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180Y1 - 시트의 폴딩장치 - Google Patents

시트의 폴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180Y1
KR970002180Y1 KR2019940025448U KR19940025448U KR970002180Y1 KR 970002180 Y1 KR970002180 Y1 KR 970002180Y1 KR 2019940025448 U KR2019940025448 U KR 2019940025448U KR 19940025448 U KR19940025448 U KR 19940025448U KR 970002180 Y1 KR970002180 Y1 KR 9700021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link
upper bracket
seat
ar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54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0522U (ko
Inventor
이관종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254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180Y1/ko
Publication of KR9600105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5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1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1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external pa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cushion, e.g. "portefeuille move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시트의 폴딩장치
제1도는 종래의 일예에 따른 시트의 폴딩장치를 나타낸 측면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시트의 폴딩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의 폴딩장치에 의한 폴딩상태를 나타낸 나타낸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의 폴딩장치를 나타낸 일측면구성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의 폴딩장치를 나타낸 타측면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아암플레이트 10a : 제1아암 플레이트
10b : 제2아암 플레이트 12 : 어퍼 브라켓트
14a, 14b, 14c, 14d : 힌지 16 : 조작편
18 : 로워 브라켓트 20a, 20b : 섹터 기어
22a, 22b : 걸림홈 24 : 플레이트 홀드
26 : 레버 28a, 28b, 28c, 28d : 고정축
30b, 30c, 30e, 30f, 30g : 안내홈 34 : 록 래버
36 : 걸림핀 40 : 링크
42 : 제1링크 44 : 제2링크
50 : 브라켓트
본 고안은 시트(seat)의 폴딩(folding)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설치되는 시트 백(seat back)의 폴딩장치를 일 단계로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시트의 폴딩에 대한 조작성이 편리해지도록 한 시트의 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용 시트 리클리너(seat recliner)경우 대부분이 전, 후로 폴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는 바. 이는 제3도의 승용차 및 승합차의 경우 시트 백을 전방으로 완전풀딩하여 뒷좌석으로 승차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종래에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시트의 시트백(Seat back)(미도시)측면에 설치되는 제1아암 플레이트(arm plate 10a)와 시트 쿠션(seat cushion)(미도시)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2아암 플레이(10b) 이루어진 아암 플레이트(10)가 구성되고 상기 제1아암 플레이트(10a)의 하단부가 어퍼 브라켓트(upper brack t, 12)의 힌지(hinge, 14c)에 의해 연결되고 있고, 이 어퍼 브라켓트(12)에 하단부에 형성된 섹터 기어(sector gear, 20a)가 로워 보라켓트(lower bracket, 18)의 섹터 기어(sector gear, 20b)에 이맞물림되며, 또한 상기 로워 브라켓트(18)의 일측 선단부 중심에는 검림홈(22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어퍼 브라켓트(12)와 로워 브라켓트(18)의 내측에는 소정형상의 플레이트 홀드(24)가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 홀드(plate holder, 24)의 측면에는 레버(lever, 26)와, 일측단에 힌지(14a)가 설치된 조작편(16)이 고정축(28a)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조작편(16)의 힌지(14a)가 슬라이딩(sliding)되도록 일단에 안내홈(30a)이 형성된 링크(link, 32a)가 연결되며, 이 링크(32a)의 타단에는 힌지(14b)가 설치되어 상기 어퍼 브라켓트(12)의 안내홈(30b)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14b)에 의해 링크(32a)와 연결되는 록 레버(lock lever, 34)의 걸림핀(36)은 걸림홈(22b)이 형성된 어퍼 브라켓트(12)의 외측면에 걸려 있다.
시트 백의 폴딩시에는 레버(26)를 일차적으로 하부로 내리면, 레버(26)가 로워 브라켓트(18)에 지지된 이탈됨과 동시에 레버(26)의 고정축(28a)에 의해 고정된 조작편(16)의 힌지(14a) 의해 링크(32a)가 당겨지게 되는데, 이?때 링크(32a)의 힌지(14b)가 어퍼 브라켓트(12)의 안내홈(30b)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상기 힌지(14b)에 의해 링크(32a)와 연결된 록 레버(34)의 걸림핀(36)이 어퍼 브라켓트(12)의 걸림홈(22b)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아암 플레이트(10a)가 힌지(14c)를 기점으로 전면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다시 이차적으로 레버(26)를 상부로 당기면, 상기 조작편(16)의 끝단부가 로워 브라켓트(18)의 걸림홈(22a)에 걸리게 되면서 로워 브라켓트(18)가 고정축(28b)을 기점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로워 브라켓트(18)의 섹터 기어(20b)와 어퍼 브라켓트(12)의 섹터 기어(20a)가 이맞물림된 상태에서 해제되어 어퍼 브라켓트(12)가 고정축(28c)을 기점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어퍼 브라켓트(12)는 고정축(28c)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폴딩되므로써 제1아암 플레이트(10a)도 폴딩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시트의 폴딩장치를 이용한 폴딩작업은 두번의 레버(26)의 조작에 의해 행해지므로 시트 백의 폴딩조작이 굉장히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레버와 록 레버를 복수 개의 링크로 연결함으로써 일 단계로 시트 백을 간편하게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조작성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제1아암 플레이트와 제2아암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아암 플레이트가 구성되고, 상기 제1아암 플레이트의 하단부가 어퍼 브라켓트에 연결되며, 이 어퍼 브라켓트에 형성된 섹터 기어가 로워 브라켓트의 섹터 기어에 이맞물림되는 한편, 상기 어퍼 브라켓트와 로워 브라켓트의 내측에 설치된 플레이트 홀드에 레버와 조작편이 고정축에 의해 고정되고, 그 레버의 동작에 따라 연동되는 조작편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링크에 의해 폴딩되는 시트의 폴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일 단계의 조작에 의해 시트 백이 폴딩되도록, 상기 조작편의 힌지가 삽입되도록 일단에 안내홈이 형성되고 중앙부가 고정축에 의해 고정되며 타단에 힌지가 결합된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타측 힌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 장공 형상의 안내홈과 상기 어퍼 브라켓트의 안내홈을 관통하는 상기 록 레버의 힌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장공형상의 안내홈이 갖추어진 제2링크로 이루어진 것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중,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의 폴딩장치에 의한 폴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의 폴딩장치를 나타낸 일측면 구성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의 폴딩장치를 나타낸 타측면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시트의 폴딩장치는 자동차 시트의 시트 백(Seat back)(미도시) 측면에 설치되는 제1아암 플레이트(arm plate, 10a)와 시트 쿠션(seat cushion)(미도시)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2아암 플레이트(10b)로 이루어진 아암 플레이트(10)가 구성되고, 상기 제1 아암 플레이트(10a)의 하단부가 어퍼 브라켓트(upper bracket, 12)의 힌지(hinge, 14c)에 의해 연결되며, 이 어퍼 브라켓트(12)에 하단부에 형성된 섹터 기어(sector gear, 20a)가 일측단부에 걸림홈(2a)이 형성된 로워 브라켓트(lower bracket, 18)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섹터 기어(sector gear, 20b)에 이맞물림되는 한편, 상기 어퍼 브라켓트(12)와 로워 브라켓트(18)의 내측에는 소정 형상의 플레이트 홀드(24)가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 홀드(plate holder, 24)의 측면에는 레버(lever, 26)와 일측단에 힌지(14a)가 설치된 조작편(16)고정축(28a)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레버(26)의 동작에 따라 연동되는 조작편(16)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링크(40)에 의해 록 레버(34)가 동작되어 시트의 폴딩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링크(40)는 일 단계의 조작에 의해 시트 백이 폴딩되도록, 상기 조작편(16)의 힌지(14a)가 삽입되도록 일단에 안내홈(30c)이 형성되고 중앙부는 고정축(28d)에 의해 고정되면 타단에 힌지(14b)가 결합된 갈고리 형상의 제1링크(42)와, 상기 제1링크(42)의 타측 힌지(14d)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 장공 형상의 안내홈(30f)과 상기 어퍼 브라켓트(12)의 안내홈(30b)을 관통하는 상기 록 레버(34)의 힌지(14b)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장공형상의 안내홈(30g)이 갖추어진 제2링크(44)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레버(26)를 상부로 당기면 고정축(28a)을 중심으로 힌지(14a)를 포함하는 조작편(16)이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므로 상기 힌지(14a)에 연결된 제1링크(42)는 고정축(28d)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는데, 이때 상기 제1링크(42)의 타측부에 설치된 힌지(14d)가 상방 회동됨에 따라 상기 힌지(14d)는 제2링크(44)를 상방으로 당기게 되고, 동시에 상기 제2링크(44) 하부 안내홈(30g)에 삽입된 힌지(14b)가 상방으로 당겨지게 되어 상기 힌지(14b)는 어퍼 브라켓트(12)의 안내홈(30b)을 타고 미끄럼 이동하면서 록 레버(34)를 시계방향으로 되동시켜 상기 어퍼 브라켓트(12)의 걸림홈(22b)에 고정된 걸림핀(36)을 이탈시키게 된다.
또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는 상기 조작편(16)의 돌출부가 로워 브라켓트(18)의 걸림홈(22a)에 걸리면서 상기 로워 브라켓트(18)를 가압하고 고정축(28b)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 회동시키게 되므로 어퍼 브라켓트(12)의 섹터 기어(sector gear, 20a)에 이맞물림된 로워 브라켓트(18)가 이탈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어퍼 브라켓트(12)와 제1아암 플레이트(10a)가 동시에 고정축(28c)을 기점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폴딩되는 것이다.
한편, 반대로 원상태로 복원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의 역순에 의하여 제1아암 플레이트(10a)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어퍼 브라켓트(12)의 걸림홈(22b)에 록 레버(34)의 걸림핀(36)이 걸리게 되어 원상태로 된다.
한편, 상기 시트 백의 일측면이 폴딩될 때, 시트 백 타측면의 브라켓트(50)에 형성된 안내홈(30e)에 힌지(14b)가 자유롭게 슬라이딩되어 시트 백 전체적으로 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시트의 폴딩장치에 따르면, 레버와 록 레버를 제1링크와 제2링크로 연결함으로써 단일의 동작에 의해 시트 백이 간편하게 조작되도록 하여 조작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제1아암 플레이트(10a)와 제2아암 플레이트(10b)로 이루어진 아암 플레이트(10)가 구성되고, 상기 제1아암 플레이트(10a)의 하단부가 어퍼 브라켓트(12)에 연결되며, 이 어퍼 브라켓트(12)에 형성된 섹터 기어(20a)가 로워 브라켓트(18)의 섹터 기어(20b)에 이맞물림되는 한편, 상기 어퍼 브라켓트(12)와 로워 브라켓트(18)의 내측에 설치된 플레이트 홀드(24)에 레버(lver, 26)와 조작편(16)이 고정축(28a)에 의해 고정되고, 그 레버(26)의 동작에 따라 연동되는 조작편(16)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링크(40)에 의해 록 레버(34)가 동작되어 폴딩되는 시트의 폴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40)는 일 단계의 조작에 의해 시트 백이 폴딩되도록, 상기 조작편(16)의 힌지(14a)가 삽입되도록 일단에 안내홈(30c)이 형성되고 중앙부가 고정축(28d)에 의해 고정되며 타단에 힌지(14b)가 결합된 제1링크(42)와 ; 상기 제1링크(42)의 타측 힌지(14d)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 장공형상의 안내홈(30f)과 상기 어퍼 브라켓트(12)의 안내홈(30b)을 관통하는 상기를 록 레버(34)의 힌지(14b)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장공형상의 안내홈(30g)이 갖추어진 제2링크(4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폴딩장치.
KR2019940025448U 1994-09-30 1994-09-30 시트의 폴딩장치 KR9700021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5448U KR970002180Y1 (ko) 1994-09-30 1994-09-30 시트의 폴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5448U KR970002180Y1 (ko) 1994-09-30 1994-09-30 시트의 폴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522U KR960010522U (ko) 1996-04-12
KR970002180Y1 true KR970002180Y1 (ko) 1997-03-20

Family

ID=19394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5448U KR970002180Y1 (ko) 1994-09-30 1994-09-30 시트의 폴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1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522U (ko) 199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3699A (en) Folding vehicle seat assembly with self advancing backrest
US5918846A (en) Seat track with continuous engagement and memory easy entry mechanism
US4484776A (en) Automobile seat
US5380060A (en) Vehicle seat assembly with folding seat back and integral child seat and interlock mechanism
US6695405B2 (en) Seat device including a fold-down back
US5137331A (en) Seat track assembly with mechanical memory
US6328381B1 (en) Single control handle release mechanism for use with a vehicle seat
JP4296643B2 (ja) シートバックロック装置
CA2129267C (en) Child restraint seat
JPS6258936B2 (ko)
US4496189A (en) Seat device
EP0839685B1 (en) Lock releasing mechanism for a folding rear seatback
KR970002180Y1 (ko) 시트의 폴딩장치
JPH1071929A (ja) シートベルトのガイド構造
FR2353414A1 (fr) Siege escamotable pour vehicule automobile
KR970002182Y1 (ko) 시트의 폴딩장치
KR970002181Y1 (ko) 시트의 폴딩장치
CN113665444A (zh) 一种儿童安全座椅
JPS60244631A (ja) 自動車のシ−ト装置
JPS6135013B2 (ko)
JPS59156835A (ja) 自動車用座席の前後位置調整装置
KR100422716B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폴딩장치
CN217672800U (zh) 一种婴童车的扶手自动解锁结构
JPS60244634A (ja) 自動車のリヤシート装置
JPH0233528B2 (ja) Jidoshanoshiitosoch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