(나)에 각각 충전모드 검출을 위한 충전검지부(11,11')와 충전검지부(11,11')로부터 충전모드임이 검출된 경우 각각 휴대부(가)및 고정부(나)전체의 전원공급을 차단시키는 전원스위칭부(12,12')와, 고정부(b)측에서 링신호를 검출하는 링검출부(13) 및 링출력을 위한 부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의 전원 제어장치.
KR2019910020785U 1991-11-29 1991-11-29 무선전화기의 전원 제어장치 KR9700036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0785U KR970003648Y1 (ko) 1991-11-29 1991-11-29 무선전화기의 전원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0785U KR970003648Y1 (ko) 1991-11-29 1991-11-29 무선전화기의 전원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351U KR930012351U (ko) 1993-06-25
KR970003648Y1 true KR970003648Y1 (ko) 1997-04-23

Family

ID=19323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0785U KR970003648Y1 (ko) 1991-11-29 1991-11-29 무선전화기의 전원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64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351U (ko) 199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9143B1 (ko) 코드레스전화장치
GB2257337A (en) Conserving power in hand held mobile telephones during a receiving mode of operation
JPH11234162A (ja) 携帯型通信装置
JPS6333021A (ja) 携帯無線電話機
US5519757A (en) Wireless telephone set
CA2098660A1 (en) Automatic Frequency Control Circuit
US7577452B2 (en) Mobile telephone apparatus
US5848353A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phone set having analog/ digital capability
US20040235537A1 (en) Radio communications apparatus
KR970003648Y1 (ko) 무선전화기의 전원 제어장치
JPH0621875A (ja) 携帯形移動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着信報知補助装置
US6819079B2 (en) Apparatus for prolonging rechargeable battery life and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ng hand-held system
JPH0795147A (ja) 移動無線機
KR100258171B1 (ko) 무선 수신 단말기(radio receiving terminal)
JPH03196746A (ja) 無線電話装置
JPS6224997Y2 (ko)
KR950003321B1 (ko) 무선전화기의 데이타 송수신장치
KR10029399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대기시간향상발진회로
JPH0748900B2 (ja) 無線電話機
JPS587093B2 (ja) 移動無線電話方式
JPH02288623A (ja) 無線電話装置
KR970011416B1 (ko) 브랜치된 전화기를 이용한 전화기의 링음량 제어 방법
KR100195931B1 (ko)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방전 시간 연장장치및 그 방법
JPH08237746A (ja) 通信モード切替装置を備えた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方式
KR0181145B1 (ko) 무선 전화기의 권외경보 발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