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583B1 - 하역 방충재 - Google Patents

하역 방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583B1
KR970003583B1 KR1019960049471A KR19960049471A KR970003583B1 KR 970003583 B1 KR970003583 B1 KR 970003583B1 KR 1019960049471 A KR1019960049471 A KR 1019960049471A KR 19960049471 A KR19960049471 A KR 19960049471A KR 970003583 B1 KR970003583 B1 KR 970003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 repellent
unloading
tension
buffer plate
do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9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춘
Original Assignee
이상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춘 filed Critical 이상춘
Priority to KR1019960049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5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6Fe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017Means for protecting offshore constru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하역 방충재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4도는 (가)(나)(다)(라)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 구성인 방충관재의 구성 및 작동상태도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우넛형 방충재2 : 인장-압축부재
3 : 방충관재4 : 원충판재
5 : 보조 방충관재
본 발명은 부두의 하역시설로 사용되는 하역 방충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인장-압축부재로 구성된 방충관재를 이용하여 하역물을 하역충격으로 부터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두에서의 하역 방충재로서는 주로 폐타이어를 이용하고 있으나, 폐타이어 자체는 어느 정도 완충작용을 보유하고 있지만 가운데 부분이 넓게 비어 있기 때문에 하역물이 폐타이어의 빈 공간부로 떨어지게 될 때에는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는 다수의 폐타이어를 수평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도 폐타이어 자체의 빈 공간과 폐타이어들 사이에 형성되게 되는 빈 공간부들에 의하여 하역물을 보다 안전하게 하역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단면이 원형을 이루고 있으며, 내부에 수평상으로 연결되는 인장부재와 대각선상으로 연결되는 압축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방충재를 도우넛형(doughnut type)으로 성형하되, 상부를 폐구시킨 완충판재를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방충재 자체에서 빈공간을 없앤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도우넛형 방충재와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완충판재의 저부에 작은 도우넛형 방충재를 이중으로 적층시킨 구성으로 완충판재 자체가 내충격성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는 방충관 자체를 나선형으로 감아주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하역물을 보다 안전하고 하역할수 있는 하역 방충재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인장-압축부재가 내설된 방충관재를 원형으로 성형된 도우넛형 방충제와; 상기 도우넛형 방충재의 상면을 폐구할 수 있게 일체적으로 성형된 완충판재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완충판재의 저부에 상기 방충관재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이중으로 적층된 상태를 보유하는 보조 방충관재를 형성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또는 상기의 방충관재를 나선형으로 권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제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제4도의 (가)(나)(다)(라)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 구성인 방충관재의 구성 및 작동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부호 1은 도우넛형 방충재를 표시하는 것으로, 상기 도우넛형 방충재(1)는 수평상으로 연결되는 인장부재와 대각선상으로 연결되는 압축부재로 구성되는 인장-압축부재(2)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방충관재(3)가 원형으로 연결된 형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도우넛형 방충제(1)의 상면에는 완충판재(4)가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빈 공간을 메워주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상기한 완충부재(4)는 방충관재(3)의 정부에서 수평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인장-압축부재(2)가 방충관재(3)에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작용에 대하여 제4도의 도시예로서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방충관재(3)의 정부에 충격하중(P)이 작용할 경우에는 방충관재(3)가 타원형 형상으로 압축변위되는데, 이 경우 인장-압축부재(2)의 인장부재(T1)가 교접되는 중간지지벽 지점에서는 중공지지벽부재가 수평방향으로 증분되는 약(2d) 만큼 인장부재(T1)에도 동일항 양(2d)으로 신장하게 된다. 이때 중공지지벽부재는 2d 만큼의 굴곡변형력으로 충격하중을 흡수하고 동시에 인장부재(T1)의 2d 만큼의 신장으로 중공지지벽부재의 굴곡변형을 견제하여 중공지지벽부재의 굴곡변형이 탄성력 범위내에 머물게 하고, 아울러 인장부재(T1)의 변위량에 의한 인장력을 다시 압축부재(C1)(C2)에 의하여 분담되어지고, 또다른 인장부재(T2)로 충격하중이 점차로 전이되면서 충격하중을 분산시켜 약화시키고 있는 구조이므로 각 부재는 탄성한계내에서 변형될 뿐 아니라 충격하중의 반복작용에 의한 파괴강도를 견딜 수 있는 내구적 강성이 극히 커서 방현재의 수명이 그만큼 길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4도의 (다)에서와 같이 법선방형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충격하중이 작용된다 하더라도 충격하중 P의 작용선은 압축부재 중의 어느 하나인 압축부재(C1)와 거의 직각으로 교차되므로 압축부재(C1)가 실질적으로는 인장부재로 전환되어 중공지지벽부재의 측면굴곡변형을 견제하고 있어서 중공지지벽부재의 굴곡 변형의 변위의 한계를 탄성범위내에서 머물게 하고 있을 뿐 아니라 또다른 인장-압축부재는 방현재의 내구적 강성을 크게 유지시키는데 기여하고 있기 때문에 충격하중의 작용방향에 관계없이 방충관재로서의 기능인 충격하중의 고흡수가 가능함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우넛형 방충재(1)를 이용하여 하역작업을 개시할 때 하역물의 하중이 방충관재(3)의 상부에 집중되겐 하역하므로서 하역물이 바닥에 닿게 되는 사례없이 방충관재(3)가 충격하중을 흡수, 완화시키게 되며, 또한 도우넛형 방충재(1)의 상방을 폐구하고 있는 완충판재(4)는 방충관재(3)에 의해 충격하중이 완화된 하역물이 바닥에 닿는 것을 보조적으로 방지하여 하역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제2도의 실시예는 완충판재(4)의 저부에 인장-압축부재(2)가 내설된 보조 방충관재(5)를 이중으로 적층시킨 실시예로서, 이 실시예는 도우넛형 방충재(1)의 상면을 폐구시키고 있는 완충판재(4) 자체도 방충관재의 가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하역물을 완충판재(4) 위로 낙하시키도라도 하역물을 안전하겐 보호할 수 있는 특징을 부여한 것이다.
그리고 제3도의 실시예는 방충관재(3) 자체를 나선형으로 권취시키는 수단으로 방충재를 구성할 수 있게 한 것인데, 이 실시예는 충격하중의 고흡수 능력을 보유하는 방충관재로서 공간부가 없는 방충재를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의 하역물을 지상에 하역할 때 하역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지상에 깔아주는 방충재를 충격하중을 완벽하게 흡수, 완화시키는 인장-압축부재가 구비된 방충관재를 이용하므로서 하역물을 하역충격으로 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도우넛형 방충재의 상면을 오나충판재로서 폐구시키므로서 하역물이 방충관재에 낙하한 후 완충판재에 의해 보호될 수 있게 하여 하역물이 지상에 하역된 후 바닥에 닿아 손상되는 사례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는 완충판재의 저부에 인장-압축부재가 내설된 작은 직경의 보조 방충관재를 형성시키는 수단 및 방충관재를 나선상으로 권취시켜 방충재를 구성케하는 수단을 하역물을 방충재의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낙하시키더라도 하역물을 안전하게 하역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는 새로운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인장-압축부재가 내설된 방충관재를 원형으로 성형된 도우넛형 방충재와; 상기 도우넛형 방충재의 상면을 폐구할 수 있게 일체적으로 성형된 완충판재와;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 방충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판재의 저부에 상기 방충관재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이중으로 적층된 상태를 보유하는 보조 방충관재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 방충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방충관재를 나선형으로 권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 방충재.
KR1019960049471A 1996-10-29 1996-10-29 하역 방충재 KR970003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9471A KR970003583B1 (ko) 1996-10-29 1996-10-29 하역 방충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9471A KR970003583B1 (ko) 1996-10-29 1996-10-29 하역 방충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583B1 true KR970003583B1 (ko) 1997-03-20

Family

ID=19479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9471A KR970003583B1 (ko) 1996-10-29 1996-10-29 하역 방충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58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491B1 (ko) 충격 계류장력 완충장치
KR970003582B1 (ko) 방현재
US4277055A (en) Cushioning fender
US5458077A (en) Marine fenders
US3507123A (en) Fender for dock wall
CN111806017A (zh) 一种防潮抗挤压瓦楞纸板及纸箱
KR970003583B1 (ko) 하역 방충재
KR100640030B1 (ko) 방현재
KR200422860Y1 (ko) 옹벽용 개비온
KR100719355B1 (ko) 옹벽용 개비온
KR200460416Y1 (ko) 울타리용 그물망
KR20060115360A (ko) 컨테이너와 벙커(대피소)를 제조하기 위한 보강 매트의이용 및 방법과 이동식 무기 컨테이너 및 이동식 벙커 또는대피소
KR101132708B1 (ko) 내진 보강용 이력 댐퍼
KR101985401B1 (ko) 차단기와 전선터미널의 고정장치
KR102273556B1 (ko) 교량 시설물
CN214117741U (zh) 高强度景观墙
JP2009234632A (ja) スロッシング抑制材
CN220077360U (zh) 一种防变形覆土立罐
KR200191394Y1 (ko) 팔레트용 부재
CN217840569U (zh) 一种提高抗倒塌抗冲击性能的钢筋混凝土梁
KR101883303B1 (ko) 용접 와이어용 수납 용기
CN114808670B (zh) 一种相对高度位置可自适应调整的桥墩防撞装置
KR100516163B1 (ko) 충격 흡수 케이블 및 그 제작방법
KR102612800B1 (ko) 전도방지와 충격흡수 성능이 강화된 가드레일 구조
KR102592245B1 (ko) 외부 케이싱의 국부적 면외변형 방지가 가능한 비좌굴 가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