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542Y1 - 원통형 중량물 운송용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원통형 중량물 운송용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542Y1
KR970001542Y1 KR2019940010711U KR19940010711U KR970001542Y1 KR 970001542 Y1 KR970001542 Y1 KR 970001542Y1 KR 2019940010711 U KR2019940010711 U KR 2019940010711U KR 19940010711 U KR19940010711 U KR 19940010711U KR 970001542 Y1 KR970001542 Y1 KR 9700015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e
trailer
cylindrical
cargo
load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07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067U (ko
Inventor
고용섭
Original Assignee
현대정공 주식회사
류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정공 주식회사, 류기철 filed Critical 현대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107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542Y1/ko
Publication of KR9500330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0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5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5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3/00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 B62D53/04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comprising a vehicle carrying an essential part of the other vehicle's load by having supporting means for the front or rear part of the other vehicle
    • B62D53/06Semi-tr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8Semi-trailers, articulate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원통형 중량물 운송용 트레일러
제1도의 (a), (b)는 종래의 트레일러의 측면도와 배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측면도.
제4도의 (a), (b)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의 전방 적재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와 정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의 중앙적재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의 중앙적재부에 화물 보호수단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측면발췌도.
제7도의 (a), (b)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의 전방 적재부와 중앙적재부의 비임에 이동버팀대 설치용 구멍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정단면도.
제8도의 (a), (b), (c)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의 이동버팀대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정면도 그리고 측면도이다.
제9도의 (a), (b)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의 후방적재부의 측면도와 정단면도.
제10도의 (a), (b)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의 커버수단 및 견인 고정수단을 나타내는 평면도와 측면도.
제11도의 (a), (b), (c), (d)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의 커버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
제12도의 (a), (b), (c)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의 견인고리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정면도 그리고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방적재부 20 : 중앙적재부
30 : 후방적재부 40 : 견인 연결후레임
45 : 트레일러 상면 46 : 후방후레임
50 : 이동버팀대 60 : 비임의 구멍
71 : 앞바퀴 72 : 뒷바퀴
80 ; 요입부 85 : 트위스트 로크
90 : 보호커버 저장박스 95 ; 견인고리
100 : 원통형화물 150 : 래칫버클
200 : 견인 와이어 15 ; 고정버팀대
16, 58 : 슬링벨트 12 : 전방적재부의 지지비임
23 ; 중앙적재부의 메인비임 24 : 축면 보호 브라켓트
25 : 중앙적재부의 경사비임 26, 37 : 경질 고무판
31 : 후방적재부의 바닥면 32 : 빗면 경사 유지판
56 : 이동 버팀대의 구멍 57 : 고강도 핀(PIN)
82 : 후륜 앞, 뒤바퀴의 중심선 91 : 보호커버
93 : 와이어 94 : 연결구멍
96 : 고정구멍
본 고안은 원통형 중량물 운송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일형 철판과 같은 원형 중양물의 무게중심을 낮게 하여 중량물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으면서 적재면적을 최대화한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레일러는 중하중용 특수 화물을 경제적으로 운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피 견인 특수차량으로써, 취급화물에 따라서 콘테이너수송용, 일반 적재화물 운송용 등으로 다양하게 분류되며, 이러한 트레일러의 특징은 중하중이며 부피가 대형인 화물을 용이하게 수송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상기의 코일형 철판 등의 중량물을 적재할 수 있는 통상의 트레일러에 있어서는 제1도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형 철판(1) 등의 중량물을 적재할 수 있는 트레일러의 적재면(2)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 평평한 적재면에서 코일형 철판 등의 중량물이 운송중에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일형 철판 등의 중량물의 좌, 우 바닥면에 지지목(3)을 위치시키고 코일형 철판(1) 등의 중량물의 중앙 구멍에 스틸 와이어(4)를 관통시켜 스틸 와이어(4)의 양쪽 끝단이 트레일러의 프레임(5)에 결속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결속장치에 결함이 발생한 경우에는 코일형 철판 등의 중량물이 트레일러의 적재면으로 부터 추락하여 대인, 대물 사고를 유발하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결속을 강하게 한다던지, 또는 별도의 견인와이어를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결속을 강하게 하면 상기의 견인와이어에 의하여 코일형 철판류 등의 중양물의 제품에 손상을 줌에 따라서 고품질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경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이와 연게하여 견인작업의 수고가 들게되고 상기 견인작업으로 인한 지체로 차량의 정체시간이 늘어남에 따라서 차량의 기동률이 떨어지게 되며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과적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도로의 손상과 차량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코일형 철판의 결속이 완료된 뒤에는 우천시의 비, 눈 등으로 부터 코일을 보호하기 위하여 비닐 등의 보호커버를 코일에 덮여주게 되는데, 상기 보호커버가 불규칙하게 접어져 있는 상태이어서 보호커버를 일일히 코일에 덮어씌우고 고정시키는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출원인은 종래 기술에 의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3-14983호 코일형 철판류 등의 중량물 육송용 트레일러를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출원은 적재부가 앞쪽적재부와, 뒷쪽적재부로만 형성되어 있어 적재면적이 협소하고 화물의 이동 버팀수단의 구성이 복잡하여 사용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본 출원인의 선출원을 개량한 것으로, 트레일러의 적재부를 전, 후방적재부와 중간적재부로 분할한 뒤에 중앙적재부는 바닥면이 움푹 파진 형태로 형성하면서, 후방적재부는 트레일러 상면과 동일높이 선상의 전방적재부보다 낮게 형성하되 상기 전후방 적재부 및 중앙적재부 바닥에는 원통형 중량물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중량물의 무게중심 높이를 최소화하여 중량물 운송의 안전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화물 적재면적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중량물 수송용 트레일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원통형태의 중량물을 지지하는데 있어서, 전방적재부와 중앙적재부 바닥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이동버팀수단이 설치되고, 후방적재부에는 화물안착홈용 요입부가 형성되어 다양한 크기의 원통형 중량화물의 중량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견인와이어의 재질을 합성사로 하고 이 견인와이어 랫치버클에 의하여 긴축력있게 결속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코일형태로 감긴 코일형 철판의 손상을 주지 않으며 신속하게 결속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전, 후방적재부에 콘테이너(Container)체결장치인 트윗스터로크(Twist Lock)가 설치되어 원통형화물 외에도 콘테이너를 적재운송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원통형화물이 적재되는 위치에 고정버팀대가 트레일러 후레임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원통형화물을 이동버팀수단에 위해서 횡방향으로 적재할 수 있는 전방적재부와, 바닥면이 전, 후방적재부 보다 낮게 형성되고 그 바닥면에 이동버팀수단이 이동가능토록 설치되어 양측 경사면과 이동버팀수단 사이에 복수개의 원통형화물을 횡방향으로 적재시킬 수 있도록 된 중앙적재부재부와, 상기 전방적재부 보다 낮으며 원통형 화물 안착용 요입부가 형성되어 원통형화물 자체적으로 중심 적재할 수 있는 후방적재부와, 상기 전, 후방적재부 양측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콘테이너를 체결할 수 있는 트위스트로크와, 상기 원통형화물을 덮어 씌울 수 있는 커버수단과, 상기 원통형화물을 견인고정시킬 수 있는 견인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트레일러는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 후 방적재부(10), (30)와 중앙적재부(20)로 나누어지며, 전방적재부(10)는 적재부 전방에는 경사면(16)을 구비한 고정버팀대(15)가 견인 연결후레임(40)에 용접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설치되고, 이 고정버팀대(15)의 대향부에는 이동버팀수단인 이동버팀대(50)가 이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고정버팀대(15)와 이동버팀대(50) 사이에 원통형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견인후레임(40)이 지지비임(12) 사이와 양측에는 덮개판(13)이 각각 설치되고 양측단에는 외측면 브라켓트(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중앙적재부(20)는 원통형화물(100)을 적재할 수 있는 바닥면(21)을 견인 연결후레임(40) 및 후방적재부(30)보다 낮게 드롭화하여 상개식 적재함 형태로 형성하여 지면으로부터 화물을 중심높이를 최소로 낮게 하고, 이 중앙적재부(20)의 바닥면의 전, 후방 경사면의 대향부에는 이동버팀 수단인 이동버팀대(50)가 이동가능토록 설치되어 경사면과 이동버팀대(50)사이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중앙적재부(20)의 바닥은 제5도에 표현된 바와같이 메인비임(23)의 사이에 중앙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폭의 바닥면(21)과 이 바닥면(21)의 양쪽에는 메인비임(23)을 사이에 두고 목재측면판(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목재측면판(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목재측면판(22)의 양끝단에는 일정 높이의 보호브라켓트(2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비임(23)은 상기 바닥면(21) 및 목재측면판(22)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고 있다. 또한, 중앙적재부(20)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화물(100)의 둘레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중앙적재부(20)의 경사비임(25)의 경사면에 경질용 고무(26)가 나사부재(27)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서 고정되어 원통형화물(100)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중앙적재부(20)의 후방에는 후방적재부(30)가 형성되며, 이 후방적재부(30)는 전방적재부(10) 보다 낮고 중앙적재부(20) 보다는 높게 형성되어 트래일러 후륜 앞바퀴(71) 및 뒷바뮈(72)의 윗쪽에 위치되어 제9도의 (a),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요임부(80)가 트레일러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전방적재부(10) 및 중앙적재부(20)의 화물 적재방향과 동일하게 적재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의 후방적재부(30)의 바닥면(31)은 트레일러 길이방향으로 빗면경사유지판(32)과 일체가 되어 트레일러의 경사유지 후레임(33)에 용접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고 빗면 경사유지에 필요한 보강브라켓트(34)가 바닥판(31) 및 경사유지판(32)의 밑에 각각 보강되어 요입부(80)를 이루는 것이어서 이 요입부(80)에 화물(100)을 안전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제9도의 (a)의 점선부분(36)에 나타난 바와같이 빗면경사유지판(32)을 필요에 따라 트레일러 상면(45) 또는 뒷쪽 후레임(46) 위로 돌출시키어 요입부(80)에 화물(100)을 보다 안전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후방적재부(30)의 바닥면(31) 끝단에는 제9도의 (b)에 나타난 바와같이 측면보호 브라켓트(35)가 바닥면(31)과 일정한 높이의 단턱을 이루며 돌출되어 있다.
또한, 후방적재부(30)에 적재된 화물(100)의 중량으로 트레일러 후륜 앞, 뒷바퀴(71), (72)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사시키기 위해 요입부(80)의 중심을 앞, 뒷바퀴(71), (72)의 중심선(82)과 일치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의 바닥면(31) 및 빗면경사유지판(32) 윗면에는 제9도에서와 같이 경질용 고무판(37)을 씌워 보울트 등의 고전수단을 고정하여 후방적재부(30)에 적재되는 화물(100)의 외주면을 보호토록 되어 있다.
원통형화물(100)의 크기에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이동버팀수단은 상기 전방적재부(10)의 지지비임(12) 또는 중앙적재부(20)의 메인비임(23)의 상단에서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버팀대(50)로 형성된다. 이동버팀대(50)는 제8도 (a), (b), (c)에 나타난 바와같이 프레임(51)의 위에 용접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삼각형상을 이루는 통체(52)의 빗면에 화물(100)의 바깥 둘레면을 지지시킬 수 있는 경사각으로 형성된 버팀경사면(53)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프레임(51)이 상면 양끝단에 강도보강용 프레임(54)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동버팀대(50)를 임의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프레임(51)과 보강프레임(54)를 관통한 구멍(56)이 이동버팀대(50)의 전후좌우 사방 끝단에 형성되어 있다.
이 이동버팀대(50)의 이동을 위하여 보강프레임(54)의 상단 끝단에 핸들(55)이 용접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품(100)의 표면 손상 방지를 위하여 이동버팀대(50)의 버팀경사면(53)에 일정 갯수의 슬링벨트(58)가 보울트(59) 등의 고정수단으로 교정되어 제품(100)의 적재, 하역, 운송 도중에 발생되는 둘레면의 손상을 방지토록 되어 있다.
이동버팀대(50)를 트레일려 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은 제7도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버팀대가 트레일러 후레임 상단에서 일정 거리까지 자유로이 이동되는 구간인 전방적재부(10)의 지지비임(12) 상단과 중앙적재부(20)의 메인비임(23)의 상단에 이동버팀대를 고강도용 핀(57)으로 고정시켜 주는 구멍(60)이 비임(12), (23)의 바깥쪽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비임(12), (23) 하단에는 구멍(60)의 보강판(61)이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어 있다. 즉, 이동버팀대(50)를 적재부의 비임(12), (23) 상단에 위치시킨 다음 핀(57)을 이동버팀대의 구멍(56)의 경유하여 비임(12), (23)의 구멍(60)을 관통시킴으로서 이동버팀대(50)를 트레일러 후레임의 전방적재부(10) 및 중앙적재부(20) 임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이동버팀대(50)의 핸들(55)을 잡고 이동버팀대(50)를 이동시켜 이동버팀대의 구멍(56)과 적재부(10), (20)의 비임(12), (23) 구멍(60)이 서로 일치되도록 조정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트레일러는 코일형태로 감긴 철판을 적재하여 운송하는 용도외에 일반 트레일러의 운송용인 20피이트 콘테이너(Container)를 운송가능토록 전방적재부(10)와 후방적재부(30)의 중간지점 양 외곽 끝단에 콘테이너 결속용 트위스트 로크(85, TWIST-LOCK)가 제2도 및 제10도의 (a)에 나타난 바와같이 트레일러 상면(45)에 부착되어 있다. 콘테이너를 운송시에는 전방적재부(10)의 이동버팀대(50)를 제거한 후 트위스트 로크(85)로 결속하여 운송한다.
전후방적재부(10), (30)와 중앙적재부(20)에 적재되는 화물(100)을 우천시에 덮어 씌울 수 있는 커버수단은, 트레일러 후레임에 내장된 보호커버 저장박스(90)가 제10도 (b)에서처럼 전방적재부(10) 및 중앙적재부(20), 후방적재부(30)의 앞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보호커버 저장박스(90) 내측에 보호커버(91)의 한쪽 끝단이 제11도(a), (b)에 나타낸바와같이 보울트 너트(92)등의 방법으로 고정되어 보호커버 저장박스(90)로 부터 보호커버(91)를 추출시키어 상기의 전방적재부(10)와 중앙적재부(20) 그리고, 후방 적재부(30)의 화물(100)을 덮어 씌울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1도 (c),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커버(91) 둘레에는 와이어(93)를 연결시킬 수 있는 연결구멍(94)과 트레일러의 둘레부에 형성된 견인고리 (95) (제10도의 (a) 참조)에 걸러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구멍(96)들이 일정간격으로 보호커버(91) 전체 둘레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보호커버 저장박스(90)를 중심으로 제11도의 (b)에 나타낸 바와같이 접는 주름선(57)이 복수개 형성되어 보호커버 저장박스(90) 내에의 보관시에 보호커버(91)를 접어서 보관 후 보호커버 저장박스(90)의 뚜껑(98)을 덮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커버(91)를 보호커버 저장박스(90)로 부터 추출시키어 화물(100)에 씌운 후 보호커버(91)의 아래 끝단의 고정구멍(96)을 트레일러 둘레부의 견인고리(95)에 걸어 고정시키고 이어서 연결구멍(94)에 연결된 와이어(93)를 잡아 당겨서 그 와이어의 끝단을 묶음으로서 보호커버(91)의 아래 끝단이 긴밀히 조여져서 제10도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물(100)을 덮어 보호할 수 있는 것이어서 트레일러 운송중에 바람에 보호커버(91)가 날리는 일이 없도록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견인고정 수단은, 화물의 관통구멍(101)에 제10도의 (a), (b)와 같이 가로 질러지는 견인용 견인와이어(200)의 한쪽 끝단을 트레일러의 둘레주위에 형성된 견인고리(95)에 걸어 고정하고 다른 한쪽은 트레일러반대쪽 둘레주위에 형성된 견인고리(95) 걸어 고정된 레칫버클(150)에 견인와이어(200)를 끼워 래칫버클(150)의 조작에 의해서 견인와이어(200)에 화물(100)의 고정에 필요한 긴축력을 갖도록 하여 화물(100)을 견인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견인와이어(200)는 폴리에스터 등의 합성사 재질이며 견인와이어(200)의 한쪽 끝단을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견인고리(95)는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보호 브라켓트(14, 24, 35)에 ㄷ자 형상의 고리(110)에 평철(120)을 보강한 견인고리(95)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트레일러는 제2도, 제3도에서 처럼 트레일러의 후레임 앞부위인 전방적재부(10)에는 화물 추락 방지 용인 고정버팀대(15)가 고정설치되어 있고 후레임 중간부위인 중앙적재부(20)를 드롭화하여 상개식 적재함 형태로 하고 후레임 뒷부위인 후방적재부(30)는 요입부(80)를 형성하여 중량물의 원통형 화물 적재위치를 낮춤으로서 화물 운송의 안전성을 기하였고 트레일러 적재되는 원통형화물의 균형과 원통형화물의 중량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하기 위하여 트레일러 전, 후에 각 1개의 원통형 화물을, 중간부위에는 복수개 이상의 화물을 적재토록 되어있다.
또한, 종래는 중량물의 원통형 화물 지지방법을 결속 고정정치가 없는 단순한 목재 지지목으로 중량물의 화물을 지지하는 방식을 개선하여 본 고안 트레일러는 전방적재부(10) 중앙적재부(20)의 비임 상단에 삼각형상의 이동식 버팀대(50)를 핀(PIN)을 이용하여 적재부의 길이 방향으로 임의 위치에 자유로이 이동 및 고정토록되어 다양한 크기의 원통형 화물을 이동버팀대(50)로 지지할 수 있어 적재부의 적재범위내에서 복수개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스틸와이어 의존 결속방식으로 과도한 결속에 의한 제품손상 및 결속소요시간 과다에 의한 차량 정체시간 그리고 이로 인한 운전자의 육체적 피로감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품의 접촉부위에는 슬링벨트(16), (58) 또는 경질 고무판(26), (37), 목재등으로 덮어져 있으며 그리고 폴리에스터 등의 합성사의 중하중용 견인와이어와 래칫버클(150)을 이용한 결속방식을 신속하고 간편한 견인 및 결속작업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보호커버를 화물에 개별적으로 씌워서 보호커버의 끝단을 매듭지는 방식을 개선하여 본 고안은 원통형화물을 덮어 씌울수 있는 보호커버(91)를 보호커버 저당박스(90)로 부터 추출시키어 화물(100)을 덮은 후 보호커버(91) 둘레 끝단을 트레일러 견인고리(95)에 걸고 이어서 견인 와이어(200)로 견고히 유지시킬 수 있으며, 보호커버(91) 해체시에는 보호커버의 접는 주름선을 따라 접은 후 두루마리 형태로 보호커버를 감아 보호커버 저장박스(90)에 다시 보관하는 방식으로 간편하고 확실하게 제품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또한 본 고안은 중량물의 코일(원통형화물)을 운송하는 용도이외에도 20피이트(fit) 콘테이너를 운송가능토록 콘테이어 체결장비인 트위스트 록크(85)를 트레일러 후레임에 부착하여 운송 용도를 겸용화 하였다.
아울러 본 고안의 트레일러는 종래의 평판 트레일러의 적재 가능한 화물 갯수와 동일한 갯수의 적재가 가능한 동시에 트레일러의 길이는 종래의 평판트레일러보다 짧아 운송 가동률을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전,후방적재부, 중앙적재부로 구성되어 트레일러 적재 가능 면적을 최대로 활용함과 동시에 중앙적재부의 바닥면을 드롭화하여 상개식 적재함 형태로 형성하고 후방적재부에는 요입부를 형성하여 화물의 운송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이동버팀대를 자유로이 이동, 고정시킬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제품을 적재할 수 있고, 또한 제품의 외곽 둘레면을 보호하는 슬링벨트, 고무판, 합성사용 견인와이어 및 레칫버클, 우천시의 보호커버 사용등으로 적재물을 보호할 수 있으며 이동버팀대, 래칫버클, 와이어 조임식 보호커버 사용으로 제품의 견인 및 결속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트레일러의 견인프레임 상면에 형성된 전방적재부와, 트레일러의 바퀴가 장착된 후방프레임 상면에 형성된 후방적재부와, 상기의 전, 후방적재부 사이에 형성되고 전, 후방적재부 보다 낮은 위치의 바닥면을 갖는 중앙적재부와, 상기의 전, 후방적재부와 중앙적재부 각각에 형성된 화물버팀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중량물 운송용 트레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전방적재부에 형성된 화물버팀수단은 적지부의 상면에 고정된 고정버팀대와, 적재부 상면에서 고정버팀대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는 이동버팀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중량물 운송용 트레일러.
  3. 제1항에 있어서, 중앙적재부에 형성된 화물버팀수단은 전, 후방적재부와 중앙적재부의 경계부에 각각 형성된 경사면과 그 경사면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는 이동버팀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중량물 운송용 트레일러.
  4. 제1항에 있어서, 후방적재부에 형성된 화물버팀수단은 요입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중량물 운송용 트레일러.
  5. 제4항에 있어서, 후방적재부의 요입부는 중앙부 바닥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양측면은 경상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중량물 운송용 트레일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적재부의 요입부는 그 중심이 후륜의 앞, 뒷바퀴 중심선과 일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중량물 운송용 트레일러.
  7. 제4항에 있어서, 후방적재부의 요입부는 트레일러의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전방적재부와 중앙적재부에 적재되는 화물과 동일방향으로 화물이 적재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중량물 이송용 트레일러.
  8. 제1항에 있어서, 전방적재부에 형성된 화물버팀수단은 적재부의 상면에 고정된 고정버팀대와 적재부 상면에서 이동될수 있는 이동버팀대로 구성되고, 중앙적재부에 형성된 화물버팀수단은 전, 후방적재부와 중앙적재부의 경계부에 각각 형성된 경사면과 그 경사면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는 이동버팀대로 구성되며, 후방적재부에 형성된 화물버팀수단은 요입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중량물 운송용 트레일러.
  9. 제2항, 제3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의 이동버팀대는 양측에 다수의 구멍이 천공된 프레임과, 그 프레임상에 고정되고 버팀경사면을 갖는 버팀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중량물 운송용 트레일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버팀대의 경사면에 화물보호용 슬링벨트가 설치되고 중앙적재부의 양측 경사면과 후방적재부의 요입부에 화물보호용 경질 고무판이 부착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중량물 운송용 트레일러.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의 이동버팀대는 양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중량물 운송용 트레일러.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의 이동버팀대의 하측에는 지지비임 또는 메인비임이 형성되고 상기의 지지비임 또는 메인비임에는 다수의 구멍이 천공되며, 이동버팀대의 프레임에 형성된 구멍과 상기의 비임에 천공된 구멍을 일치시킨 다음 이들 구멍에 강철핀을 삽입하여 이동버팀대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중량물 운송용 트레일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원통형 중량물 운송용 트레일러는 상기 원통형 화물을 덮어 씌우는 커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중량물 운송용 트레일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수단은 보호커버의 일측단이 내측에 고정된 보호커버 저장박스가 전, 후방적재부와 중앙적재부의 전방후레임에 각각 내장되어, 보호커버 자장박스로부터 보호커버를 추출시켜 전후방적재부와 중앙적재부에 적재된 화물을 각각 덮어씌울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중량물 운송용 트레일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 둘레부에 와이어를 연결시킬 수 있는 연결구멍과 트레일러의 견인고리에 걸어 고정시키는 다수개의 고정구멍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중량물 운송용 트레일러.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원통형 중량물 운송용 트레일러는 적재물을 견인고정시킬 수 있는 견인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중량물 운송용 트레일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고정수단은 합성사로 된 화물견인용 견인와이어의 일측말단을 견인고리에 걸어 고정시키고, 타측단은 반대측 견인고리에 걸어 고정된 래칫버클에 연결시키여 견인와이어를 긴축력있게 조여 화물을 견인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중량물 운송용 트레일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고리는 트레일러 좌우측 측면 전길이에 걸쳐 ㄷ자 형상의 고리에 일정폭을 가진 평철이 보강된 견인고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중량물 운송용 트레일러.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원통형 중량물 운송용 트레일러는 전, 후방적재부 양측에 콘테이너를 체결하는 트위스트 로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중량물 운송용 트레일러.
  20. 트레일러의 중량물 적재부 상면에 중량물을 지지하는 고정버팀대와 상기 고정버팀대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는 이동버팀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중량물 운송용 트레일러.
KR2019940010711U 1994-05-14 1994-05-14 원통형 중량물 운송용 트레일러 KR9700015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0711U KR970001542Y1 (ko) 1994-05-14 1994-05-14 원통형 중량물 운송용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0711U KR970001542Y1 (ko) 1994-05-14 1994-05-14 원통형 중량물 운송용 트레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067U KR950033067U (ko) 1995-12-16
KR970001542Y1 true KR970001542Y1 (ko) 1997-03-14

Family

ID=19383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0711U KR970001542Y1 (ko) 1994-05-14 1994-05-14 원통형 중량물 운송용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54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067U (ko) 199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8721B2 (en) Recessed demountable cargo tie down
US4611961A (en) Wheel harness and a method for mounting a wheel harness on a wheel
US553837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large objects
US6422794B1 (en) Cargo snugger strap and hook mechanism
US5156506A (en) Log truck securement system
US5954465A (en) Flatbed cylindrical load securing device
US4838743A (en) Vehicle cantilever chock block apparatus for railroad car transport of vehicles
US4008669A (en) Resiliently biased tie-down anchor
CA2134147C (en) Trailer for hauling metal coils
US4487537A (en) Drum tie-down apparatus
US20050226697A1 (en) Trailer for securing and hauling steel coils
US5899646A (en) Securement of lumber or like products on centerbeam railcars using spooled webbing
US4979856A (en) Vehicle cantilever chock block apparatus for railroad car transport of vehicles
US44797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a wheeled vehicle
US5302064A (en) Cargo tiedown
US8025468B2 (en) Metal coil securing apparatus and method
SE516528C2 (sv) Anordning vid ett lasthanteringssystem
US5927915A (en) Safety rack for a coil
US20030129039A1 (en) Load restraining device
US4371298A (en) Vehicle supporting ramps for cargo containers
US20190160995A1 (en) Pocket Protection Device for Trailers and Trucks
KR970001542Y1 (ko) 원통형 중량물 운송용 트레일러
CN202624925U (zh) 中部有圆柱形空间的圆柱形货物立装座架
US11161559B2 (en) Tractor trailer gooseneck extension
US4352516A (en) Spreader b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