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232Y1 - 배터리팩 접촉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팩 접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232Y1
KR970002232Y1 KR2019930016636U KR930016636U KR970002232Y1 KR 970002232 Y1 KR970002232 Y1 KR 970002232Y1 KR 2019930016636 U KR2019930016636 U KR 2019930016636U KR 930016636 U KR930016636 U KR 930016636U KR 970002232 Y1 KR970002232 Y1 KR 9700022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flat portion
flat
contact device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66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5572U (ko
Inventor
이천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166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232Y1/ko
Publication of KR9500055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5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2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2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배터리팩 접촉장치
제1도는 종래 노트북 컴퓨터의 일예에 대한 분해사시도.
제2도는 상기 제1도의 노트북 컴퓨터에 있어서, 배터리팩 및 그 주변부에 대한 부분발췌도.
제3도는 상기 제2도의 배터리팩이 소정 위치 빠져나온 상태도.
제4도는 상기 제3도에 도시된 배터리팩 접촉장치의 측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팩 접촉장치의 사시도.
제6도는 상기 제5도의 배터리팩 접촉장치가 컴퓨터 본체에 조립된 상태에서의 개략적인 사시도.
제7도는 상기 제6도의 배터리팩 접촉장치 및 컴퓨터 본체의 조립된 상태에서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버부 2 : 키보드부
3 : 장치부 1A : 디스플레이
2A : 키보드 2B : 배터리팩
1B,2C : 힌지결합부 2D : 접촉스프링
2E : 분리형구조체 3A : 보스(boss)
H,H' : 수평부재 I : 삽입구조물
9 : 배터리팩 접촉장치 10 : 제1평면부
11 : 결합부 12 : 걸림턱
13 : 관통공 14 : 접촉스프링
15 : 제2평면부 P : 고정핀
BP : 배터리팩 CT : 접촉터미널
본 고안은 배터리팩 접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이하 노트북 PC라 칭함)나 펜 컴퓨터등과 같이 소형의 포터블(portable) 컴퓨터에 내장되는 배터리팩의 접촉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가 개발된 이후, 이상적인 컴퓨터의 실현을 위해 끊임없는 노력과 연구가 지속되어 왔다. 그와 같은 연구의 지향점은 사용하기 편리하고, 휴대하기 간편하며, 경량일 것 등으로 요약해 볼 수 있다. 몰론, 컴퓨터 개발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간과 기계의 커뮤니케이션을 인간과 인간의 커뮤니케이션 정도로 접근시켜 보려는 데에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의 진행 과정에서 하나의 성과로 표출된 것중에서, 펜 컴퓨터와 노트북 PC를 주목해 보기로 한다.
펜 컴퓨터는 볼펜 모양의 전자펜으로 액정표시소자 디스플레이상에 문자나 그래픽 이미지를 그리면 이를 인식하여 다시 보여주는, 새로운 의미의 종이와 연필의 혼합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펜 컴퓨터는 펜과 컴퓨터 본체를 접속케이블로 연결해서 사용하는 유선(有線)형과 연결케이블이 없는 무선형으로 대별해 볼 수 있고, 또한 키보드를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과 키보드의 접속없이 오로지 펜만을 사용할 수 있는 것등으로 분류해 볼 수 있다. 이에 비해, 노트북 PC는 펜 컴퓨터와 유사한 액정표시소자 디스플레이와 키보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키보드를 이용해 어떠한 문자나 기호를 입력하면 디스플레이 상에 그것이 표시되는 점이 펜 컴퓨터와 다른 점이다.
첨부된 도면중의 제1도에는 그와 같은 종래 노트북 PC의 일예에 있어서, 분해시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노트북 PC는 전체 몸체의 상부에 위치되는 커버부(1)와, 중간에 위치되는 키보드부(2)와 키보드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장치부(3)로 구성되어 있다.
커버부(1)에는 액정표시소자 디스플레이(1A)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면에는 키보드부에 결합되어 커버부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힌지결합부(1B)가 형성되어 있다. 키보드부(2)에는 일반 컴퓨터에 사용되는 키보드와 유사한 키보드(2A)가 설치되어 있고, 키보드와 일측 힌지결합부(2C) 사이에는 착탈가능한 배터리팩(2B)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장치부(3)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비롯하여 각종 회로소자 및 부품들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2도 및 제3도는 배터리팩 및 그 접촉장치 주변부를 발췌도시한 것으로서, 제2도는 배터리팩이 장착되어 있는 상태도이고, 제3도는 배터리팩이 소정 위치 빠져나온 상태도이다. 제3도를 참조하면, 배터리팩(2B)이 장착되는 공간의 내측 벽면에는 배터리팩(2B)에 마련되어 있는 접촉단자(미도시됨)에 접촉되는 판형 접촉스프링(2D)이 다수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제4도는 상기 접촉스프링 구조체의 상세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소정 부위가 절곡된 판형 접촉스프링(2D)은 Z자형상의 별도의 분리형 구조체(2E)의 일측 수평부재(H)에 고정핀(P)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분리형 구조체(2E)의 타측 수평부재(H')는 나사(B)에 의해 본체(3)에 체결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배터리팩 접촉장치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분리형 구조체(2E)를 본체(3)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본체(3)에 나사체결을 위한 보스(boss:3A)를 마련해야 하고, 그 보스(3A)에는 다시 나사체결을 위한 나사탭을 내거나 삽입구조물(I)을 삽입하는 등의 프레임 제작상의 번거로움이 따른다. 그리고, 나사로 조립하기 때문에 결합구조상 장치의 부피가 비교적 크다는, 따라서 이를 수용하는 기기의 부피를 조금이라도 크게 하거나, 그 기기가 외형적으로 제한된 부피를 가져야 할 경우 내부 공간을 그만큼 많이 차지하므로 다른 중요 기능을 가지는 부품의 설치를 어렵게 만든다는 문제가 대두된다. 또한, 분리형 구조체(2E)를 본체(3)에 조립할 시 일일이 드라이버로 나사체결을 해야하므로 작업공정상 필요이상의 시간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고, 좁은 곤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배터리팩 접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팩 접촉장치는, 소정 두께 및 폭을 가지며 그 몸체에는 관통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제1평면부와, 상기 제1평면부와 소정 높이 단차를 가지며 제1평면부와 일체형을 이루는 제2평면부와, 그 몸체의 일부위는 상기 제2평면부에 고정되고 타부위는 상기 제1평면부의 관통공 밖으로 노출되어 있는 탄성부와, 상기 제1평면부의 모서리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기둥형 결합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팩 접촉장치의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의 직사각형의 제1평면부(10)에는 이 직사각형의 단변에 평행한 방향으로 역시 소정의 폭을 가지는 4개의 직사각형의 관통공이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1평면부(10)의 모서리 4군데 중에서 제2평면부(15)와 연접되지 않는 외측(편의상 이곳을 외측으로 정함) 모서리 두 곳에는 제1평면부(10)에 수직으로 사각기둥형 결합부(11)가 제1평면부(10)와 일체형을 이루며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결합부(11)의 단부에는 쐐기형의 걸림턱(1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평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직사각형의 관통공(13)은 후술되는 판형 접촉스프링(14)의 형태 및 스프링의 원활한 탄성효과를 고려하여 직사각형으로 형성한 것에 불과한 것이고, 반드시 도시된 바와 같이, 장형의 직사각형 관통공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판형 스프링의 탄성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만 있다면 경우에 따라서는 정사각형, 원형, 혹은 타원형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사각기둥형 결합부(11)도 구조적인 강도 및 소정의 탄성력을 얻을 수 있는 상태라면 원기둥을 길이 방향으로 반으로 절개한 형태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평면부(10)의 직사각형의 내측 장변부에는 이 장면에 연접되어 상기 결합부(11)와 평행한 소정 높이(h)의 벽면이 결합부(11)와 동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여기서 다시 연접되어 상기 제1평면부(10)와 평행을 이루는 제2평면부(15)가 이 제1평면부(10)와 반대방향(제1, 제2평면을 연접하는 벽면을 기준으로 했을 때)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국, 상기 제1평면부(10)와 제2평면부(15)는 소정 높이(h)의 단차를 가지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계단형태를 띠고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평면부(10)와 제2평면부(15)에 걸쳐 판형 접촉스프링(14)이 설치되어 있는데, 스프링 몸체의 일부위는 제2평면부(15)의 바닥면에 고정핀(P)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타측의 절곡된 부위는 제1평면부(10)의 관통공(13) 밖으로 소정 부분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배터리팩(BP:제6도참조)이 장착되어 배터리팩의 저면에 마련되어 있는 접촉터미널(CT)에 의해 접촉스프링(14)이 누름력을 받을 때, 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밀어올리는 힘이 작용된다. 따라서, 배터리팩의 접촉터미널(CT)과 접촉스프링(14)은 확실한 접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6도 및 제7도는 상기 제5도의 배터리팩 접촉장치가 컴퓨터 본체의 프레임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6도는 배터리팩 접촉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의 개략적인 전체 사시도이고, 제7도는 배터리팩 접촉장치 및 컴퓨터 본체의 조리된 상태에서의 측단면도이다. 제6도를 참조하면, 배터리팩 접촉장치는 컴퓨터 본체의 하부 프레임(3)의 바닥면에 상기 접촉장치에 대응되어 형성되어 있는 배터리팩 접촉장치 삽입부(3I:제7도 참조)에 상부로부터 삽입되어 조립되어 있고, 배터리팩(BP)이 상부 혹은 측면으로부터 장착되면 배터리팩(BP)의 저면에 마련되어 있는 접촉터미털(CT)이 이 접촉장치의 스프링(14)에 접촉된다.
제7도를 참조하면, 컴퓨터 본체의 프레임(3)에는 소정깊이(약4∼5mm)를 가지는 배터리팩 접촉장치 삽입을 위한 직사각형의 오목부(3I)가 형성되어 있고, 이 사각형 오목삽입부(3I)의 장변측 일측면벽에는 제2평면부(15) 삽입을 위한 관통공(3H)이, 그리고 맞은편 벽면의 하부 모서리 부위에는 결합부(11)의 걸림턱(12) 삽입을 위한 관통공(3H')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팩 접촉장치의 제2평면부(15) 및 결합부의 걸림턱(12)이 각각 대응삽입되어 배터리팩 접촉장치의 본체에의 조립은 완성된다. 만일, 어떠한 필요성에 의해 이 배터리팩 접촉장치를 본체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때는 걸림턱이 삽입되어 있는 관통공(3H')의 하부로부터 볼펜 등을 이용해 걸림턱을 밀어내면 쉽게 분리가 될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팩 접촉장치는 쐐기형 걸림턱에 의한 결합메커니즘으로 구성되어 있어, 종래의 나사체결방식에 비해 조립 및 분리작업이 용이하며,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이용이 가능해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될 것이다.

Claims (3)

  1. 배터리팩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터리팩에 마련되어 있는 단자에 대응하는 단자가 마련되는 평면부를 가지는 장치에 있어서, 소정 두께 및 폭을 가지며 그 면에는 관통공(13)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제1평면부(10)와, 상기 제1평면부(10)와 소정 높이(h) 단차를 가지며 제1평면부(10)와 일체형을 이루는 제2평면부(15)와, 그 몸체의 일부위는 상기 제2평면부(15)에 고정되고 타부위는 상기 제1평면부(10)의 관통공(13) 밖으로 노출되어 있는 탄성부(14)와, 상기 제1평면부(10)의 모서리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기둥형 결합부(11)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접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13)은 4개의 직사각형으로 제1평면부(10)의 단변에 평행하게 소정 간격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접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1)의 하단부에는 쐐기형의 걸림턱(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접촉장지.
KR2019930016636U 1993-08-26 1993-08-26 배터리팩 접촉장치 KR9700022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636U KR970002232Y1 (ko) 1993-08-26 1993-08-26 배터리팩 접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636U KR970002232Y1 (ko) 1993-08-26 1993-08-26 배터리팩 접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572U KR950005572U (ko) 1995-03-20
KR970002232Y1 true KR970002232Y1 (ko) 1997-03-20

Family

ID=19361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6636U KR970002232Y1 (ko) 1993-08-26 1993-08-26 배터리팩 접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2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864B1 (ko) * 2018-05-17 2019-08-02 (주)일신오토클레이브 실링부 교체가 용이하도록 이루어진 초고압 플런져 펌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864B1 (ko) * 2018-05-17 2019-08-02 (주)일신오토클레이브 실링부 교체가 용이하도록 이루어진 초고압 플런져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572U (ko)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2624B2 (en) Enclosur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20085338A1 (en) Portable computer with a detachable keyboard device
US7445498B2 (en) Fixed seat of a socket
TWI590067B (zh) 通用序列匯流排插槽及其相關電子裝置
JP2009021674A (ja) 携帯用電子機器
JP5181844B2 (ja) キーボード、電子機器、キーボードの製造方法、電子機器の製造方法及びキーボード部品
US7677912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tiffener with elastic latches
US5627728A (en) Expansion box for notebook computers
US20070076364A1 (en) Portable computer
US20120120620A1 (en) Waterproof element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waterproof element
US8315059B2 (en) Screw less fixing assembly for interface card
KR970002232Y1 (ko) 배터리팩 접촉장치
JPS61292716A (ja) 電気的アセンブリ
JP4841124B2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99592B1 (ko)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US6179500B1 (en) Keyboard device capable of ensuring positioning and fixing of keyboard body relative to case
US7136279B2 (en) Keyboard mounting system
JP2002123335A (ja) 電子機器
KR100319201B1 (ko) 액정표시장치
CN216123246U (zh) 后盖模组及电子设备
CN217009007U (zh) 按键组件以及监护设备
CN216490673U (zh) 一种扫描枪
JPH10333774A (ja) 電子機器
KR200176431Y1 (ko)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장착장치
JP2969044B2 (ja) 情報処理装置のキャップ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