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367B1 - 전기 콘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367B1
KR970003367B1 KR1019880008746A KR880008746A KR970003367B1 KR 970003367 B1 KR970003367 B1 KR 970003367B1 KR 1019880008746 A KR1019880008746 A KR 1019880008746A KR 880008746 A KR880008746 A KR 880008746A KR 970003367 B1 KR970003367 B1 KR 970003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connector
rows
contacts
tails
t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8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063A (ko
Inventor
나오또 사지와라
Original Assignee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도날드 밀러 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도날드 밀러 셀 filed Critical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Publication of KR890003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5Ground or shiel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전기 콘넥터
제1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콘넥터의 측면도 및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콘넥터의 구조와 배열을 나타내는 투시도.
제3도 및 제4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콘넥터에 채용되는 두가지 유형의 접촉자를 형성하는 금속 시이트 들의 전개도.
제5도는 평형 케이블에 접속된 요형 접속기를 핀들이 삽입되는 쪽에서 본 투시도.
제6도는 종래 기술의 콘넥터를 도시한 제1도와 유사한 도면.
제7도는 제6도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콘넥터의 구조와 배열을 나타내는 제2도와 유사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요형)전기 콘넥터 11 : 하우징
13 : 관통홀 14, 15 : 금속 스트립
17, 18 : 접촉자 19, 20 : 접속 꼬리부
본 발명은 전기 콘넥터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두열의 접속단자 또는 접촉자들을 갖되, 각 접촉자의 일단은 각각 만곡 및 돌출 꼬리 부분을 갖고, 그 꼬리부분은 모든 꼬리부분이 한 열내에 정렬되어 그곳에서 전기 콘넥터가 평형 케이블 특히 컴퓨터 주 프레임들 사이 또는 컴퓨터 주프레임과 그 주변 기기 사이에서 고속 펄스신호나 혹은 단파장 펄스폭을 갖는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한 평형 케이블에 접속되도록 배치 된 전기 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첨부 도면중 제5도는 고속 신호 전달 평형 케이블에 사용되는 전술한 유형의 요형 콘넥터(1)를 도시하고 있다.
이 콘넥터는 두열의 접속단자 또는 접촉자(2a), (2b), (2c), (2d), (3a), (3b), (3c) 및 (3d)들을 갖고 있다. 두열의 접촉자(2a), (2b), (2c), (2d), (3a), (3b), (3c) 및 (3d)들 중에서 신호 라인(3a), (2b), (3c) 및 (2d)들을 위한 접촉자들과 신호 라인(2a), (3b), (2c) 및 (3d)들을 위한 접촉자들은 콘넥터(1)에 대해 핀들이 삽입되는 쪽에서 보았을 때 교대로, 또는 지그재그 형태로, 혹은 체크 무늬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콘넥터(1)의 각 접촉자의 일단은 평형 케이블(4)에 접속된다. 제5도에서, 참조부호 S는 신호 라인 접촉자를 나타내고, 참조부호G는 접지 라인 접촉자를 나타낸다. 신호 라인 접촉자 또는 신호 라인(S)들과 접지 라인 접촉자 또는 접지 라인(G)들의 이와 같은 교대적 또는 체크 무늬 형태의 배열은 신호 접촉자 또는 신호 라인들 사이의 혼신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전술한 전기 콘넥터에 있어서, 각 접촉자 열은 설명의 편의상 4개의 접촉자를 갖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5개 이상 또는 3개 이하의 접촉자를 가질 수도 있다.
제6도 및 제7도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전술한 유형의 종래 기술의 요형( 形) 컨넥터(100)에 있어서, 제5도에 도시된 콘넥터(1)의 접속단자는 또는 접촉자(2a), (2b), (2c), (2d), (3a), (3b), (3c) 및 (3d)들에 각각 대응하는 접속단자 또는 접촉자(101a), (101b), (101c), (101d), (102a), (102b), (102c) 및 (102d)들은 각각 같은 형상을 갖는 만곡형 금속 시이트(103)로 제조된다. 종래의 콘넥터(100)에서, 외부 케이블과 접속되는 쪽의 각 접촉자(102a), …, (102d), (103a), …, (103d)로부터 꼬리부분(106a), (107a), (106b), (107b), (106c), (107c), (106d) 및 (107d)들이 만곡형으로 돌출하여 하나의 열내에 정렬된다. 따라서, 이러한 꼬리부분들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G, S, G, G, S, S, G의 순서로 정렬된다.
접촉자들의 꼬리부분들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된 경우, 신호 라인들에 대한 꼬리부분들은 꼬리부분(107a)와 (106b) 또는 꼬리부분(107d)와 (106d)의 경우에서 처럼 서로 근접되어, 인접하는 각 꼬리부분을 통해 전달될 신호들의 혼신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혼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설계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외부 케이블에 접속되는 접촉자들의 꼬리부분들 사이에서 혼신이 발생할 가능성을 감소시키도록 개량된 전기 콘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꼬리부분들의 열의 연장 방향에 수직이고 상기 열의 연장 방향 내에서 서로 인접하는 접속 단자들 사이의 중점을 통과하는 방사 평면을 중심으로 서로 반사 대칭적인 위치들에 배치된 꼬리부분들을 갖는 전기 콘넥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전기 콘넥터에서는, 꼬리부분들이 그 꼬리부분들의 열의 연장 방향에 수직이고 상기 열의 연장 방향 내에서 서로 인접하는 접속단자들 사이의 중점을 통과하는 반사 평면을 중심으로 서로 반사 대칭적인 위치들에 베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 접속단자의 접촉 측(즉, 꼬리부분들이 제공되는 쪽의 반대 측)에서 보았을 때 신호 라인 단자들과 접지 라인 단자들이 체크 무늬 형상을 이루도록 두열의 접속 단자들이 배치되어 있더라도, 하나의 열을 이루도록 정렬된 만곡 및 돌출 꼬리부분들 중의 신호 라인 꼬리부분들이 항상 접지 라인 꼬리 부분들 사이에 배치되므로, 신호 라인 꼬리부분들 사이에서 혼신이 발생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이하,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조로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요형 전기 콘넥터(10)를 설명하기로 하겠다.
(이 콘넥터는 핀들이 삽입되는 쪽에서 보았을 때에는 제5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보인다).
이 전기 콘넥터(10)의 하우징(11)은 전기 절연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그것의 한 단부면(12)으로부터 다른 단부면(도시 안함)으로 연장하는 대략 사각형의 관통 홀(13)들을 갖는다. 이 관통 홀(13)들은 동일 규격으로 되어 있고, 등간격으로 두개의 열을 이루도록 정렬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관통홀 쌍의 두개의 관통 홀(13)은 관통 홀 열들의 연장방향 x와 수직 방향에서 서로 인접한다. 각 열의 연장 방향 x에서 서로 교대적으로 배치된 각 관통홀 쌍(13a)은 제1의 만곡형 금속 시이트(14)를 수용하고, 나머지 관통홀(13b)들은 각각 제2의 만곡형 금속 시이트(15)를 수용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개략 도시된 제1의 만곡형 금속 시이트(14)는 제3도에 도시된 형상으로 펀치(punch)되어, 사각형 튜브를 형성하는 네측면 중에서 세측면(14g), (14h) 및 (14j)이 대응 관통홀(13a)내에 강압적으로 삽입되는 요형 접촉자를 형성하도록 점선(14a) 및 (14b)을 따라 직각으로 만곡된 금속 시이트이다. 측면(14g)의 일단의 바깥쪽으로부터 연장하는 돌출부(14c)는 점선(14d) 및 (14e)을 따라 만곡된다. 이 돌출부(14c)는 납땜에 의해 평형 케이블과 같은 와이어에 접속단자 또는 접촉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말단부 또는 꼬리부(14f)를 갖는다.
제1도 및 제2도에 개략 도시된 제2의 만곡형 금속 시이트(15)는 제4도에 도시된 형상으로 펀치되어, 사각형 튜브를 형성하는 네측면 중에서 세측면(15g), (15h) 및 (15j)이 대응 관통홀(13b)내에 강압적으로 삽입되는 요형 접촉자를 형성하도록 점선(15a) 및 (15b)을 따라 직각으로 만곡된 금속 시이트이다. 측면(15g)의 일단의 안쪽으로부터 연장하는 돌출부(15c)는 점선(15d) 및 (15e)을 따라 직각으로 만곡된다. 이 돌출부(15c)는 납땜에 의해 평형 케이블과 같은 와이어에 접속단자 또는 접촉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말단부 또는 꼬리부(15f)를 갖는다.
제1의 각 만곡형 금속 시이트(14)의 돌출부(14c)는 측면(14g)의 일단의 바깥쪽으로부터 돌출하는 반면에, 제2의각 만곡형 금속 시이트(15)의 돌출부(15c)는 측면(15g)의 일단의 안쪽, 즉 점선(15a)의 부근으로부터 연장한다. 따라서, 만곡형 금속 시이트들의 꼬리부분들은 X방향에서 서로 인접하는 접촉자들 사이의 중점을 통과하는 가상 반사 평면(A)을 중심으로 서로 반사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관통홀(13b)내에 삽입된 제2의 각 만곡형 금속 시이트(15)의 꼬리부분(15f)은 같은 열의 관통홀(15a)내에 삽입된 인접 만곡형 금속 시이트(14)의 꼬리부분(14f)과 인접한다.
콘넥터(10)의 두열의 접속단자는 또는 접촉자(17a), (17b), (17c), (17d), (18a), (18b), (18c), (18d)들의 접속 꼬리부(19a), (19b), (19c), (19d), (20a), (20b), (20c), (20d)들은 하나의 열을 이루도록 정렬된다. 그런데, 신호 라인들 접속용의 꼬리부(20a), (19b), (20c) 및 (19d)들은 서로 인접하지 않고, 접지 라인들 접속용의 대응 꼬리부(19a), (20b), (19c) 및 (20d)들 사이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그 꼬리부들은 G와 S가 서로 교대적으로, 또한 등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전체적으로 G, S, C, S, …의 순서로 배치된다. 따라서, 그 꼬리부분들에서 발생하는 신호들의 혼신의 가능성이 줄어든다.
게다가, 평형 케이블 등에 접속되는 그 꼬리부분들은 수지 내에 함몰된다.
본 발명의 콘넥터는 평형 케이블 대신 통축 리본형 케이블에 접속될 수도 있다.
접촉자를 형성하는 만곡부 본체는, 그것의 꼬리부분이 도면중에 도시된 위치에 배치되고 접촉자를 형성하는 셋 또는 네개의 측면을 갖는 한,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것과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만곡부 본체는 동일하게 신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관통홀(13)를 사이의 간격이 관통홀(13)의 규격보다 클 경우, 그 꼬리부분들은 X방향에서 관통홀들의 단부들로부터 그 중간 부분 쪽으로 연장하는 위치들에 배치될 수 있다. 신호 라인들에 대한 관통홀들의 규격이 서로 다르거나, 또는 접지 라인들에 대한 관통홀들의 규격과 다를 경우, 그 꼬리부분들은 S와 G의 교대적 배열이 보장되는 한, 다른 방식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 콘넥터의 접촉자는 요향 대신 철형으로 할 수도 있다.

Claims (5)

  1. 두열의 접속 단자들을 갖되, 그 각 접속 단자는 그 일단으로부터 만곡형으로 돌출하는 꼬리부분을 갖고, 그 꼬리부분들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열을 이루도록 정렬되어 그곳에서 외부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한 전기 콘넥터로서, 상기 꼬리부분들이, 그 꼬리부분들의 열의 연장 방향에 수직이고 상기 열의 연장 방향에서 서로 인접하는 접속 단자들 사이의 중점을 통과하는 반사 평면을 중심으로 서로 반사 대칭적인 위치들에 배치되는 전기 콘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속 단자의 타단이 요형 접촉자를 형성하는 전기 콘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속 단자가 만곡형 금속 시이트로 형성된 전기 콘넥터.
  4. 두열의 접속단자들을 갖되, 동등한 전기 접촉자들의 쌍들이 인접 열들 내에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됨과 동시에 그 열들 내의 비유사 쌍의 접촉자들중 한 접촉자와 교대적으로 배치된 전기 콘넥터로서, 상기 접촉자들이 상기 열들 내에 배치된 제1의 단자 부분들과, 케이블의 와이어에 접속하기 위한 상기 제1의 단자 부분들 반대쪽의 돌출 꼬리부분들을 갖는 전기 콘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들의 쌍들이, 각각 단일의 열로 배치된 상기 제1의 단자 부분들 및 돌출 꼬리부분들 상에서는 요형 단자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주름선을 갖고 그들의 타단부에서는 평면을 갖는 두가지 비유상 패턴의 도전성 금속 시이트들로 형성되는 전기 콘넥터.
KR1019880008746A 1987-07-15 1988-07-14 전기 콘넥터 KR9700033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76929A JPS6431361A (en) 1987-07-15 1987-07-15 Electric connection connector
JP62-176929 1987-07-15
JP62-176,929 1987-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063A KR890003063A (ko) 1989-04-12
KR970003367B1 true KR970003367B1 (ko) 1997-03-17

Family

ID=16022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8746A KR970003367B1 (ko) 1987-07-15 1988-07-14 전기 콘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299487B1 (ko)
JP (1) JPS6431361A (ko)
KR (1) KR970003367B1 (ko)
CA (1) CA1297962C (ko)
DE (1) DE3889593T2 (ko)
HK (1) HK10070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932Y2 (ja) * 1990-08-29 1996-03-29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ュアリング カンパニー 高速信号伝送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673632B2 (ja) * 1992-05-13 1997-11-05 オークマ株式会社 並列2主軸旋盤
US5562479A (en) * 1993-08-31 1996-10-08 At&T Corp. Connector for unshielded twisted wire pair cables
GB2282712B (en) * 1993-08-31 1997-09-10 At & T Corp Electrical connectors for minimizing cross-talk
JPH097651A (ja) * 1995-06-09 1997-01-10 Minnesota Mining & Mfg Co <3M> 接触子及びこの接触子を備えた端末コネクタ
AUPO635197A0 (en) * 1997-04-22 1997-05-15 Minitronics Pty. Limited Cable system
KR100433090B1 (ko) * 2001-07-06 2004-05-27 이교섭 곡물 탈곡기의 곡물 유도대 설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6512A (en) * 1981-07-24 1983-09-2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riple row coax cable connector
US4451099A (en) * 1982-05-07 1984-05-29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mmoning member
EP0211496B1 (en) * 1985-07-12 1993-01-13 The Whitaker Corporation Double row electr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297962C (en) 1992-03-24
EP0299487A3 (en) 1990-05-30
DE3889593D1 (de) 1994-06-23
JPS6431361A (en) 1989-02-01
EP0299487B1 (en) 1994-05-18
DE3889593T2 (de) 1994-11-17
KR890003063A (ko) 1989-04-12
HK1007036A1 (en) 1999-03-26
EP0299487A2 (en) 1989-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0887A (en) Electrical connector
US656184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outer conductive shell
US6805586B2 (en) High density connector for balanced transmission lines
US5267882A (en) Set of keyed electrical connectors
US4215910A (en) Electrical connector
JP2589178B2 (ja) 多数の信号コンタクト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US7442089B2 (en) Edge card connector assembly with high-speed terminals
US7198519B2 (en) Edge card connector assembly with keying means for ensuring proper connection
US5306171A (en) Bowtie connector with additional leaf contacts
US10211554B2 (en) Supported and hidden surface mount contact tails of electrical connector
TWI726015B (zh) 電連接器
KR830005737A (ko) 전기 콘넥터의 커플링(Electrical Connector Coupling)
KR930020778A (ko) 일체로 된 접지 단자 및 테일 실드
KR0152521B1 (ko) 전기 커넥터 시스템
KR970003367B1 (ko) 전기 콘넥터
US9583881B2 (en) Electrical connector
JPH0810932Y2 (ja) 高速信号伝送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706733B2 (ja) ケーブル・コネクタ組立体
KR100428038B1 (ko) 접지특성이향상된전기커넥터
US6015304A (en) Ground-enhanced electrical connector
EP0342873B1 (en) Surface mount connector
US3405386A (en) Contact used with edge connector
JPH0465077A (ja) 同軸リボン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4598963A (en) Circuit board composite connector
JPH0748384B2 (ja) プリント基板用の表面実装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