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021Y1 - 액체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액체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021Y1
KR970003021Y1 KR2019940022670U KR19940022670U KR970003021Y1 KR 970003021 Y1 KR970003021 Y1 KR 970003021Y1 KR 2019940022670 U KR2019940022670 U KR 2019940022670U KR 19940022670 U KR19940022670 U KR 19940022670U KR 970003021 Y1 KR970003021 Y1 KR 9700030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ntainer
closing member
storag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26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1120U (ko
Inventor
강희승
Original Assignee
강희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희승 filed Critical 강희승
Priority to KR20199400226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021Y1/ko
Publication of KR9600111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1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0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0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8Supports
    • B67D3/0083Supports for the liqui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액체배출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액체배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인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2a, 2b도는 제1도에 나타낸 액체배출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지지부재 11a : 몸체
12 : 안착부 13 : 공간부
14 : 플랜지부 14a : 관통공
14b : 받침판 14c : 탄성돌기
15 : 저장용기 15a : 배출부
16 : 미끄럼방지부재 17 : 뚜껑체
18 : 제1연장부 18a : 관통공
18b : 돌기 19 : 제2연장부
19a : 걸림돌기 20 : 개폐부재
20a : 걸림돌기 20b : 배출공
20c : 고정판
본 고안은 액체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액상(液相)의 저장물을 남김없이 말끔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할 때의 바닥부피를 적게 차지하며, 즉시 사용이 가능한 액체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상태의 저장물, 예컨대 액상의 치약이나 주방용세제 혹은 화장용제등과 같은 액체는, 통상의 연질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용기 내부에 저장하여 소비자들에게 공급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기일측에 장착된 뚜껑체를 개방시키거나 혹은 뚜껑체에 마련된 별도의 배출부재를 동작시킨 후, 용기를 꺼꾸로하여 한손으로 잡고 쥐어짜면서 용기내부의 액체를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용기내부의 저장물을 거의 사용한 후에는, 저장물의 배출이 쉽지 않으므로 끝까지 말끔하게 사용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으며, 더욱이 즉시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한 문제들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용기자체의 보관상태를 항상 거꾸로 하여 배출구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용기내부의 저장물을 말끔하게 사용할 수 있을 지는 모르나, 이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할 수 밖에 없으므로, 여전히 상기한바와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지지부재내에 용기를 수용한 후, 이 지지부재내에서 상기 용기를 상하이동시킴에 따라 액체를 배출/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용기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액상의 저장물을 남김없이 말끔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할 때의 바닥부피를 적게 차지하며, 즉시 사용이 가능한 액체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몸체의 내측중앙에 소정깊이의 안착부를 가지며, 그 저면으로 반구형상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들 안착부와 공간부사이에 내측방향으로 플랜지부가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안착부내에, 일측에 형성된 배출부가 하측방향으로 끼워넣어져 상하이동이 가능하며, 내부에 액상의 치약이나 주방용세제 등의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는 용기와; 상기 저장용기의 배출부에 나사맞춤되는 뚜껑체를 포함하며, 이 뚜껑체의 중앙부 내, 외측으로 연장하여 각각 관통공 및 걸림돌기를 가지는 제1 및 제2연장부가 형성되고, 이 제1 및 제2연장부내측에 끼워맞춤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재의 플랜지부에 장착되어 저장용기의 상하이동시에 저장물이 배출공을 통하여 하측방향으로 배출/차단시키는 개폐부재로 이루어진 것에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의 플랜지부는, 받침판과, 이 받침판의 상측에 형성된 다수의 탄성돌기로 이루어져 개폐부재의 하부끝단에 형성된 고정판이 끼워맞춤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 뚜껑체의 제1연장부의 내면중앙에 돌기가 형성되어 개폐부재내측에 형성된 배출공을 선택적으로 밀폐/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개폐부재의 외측면 중앙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뚜껑체의 제2연장부내에 형성된 걸림돌기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도록 한 액체배출장치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의(a), (b)는 본 고안의 액체배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들 도면에서와 같이 세면실이나 주방 등의 바닥면(10)상에 놓여지는 지지부재(11)를 구성하는 몸체(11a)의 내측중앙에 소정 깊이의 안착부(12)가 형성되고, 그 저면으로는 대략 반구형상의 공간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12)와 공간부(13)의 사이에는 내측방향으로 플랜지부(14)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이 플랜지부(14)는 내부에 관통공(14a)을 가지는, 받침판(14b)과, 이 받침판(14b)상측에 형성되는 다수의 탄성돌기(14c)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지부재(11)의 안착부(12)내로는, 액상의 치약이나 주방용세제등과 같은 저장물이 저장되는 용기(15)가, 일측에 형성된 배출부(15a)가 하측방향으로 향하여 끼워넣어져 상하방향으로 대략 3∼5㎜정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11)의 밑면에는 미끄럼방지부재(16)가 부착되어 바닥면(10)과의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용기(15)의 배출부(15a)에는, 뚜껑체(17)가 나사맞춤되고, 이 뚜껑체(17)의 중앙부내, 외측으로 연장하여 제1 및 제2연장부(18), (19)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연장부(18)의 측면에는, 용기(15)내부의 저장물이 배출되도록 다수의 관통공(18a)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중앙에는 돌기(18b)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연장부(19)의 끝단 내측방향으로는 걸림돌기(19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연장부(18), (19)의 내측에는, 제2연장부(19)측으로 부터 개폐부재(20)가 탄력있게 끼워맞춤되며, 이 개폐부재(20)의 대략중앙부에는 소정폭으로 걸림돌기(20a)가 형성되고, 내측중앙에는 배출공(20b)이 형성되어 이 배출공(20b)의 상측이 제1연장부(18)내면의 돌기(18b)와 선택적으로 끼워맞춤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20)의 저면에는, 평판형상의 고정판(20c)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11)의 플랜지부(14)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상기 개폐부재(20)에 형성된 배출공(20b)은, 용기(15)내부의 저장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단면형상을 대략 장방형의 사각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원형이나 그 밖의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제1도에서와 같이 지지부재(11)의 안착부(12)에 저장용기(15)를 꺼꾸로하여 눌러 장착시키게 되면, 개폐부재(20)의 고정판(20c)이 지지부재(11)내측의 플랜지부(14)를 구성하는 받침판(14b)상에 안착됨과 동시에 각각의 탄성돌기(14c)들에 의해 탄력있게 끼워맞춤 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20)의 배출공(20b)상단은, 제2도의 (a)에서와 같이 뚜껑체(17)의 제1연장부 (18)내면에 형성된 돌기(18b)에 끼워진 상태로 밀폐되어 있으므로, 용기(15)내부의 저장물은 배출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용기(15)내부의 저장물을 배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지지부재(11)의 상측으로 노출된 용기(15)의 상단부를 잡고 위쪽으로 약간 잡아당기면, 상기 용기(15)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개폐부재(20)하단의 고정판(20c)은 지지부재(11)의 플랜지부(14)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용기(15)의 배출부(15a)에 장착된 뚜껑체(17)의 제1 및 제2연장부(18), (19)가 제2도의 (b)에서와 같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2연장부(19)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9a)가 개폐부재(20) 외주면의 걸림돌기(20a)에 걸림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15)내부의 저장물은 상기 뚜껑체(17)의 제1연장부(18)에 형성된 관통공(18a)을 통하여 개폐부재(20) 내측중앙의 배출공(20b)을 따라 지지부재(11) 저면의 공간부(13)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11)의 공간부(13)내측에, 저장물의 용도에 따른 기능, 예를 들어 액상치약인 경우에는 칫솔(도시생략)을 끼워넣어 솔다발에 액상치약을 원하는 양만큼 도포할 수 있게 되며, 용기(15)를 놓게되면 자체의 자중에 의해 용기(15)가 하강이동하게 되므로 전술한 제2도의 (a)와 같은 상태로 복귀하여 용기(15)내부의 저장물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지지부재내에 저장용기를 수용한 후, 이 지지부재내에서 상기 저장용기를 상하이동시킴에 따라 액체를 배출/차단시킬 수 있도록하므로써, 용기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액상의 저장물을 남김없이 말끔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할 때의 바닥부피를 적게 차지하며, 즉시 사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몸체(11a)의 내측중앙에 소정깊이의 안착부(12)를 가지며, 그 저면으로 반구형상의 공간부(13)가 형성되고, 이들 안착부(12)와 공간부(13)사이에 내측방향으로 플랜지부(14)가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재(11)와; 상기 지지부재(11)의 안착부(12)내에, 일측에 형성된 배출부(15a)가 하측방향으로 끼워넣어져 상하이동이 가능하며, 내부에 액상의 치약이나 주방용세제 등의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는 용기(15)와; 상기 저장용기(15)의 배출부(15a)에 나사맞춤되는 뚜껑체(17)를 포함하며, 이 뚜껑체(17)의 중앙부내, 외측으로 연장하여 각각 관통공(18a) 및 걸림돌기(19a)를 가지는 제1 및 제2 연장부(18), (19)가 형성되고, 이 제1 및 제2연장부(18), (19)내측에 끼워맞춤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재(11)의 플랜지부(14)에 장착되어 저장용기(15)의 상하이동시에 저장물이 배출공(20b)을 통하여 하측방향으로 배출/차단시키는 개폐부재(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1)의 플랜지부(14)는, 받침판(14b)과 이 받침판(14b)의 상측에 형성된 다수의 탄성돌기(14c)로 이루어져 개폐부재(20)의 하부끝단에 형성된 고정판(20c)이 끼워맞춤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배출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17)의 제1연장부(18)의 내면 중앙에 돌기(18b)가 형성되어 개폐부재(20)내측에 형성된 배출공(20b)을 선택적으로 밀폐/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배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20)의 외측면 중앙에 걸림돌기(20a)가 형성되어 뚜껑체(17)의 제2연장부(19)내에 형성된 걸림돌기(19a)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배출장치.
KR2019940022670U 1994-09-03 1994-09-03 액체배출장치 KR9700030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2670U KR970003021Y1 (ko) 1994-09-03 1994-09-03 액체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2670U KR970003021Y1 (ko) 1994-09-03 1994-09-03 액체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120U KR960011120U (ko) 1996-04-15
KR970003021Y1 true KR970003021Y1 (ko) 1997-04-09

Family

ID=19392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2670U KR970003021Y1 (ko) 1994-09-03 1994-09-03 액체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02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120U (ko) 1996-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2224B1 (ko) 소형 유체 펌프
CN100353883C (zh) 用于剃刀、剃刀夹头或其它存放物件的存放装置
RU2633263C2 (ru)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с крышкой и подвижной защелкивающей системой
US4767034A (en) Scrubber cap closure
US7500579B2 (en) Cup with a pill shelf
US4793517A (en) Portable personal liquid storage and dispenser unit
US3326358A (en) Contact lens case
CA2125160C (en) Dispenser of doses of liquid soap or the like
US20060138169A1 (en) Multiple chamber container
EP2301377A2 (en) Liquid container with application function
US5577639A (en) Storage and dispenser organizers
AU2004245587B2 (en) Water reservoir for a refrigerator
US20100059524A1 (en) Closing device for a container for disposable tissues
JP2024510134A (ja) 自動キャップ倒立型容器
US4248398A (en) Wall mounted fluid dispenser
JP2002240875A (ja) 液体製品の収容と計量分配のための改良された装置
US4159788A (en) Wall mounted fluid dispenser
KR970003021Y1 (ko) 액체배출장치
CN110636974B (zh) 多容器分配装置
KR101523522B1 (ko) 휴대형 샤워볼 보관 용기
US6189696B1 (en) Consumer article comprising a WC basket unit and re-fill bottle
JPH0618927Y2 (ja) 定量注出容器
GB2164633A (en) Dispensers
KR101812083B1 (ko) 액상 세제 용기
JPH08217118A (ja) 液体計量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