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744B1 -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용 교환기에서의 내부직통호 서비스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용 교환기에서의 내부직통호 서비스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744B1
KR970002744B1 KR1019930028330A KR930028330A KR970002744B1 KR 970002744 B1 KR970002744 B1 KR 970002744B1 KR 1019930028330 A KR1019930028330 A KR 1019930028330A KR 930028330 A KR930028330 A KR 930028330A KR 970002744 B1 KR970002744 B1 KR 970002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private
call
internal direct
switch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8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127A (ko
Inventor
권수근
나재훈
신상권
이용균
Original Assignee
양승택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30028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744B1/ko
Publication of KR950023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7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42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 H04Q3/52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using static devices in switching stages, e.g. electronic switch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용 교환기에서의 내부직통호 서비스 처리 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산 제어 시스템인 전전자 교환기의 개략적인 구조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제어 시스템인 전전자 ISDN 교환기와 사설 교환장치의 정합 구조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직통호 서비스 처리 흐름도.
본 발명은 N-ISDN 사용자-망 접속 신호방식을 만족하는 1차군 정합 가입자를 통해 접속된 사설 교환장치에 대한 협대역 ISDN(이하, N-ISDN으로 칭함)용 교환기에서의 내부직통호 서비스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전화망(PSTN)에서는 교환기에 접속된 사설 교환기에 내부직통호 서비스를 위해서는 가입자 회선 접속으로는 필요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이 존재하지 않아 중계선을 접속하여 내부직통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방식에서는 중계선을 통해 사설 교환장치와 망이 접속됨에 따라 사설 교환장치에서 가입자 정합장치외 중계선 정합을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추가 기능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사설 교환장치의 기능이 복잡해지고 사설 교환장치에서의 발신호 처리는 가입자회선을 사용하고 내부직통호를 위한 착신인 경우는 중계선을 통하여 이루어져야 함으로 정보 전송 채널의 효율성이 저하된다. 이외 현재의 기술은 중계선 신호중 R2나 decadic 방식을 사용하므로 오직 음성전환에 대해서만 서비스가 가능하므로 N-ISDN 환경에서 요구되는 음성 및 다양한 데이타 서비스가 가능한 새로운 기술이 요구된다.
N-ISDN용 사설 교환장치에는 다수의 내선 가입자가 접속되며 사설 교환장치 외부에서 착신되는 호를 직접 내부의 특정 가입자로 호를 착신시킬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다. 이 기능이 없는 사설 교환장치인 경우 중간에 교환원이 개입되어 발신가입자로부터 착신번을 문의하여 수동적으로 착신을 시켜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기존의 PSTN에서는 사설 교환장치에 내부직통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가입자 회선과 별도로 중계선을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해 왔으며 이에 따라 사설 교환장치에서 중계선 정합 기능을 추가적으로 실장해야하므로 막대한 제품 가격의 상승을 초래하고 발생호는 입자회선을 이용하고 착신호는 중계선을 이용함에 따른 회선 이용의 효율성이 저하된다.
상기 종래 기술에 대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ISDN 사용자-망 정합 신호방식을 사용하여 1차군 정합 가입자로 접속된 사설 교환장치에 내부직통호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설 교환장치에서 내선번역을 해줌으로써 교환원의 도움없이 외부로부터 직접 원하는 사설정합 장치의 내선가입자를 호출할 수 있는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용 교환기에서의 내부직통호 서비스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그리고 CCS(Central Control Subsystem)의 3개의 Subsystem으로 구성되는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에 1차군 정합 ISDN 가입자를 사용하여 전전자 교환 ISDN 시스템에 접속되는 사설 교환장치는, 용량에 따라 다수의 1차군 정합 가입자 하나의 그룹으로 구성되어 수용 가능하며 이때 전전자 교환 시스템에서는 모든 회선을 하나의 그룹으로 관리하고 호 처리시 헌팅 기능을 수행하여 내선가입자는 임의의 1차군 가입자 회선을 유휴 채널을 사용하여 발신 및 착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한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용 교환기에 적용되는 내부직통호 서비스 처리 방법에 있어서, 착신호가 요구되는 경우 해당 가입자의 카테고리를 조사하여 착신 가입자가 사설 교환장치 접속 가입자인지를 조사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 수행후, 사설 교환장치 접속 가입자인 경우 하나의 가입자 회선으로 정합되었는지 두 회선 이상의 가입자가 사용되는지를 조사하고, 둘 이상의 가입자 회선이 사용되는 경우는 헌팅 방식에 따라 유휴 채널을 선택하여 착신호를 진행시키고 유휴 채널이 없는 경우는 착신호를 해제하며, 가입자의 번호 형태를 조사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 수행후, 가입자 번호 형태의 번호를 가지는 경우는 착신번을 모두 번역하여 착신요구된 내선번호를 확인하고, 국번호 형태의 착신번을 가진 경우는 국번호를 번역하여 내선번호 범위를 조사하여 유효한 경우에만 호를 진행시키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 수행후, 발신측으로부터 수신된 번호를 분석하여 내부직통호 처리에 필요한 정보가 충분히 수신된 경우 착신호 설정메세지(SETUP)의 착신번 정보요소(Cd Number)에 실어서 사설 교환장치로 전송하여 기본 호 처리후 종료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산 제어 시스템인 전전자 교환기의 개략적인 제어 구조도이다.
전전자 교환 시스템은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그리고 CCS(Cnetral Control Subsystem)의 3개의 부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ASS는 기능에 따라 ASS-S(Subscribdr), ASS-I(ISDN Subscriber), ASS-T(Trunk), 그리고 ASS-7(No.7 Signaling System)으로 분류되며, ASS-S에서는 교환기에 수용된 아날로그 가입자에 대한 호 처리 기능을 ASP(Access Switching Processor)가, ASS-I에서는 교환기에 수용된 ISDN 가입자에 대한 호 처리 기능을 ASP(Access Switching Processor)가, ASS-T에서는 수용된 구간 회선 호 처리 기능을 ASP가, ASP-7에서는 No.7 신호방식의 메시지 전달부(MTP : Message Transfer Part)와 신호 연결 제어부(SCCP : Signaling Connection Control Part)의 기능을 ASP와 SMHP(Signaling Message Handling Processor)가 수행한다.
INS에서는 ASS에서 공통적으로 필요한 호 처리 기능인 번호 번역 기능과 루트제어 기능 그리고 공간 분할 스위치 제어 기능을 NTP(Number Translation Processor)와 INP(Interconnection Network Processor)가 각각 수행하며, CCS에서는 시스템의 운용 및 보전 기능이 수행된다.
각 부시스템은 LDL(Local Data Link)을 통해 INS로 접속되어 프로세서간 시스템 내부 통신망을 형성한다.
제 2 도는 분산 제어 시스템인 전전자 ISDN 교환기와 사설 교환장치의 정합 구조도이다.
사설 교환장치는 1차군 정합 ISDN 가입자를 사용하여 전전자 교환 ISDN 시스템에 접속되며 사설 교환장치의 용량에 따라 다수의 1차군 정합 가입자 하나의 그룹으로 구성되어 수용 가능하며 이 경우 전전자 교환 시스템에서는 모든 회선을 하나의 그룹으로 관리하고 호 처리시 헌팅 기능을 수행하여 내선가입자는 임의의 1차군 가입자 회선을 유휴 채널을 사용하여 발신 및 착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사설 정합 가입자의 가입자 번호 관리는 사설 교환장치 내부에서 사용하는 번호를 포함한 형태의 가입자 번호를 모두 관리하거나 내부에서 사용되는 내선번호를 제외한 국번호 형태의 번호를 관리하는 2가지 방식을 모두 제공하며 가입자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완전한 가입자 번호를 부여하는 경우 하나의 1차군 가입자 회선당 64개 까지의 번호 할당이 가능하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 N-ISDN 교환기에 접속된 사설 교환장치로 호가 착신되는 경우 국설교환기에서의 내부 처리 및 사설 교환장치와 교환기의 정합 절차에 대한 흐름도이다.
착신호가 요구되는 경우(301) 해당 가입자의 카테고리를 조사하여 착신 가입자가 사설 교환장치 접속 가입자인지를 조사한다(302).
사설 교환장치 접속 가입자인 경우 하나의 가입자 회선으로 정합되었는지 두 회선 이상의 가입자가 사용 되는지를 조사하고(303), 둘 이상의 가입자 회선이 사용되는 경우는 헌팅 방식에 따라 유휴 채널을 선택하여 착신호를 진행시키고(304) 유휴 채널이 없는 경우는 착신호를 해제한다.
채널 선택이 성공한 경우 착신가입자가 내부직통호 가입자인지를 조사하여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 내선번호의 검증을 수행한다. 사설 교환장치가 접속된 가입자는 국번호 형태의 그룹번호를 가지거나 가입자번호 형태의 내선번호를 포함한 완전한 번호등 두가지 형태의 번호를 가질 수 있다. 가입자의 번호 형태를 조사하여(305) 가입자번호 형태의 번호를 가지는 경우는 착신번을 모두 번역하여 착신 요구된 내선번호가 사설 교환장치에 할당된 번호인지를 조사하여 할당된 경우에만 호를 진행시키고(306), 국번호 형태의 착신번을 가진 경우는 국번호를 번역하여 착신 회선을 결정하고 내선번호는 번호의 범위를 조사하여 유효한 경우에만 호를 진행시킨다(307).
발신측으로부터 수신된 번호를 분석하여(308) 내부직통호 처리에 필요한 정보가 충분히 수신된 경우 착신호 설정메세지(SETUP)의 착신번 정보요소(Cd Number)에 실어서 사설 교환장치로 전송해준다(309). 전송되는 착신번의 디지트 수는 가입자가 내부직통호 서비스 등록시 요구한 디지트 수에 따른다.
설정(SETUP) 메세지를 수신한 사설 교환장치는 설정(SETUP) 메세지내의 착신번 정보요소의 정보를 사용하여 요청된 내선 가입자로 직접착신 처리를 수행하며 이후의 처리절차는 일반 1차군 정합가입자에 대한 호처리와 동일하다.
국선 착신 교환기에서 사설 교환장치로의 D채널을 통하여 착신번호가 전달되는 방식을 응용하면 사설 교환장치 기능 추가로 기본통신망을 데이타 수집장치나 원격제어 시스템으로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이 적용된 N-ISDN 교환기에 접속된 사설 교환장치는 N-ISDN용 사설 교환장치가 가져야하는 기본적인 기능, 즉 N-ISDN 사용자-망 정합기능의 추가적인 기능없이도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착신호에 대해 교환원의 도움없이 직접 원하는 내선착신 가입자에게 호를 제공하는 내부직통호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국설 교환기도 별도의 추가적인 하드웨어나 깁존기능의 수정없이 제어 소프트웨어 및 사설 교환장치의 내선번호 관리만으로 효과적으로 기능이 구현된다.

Claims (1)

  1.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그리고 CCS(Central Control Subsystem)의 3개의 Subsystem으로 구성되는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에 1차군 정합 ISDN 가입자를 사용하여 전전자 교환 ISDN 시스템에 접속되는 사설 교환장치는, 용량에 따라 다수의 1차군 정합 가입자 하나의 그룹으로 구성되어 수용 가능하며 이때 전전자 교환 시스템에서는 모든 회선을 하나의 그룹으로 관리하고 호 처리시 헌팅 기능을 수행하여 내선가입자는 임의의 1차군 가입자 회선을 유휴 채널을 사용하여 발신 및 착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한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용 교환기에 적용되는 내부직통호 서비스 처리 방법에 있어서, 착신호가 요구되는 경우 해당 가입자의 카테고리를 조사하여 착신 가입자가 사설 교환장치 접속 가입자인지를 조사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 수행후, 사설 교환장치 접속 가입자인 경우 하나의 가입자 회선으로 정합되었는지 두 회선 이상의 가입자가 사용되는지를 조사하고, 둘 이상의 가입자 회선이 사용되는 경우는 헌팅 방식에 따라 유휴 채널을 선택하여 착신호를 진행시키고 유휴 채널이 없는 경우는 착신호를 해제하며, 가입자의 번호 형태를 조사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 수행후, 가입자 번호 형태의 번호를 가지는 경우는 착신번을 모두 번역하여 착신 요구된 내선번호를 확인하고, 국번호 형태의 착신번을 가진 경우는 국번호를 번역하여 내선번호 범위를 조사하여 유효한 경우에만 호를 진행시키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 수행후, 발신측으로부터 수신된 번호를 분석하여 내부직통호 처리에 필요한 정보가 충분히 수신된 경우 착신호 설정메세지(SETUP)의 착신번 정보요소(Cd Number)에 실어서 사설 교환장치로 전송하여 기본 호 처리후 종료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용 교환기에서의 내부직통호 서비스 처리 방법.
KR1019930028330A 1993-12-17 1993-12-17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용 교환기에서의 내부직통호 서비스 처리 방법 KR970002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330A KR970002744B1 (ko) 1993-12-17 1993-12-17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용 교환기에서의 내부직통호 서비스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330A KR970002744B1 (ko) 1993-12-17 1993-12-17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용 교환기에서의 내부직통호 서비스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127A KR950023127A (ko) 1995-07-28
KR970002744B1 true KR970002744B1 (ko) 1997-03-08

Family

ID=19371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8330A KR970002744B1 (ko) 1993-12-17 1993-12-17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용 교환기에서의 내부직통호 서비스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74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127A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6624A (en) Operator communication arrangements for operator assistance systems
CA2002689C (en) Remote agent operation for automatic call distributors
US4656623A (en) Agent communication arrangements for telecommunication systems
JPH04306948A (ja) 情報有効性調査方法とその装置
JPH03160859A (ja) Ani情報またはdnis情報あるいはその両方を供給する方法及び装置
US490326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xisting telephone switching equipment with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capability
KR970002744B1 (ko)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용 교환기에서의 내부직통호 서비스 처리 방법
KR960016667B1 (ko)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용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부재중 안내서비스 처리 방법
KR100255798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아날로그 가입자 발신번호 표시방법
KR100285730B1 (ko) 전전자교환기의망식별코드사전등록에의한호처리방법
KR960006912B1 (ko) 중앙집중식 변경전화번호 자동안내시스템
KR940006520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호 보류 서비스 방법
KR100237478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안내대 야간서비스 활성화방법
KR100397341B1 (ko) 사설교환망의 가입자 직접 호출 및 정보 전송 방법
KR0146642B1 (ko)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용 교환기에서의 편집형 착신거부 안내방법
KR970000071B1 (ko) 협대엽 종합정보통신망 교환기에서의 가입자 호전환 서비스 처리 방법
KR910006061B1 (ko) 집단전화교환기의 호 자동분배 방법
KR100263379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타 그룹간 호 전환방법
KR100261728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안내대를 통한 그룹 정보 출력방법
KR100237481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타 그룹 안내대 정보 출력방법
KR100237479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안내대를 통한 호 절취 그룹 정보 출력방법
KR0147349B1 (ko) 종합정보 통신망 전전자 교환기의 넘버.7 사용자부 출중계선 호처리 방법
KR100258697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안내대를 통한 단축 다이얼 정보 삭제방법
KR0150186B1 (ko)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용 교환기에서 디지털 가입자에 의한 호 제한 서비스 처리방법
KR100258700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안내대를 통한 단축 다이얼 정보 출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