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657B1 - 프린팅 진행현황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프린팅 진행현황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657B1
KR970002657B1 KR1019920003318A KR920003318A KR970002657B1 KR 970002657 B1 KR970002657 B1 KR 970002657B1 KR 1019920003318 A KR1019920003318 A KR 1019920003318A KR 920003318 A KR920003318 A KR 920003318A KR 970002657 B1 KR970002657 B1 KR 970002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printing
signal
bar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3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7721A (ko
Inventor
곽희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03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657B1/ko
Publication of KR930017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7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6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5/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haracter selection

Landscapes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프린팅 진행현황 표시 방법
제 1 도는 종래의 비디오 칼라 프린터의 하드웨어 블럭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모니터의 프린팅 진행현황 상태 설명도
제 3 도는 본 발명을 구현 하기 위한 비디오 칼라 프린터의 하드웨어 블럭도
제 4 도는 제 3 도에 따른 구체 회로도
제 5 도는 제 1 도에 따른 프린팅 진행현황 표시를 위한 펄스 출력 파형도
제 6 도는 제 1 도에 따른 모니터의 프린팅 현황 출력도
제 7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팅 현황 상태의 일실시예도
제 8 도는 제 4 도에 따른 제 1 스위칭부(49)의 선택 파형도
제 9 도는 제 4 도에 따른 플립플롭(36-2)의 출력 파형도
제 10 도는 제 4 도에 따른 플립플롭(48-3∼48-7)의 출력 파형도
제 11 도는 제 4 도에 따른 플립플롭(48-17∼48-21)의 출력 파형도
본 발명은 비디오 칼라 프린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사용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프린팅 진행현황을 모니터상에 표시하는 프린팅 진행현황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칼라 프린터의 프린팅 진행현황 표시는 사용자에게 현재 프린팅 되어지고 있는 칼라(color)가 어느 색인가를 알려주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전형적인 종래의 비디오 칼라 프린터의 하드웨어 블럭도는 제 1 도와 같이 나타나있다.
먼저, 상기 제 1 도에 의거 종래의 칼라 비디오 프린터(co1or video printer)의 신호 처리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입력단(cpvs)으로 입력되는 신호는 복합 영상신호이고, 제 2 입력단(svs)으로 입력되는 신호는 슈퍼 비디오 신호이다. 상기 복합 영상신호와 상기 슈퍼 비디오 신호는 신호의 성분이 다르므로 상기 복합 영상신호는 Y/C분리기(12)에 의해 Y(신호) 및 C(칼라)로 분리 되어진다.
또한 상기 슈퍼 비디오 신호는 이미 Y(휘도) 및 C(칼라) 분리되어져 있는 상태이다.
제 1 스위치(15)는 각기 상기 Y 및 C로 분리되어 인가되는 상기 두 신호 중에서 한신호를 마이컴 등과 같은 시스템의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제 1 선택신호 S1에 따라 선택하여 색차 디코더(14)로 스위칭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색차디코더(14)는 상기 스위칭 출력된 상기 신호를 입력하여 R-Y, B-Y, Y의 색차신호로 변환하여 제 2 스위치(18)로 출력한다.
사용자의 메모리 스위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스위치(18) 및 제 3 스위치(2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기(20)가 상기 제 2 스위치(18)의 단자(18a) 및 제 3 스위치(26)의 단자(26a)를 스위칭 하였다고 하면, 상기 색차신호들은 ADC(22)로 입력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ADC(22)에 의해 상기 색차신호들은 각기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되고, 메모리(24)에 저장되며, 독출시에는 상기 메모리(24)로 부터 출력되어 DAC(25)에 의해 다시 아날로그 신호인 상기 색차신호로 변환 되어진 후 상기 제 3 스위치(26)의 단자(26a) 및 단자(26c)를 통해 색신호 디코더(28)에 입력된다.
상기 색신호 디코더(28)는 상기 색차신호들을 상기 색차디코더(14)의 동기 신호에 맞추어 R(Red), G(Green), B(Blue) 색차신호로써 분리 출력한다.
상기 분리된 R, G, B 색신호는 엔코더(30) 및 제 5 스위치(32)로 각각 인가된다.
상기 엔코더(30)는 상기 색신호와 상기 동기신호를 함께 입력하여 다시 원래의 복합 영상신호를 생성후 라인(CPVS)을 통해 제 4 스위치(34)로 출력한다.
상기 제 4 스위치(34)는 펄스신호(Ml)에 따라 상기 라인(CPVS) 또는 페데스탈라인(PDL)의 신호를 선택하여 비디오 출력단(video out)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모니터는 상기 비디오 출력단의 입력 신호를 화면상에 표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5 스위치(32)는 입력되는 상기 R,G,B 색신호를 상기 제어부등에서 인가되는 제 2 선택신호 S2에 따라 통상적인 프린팅 순서인 B,G,R의 순서로 1프레임 분의 상기 색신호를 스위칭하여 ADC(40)로 출력한다.
상기 ADC(40)는 상기 인가되는 B,G,R 색신호를 인가되는 시스템 클럭(SCLK)에 따라 각각 디지탈 변환하여 라인메모리(42)로 출력한다.
상기 라인메모리(42)는 상기 입력되는 디지탈 신호를 라인 단위로 입/출력하여 중간조 변환회로(44)로 출력한다.
상기 중간조 변환회로(44)에 의해 펄스폭 신호로 변환된 상기 신호는 TPH(46)에 인가되고, 상기 TPH(46)는 상기 펄스폭 신호에 응답하여 칼라 프린팅을 행하게 된다. 이때 칼라 프린팅 실행은 Y(Yellow),M(Magenta), C(Cyan)의 3색을 면순차 시킴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 시스템 클럭(SCLK)을 입력하여 단안정 펄스를 출력하는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36, MMV)는 상기 펄스신호(Ml)를 상기 제 4 스위치(34)로 인가함을 알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면순차에 의해 프린팅을 실행하는 상기 메모리(24) 및 ADC(40), 라인메모리(42), 중간조 변환회로(섞)의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메모리(24)에 저장된 프레임 단위의 상기 데이타가 독출되어 상기 색신호 디코더(28) 및 엔코더(30)를 거쳐 상기 비디오 출력단(videoout)을 통해 제 2 도와 같은 모니터상의 수평 주사라인에 나타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 5 스위치(32)는 상기 제 2 선택신호 S2에 응답하여 제일먼저 상기 B색신호를 상기 ADC(40)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ADC(40)에 인가되는 상기 시스템 클럭(SCLK)은 제 2 도상의 매수평 라인의 초기 인가점(11∼1525) 위치에서 인가된다.
따라서 매수평라인의 초기 인가점(11∼1525) 위치에 대웅하는 상기 B색신호가 수직으로 차례로 ADC(40)에 의해 샘플링된 다음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되어 상기 라인 메모리(42)에 입력된다.
그러므로 상기 라인메모리(42)는 모든 수평라인의 첫번째 열(colum)이 되는 수직라인에 상기 데이타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저장된 데이타는 독출되어, 상기 중간조 변환회로(44)에 의해 상기 신호로 변환된 후 상기 TPH(46)로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TPH(46)는 상기 신호에 따라 프린팅 용지상에 상기 신호에 해당되는 칼라를 1라인 프린팅한다. 상기 라인메모리(42)에 저장된 1라인분의 데이타 독출이 완료되면, 상기 ADC(40)로 부터 인가되는 상기 시스템 클럭(SCLK)은 상기 제 2 도상의 두번쩨 열에 해당되는 인가점(22∼2525)으로 이동되어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ADC(40)는 상기 인가점(22∼2525)에서 인가되는 상기 클럭(SCLK)에 의해 상기 두번째 열의 수평라인에 해당되는 상기 데이타를 변환하여 상기 라인메모리(42)에 인가한다.
이상과 같이 전술한 흐름과 동일하게 한라인썩 이동하여 모든 열(500∼600 수직라인)에 해당되는 상기 데이타가 상기 TPH(46)에 의해 프린팅 되어지면 비로소 상기 하나의 색신호에 대한 프린팅이 완료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한가지 색에 대한 프린팅이 완료되면, 상기 제 5 스위치(32)에 제 2 선택신호 S2가 바뀌어 상기 R,G,B색신호중 G색신호가 선택 되어지고, 그에 따른 상기 데이타가 상기 TPH(46)에 의해 프린팅된다.
상기 G색신호의 선택후에는 R신호가 선택 되어지고, R신호에 대한 데이타가 프린터 용지상에 프린팅된다.
여기서, 비디오 칼라 프린터의 실제의 프린팅 칼라(색)는 상기 Y,M,C인데 이는 상기 R,G,B의 가산혼합(가법혼합)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다.
즉, G+B=C, R+B=M, R+G=Y(노란색)이 되어짐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익히주지된 사실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칼라 비디오 프린터의 프린팅 흐름을 제 1 도 및 제 2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는데, 이에 따른 프린팅 진행현황을 사용자에게 모니터상으로 표시 해주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다음과 같은 3가지의 경우가 개시 되어 있다.
첫번째 방법은 제 6 도와 같이 모니터 화면상에 흑색(Black)혹은 백색(white) 바(Bar)를 나타내어, 그에 따른 프린팅 진행의 위치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이었다.
상기의 방법은 제 1 도의 시스템 클럭(SCLK)을 MMV(36)에 입력시켜 제 5 도와 같은 펄스신호(Ml)를 상기제 4 스위치(34)에 인가하여, 상기 제 5 도의 펄스신호(Ml)가 ''하이'' 구간일때 상기 비디오 출력단(video out)에 상기 페데스탈 또는 화이트 레벨을 출력 시킴으로써 수행되어 진다.
두번째 방법은 비디오 칼라 프린터의 프론트 판넬(Front panel)에 Y,M,C 칼라를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설치 하여 두고, 그에 따른 칼라가 프린팅 될시에 해당되는 발광 다이오드를 온시켜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것이었다.
세번째 방법은 상기 첫번째 방법과 유사하게 흑색바 혹은 백색바 대신에 Y,M,C를 모니터상에 프린팅 진행에 따라 각기 하나씩 표시하는 방법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들은 사용자에게 최적의 프린팅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첫번쩨 방법은 사용자에게 현재 어뗘한 칼라를 프린팅 중인지 얼마나 프린팅이 진행되었는지를 알려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두번째 및 세번째 방법도 사용자에게 프린팅 진행현황을 한눈에 알려줄 수 없으며, 최적의 사용편의를 제공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디오 칼라 프린터의 프린팅 진행현황을 사용자에게 최적으로 알려줄 수 있는 표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비디오 칼라 프린터의 프린팅 진행현황 표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프린팅 현황을 나타내기 위한 모니터의 소정 영역상에 제 1-3 칼라를 갖는 바를 순차적으로 표시하여 두고, 상기 제 1 칼라 프린팅시에는 상기 제 1 칼라에 대응되는 바를 적어도 제 1 방향으로 프린팅 진행율 만큼 감소시키고, 상기 제 2 칼라 프린팅시에는 상기 제 2 칼라에 대응되는 바를 적어도 제 1 방향으로 프린팅 진행율 만큼 감소시키고, 상기 제 3 칼라 프린팅시에는 상기 제 3 칼라에 대웅되는 바를 적어도 제 1 방향으로 프린팅 진행율만큼 감소시키는 단계들이 비디오 칼라 프린터내에 하드웨어적 구성에 의해 마련되고 수행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3 도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비디오 칼라 프린터의 하드웨어 블럭도로서, 종래의 비디오 칼라 프린터의 하드웨어를 나타낸 제 1 도와 관련되어 있다.
제 3 도에서, 전술한 상기 제 2 선택신호 S2가 스위칭 제어부(48)로 인가되면, 상기 스위칭 제어부(48)는 펄스발생부(36)의 펄스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 제어신흐(S3, S4)를 제 1-2 스위칭부(47,49)로 각기 출력하고, 이에따라 상기 제 2 스위칭부(47)의 스위칭 선택에 의해 제 1 스위칭부(49)의 출력 또는 상기 색신호 디코더(28)의 출력이 엔코더(30)로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스위칭부(49)의 입력은 화이트 레벨부(50) 및 페데스탈 레벨부(51)의 출력이 되어지도록 연결한다.
상기 제 3 도에 대한 구체적인 회로 구성은 제 4 도에 나타나 있다.
제 4 도는 상기 제 3 도에 따른 구체 회로도로서, 상기 제 3 도에 대응되는 인용부호를 부여하고, 이에따른 구성요소들이 다수일 경우 "_"를 연결하여 표시하였다.
즉, 일예를 들어 상기 제 1 스위칭부(49)에 대응되는 제 4 도의 구성요소는 멀티플렉서(MUX;49)이며, 상기 펄스발생부(36)에 대응되는 제 4 도의 구성요소는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MMV;36-1) 및 플립플롭(36-2)으로 표시 한것을 알 수 있다.
제 7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프린팅 현황 상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모니터 화면상에 C,M,Y를 순차로 표시 해두고, 프린팅 진행 경과에 따라 해당되는 칼라 바의 크기가 좌→우, 우→좌로 프린팅 진행율 만큼 감소 되어 질수 있도록 표시해두기 위한 것이다.
제 8 도-제 11 도는 상기 제 4 도에 따른 각부의 출력 파형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관계를 상술한 구성 및 도면설명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프린팅 모드가 선택 되면, 제 7 도와 같이 40-50H(수평라인)에는 시안 칼라바가, 51-60H에는 마젠타 칼라바가, 61-70H에는 옐로우 칼라바가 화면의 수평방향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제 3 도의 엔코더(30) 및 제 1-2 스위칭부(47,49), 그리고 스위칭 제어부(48)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제 4 도를 참조하면, 제 2 스위칭부(47)인 멀티플렉서(47)는 제 1 스위칭부(49)인 멀티플렉서(49)의 출력단(X,Y,Z)의 출력을 입력단(X1,Yl,Z1)으로 입력하여 스위칭 제어신호(S3)에 응답된 출력을 상기 엔코더회로(30-1)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멀티플렉서(49)의 선택단(A,B,C)은 제 8 도의 파형 A,B,C가 입력 되는데, 이는 수평 및 수직동기를 입력 카운팅 하는 카운터(48-1)및 게이트 로직회로(48-2), 그리고 플리플롭(48-17, 48-20), 오아게이트(48-21)에 의해 구현된다. 즉 상기의 소자들은 상기 모니터의 화면상에 디스프레이 해야 할 칼라바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게이트 로직회로(48-2)의 구성을 달리하면, 또다른 위치에 상기 칼라바를 설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운터(48-1)는 일반적인 모니터의 수평라인의 갯수를 카운팅할 수 있는 카운터 소자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게이트 로직회로(48-2)는 다수의 논리 소자를 사용하여 구성된 공지의 회로이고, 상기 플립플롭(48-17, 48-20)은 범용 D-플립플롭을 사용 하였다. 그리고 상기 멀티플렉서(49, 47)는 각각 아나로그 멀티를렉서인 "4053" IC이다.
상기 제 8 도의 구간(가, 나, 다)에서 상기 엔코더 회로(30-1)는 전술한 상기 칼라바를 모니터상에 표시하는데, 상기 구간(가)에서는 G+B를 가산 혼합한 시안 칼라바를 상기 모니터의 화면상에 출력하고, 상기 구간 (나)에서는 R+B를 가산 혼합한 마젠타 칼라바를 출력하고, 상기 구간 (다)에서는 R+G를 가산혼합한 옐로우 칼라바를 상기 모니터의 화면상에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8 도의 파형 A,B,C를 자세히 살펴보면, 시안칼라 바가 표시되는 상기 (가)구간을 멀티플렉서(49)의 선택단(A)이 "로우" 구간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마젠타 칼라바가 표시되는 상기 (나)구간은 멀티플렉서(49)의 선택단(B)이 ''로우'' 구간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멀티플렉서(49)의 출력단(X,Y,Z)의 출력은 상기 화이트레벨(50-2), 페데스탈 레벨(51-2)의 소정값을 각기 증폭 시키는 증폭기(50-1, 51-1)의 소점값이 나타내는 흑/백에 대한 정보이지만, 상기 흑/백의 상기 소정값은 각기 R, G, B에 대한 휘도값, 즉 루미넌스 값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제 4 도에서 제 2 선택신호 S2는 라인(1, 2)로 각각 인가되는데, 이에따라 상기 멀티플렉서(49)의 입력단(A, B, C)이 되는 상기 제 3 도의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S4)가 "하이'' 또는 ''로우'' 형태로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상기 제 4 도의 제 2 선택신호 S2의 선택 조건을 설명하면, 상기 라인(1)의 상기 제 2 선택신호가 Ø(로우)이고, 상기 라인(2)의 상기 제 2 선택신호가 Ø(로우)이면 상기 모니터상에는 옐로우바가 출력되게 설정하였다.
또한 Ø, 1일때에는 마젠타바가,1, Ø일때에는 시안바가 출력되어 지며,1,1일때에는 프린팅 모드가 아닌 경우로 설정하였다.
이상에서 전술한 설명은 상기 모니터 화면상에 어떻게 각각의 칼라바를 표시하는가에 관한 것이었고, 다음은 상기와 같이 나타난 칼라바를 프린팅 진행율에 따라 어떻게 감소 시키는가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4 도에서 상기 시스템 클럭(SCLK)이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MMV;36-1)에 인가되면, 상기 바이브레이터(36-1)는 상기 클럭(SCLK)의 펄스폭을 증가 시킨후 플립플롭(36-2)의 클럭단(CLOCK)으로 출력한다. 상기 플립플롭(36-2)의 클리어단(CLEAR)에는 수평동기 신호(HSYNC)가 인가되도록 하고, 입력단(D)은 "하이"로 하여 둔다.
따라서 상기 플립플롭(36-2)의 반전출력단(Q)에는 제 9 도의 파형 Q가 출력되어짐을 알 수 있다.
제 9 도에서, 파형 SCLK의 PS는 프린팅 하는 시점을 나타낸 것이고, 파형 Q의 구간(PP)는 이미 프린팅되어진 구간을 나타내며, 구간 (PA)는 프린팅 하여야 할 구간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제 2 선택신호 S2가 Ø, Ø일 경우에는 상기 모니터의 수평라인중 61-70H의 펄스파형과 상기 파형 Q이 앤드게이트(48-8∼48-16)에 의해 앤드게이팅 되어 상기 옐로우 칼라바는 그만큼 감소 된다.
또한 상기 제 2 선택신호 S2가 Ø, 1일 경우에는 상기 모니터의 수평라인중 51-60H의 펄스파형과 상기 파형Q이 앤드게이팅되어 상기 마젠타 칼라바는 그만큼(프린팅 진행율) 감소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선택신호 S2가 1, Ø일 경우에는 상기 모니터의 수평라인중 41-50H의 펄스파형과 상기 파형 Q이 앤드게이팅 되어 상기 시안칼라바는 감소될 것이다.
제 10 도는 상기 플립플롭(48-3∼48-5)및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48-6∼48-7)의 출력을 각기 나타낸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앤드게이트(48-8)은 상기 61-70H간의 칼라바를 감소 시키는 소자이고, 앤드게이트(48-9)는 51-60H간의 칼라바, 앤드게이트(48-10)는 41H-50H간의 칼라바를 감소시키기 위한 소자로써 이용 되었다.
또한 앤드게이트(48-14)는 옐로우 칼라바, 앤드게이트(48-15)는 마젠타 칼라바, 앤드게이트(48-16)는 시안 칼라바 감소용에 각기 대응된다.
제 11 도는 상기 플립플롭(48-17∼48-20) 및 오아게이트(48-21)의 출력파형을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3가지 칼라의 바를 모니터상에 표시하여 두고 그 칼라에 해당되는 프린팅 진행율 만큼 해당되는 칼라바를 감소 시킬 수 있는 것을 이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나 이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칼라 비디오 프린터의 프린팅 진행현황을 사용자에게 보다 잘 알릴 수 있는 이점이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편의가 도모되어진다.

Claims (3)

  1. 스위칭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엔코더를 통해 프린팅될 칼라 비디오 데이타를 출력하는 비디오 칼라프린터의 프린팅 진행 표시 방법에 있어서, 프린팅 현황을 나타내기 위한 모니터의 소정 영역상에 제 1-3 칼라를 갖는 바를 각기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칼라 프린팅시에는 상기 제 1 칼라에 대응되는바를 상기 제 1 칼라의 프린팅 진행율 만큼 감소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2 칼라 프린팅시에는 상기 제 2 칼라에 대응되는 바를 상기 제 2 칼라의 프린팅 진행율 만큼 감소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3 칼라 프린팅시에는 상기 제 3 칼라에 대응되는 바를 상기 제 3 칼라의 프린팅 진행율만큼 감소시키는 단계로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칼라 프린터의 프린팅 진행 표시방법.
  2. 제 1 항에 있이서, 상기 제 1-3 칼라가 차례로 옐로우, 마젠타, 시안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칼라프린터의 프린팅 진행 표시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 표시 단계가 10 수평라인씩을 갖는 상기 바로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칼라 프린터의 프린팅 진행 표시 방법.
KR1019920003318A 1992-02-29 1992-02-29 프린팅 진행현황 표시 방법 KR970002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3318A KR970002657B1 (ko) 1992-02-29 1992-02-29 프린팅 진행현황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3318A KR970002657B1 (ko) 1992-02-29 1992-02-29 프린팅 진행현황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721A KR930017721A (ko) 1993-09-20
KR970002657B1 true KR970002657B1 (ko) 1997-03-07

Family

ID=19329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3318A KR970002657B1 (ko) 1992-02-29 1992-02-29 프린팅 진행현황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6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684B1 (ko) * 1998-07-21 2002-09-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린트방법및그에적합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721A (ko) 1993-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3120A (en) Enhanced video graphics controller
US4908700A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for displacing and displacing color image data
US6664970B1 (en)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on-screen display
US5023603A (en) Display control device
EP0396956B1 (en) Display system for instruments
US5289565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YMK-RGB RAMDAC
US5138307A (en) Display device for multi moving pictures
US6259439B1 (en) Color lookup table blending
GB1309698A (en) Symbol display system
KR970002657B1 (ko) 프린팅 진행현황 표시 방법
US4737778A (en) Video display controller
KR930003423B1 (ko) 프린팅 진행 표시 방법 및 회로
JPH0258635B2 (ko)
JP2943495B2 (ja) オン・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用lsi
SU125453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ображени информации на телевизионном индикаторе
JP3003734B2 (ja) 表示制御装置
JPH0736430A (ja) 色表示パレット制御回路
JP2537749B2 (ja) マトリクス液晶表示体の駆動回路及び液晶表示カラ―テレビ
US5488690A (en) Color video printer which enables a pattern generation process when no synchronizing signals are detected
KR900001000B1 (ko) 텔레텍스트의 정보신호 출력 선택방법
EP0371064B1 (en) Line marker for a visual display unit
SU98198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ображени информации на экранах ЭЛТ
JPH0413894Y2 (ko)
GB2212367A (en) Window control using spare signal data bit
SU149584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ображени информации на телевизионном индикатор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