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858B1 - 도로 마커 배이스 및 그 마킹 방법 - Google Patents

도로 마커 배이스 및 그 마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858B1
KR970002858B1 KR1019900006932A KR900006932A KR970002858B1 KR 970002858 B1 KR970002858 B1 KR 970002858B1 KR 1019900006932 A KR1019900006932 A KR 1019900006932A KR 900006932 A KR900006932 A KR 900006932A KR 970002858 B1 KR970002858 B1 KR 970002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er
marker base
base
pavement
suppor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6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0269A (ko
Inventor
제이. 몬탈바노 안토니
Original Assignee
스팀소나이트 코포레이션
원본 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491,104 external-priority patent/US5078538A/en
Application filed by 스팀소나이트 코포레이션, 원본 미기재 filed Critical 스팀소나이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910020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0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도로 마커 배이스 및 그 마킹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의 포장 도로의 마커 배이스(Pavement marker base)의 저면을 통상의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제2도는 제1도의 마커 배이스의 일부를 확대하여서 본 부분 시시도이다.
제3도는 도로면상에 고착되어 설치된 종래의 마커 배이스의 일부수직단면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마커 배이스를 개량하기 위해 기구(tool)를 사용하는 것을 나타낸 제1도에서의 마커 배이스의 일부 측 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예거한 배이스부재의 일부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6도는 도로면상에 고착되어 설치된 본 발명상의 마커 배이스를 일부 측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제7도는 본 발명상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일부 마커 배이스의 시시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의 마커 배이스 일부를 시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의 마커 배이스 일부를 시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제10도는 제9도에서 도시된 마커 배이스의 일부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제11도는 사전에 미리 장치한 고착용 패드(preequipped adhesive pad)에 의해 도로면상에 고착되도록 한 제8도에서 도시한 마커 배이스의 일부 측단면도이다.
제12도는 본 발명상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마커 배이스의 일부 시시도이다.
제13도는 또한, 본 발명상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마커 배이스의 일부 시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60, 70, 80 : 마커 배이스(base) 12 : 리세스 또는 챔버
14 : 벽 15 : 주변 벽
16 : 주변 지지면 18 : 내부교차홈(lntersecting groove)
19, 119 : 주변홈(perpheral groove) 22 : 원호상의 면
26 : 플랜지 28 : 용마루(ridge)
30 : 기구 32 : 도로
34, 334 : 고착제(adhesive) 36 : 포장도로면(pavement surface)
42 : 부틸패드 62 : 매쉬(mesh)
214 : 챔버 벽 215 : 주변벽
312 : 리세스 챔버(recess chamber)
본 발명은 개선된 도로 마킹용 배이스구조(roadway marker base structure)에 관한 것으로, 도로면 아래에 부착되고 통상 구운 건과자 형태(waffle-shaped)의 구조를가지고 하향으로 대향되는 오픈챔버(open chamber)를 구비하며, 접착수단에 의해 포장 도로면상 구조에 고착 또는 고정되는 도로 마커 배이스(roadway marker base)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많은 종류의 도로용 마커(madway marker)가 사용되어 왔다. 예컨대 1930년대 초에 칼리포니아주에서 재용된 주간(낮)세라믹 마커(daytime ceramic marker)를 들수 있는데, 이 특수마커는 높은 광택을 가지고, 돔형의 상정부(domed top)와 저면에 추돌에 의한 돌출부(bumped protrusions)를 가진 세라믹재의 고체편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저면 배열은 평면으로부터 127mm(0.15 inch) 이상으로 떨어질수 없게 되어있다. 이 돌출부는 마커 배이스(marker base)가 도로표면에 고정되면 관련된 소정의 접착제와 작용하여 상기 마커의 저면이 개선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야간 마커(nighttime marker)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마커 배이스의 상정부에 보다 용이하게 부가 가능한 반사부분(refletive portions)을 필요로 한다.
종래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가진 세라믹 모델(ceramic model)에 대하여 살펴보면 고체플라스틱제 마커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막대한 코스트가 소요 되었을 뿐 아니라 모울딩 공정에서도 수축(shinkage) 현상을 면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플라스틱제 마커 배이스(plastic marker base)의 설계에는 작은 벽 두께를 적절히 유지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임을 알게 되있다. 이렇게 하여 종래의 기술로부터 미국의장등록 제D-267,933호(1983년 2월 15일 발행)와 같은 구운 건과자형의 배열(waffle-like arrangement)에서 플라스틱 리브로 모울딩 된 열가소성 쉘(thermolastic shell)을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상의 마커는 모울드로 부터 마커의 사전 이동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도로표면에서 좁은 칫수로 하향되어 테이퍼져 있는 다수의 챔버벽(chamber walls)을 가진다. 동시에, 이들 챔버벽의 작은 저면역은 모울딩 공정 중에 큰 추돌에 의한 돌출부의 침입(inclusion)을 허락하지 않는다. 따라서, 챔버 벽의 하향면은 공유면(coplanar)으로 되고 도로면상에 정지상태에 있게 된다. 이들 마커(marker)들은 역첨(bitumin)의 물질이니 에폭시와 같은 적절한 접착제를 도포하여 만들어지는데, 그 어느 것이든 마커 배이스의 하측이나 도로면상에 도포되므로써, 접착제가 도로면과 마커 배이스 사이에서 샌드위치 되도록 한다. 다음, 하향 압력이 마커 배이스를 접착제에 공고히 결합되어 안착 되도록 작용된다.
만일, 상술한 구성에서, 마커가 충분한 하향압력을 가지고 포장도로상에 충분히 자리잡게 되면, 모든 접착제들이 실질적으로 배이스 챔버속으로 상향하어 압착되어 스퀴징 되므로써 하향하는 지지면과 도로면의 사이에서 얇은 접착제 필름(막)만을 형성하게 된다. 이 소위 "쿠커 커터(cookie cutter)"라고 하는 현상은 도로면과 포장도로에 대해 마커 배이스를 안착고정 시키기 의해 반대되는 마커 배이스면 사이에서 고착제를 매우 적게 공급케하기 때문에 때때로 마커가 너무 쉽게 벗겨 떨어지거나 아니면 사고로 도로로 부터 제거되어 버리거나 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종래 기술상의 또 다른 문제점은 종래의 도로용 마커는 고착제의 선택에 기인되는 점도 있는데, 고착제로서 통상 에폭시를 사용하지만 콘크리트 표면에 대단히 잘 부착되는 점이 있긴 해도, 준비에 시간이 너무나 걸리고(15-20분) 따라서, 길어지는 시간만큼 코온(cone)을 가진 도로의 클로징어프 단면(closing off section)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특히 신속한 공사설치가 요구되는 일시적 마커 사용에는 매우 불편하다. 게다가 일시적이든 영구적이든 어느 것이나 아스팔트 면에 자주 빈번히 사용되는 것에는 더욱 그러하다. 더욱이 에폭시가 아스팔트 도로상에 사용되면, 아스팔트에서 에폭시 주위로 형성되는 크랙, 통상 "반사적 크랙킹(reflectlve cracking)"이라 불리우는 크랙현상이 발생된다. 이들 조건하에서는, 마커, 에폭시 그리고 일부 아스팔트 그 자체는 극히 취약하게 된다. 아스팔트질과 같은 역청질의 고착제(bituminuous adhesives)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및 얇게 깎아 봉한 도로면(chipped-seal-type road surface)에 보다 적합한 것임을 알게 되었다. 이들 재료는 균일히 혼합된 광석체 충전제(mineral filler)를 가진 아스팔트 재료로서 종래 기술에 이용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들은 에폭시가 아스팔트상의 면(asphaltic surface)에 사용되면 반사적 크랙킹을 없애준다. 또한 역청 아스팔트(bitumen)는 통상 30초 내지 1분 동안에 만들어지므로 고착제로 마커를 설치하는 데 필요로 하는 인력은 상당히 줄어들게 된다.
역청칠의 고착제는 또한 에폭시를 사용할 수 없는 구조역(construction zone)과 같은 곳에서 "일시적" 마커 설치용으로 보다 많이 사용된다. 이는 에폭시로 만들어진 마커를 도로로부터 뜯어내기 전에는 쉽게 제거할 수 없음에 반하여 역청질 고착제는 긁어 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역청질의 고착제로 부착된 마커는 영구적이거나 일시적인 설치 양쪽 모두에 적합하다. 그러나, 역청질의 재료가 다소 유연하기 때문에(이 유연성은 도로로 부터 제거되게 하는 성질을 부여한다.)종래의 기술상의 오픈-쉘형의 마커(mounting open-shell-type maker)에서는 사용에 어려움이 발생되고 있는데 미국의장특허 D-267,933호에서 볼 수 있는 마커가 그것이다. 이러한 유연성 때문에 쉘과 저부(bottom) 사이에서 고착제 접착에 전술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마커의 저벽(bottom wall)상에 앵커링면(anchoring surface)을 부여하므로써 고착제도 어떤 것이든 용이하게 선택할수 있도록 상술한 종래의 접착상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마커가 설치되면 기계적으로도 내부결합 내지 내부체결 상태를 공고히 하고 접착상의 내부결합(interlock)내지 결착상태를 공고히 하도록 촉진 또는 충진시키도록 한 발명이다. 여기에서 역청질의 재료를 챔버속으로 흘러들도록 하고, 마커는 역청이 도로면상에 투입되도록 가열되고 비교적 유동성이 있어 흘러가기 좋은 상태로 한 후 단순히 내리게 하여 설치 가능하게 된다. 다음 역청질의 재료는 유동되어 앵커링면 둘레에 흘러들어가게 됨으로써 일시적이든 영구적 마커 설치에든 모두 강하고 튼튼한 결합 내지 결착상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포장도로(pavement)으로 부터 마커의 움직임(dislodgement)이 없도록 하기 위해 우수한 보지 력(holding ability)을 갖는 하향대 면 오픈챔버(downwardly-facing open chamber)를 구비 하고 샘배모양의 건과자와 같은 (waffle-type) 포장 도로마커 배이스 부재에 대해 개량된 배이스 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도로 고착제에 부착하기 위해 하향대면 되면 표면역(downwardly-facing surface are)을 포함하여 개량된 설치용 마커 배이스 부재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커배이스가 충분히 도로면상에 눌려질 때 마커배이스와 도로면 사이에 조절 가능한 고착제량을 사전에 함유하고, 보존하고 준비 결정할 수 있도록 증가된 하향하여 대면되는 변형을 포함하는 개선된 마커 배이스 부재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고착제에서 마커를 정치 시키기 의하여 도로 고착제로 내부 결착을 위한 수평으로 돌출되는 돌출부(horizontal protruding projections)를 포함하는 전술한 종류의 마커 배이스 구조를 제공하는 일이다.
본 발명에서, 하향대면 되는 표면과 포장도로 사이에서 사전에 조절 가능한 고착제의 량을 수용되도록 하향대면 되어 변형되는 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챔버벽을 상향하여 또한 외향하여 변형시킨다. 이 넓어진 변형의 표면 배열은 여러가지 형태, 예컨데 원호상, 사각형의 놋치형, 도브(dovetail)과 같은 형태로 할 수 있다. 더욱이, 벽의 외향되는 변형(outward deformation)은 마커를 견고히 정치하도록 고차제로 내부결착 시키기 위한 립(lip)을 제공한다. 그 외의 다른 실시예로서, 와이어매쉬(wire mesh)의 편(piece)을 거의 변형되지 않은 챔버벽의 저부에 고정시키고, 이 매쉬는 고착제로 내부결착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아래에 놓이는 도로면에 부착되도록 통상 평면상의 저부지지면(planar bottom support surface)를 가지는 포장도로 마커 배이스(pavement maker base)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저부지지면으로부터 상향하여 뻗고, 상기 저부지지면에 횡으로 놓이는 지지벽으로 경계를 둔 챔버(chamber)로 이루어지고 또한 저면을 가지며, 상기 저부 지지면의 평면내에 놓여있고 또한 그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지지벽의 상기 각각의 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지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리세스(recess)와, 상기 지지벽의 적어도 몇개의 저면으로 부터 상향하여 뻗고, 상기 지지벽으로 만들어지는 챔버축을 넘어 비스듬히 끝나는 적층형 앵커링 기구(interally formed anchoring means)와 챔버에 대한 개구부(opening)와로 구성되고, 상기 앵커링 가구는 소정의 고착제의 용적을 받아들이도록 수용배치되고 정렬되도록 한 포장들 마커 배이스에 관한 포장도로 마커 배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앵커링 기구(anchoring means)는 상기 지지벽의 적어도 일부로 되는 저면에 주어지는 다수의 횡 변형으로 만들어지며, 상기 변형의 일부는 통상 원호상으로 또는 사각형으로 놋치를 이루거나 비들기꼬리형을 이루어 하향대면되는 면으로 둘러싸이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기 앵커링 기구는 상기 지지벽의 적어도 일부의 저면상에 배치된 와이어메쉬의 조각편으로 이루어지기도 하다. 상기 앵커링 기구는 또한 벽의 재료를 통상 사각형의 놋치를 가진면, 또는 비들기꼬리형을 가진면, 또는 원호면상에 의해 둘러싸이는 상향 형성되는 변형물로 변형되도록 벽의 저부지지면속으로 용마루를 형성한 기구를 압축하므로써 통상 원호상면이 변형되지 않는 상기 벽의 저부지지면의 폭 보다 큰 폭을 가진플랜지를 구비하도록 한다.
그 외의 본 발명상의 여러가지 특징은 앞서의 목적과 요약 및 상세한 설명으로 보다 잘 나타나고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기구 및 작업방법의 양면을 포함하는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거 다음과 같이 상세히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 및 제2도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로 마커 배이스부재(roadway marker base member)가 도시되어 있다. 이 마커는 본 출원인의 미국 의장특허 D-267,933호의 사시도를 인용한 것이다.
이들 마커는 일시적 또는 구조적 조온마커(temporary or construction zone marker)로 사용되는데, 갈라지는 지점, 즉 다른 새로운 길로의 수송(re-routing of traffic)이 필요한 지점에서 비교적 짧은 간격으로 설치하고자 할 때 주로 사용된다. 또한 이와 다소 유사한 감이 있는 배이스 패턴이 본 출원인의 미국특허 제4,208,090호(1980년 6월 17일)로 도시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는 배이스부재(10)의 하측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배이스 부재는 통상 적절히 주입 모울딩 되고, 열가소성 소재로 성형된다. 성형된 후 모울드로 부터 분리되면, 넓고 편평한 건과자 형상으로 된 저부를 갖게 되고, 이 저부에는 하향하여 면하는 오픈 리세스(open reces)나 통상의 수직 벽(14)과 연속적인 외부 주변벽(15)에 의하여 나누어지는 다수개로 챔버(12)가 있다. 수직벽(14)과 주변벽(15)은 저부지지면(16)에서 끝나게 된다.
이하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평행하고 교차되는 홈(18)이 벽(14)에 의해 형성되어, 주변지지면(perimeter support surface)(16)과 함께 정렬된 통상 교차형 벽 교차점(cross-shaped wall interstion)(20)을 분리시킨다. 홈(18)을 원호상면(22)에 의해 형상을 이루는데, 제4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모올딩법(post-molding process)으로 형성되며, 여기에는 용마루(ridge)(28)를 가진 모루(anvil)(30)와 같은 기구가 홈(18)이 형성되도록 상, 향하여 벽의 가소성재를 변형시키기 위해 각 벽(14)에 충분한 힘이 가해진다. 이에 따라 변형 가능한 가소성재료 즉, 변형물은 플랜지(26)을 형성하기 위하여 외부로 유동되어(제4도 참조) 이동한다.
실제 제조에 있어서는, 홈(18)은 제1도의 균일한 패턴을 만들어 주기 위한 단일 스트로크(single stroke)로 마커 배이스(10)의 모든 벼(14)을 가압가능한 모루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모루(도시안됨)는 마커의 그것과 유사한 얇고 넓은 기와형 또는 건과자형의 표면형상을 갖고, 상기 기구의 용마루(28)의 교차점을 가짐으로써 마커 배이스 챔버의 중앙부와 정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하여, 주변 홈(19)은 가급적 주변벽(15) (제2도 참조)에서 지지면(16)의 주위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 홈을 형성하기 위한 포스트 모올딩법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용마루(profecting ridge)(28)를 기구(30)가 실질적으로 상온에서 안정된 압력으로 배이스 부재벽(14)과 주변벽(15) 속으로 강제 인입되도록 하는 소위 "콜드 헤딩(cold-heading)"법이다. 홈(18)(19)을 형성하기 위한 다른 방법은 "코딩(coining)"이다 이 방법으로 기구(30)와 같은 것을 예리한 충격으로 배이스(10)의 벽(14) 속으로 유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홈(18)(19)을 형성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도 "열성형(thermoforming)" 또는 "열간호빙(thermohobbing)"을 이용하는 것인데, 여기에서 기구(30)는 소정의 깊이로 벽(14)속으로 가열되고 압축된다. 이 과정에서 기구(30)는 통상 제조메이커로 부터 기구를 사전에 풀어주기 위해 달라붙지 않는 점 착성물질(non-stick substance)를 코팅 된다.
홈(18)(19)을 만드는 방법을 어떻게 선택할 것이냐는 마커 배이스(10)의 모울딩에 사용되는 특수 열가소성 물질에 달려있다. 예컨데, 상온에서 변형하려고 하는 어떤 물질을 콜드-헤딩에 의해 처리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제5도에서는 마커배이스(10)의 단면이 포스트 모울딩 프로세스(post-molking process)가 완료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그림에서, 챔버와 같은 리세스(chamber-like recess)의 배열이 분명히 나타나 있다.
제3도는 도로(32)에 고착도리는 종래의 마커 배이스의 일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마커 배이스는 마커 배이스와 포장면(36) 사이에서 샌드위치되어 있는 고착제(접착제 34)를 가진 포장위로 가압된다. 만일 상당한 정도의 하향압력일 도로면상에 견고히 자리잡도록 하기 위해 마커 배이스에 가해지면, 고착제는 챔버(12) 속으로 짜져서 스퀴징되고, 그 벽의 하단(l8)은 포장면(36)상에 좌착되며, 벽(14)의 수평면과 도로표면(36)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면(16) 사이의 얇은 고착제 막을 남기게 한다. 제3도가 고착제(34)의 층을 끼움이 없이 도로표면(36)에 접촉하는 벽(14)의 저면을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마커 배이스(10)의 반대편으로 접촉하는 면(opposing contact surface)과 도로(32) 사이에서 고착제층이 통상 최소로 되는 "쿡키캇터(cookie cutter)" 현상을 도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벽(14)은 지지면에서 끝나는 단부(16)를 향해 안으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벽의 수평 말단부는 상향하여 대면되는 도로면(36)에 반대되는 작은 표면역을 제공한다. 이는 두 표면 사이에서의 최소 고착접촉역을 결과적으로 만들게 한다.
본 발명상의 실시예로서 나타낸 마커의 일부 단면이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되어 있다. 기구(30)에 의하여 변형됨에 따라, 홈(18)은 바깥선에서 원호상으로 되고 이 홈은 원호상면(38)과 플랜지(26)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데 모루(30)에서 용마루(28)의 외곽선과 만나게 된다. 제5도에서는 볼 수 있는바와 같이, 원호상면을 통상 지지벽으로 이루어지는 측면을 넘어 뻗고, 각 원호상면(38)의 구역은 원래의 그것보다, 이동되지 않은 것보다, 하향 대면되는 벽의 표면(제3도의 부호 16)보다 큰 데, 이는 표면(38)의 원호상 길이가 변형되지 않은 대응되는 수평면(16)의 길이보다 길고, 원호상면의 폭이 플랜지(26)폭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대응되는 수평면의 폭보다 크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각각의 벽(14)에서 하향대면되는 표면(38)을 길게하고 넓게 하면 고착제를 받아 마커와 도로면 사이의 접촉면적을 크게하기 위해 보다 큰 하향대면되는 표면의 면적을 제공해 주게 된다. 또한, 홈(18)은 챔버벽(14)내에서 원호상면(38)과 도로면(36)사이에서 마커가 층분히 도로면(36)상에 자리잡을 때에는 고착제의 량을, 호마, 보존, 확보하기 위하여 예비적으로 크기를 고르게 한 캐비디 홈을 만들어 주므로써, 종래의 기술로 제조하는 메이커들과 같이 또한 "쿠키 커터"현상과 같이 보다 큰 고착성을 부여한다. 마지막으로, 마커 배이스(10)와 포장면(36)사이의 접착성 또는 고착성은 외향하여 위치 변환된 플랜지(26)와 고착제(34)사이에서 굳은 내부 결합력에 의해 더욱 강해진다. 사전에 미리 조정가능한 고착제의 량을 캡슐화(encapsulation)하는 데는 여러가지 다른 방법도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상의 마커 배이스(marker bae)(10)도 또한 제11도에서와 같이 고착성 부틸 패드(adhesive butyl pad)(42)로 장비된다. 이 부틸 패드(42)는 양측에 달라붙는 부틸 러버(butyl rubber)의 고체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착성 코팅의 층은 이 점착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부틸 러버 패드의 각 측면에 가해진다. 부틸패드(42)는 챔버벽(14)과 외부 주변벽(outer perimeter wall)의 저부지지면(16)에 고착되고, 패드(42)의 다른 측면은 점착성이 없는 보호물질(44)의 판으로 장비되어 있다. 마커 배이스(10)를 도로(32)상에 부착할때에는 처음부터 역청(bitumen)과 같은 고착성 물질을 도로포장면(36)상에 확대 도포하는 것은 아니다. 그 대신 보호성 재료판(butyl pad)(42)로 부터 벗기고, 패드의 고착성 또는 접착성면을 노출시켜서 마커 배이스(10)를 포장면(36)상에 위치시키고 마커 배이스의 상정부에 하향압력을 가한다. 이 부틸패드(42)는 마커 배이스(10)의 저부지지면(16)과 도로포장면(36)사이에서 편리한 고착수단을 제공해 준다.
본 발명상의 또 하나의 실시예가 제7도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마커 배이스는 통상 부호 40으로 나타나 있다. 이 모울드 된 리세스(molded reces) 또는 그루브홈(118)은 벽(114)과 함께 도시되어 나타나 있다. 또한 또 다른 그루브홈(119)이 주변벽 저부지지면(116)에틸 러버 패드의 각 측면에 가해진다. 부틸패드(42)는 챔버벽(14)과 외부 주변벽(outer perimeter wall)의 저부지지면(16)에 고착되고, 패드(42)의 다른 측면은 점착성이 없는 보호물질(44)의 판으로 장비되어 있다. 마커 배이스(10)를 도로(32)상에 부착할때에는 처음부터 역청(bitumen)과 같은 고착성 물질을 도로포장면(36)상에 확대 도포하는 것은 아니다. 그 대신 보호성 재료판(44)을 부틸패드(butyl pad)(42)로 부터 벗기고, 패드의 고착성 또는 접착성면을 노출시켜서 마커배이스(10)를 포장면(36)상에 위치시키고 마커 배이스의 상정부에 하향압력을 가한다. 이 부틸패드(42)는 마커 배이스(10)의 저부지지면(16)과 도로 포장면(36) 사이에서 편리한 고착수단을 제공해 준다.
본 발명상의 또 하나의 실시예가 제7도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마커 배이스는 통상 부호 40으로 나타나 있다. 이 모울드 된 리세스(molded recess) 또는 그루브홈(118)은 벽(114)과 함께 도시되어 나타나 있다. 또한 또 다른 그루브홈(119)이 주변벽 저부지지면(116)에 형성되어 있다. 마커 배이스(40)는 인젝숀 모울딩(injection molding)만으로 형성되고, 콜드헤딩(cold-heading)이나 기타 다른 포스트 모울딩법(post-molding process)을 요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상의 그루브홈(118) 보다 큰 하향면 표면적을 부여하는데, 그 이유는 챔버벽의 종래의 면에 비할때 리세스(118)를 형성하는 원호상의 중가된 길이에 기인한다. 게다가,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원호상면과 도도면상 사이에서 고착제의 사전 조절가능량을 캡슐화하는 이점도 갖고 있다.
본 명세서가 도로 마커 배이스(10)에 관해 검토하는데 있어, 원호상의 홈에 의해 특징화 되는 챔버벽에 포스트 모울딩 된 변형을 가지는 여러가지 다른 가능한 배치가 존재한다. 예컨데, 마커 배이스와 도로 표면 사이의 균일한 고착제층은 중요한 것으로 간주되고 있는데, 제12도의 마커 배이스(70)에서와 같이 이 변형은 사각형의 놋치(notch)(46)의 형태로 적용 가능하다.
이와 유사하게, 변형은 제13도의 마커 배이스(8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비둘기 꼬리 모양의 도브래일 컷트(dove-tail cut)(48)형태로도 특징 지워져 있다. 이들 마커 배이스(10)의 챔버벽에서 정규 또는 비정규적으로 형태를 갖춘 여러가지 컷트들은 마커 배이스의 저부 지지면과 도로포장면 사이에서 미리 량이 조절가능한 고착제를 받아들이기 위해 넓어진 표면적을 제공해주며, 고착제와 같이 내부 결착 표면을 제공하고 강한 결착력을 증진시킨다. 제12도 및 제13도에 도시되는 다른 모든 엘레멘트도 도로 마커 배이스의 원호상의 그루브홈을 가진 실시예에서 이미 논의한 바 있는 엘레멘트에 대응한다.
제8도는, 본 발명상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마커 배이스(50)에는 각 챔버벽(214)과 주변벽(215)의 저면(216)상에 모울드 된 탭(tab)(152)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배치가 콜드헤딩, 코이닝(coining)이나 열성형과 같은 포스트 모울딩법으로 처리되므로써 제2도의 부호 18(제8도에는 도시안됨)과 같은 변형을 만들면, 랩(52)의 추가적인 플라스틱 재료는 외향돌출하는 립(outwardly projecting lip)과 고착제(adhesive)사이의 균일하고 강한 내부결착 효과를 갖도록 벽(214)으로 부터 보다 돌출되는 플렌지(26:도시안됨)와 넓은 원호상면을 만든다.
제9도 및 제10도에서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마커 배이스(60)는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형성되나, 오울드 된 탭이나 어떤 변형도 포함하지 않는다. 그 대신, 배이스가 저부 지지면(316)에서 끝나는 통상의 벽(314)에 의해 나누어지는 하향대면 오픈 챔버(downwardly-facing open chamber)(312)를 가진 건과자형의 저부배치와 더불어 인젝션 모울딩 된 후에는, 와이어 스크린이나 메쉬(62)편이 구변벽(315)에 의해 묶어지는 표면적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는데 주어진다. 이 메쉬(62)는 저부지지면의 평면내에서 마커의 저부를 넘어 뻗어 놓여진다. 이 포스트 모울딩법은 그런후에 메쉬(62)를 벽(314)의 저면(316) 또는 주변지지벽(315)의 저면 속으로 끼워 깔아 둠으로써(imbedding)완료되며, 이에 따라 메쉬는 마커의 저부에 견고히 체결되는 것이다. 여러가지 깔아둠 방법이 사용되는데, 예컨데 열성형의 초음파 성형의 이용된다.
마커는 제10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된다. 역청(bitumen)(334)의 층은 도로(332)의 포장면(336)상에 확산되며, 마커(60)가 도로의 상정부에 위치되면, 그리고 하향압력이 작용되며, 고착제(334)는 리세스 챔버(recess chamber)(312)속으로 와이어메쉬(wire mesh)(62)에서 개구부(64)를 통해 상향하여 스며나오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고착제에 대해 와이어 메쉬내에 고착을 위해 보다 큰 표면적이 생기게 되고, 양자 사이에서 더욱 강한 내부 결합력을 부여하므로써 마커(60)를 도로면(336)에 견고히 부착시키는 것이다.
전술한 명세서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한 바 있지만, 정규적이고, 마커 배이스의 아래측에서 만들어지는 건과자형 챔버배열에 있어, 여러가지 챔버벽 패턴의 배치가 이용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그러한 패턴도 또한 정사각형, 직사각형, 원형, 삼각형 또는 여러가지 비정규적 형태로 되고, 물론 외향하여 대면되며, 배이스 주변을 따라 측면이 개방된 챔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발명상의 응용은 말할것도 없고 본 발명의 원리, 정신 및 특허첨구범위에 기초를 둔 범위로 부터 다소의 수정을 가하여 이루어지는 기술에 까지 범위가 미친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음을 천명하는 바이다.

Claims (10)

  1. 도로면(roadway surface) 아래에 부착되도록 통상 평면상의 저부지지면(planar bottom support surface)를 가지는 포장도로 마커 배이스(pavement marker base)는 상기 저부지지면으로부터 상향하여 뻗고, 상기 저부지지면에 횡으로 놓이는 지지벽으로 경계를 둔 챔버(chamber)로 이루어지고, 또한 저면을 가지며, 상기 저부 지지면의 평면내에 놓여 있고 또한 그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지지벽의 상기 각각의 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지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리세스(recess)와; 상기 지지벽의 적어도 몇개의 저면으로 부터 상향하여 뻗고, 상기 지지벽으로 만들어지는 챔버측을 넘어 비스듬히 끝나는 적층형 앵커링기구(interally fomed anchoring means)와 챔버에 대한 개구부(opening)와로 구성되고, 상기 앵커링 가구는 소정의 고착제와 배열되고 배치되므로써 상기 앵커링 기구는 마커 배이스의 저부 지지면과 관련 로면사이에서 부착제의 적절한 두께를 유지케 함으로써 고착 촉진케하여 포장 마커 배이스를 관련 로면에 고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도로 마커 배이스(A pavement marker base).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링 기구는 상기 지지벽의 적어도 일부 저면에 주어지는 다수의 변형(deformation)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변형은 마커배이스의 저부지지면으로 부터 상향하여 뻗도록 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도로 마커 배이스(A pavement marker base).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은 적어도 일부가 통상 원호상(arcuate surface)의 면으로 한정되고, 상기 저부지지면에 대향되며, 상기 지지벽의 폭보다도 큰 폭을 가지게 함으로써 마커 배이스와 고착제(adhesive) 사이의 내부결합을 촉진시키므로써 마커 배이스를 그 아래에 놓이는 도로에 고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도로 마커 배이스(A pavement marker base).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은 적어도 일부가 통상 사각형으로 놋치면(rectangularly notched sudace)를 이루는 면으로 한정되고 상기 저부지지면에 대항되며, 상기 지지벽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므로써 마커 배이스와 고착제 사이의 내부결합을 촉진케하여 마커 배이스를 그 아래에 놓이는 도로에 고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도로 마커 배이스(A pavement marker base).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은 적어도 일부가 통상 비둘기꼬리형면(dovetailed surface)을 이루는 면으로 한정되고, 상기 지지벽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게 함으로써 마커 배이스와 고착제 사이의 내부 결합을 촉진케 하여 마커배이스를 그 아래에 놓이는 도로에 고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도로 마커 배이스(A pavement marker base).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링 기구는 또한 상기 지지벽의 적어도 일부의 저면상에 배치된 와이어 메쉬(wire mesh)의 편(plece)으로 이루어지므로써 마커배이스와 고착제 사이의 내부결합을 촉진케 하여 마커배이스를 그 아래에 놓이는 도로에 고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도로 마커 배이스(A pavement marker base).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착제는 역청(bitumin)우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도로 마커 배이스(A pavement marker base).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역청은 미리 성형된 패드(pad)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도로- 마커배이스(A pavement nnrker base).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착제는 시멘트(cement)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도로 마커 배이스(A pavement marker base).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착제는 에폭시(epoxy)로 되는 특징으로 하는 포장도로 마커 배이스(A pavement marker base).
KR1019900006932A 1990-03-08 1990-05-15 도로 마커 배이스 및 그 마킹 방법 KR9700028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491,104 1990-03-08
US07/491,104 US5078538A (en) 1989-06-16 1990-03-08 Base for roadway mark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269A KR910020269A (ko) 1991-12-19
KR970002858B1 true KR970002858B1 (ko) 1997-03-12

Family

ID=23950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6932A KR970002858B1 (ko) 1990-03-08 1990-05-15 도로 마커 배이스 및 그 마킹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85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269A (ko) 199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03145B1 (en) Base for roadway mark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5009387A (en) Object retainer for upright concrete construction forms
EP0832327A1 (en) Base for roadway marker
US8920066B1 (en) Tactile sidewalk surface
US1789525A (en) Street-traffic marker
US5035531A (en) Utility cut patch identification tag
KR970002858B1 (ko) 도로 마커 배이스 및 그 마킹 방법
US5861206A (en) Premanufactured covering consisting mainly of thermoplastic materials for roads, parking areas, etc
KR101092075B1 (ko) 도로표식장치
US4127346A (en) Universal traffic control marker
US4629155A (en) In-situ post hole forming device
US5662430A (en) Universal ground marker
US6488441B1 (en) Method and means for forming road signs
EP1500485A2 (en) Foam mold shim
US2625086A (en) Method of installing joint strips in highways
US4889445A (en) Expansion joint for settable compositions
KR0156883B1 (ko) 도로용 미끄럼방지판의 제조방법
BE1005192A3 (nl) Inrichting voor het afweren van vogels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hiervan.
AU609215B2 (en) Device for fixing a structure made of insulation material onto a ceiling suspending lug
AU729210B2 (en) Construction joint
JP3001430U (ja) 舗装用ブロック
KR20050021776A (ko) 도로 포장용 블록의 제조 방법
MXPA97010381A (en) Base for a carret sign
AU731230B2 (en) Improvements in tactile indicators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method of installation thereof
JPH10237804A (ja) 舗装ブロックの敷設方法および舗装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