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624B1 - 패킷버스 접속장치에서의 태그 발생 및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패킷버스 접속장치에서의 태그 발생 및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624B1
KR970001624B1 KR1019930029603A KR930029603A KR970001624B1 KR 970001624 B1 KR970001624 B1 KR 970001624B1 KR 1019930029603 A KR1019930029603 A KR 1019930029603A KR 930029603 A KR930029603 A KR 930029603A KR 970001624 B1 KR970001624 B1 KR 970001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data
packet
block
storag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9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2485A (ko
Inventor
송일현
백승준
김영일
김민택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양승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양승택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Priority to KR1019930029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624B1/ko
Publication of KR950022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2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6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1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tagging of packets, e.g. using discard eligibility [DE] b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04L47/56Queue scheduling implementing delay-aware scheduling
    • H04L47/562Attaching a time tag to que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0Peripheral units, e.g. input or output ports
    • H04L49/3081ATM peripheral units, e.g. policing, insertion or extraction
    • H04L49/309Header conversion, routing tables or routing t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패킷버스 접속장치에서의 태그 발생 및 처리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패킷버스 접속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태그처리블럭에 대한 상세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태그 발생 및 처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이크로프로세서 블록 2 : 태그처리블럭
3 : 태그저장블럭 4 : 데이타저장블럭
5 : 패킷버스 중재블럭
본 발명은 데이타 통신장치, 이동통신 기지국장치, 이동통신 제어국장치 또는 교환장치등 대형 통신시스템에서 패킷데이타 교환을 위한 패킷버스 접속장치에서의 태그 발생 및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패킷버스를 이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는 교환데이타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일반적으로 검증 방식으로서 패리티(Parity) 처리, 태그(Tag) 처리, 검증합(Checksum)을 이용하는 등의 방법을 수행하고 있다. 이 가운데 태그를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태그 정보를 단일 비트(Bit)로 하여 교환 데이타의 유무만을 알리는 방법과, 태그 정보를 복수 비트로 하여 데이타 유무 및 에러 검중을 함께 수행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태그 정보를 복수 비트로 하는 경우에, 특히 다양한 종류의 태그를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태그 처리 및 생성시의 어려움과 태그 정보의 송·수신에 따른 불편함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들 태그 관련 처리를 패킷버스 접속 시스템내의 마이크로프로세서 (MPU)가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마이크로프로세서(MPU) 수행 방식은 마이크로프로세서(MPU)의 부하를 가중시켜 데이타처리 속도를 저하시키게 되며, 이를 하드웨어 로직으로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많은 양의로직 집적회로(IC)가 필요하게 되므로 비용이 높아지고, 시스템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데이타 통신장치, 이동통신 제어국장치등 패킷데이타 교환을 수행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MPU)의 부하(Load)를 줄임으로서 패킷버스 접속장치의 처리속도를 증대시키고 또한, 송수신 데이타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태그 발생 및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패킷버스 접속장치에 적용되는 태그 발생 및 처리 방법에 있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 블럭이 패킷데이타 송신을 개시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여 패킷의 특성에 따라 번지 태그, 시작 태그, 유효 태그, 및 종료 태그를 생성하여 태그저장블럭에 저장하고, 종료 태그가 발생되면 종료 태그발생신호를 전송하는 제1단계; 종료 태그 발생신호와 태그데이타 외부송출신호를 수신하면 계수기를 증가/감소시켜 상기 태그저장블럭에 교환되어질 패킷데이타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제2단계; 및 수신된 태그데이타를 검사하여 이상상태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블럭으로 통보하여 제3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패킷버스 접속장치의 전체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블럭, 2는 태그처리블럭, 3은 태그저장블럭, 4는 데이터저장블럭, 5는 패킷버스 중재블럭을 각각나타낸다. 마이크로프로세서 블럭(1)은 제1도에 나타난 전체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제어기능과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처리 및 해석 역활을 수행한다.
태그처리블럭(2)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블럭(2)이 데이타저장블럭(3)에 데이타를 송/수신할때 이와연동하여태그를 생성한 후에 태그저장블럭(3)에 송신하거나, 태그를 읽어들여 태그검사를 수행하고 검사결과를 마이크로프로세서 블럭(1)등에 통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태그저장블럭(3)은 태그처리블럭(2)과 태그값을 송/수신하고 패킷버스 중재블럭(5)이 상대편 접속장치와 송수신을 시작할때까지 또는 시작한 후에 이들 태그 데이타를 보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태그저장블럭(4)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블럭(1)과 패킷버스 중재블럭(5) 사이에 위치하여 일시적인 데이타 저장기능을 수행한다.
패킷버스 중재블럭 (5)은 팻킷버스 접속장치내에서 외부에 대한 패킷데이타 통로 기능을 수행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태그처리블럭에 대한 상세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1은 마이크로프로세서 상태감시부, 12는 태그발생부, 13은 태그검사부, 14는 태그저장 상태감시부를 각각 나타낸다.
마이크로프로세서 상태감시부(11)는 하다찌사의 HD64180S로 구성되어 첫째,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제1도에 나타난 패킷버스 접속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에게 각종 데이타를 송수신할 때 이 데이타들이 송신데이타 저장블럭(4)에 보내지는 데이타인지를 식별하는 기능과 둘째, 송신데이타 저장블럭(4)에 데이타가 저장되어짐과 동시에 태그저장블럭(3)에 태그를 저장되도록 하기 위한 타이밍조절기능과 셋째, 저장되어지고 있는 데이타(바이트 단위)가 하나의 패킷 데이타(하나의 패킷은 여러개의 바이트로 구성될 수 있음)중 첫번째 바이트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기능과 넷째, 이들 식별 결과를 태그발생부(12)에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태그발생부(12)는 여러개의 논리곱게이트 및 논리합게이트와 74F823 버퍼로 구성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 상태감시부(11)로부터 현재 전송되고 있는 데이타(바이트 단위)의 종류(하나의 패킷중 몇번째 바이트인지의여부)를 통보받고 이에 따른 태그를 발생한다. 이때, 하나의 패킷중 마지막 바이트일때는 종료(STOP) 태그를 발생하여 다른 태그와 마찬가지로 태그 데이타 저장블럭(3)에 송신함과 동시에 별도로 태그저장 상태감시부(14)에 이의 발생여부를 통보한다.
태그검사부(13)는 수신된 태그 데이타(값)의 이상유무를 검사하여 이상이 있을 경우에 이를 마이크로프로세서 블럭(1)에 통보한다.
태그저장 상태감시부(14)는 1개의 8비트 증가/감소 계수기(Up/Down Counter)로 구성되어 태그저장블럭(3)에서 태그 데이타가 상대측 교환장치의 패킷버스 접속장치로 전송될 때 계수 감소를 수행하고, 종료(STOP) 태그가 발생되어 태그저장블럭(3)에 한 프레임의 태그 데이타가 저장되었을 때 계수 증가를 수행함으로써 태그저장블럭(3)내에 전송될 프레임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외부(교환 주제어부)에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태그 발생 및 처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제1도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블럭(1)이 데이타저장블럭(4)에 패킷데이타를 송신할때 이를 감지하여(31), 이때의 데이타가 하나의 패킷중 어떤 데이타인지를 판단하여(32) 이에 따른 해당 태그값을 제1도의 태그저장블럭(3)에 송신하여 저장한다(33 내지 35). 즉, 번지 바이트일 경우에는 번지 태그를 발생하여 송신하고(33), 시작바이트일 경우에는 시작 태그를 발생하여 송신하며(34), 유효 바이트일 경우에는 유효 태그를 발생하여 송신한다(35).
또한, 종료 바이트일 경우에는 종료 태그를 발생하여 송신한다(36). 즉, 하나의 패킷이 전송 완료될때는 종료(STOP) 태그를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제2도의 태그저장 상태감시부(14)에 종료태그 발생신호로서 통보한다(37).
한편, 태그저장블럭(3)의 입출력 상태를 수신하면(38) 입출력 상태를 판단하여(39) 종료태그 발생신호를 수신하면(40) 태그저장 상태감시부(14)가 이를 감지하여 계수기를 증가시키도록 하고(42), 이와는 반대로 태그저장블럭(3)에서 데이타가 외부로 송출될 때 발생하는 태그데이타 외부송출신호이면(41) 태그저장 상태감시부(14)가 이를 감지하여 계수기를 감소시키도록 한다(43). 이후 현재계수된 상태가 1 이상일 때는 교환되어질 패킷데이타가 대기하고 있음을 패킷버스 접속장치 외부의 교환 주제어부에 알리고(44,45) 계수된 상태가 0일 경우에는 교환되어질 패킷데이타가 없음을 패킷버스 접속장치 외부의 교환 주제어부에 알린다(44,46).
수신된 태그데이타를 검사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은 제3도의 47 내지 52에 나타내었다. 제2도의 태그검사부(13)가 태그데이타를 수신하면(47) 첫번째 태그 바이트가 먼저 태그인지를 검사하여(48) 이상이 있으면 마이크로프로세서 블럭(1)에 이상상태를 통보하고(52) 이상이 없으면 두번째 태그 바이트가 시작 태그인지를 검사하여(49) 이상이 있으면 마이크로프로세서 블럭(1)에 이상상태를 통보하고(52) 이상이 없으면 나머지 태그 바이트들이 유효(VALID) 태그인지를 검사하여(50) 이상이 있으면 마이크로프로세서 블럭(1)에 이상상태를 통보하고 이상이 없으면 마지막 태그 바이트가 종료 태그인지를 검사하여 이상이 있으면 마이크로프로세서 블럭(1)에 이상상태를 통보하고 이상이 없으면 바로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제3도의 흐름에서는 패킷버스 접속장칭에서 원활한 패킷교환을 위해 교환되어질 패킷데이타의 조재여부 표시방법과. 태그생성 및 검사등의 태그처리 방법을 나타내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패킷버스상에서 교환데이타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검중방식으로 태그(Tag) 처리를 행하는 시스템 사용됨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패킷버스 접속장치에 태그저장용 선입선출 버퍼(FIFO)를 이용하여, 태그 생성 및 검사를 별도의 하드웨어 논리회로가 수행하게 함으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부하(load)를 감소시켜 패킷버스 접속장치의 가장 큰 문제점인 데이타 처리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둘째, 8비트 또는 9비트 폭의 태그 저장용 선입선출 버퍼(FIFO)를 사용하여 (2×8) 또는 (2×9)개의 태그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데이타 유무만을 나타내는 태그기능 이외에 에러 검사, 타이밍 검사, 제어 데이타 표시등 다양한 태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셋째, 상기 둘째항을 원인으로 인하여, 교환되어지는 데이타의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넷째, 하나의 패킷중 마지막 바이트에 종료 태그를 적용할 경우에 패킷버스 접속장치내에서 교환되어질 데이타의 존재 유무를 나타내는 패킷계수기에 종료 태그를 이용할 수 있다.
다섯째, 태그 생성 및 검사를 별도의 하드웨어 논리회로가 수행하게 함으로써, 패킷버스 접속장치의 데이타처리속도 중대에 요구되는 응용 목적용 집적회로(ASIC)화가 용이하게 된다.

Claims (2)

  1. 패킷버스 접속장치에 적용되는 태그 발생 및 처리 방법에 있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 블럭(1)이 패킷데이타 송신을 개시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여 패킷의 특성에 따라 번지 태그, 시작 태그, 유효 태그, 및 종료 태그를 생성하여 태그저장블럭(3)에 저장하고, 종료 태그가 발생되면 종료 태그 발생신호를 전송하는 제1단계(31 내지 37); 종료 태그 발생신호와 태그데이타 외부송출신호를 수신하면 계수기를 증가/감소시켜 상기 태그저장블럭(3)에 교환되어질 패킷데이타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재2단계(38 내지 46); 및 수신된 태그 데이타를 검사하여 이상상태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블럭(1)으로 통보하는 제3단계(47 내지 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태그발생 및 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31 내지 37)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블럭(1)이 데이터저장블럭(4)에 패킷데이타를 송신할 때 발생하는 데이타송신 시작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감지하는 제4단계(31); 전송되고 있는 데이타가 하나의 패킷중에서 어느 바이트의 데이타인지를 판단하는 제5단계(32); 상기 제5단계 (32)의 판단 결과, 번지 바이트일 경우에는 번지 태그를 발생하여 상기 태그저장블럭(3)에 송신하여 저장하는 제6단계(33); 상기 제5단계(32)의 판단 결과, 시작 바이트일 경우에는 시작 태그를 발생하여 상기 태그저장블럭(3)에 송신하여 저장하는 제7단계(34); 상기 제5단계(32)의 판단 결과, 유효 바이트일 경우에는 유효 태그를 발생하여 상기 태그저장블럭(3)에 송신하여 저장하는 제8단계(35); 및 상기 제5단계(32)의 판단 결과, 종료 바이트일 경우에는 종료 태그를 발생하여 상기 태그저장블럭(3)에 송신하여 저장한 후에 태그저장 상태감지부(14)에 종료태그발생신호를 발생하여 통보하는 제9단계(36,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 발생 및 처리 방법.
KR1019930029603A 1993-12-24 1993-12-24 패킷버스 접속장치에서의 태그 발생 및 처리 방법 KR970001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9603A KR970001624B1 (ko) 1993-12-24 1993-12-24 패킷버스 접속장치에서의 태그 발생 및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9603A KR970001624B1 (ko) 1993-12-24 1993-12-24 패킷버스 접속장치에서의 태그 발생 및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485A KR950022485A (ko) 1995-07-28
KR970001624B1 true KR970001624B1 (ko) 1997-02-11

Family

ID=19372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9603A KR970001624B1 (ko) 1993-12-24 1993-12-24 패킷버스 접속장치에서의 태그 발생 및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62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485A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2739B2 (en) Method and device for parameter independent buffer underrun prevention
EP0602806A2 (en) High-level data link controller (HDLC) receiver
US4541031A (en) Loop fault isolator
JP2833387B2 (ja) 交換機バスモニタ回路
EP0893019B1 (en) Multiplex communication interface circuit and method
KR970001624B1 (ko) 패킷버스 접속장치에서의 태그 발생 및 처리 방법
KR100293950B1 (ko) 주변소자 내부연결 버스 모니터를 이용한 장애 감지 장치 및 방법
JP2527771B2 (ja) プログラマブル・オ―トマトンにおける入力制御回路
US4590924A (en) Endoscope system
JP3190214B2 (ja) 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
JPH06204989A (ja) データ通信装置
CN111722940A (zh) 基于异步串口的消息传输方法、终端设备及传输系统
US6430198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ducing packet length count processing
JP2953878B2 (ja) データ転送システム
US7890728B2 (en) Memory interface device, memory interface method and modem device
KR930005124B1 (ko) 다중 팩시밀리 통신시 이미지 데이타의 페이지 끝 체크 방법
EP013264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collision detection
KR0128136Y1 (ko) 병렬 버스 시스템에서의 주소와 엑세스 무응답을 이용한 보드이상 감지회로
JP3600480B2 (ja) シリアルデータ転送システムおよび異常検出方法
EP0602770A2 (en) Abnormal packet processing system
JP2000259526A (ja) シリアルインターフェース回路
JP2630077B2 (ja) クロック同期式シリアルインターフェース
JPS6345820B2 (ko)
KR940004575B1 (ko) 보드간의 데이타 송수신 방법
JPH01149643A (ja) パケットバッフ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