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447Y1 - 압력 유체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압력 유체 디스펜서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447Y1
KR970003447Y1 KR2019960012711U KR19960012711U KR970003447Y1 KR 970003447 Y1 KR970003447 Y1 KR 970003447Y1 KR 2019960012711 U KR2019960012711 U KR 2019960012711U KR 19960012711 U KR19960012711 U KR 19960012711U KR 970003447 Y1 KR970003447 Y1 KR 9700034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fluid
fluid dispenser
container
leaf spring
disp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27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란 그로버 폴
로버트 로우 브라이언
Original Assignee
유니레버 엔 브이
에이치, 드 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929202149A external-priority patent/GB9202149D0/en
Application filed by 유니레버 엔 브이, 에이치, 드 로이 filed Critical 유니레버 엔 브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4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447Y1/ko

Link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압력 유체 디스펜서
제1도는 및 제2도는 디스펜서의 횡축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본 디스펜서의 상부영역의 단면도
제4도는 케이싱의 상부캡이 생략된 디스펜서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케이싱 6 : 플랜지
8 : 하우징 10 : 출구 밸브
12 : 용기 또는 쌕 18 : 귀환 밴드
26 : 밸브 본체 28 : 환상 시일
46 : 스프레이 출구 52 : 작동부재
58 : 접촉 바아 68 : 단자판
84 : 푸쉬 버턴 86 : 피벗
88 : 스프링
본 고안은 유체 재료용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그러나 재료가 스프레이로서 분출되는 디스펜서에만 관련되는 것은 아니다.
유체재료를 디스펜서로부터 스프레이하기 위해 사용되는 에어로졸은 사용된 추진가스의 환경면에서의 역효과, 추진제에 때때로 필요한 디스펜서의 총용량의 높은 비율, 그리고 디스펜서의 내용물이 다 소모되었을 때 스프레이 압력을 유지시키기 어려움 등을 포함하는 많은 단점을 가진다. 부분적으로 속이 빈 디스펜서의 폐기는 그 속에 가압가스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위험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이들 단점들 중 적어도 일부분을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서, 분배될 유체 재료로 채워질 수 있고 강압 내용물들을 지지하도록 용기에 작용하는 탄성수단과 함께 밀폐 밸브수단에 의해 밀봉되는 변형가능한 용기가 제공된 캐리어와 탄성 수단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용기의 내용물 들을 방출시키기 위해 폐쇄 밸브수단을 개방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유체 디스펜서가 제공된다.
용기는 가요성 벽의 형태로 되어 있고, 양호하게는 선택적으로 프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긴 쌕(sac)의 형태로 되어 있다. 탄성 수단은 가요성 쌕을 지탱하기 위해 미리 부차가 가해져 있는 적어도 하나의 판 스프링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나의 판 스프링이 실제로 쌕의 전체 길이 및 폭에 걸쳐 연장된다면, 상기 판 스프링이 가하는 압력에 의해 쌕의 전 내용물들이 방출될 수 있을 것이다.
한 구조에 의하면, 가요성 용기는 한쌍의 대친 스프링들 사이에서 지지되고 이들 스프링이 쌕을 그 사이에서 압착한다. 다른 구조에 의하면, 용기는 스프링과 비탄성 지지면 사이에서 파지된다.
몇몇 에어로졸 디스펜서의 단점은 여러 목적을 위해 에어로졸 스프레이의 방향을 제어하기가 어렵고 이에 따라 손실이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나, 스프레이와 표면 사이에 정전하를 일으킴으로써 프레이의 침전물이 선택된 표면상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알려져 있는데, 본 고안은 개인용품을 분배하기 위해 이 효과를 이용할 수 있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다른 특징으로서, 디스펜서는 가압 재료가 분배되는 스프레이 출구를 가지며, 분배될 재료에 정전하를 가하기 위해 제어수단의 작동에 의해 작동가능한 전압 수단이 제공된다. 실시예로,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의 한 형태가 첨부도면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된다.
디스펜서는 그의 상단 부근에서 슬롯이 일체로 형성된 격벽(4)을 갖는 외측 케이싱(2)을 구비한다. 격벽은 케이싱 횡단면의 중심축을 따라서 연장하는 중심슬롯에 의해 서로 이격된 두 부분으로 되어 있다. 플랜지(6)는 격벽의 두 부분의 대향한 가장자리들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한다. 슬롯의 중심부에서 플랜지는 가요성 용기(12)의 중공캡(12a)에 조정된 출구 밸브(10)의 원통형 하우징(8)에 대해 긴밀하게 설치된 소켓(6a)을 형성하기 위해 평면도로 볼 때 부분적으로 원형이다. 이 중심부의 각 측면까지 플랜지(6)는 서로 평행하고 견부(14)는 플랜지의 하단으로부터 내향으로 연장하며 슬롯을 좁게 한다.
용기(12)는 분배되는 유체재료를 포함하는 가요성 쌕의 형태로 되어 있고 캡(12a)을 통해 출구 밸브와 연통된다(이하, 용기를 쌕이하 한다). 쌕(12)은 대향 측면들로부터 쌕을 지지하는 한쌍의 판 스프링(16)에 의해 가압 상태로 유지되며, 각 스프링은 쌕의 기이 및 폭을 따라 연장한다. 두 스프링(16)은 쌕 아래의 단부상에서 귀환 밴드(18)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쌕의 상단에서, 스프링은 두 갈래로 분기되어 출구 밸브(10)와 용기캡(12a)에 대한 간극을 형성한다. 하우징(8)의 각 측면상에는 스프링의 분기된 단부(22) 제3도가 플랜지(6)들 사이에 설치되고 견부(14)에 의해 쌕(12)과 함께 정위치에 고정된다.
이완 상태에서 각 스프링(16)은 제1도에 도시된 것과는 반대 방향으로 구부려진다. 디스펜서가 조립될때 스프링의 하단은 먼저 귀환 밴드(18)에 의해 결합되고 쌕(12)이 그들 사이에 배치된다. 그 다음에스프링은 그들의 이완 곡선과 반대방향으로 구부려져서 단부(22)들이 결합된 후 다음 플랜지(6)들 사이에 고정된다. 스프링의 절곡에 의해 스프링은 쌕(12)의 전 기이과 폭에 걸쳐 쌕(12)의 내용물에 압력을 인가한다. 이완 상태에서 스프링의 외형을 적절히 설계함으로써, 쌕의 전내용물들이 스프링의 압력에 의해 방출될 수 있고, 즉 재료가 방출되고 스프링이 서로 마주 부딪힐 때 스프링들이 그 사이에 어떠한 공간도 남기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쌕으로부터 가압 재료의 해제는 종래의 에어로졸 밸브의 형태로 될 수 있는 출구 밸브(10)에 의해 제어되며, 종래의 에어로졸 밸브에서 밸브 본체(26)는 캡형 하우징(8)의 중심 개구를 향해 돌출하고 출구를 정상시에는 밀폐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하우징(8)의 상부의 중심 개구를 향해 돌출하고 출구를 정상시에는 밀폐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하우징(8)의 상부의 중심 개구를 둘러싸는 탄성 중합체 환상 시일(28)과 결합한다.
밸브 본체는 그 사이에 칼라부(36)를 갖는 상부 관형부(32)와 하부 안내 스텝(34)을 구비한다. 칼라부(36)의 상부면은 칼라부의 바로 위에서 내부에 대해 횡단보어(38)를 가지는 관형부(32)의 외주 가장자리와 결합하는 시일(28)에 대해 가압된다. 이 상태에서 밸브는 폐쇄된다. 시일(28)은 내측으로 돌출하는 견부(44)를 구비하는 관형 라이너(42)에 의해 정위치에 유지된다. 견부(44)와 밸브 본체 칼라부(36) 사이의 압축 스프링(48)은 칼라부를 시일(28)에 대해 지지하는 판향력을 제공한다. 스프레이 출구(46)는 밸브 본체의 관형부(32)의 상단에 고정된다.
작동부재(52)는 측면벽(56)에 의해 지지된 피벗(54)상에서 케이싱(2)에 장착된다. 작동 부재(52)는 일체형 접촉 바아(58)가 밸브 본체(26)에 고정된 스프레이 출구(46)위에 압력을 가하지 않은 휴지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작동부재(52)가 아래로 피봇되면 바아(58)는 스프링 편향력에 대항하여 밸브 본체를 누른다. 칼라부(36)는 시일(28)로부터 멀리 이동하고 관형부(32)의 횡단 보어(38)는 환상 시일(28)의 아래의 밸브 하우징 내부와 연통하게 된다. 그러면, 쌕내에서 가압하에서 지지되어 있는 재료는 출구 밸브를 통해 방출된다.
만일 스프레이에 소정의 전하가 가해지고 스프레이될 물체가 접지된다면 스프레이 입자가 물체에 흡인된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실예의 디스펜서는 개인용품을 스프레이하기위해 이 효과를 이용하기 위한 것이며, 이 목적을 위해 하부 격벽(62)에 의해 가요성 쌕으로부터 격리된 위치에 전원팩(60)이 케이싱 내에 제공된다. 전원 팩은 예를 들면 15KV의 고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배터리 전력 회로를 구비한다. 그러한 회로는 잘 알려져 있고 유럽 특히 제501, 752호(임페리얼 케이칼 인더스트리즈)에서 보다 상세히 개시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팩(60)은 케이싱의 개방된 바닥 단부내로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으며 팩의 외주연상의 원주 방향 리브(64a)가 케이싱벽내이 대응홈(64b)과 결합하여 팩을 해제 가능하게 고정한다.
전원팩내의 회로는 팩 단부벽내의 구멍(70)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일련의 단자판(68)에 접속된다. 케이싱의 내부격상에 일체로 형성된 관형 채널(72a,72b,72c)은 그들의 하단에서 포획 상태로 유지되는 스프링 로드 접촉핀(74) 가지며 이 핀들은 전원팩이 정위치에 위치할때 단자판(68)과 접촉하도록 케이싱 단부벽을 통해 돌출한다. 케이싱의 한 측면사에는 쌕의 출구캡(12a)의 내부로 연장하는 고압 와이어(76)를 둘러싸는 하나의 채널(72a)이 위치한다. 케이싱의 다른 측면상에는 한 쌍의 채널(72b,72c)이 작동부재(52)상의 한 쌍의 측면 이격된 접점(80a,80b)에 각각 부착되는 와이어(78a,78b)내장한다.
금속 푸쉬 버턴(84)은 작동 부재를 피벗 시키기 위해 작동부재에 인접하여 피벗(86)상에 장착되지만 정상적으로는 스프링(88)에 의해 작동 부재로부터 이격되게 유지된다. 사용자가 버턴을 눌러 작동부재(52)를 변위치시키고 압력이 노즐(46)에 인가되기 시작할때 스프링(88)이 구부러지고 와이어(78a,78b)를 통해 회로를 접속하기 위해 푸쉬 버턴(84)이 두 접점(80a,80b)을 브릿지시킨다.
사용자가 금속 푸쉬 버턴(84)으로 수행하는 접속은 고장력 와이어를 통해 출구캡(12a)에서 쌕내의 재료에 회로의 접지를 제공하며, 그에 따라, 방출되는 재료가 전기적으로 대전된다. 노즐(46)은 예를 들면 직경이 0.15mm인 적절하게 작은 오리피스(46a)를 가지며, 이곳을 통해 재료를 배출시키는 압력이 매우 미세한 작은 방울들의 안개 형태로 스프레이를 형성한다. 이들 작은 방울들이 지니게 되는 고압 정전하는 사용자의 몸이 회로의 접지를 형성하므로 스프레이가 안내되는 사용자의 신체 부분에 흡입되도록 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방법으로 최소의 손실로서 스프레이의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작은 방울의 치수와 방울들의 대전 효과 때문에, 많은 개인용품을 매우 작은 체적으로서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유체를 가압하기 위해 스프링 기구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당한 시간 동안 균일한 낮은 유동율로서 스프레이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시되는 디스펜서에서 생성된 비교적 높은 전압을 고려하여 회로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조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전력 크기가 고압축과의 접촉에 의해 어떤 위험도 초래하지 않도록 충분히 작에 유지될 수 있다고 할지라도, 전압치는 불쾌산 쇼크를 주기에 충분하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격벽(4)으로부터 돌출된 격벽판(90)은 출구 밸브의 영역으로부터 푸쉬 버턴의 영역을 격기시킨다. 고전압 와이어(76)는 푸쉬 버턴(84)의 반대측상에서 케이싱에 위치하며 격벽(4)에 의해 완전히 차폐될 수 있다.
쌕에 압력을 인가하기 위한 탄성 수단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쌕의 한 측면상에는 강성 지지부재가 제공되고 다른 측면상에는 미리 하중이 가해진 판 스프링이 제공될 수 있다. 쌕의 벽위에 판 스프링이 직접 작용하는 대신, 판 스프링은 용기를 결합시키기 위해 설정된 외형 표면을 가지는 강성부재를 통해 작용할 수 있다. 그러한 강성수단이 쌕과 각 스프링 사이에 개재되면, 판 스프링보다도 다른 형태의 스프링을 채용하는 것이 더 편리할 수도 있다.

Claims (12)

  1. 분배될 유체로 채워질 수 있고 제1판 스프링과 제2판 스프링 또는 비탄성 지지면을 포함하고 내용물을 가압 상태로 있도록 용기(12)에 작용하도록 미리 부하가 가해진 탄성 수단(16)과 함께 폐쇄 밸브 수단(10)에 밀봉되는 변형 가능한 용기(12)에 제공되는 캐리어와, 가압에 의해 용기(12)의 내용물을 탄성 수단(16)으로부터 배출되게 하는 폐쇄 밸브 수단(10)을 개방시키도록 제공되는 제어 수단(52)을 포함하는 압력 유체 디스펜서에 있어서, 제1판 스프링과 제2판 스프링 또는 비탄성 지지면이 귀환 밴드에 의해 한쪽 단부에서 서로 로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유체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변형 가능한 용기(12)는 가요성 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유체 디스펜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용기(12)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유체 디스펜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판 스프링은 용기(12)의 전체 길이 및 폭에 걸쳐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유체 디스펜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탄성 수단은 용기와 결합되도록 소정 대응 표면을 갖는 적어도 소정의 강성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유체 디스펜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분배된 재료에 정전하를 가하기 위해 가압된 재료를 분배할 수 있는 스프레이 출구(46)와, 제어 수단(52)의 작동에 의해 작동 가능한 전압 발생 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유체 디스펜서.
  7. 제3항에 있어서, 판 스프링은 용기(12)의 전체 길이 및 폭에 걸쳐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유체 디스펜서.
  8. 제3항에 있어서, 탄성 수단은 용기와 결합되도록 소정 대응 표면을 갖는 적어도 소정의 강성 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유체 디스펜서.
  9. 제3항에 있어서, 분배된 재료에 정전하를 가하기 위해, 가압된 재료를 분배할 수 있는 스프레이 출구(46)와, 제어 수단(52)의 작동에 의해 가동 가능한 전압 발생 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유체 디스펜서.
  10. 제4항에 있어서, 탄성수단은 용기와 결합되도록 소정 대응 표면을 갖는 적어도 소정의 강성 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유체 디스펜서.
  11. 제4항에 있어서, 분배된 재료에 정전하를 가하기 위해, 가압된 재료를 분배할 수 있는 스프레이 출구(46)와, 제어 수단(52)의 작동에 의해 가능한 전압 발생 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유체 디스펜서.
  12. 제5항에 있어서, 분배된 재료에 정전하를 가하기 위해, 가압된 재료를 분배할 수 있는 스프레이 출구(46)와, 에어수단(52)의 작동에 의해 작동 가능한 전압 발생 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유체 디스펜서.
KR2019960012711U 1992-01-31 1996-05-21 압력 유체 디스펜서 KR97000344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29202149A GB9202149D0 (en) 1992-01-31 1992-01-31 Pressure fluid dispensers
GB9202149.2 1992-01-31
KR1019930001250A KR930016321A (ko) 1992-01-31 1993-01-30 압력유체 디스펜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1250U Division KR960001873Y1 (ko) 1993-02-02 1993-02-02 도로용 경계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447Y1 true KR970003447Y1 (ko) 1997-04-17

Family

ID=26300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2711U KR970003447Y1 (ko) 1992-01-31 1996-05-21 압력 유체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44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58859B2 (en) Spraying of liquids
US5316221A (en) Fluid dispenser having deformable container pressurized by leaf springs
EP0482814B1 (en) Fluid dispenser with uniform rate of dispensing
KR960006352B1 (ko) 유체 디스펜서
JPH11501892A (ja) エアロゾルバルブ
JPS59177157A (ja) 容器
KR100386386B1 (ko) 정전기전하된에어로졸스프레이시스템용작동기
KR102427476B1 (ko) 방출 스펀지를 포함하는 액체 디스펜서
KR970003447Y1 (ko) 압력 유체 디스펜서
JPH0826322A (ja) 瓶などの中のペーストまたは液体用のディスペンサ装置
WO1995012455A9 (en) Actuators for electrostatically charged aerosol spray systems
US2766072A (en) Aerosol sprayer with a replaceable cartridge
US3788525A (en) Compressed air aspirating and propellant actuated fluid product dispenser
JPH02229564A (ja) 逆止弁
US3495744A (en) Dispensing device
US3088682A (en) Combined actuator button and spray nozzle devices for aerosol valves
US3028054A (en) Remote actuating means for aerosol dispensers
KR20100103683A (ko) 정전분무장치
KR102090422B1 (ko) 정량 분사용기 및 그의 노즐 조립체
KR102111273B1 (ko) 화장품 용기용 디스펜서
KR100936181B1 (ko) 잔 가스 배출 기능을 갖는 정량 분사 용기
KR101901161B1 (ko) 플라워 형상으로 내용물을 도포하는 분사용기
WO1994026420A1 (en) Fluid delivery valve
HU213355B (en) Packaging device for dispersion and pression of several chemic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