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144Y1 - 접목 활착 촉진장치 - Google Patents

접목 활착 촉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144Y1
KR970001144Y1 KR2019940013367U KR19940013367U KR970001144Y1 KR 970001144 Y1 KR970001144 Y1 KR 970001144Y1 KR 2019940013367 U KR2019940013367 U KR 2019940013367U KR 19940013367 U KR19940013367 U KR 19940013367U KR 970001144 Y1 KR970001144 Y1 KR 9700011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irculation
air
circulation passage
gra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33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013U (ko
Inventor
박중춘
Original Assignee
김평태
민영봉
박중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평태, 민영봉, 박중춘 filed Critical 김평태
Priority to KR20199400133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144Y1/ko
Publication of KR9600000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0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1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1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30Graf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2009/248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with distillation of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접목 활착 촉진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 장치의 내부구조중 노즐과 물받이 부분의 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장치의 내부구조중 단열 내벽체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부호의 대한 설명
2 : 단열 외벽체 8 : 단열 내벽체
9 : 내벽체 측면 10 : 공기순환공
11 : 순환통로 12,14 : 순환팬
13 : 온수히터 16 : 분사노즐
17 : 물받이 18 : 물받이 파이프
19 : 물통 20 : 형광등
21 : 트레이 22 : 육묘
본 고안은 수박이나 오이 또는 메론등과 같은 작물을 접목할 때, 활착 기간을 단축하고 또 활착율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하는 접목활착 촉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근래에는 농업기술의 계속적인 발달로 인하여 오이나, 수박등과 같은 과일이나 채소 등의 묘목도 수확량이 증대되고, 병충장해에 강하며, 성장속도가 빠른 묘목을 생산하기 위하여 접목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자연적인 조건하에서 접목을 실시할 경우는 접목묘가 활착하기위한 온도, 습도, 조도, 풍속 등의 조건이 적당하지가 못하여 활착율이나 활착되는 속도가 길어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접목활착 촉진장치를 사하여 접목묘의 활착이 촉진될수 있도록 온도, 습도, 조도, 풍향들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주고 있다.
그런데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접목활착 촉진장치는 일본에서 개발된 것을 고가의 비용들여 수입하여서 사용하고 있는데 이와같은 접목활착 촉진장치는 단열 외벽체의 내부로 단열 내벽체를 구성하고 단열 내벽체와 외벽체 사이로 형성되어진 순환 통로의 일측에는 초음파 가습기와 순환팬을 설치하고 단열 내벽체의 측면벽에는 순환공을 통고하였으며 내벽체 내부에는 접목묘가 담겨진 트레이가 적층되어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접목활착 장치를 가동시키면 활착실 내부의 온도에 따라서 자동으로 찬바람이나, 더운바람이 방출되며 순환팬의 회전으로 더운공기는 순환통로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단열 내벽체의 우측면의 순환공을 통하여 활착실 내부로 유입되고, 다시 단열 내벽체 좌측면의 공기 순환공을 통하어 순환통로로 배출되며 순환이 되면서 활착실내부의 온도와 풍속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준다. 또한 이때 초음파 가습기에서는 수증기를 발생시켜 순환되는 공기에 함유시키므로 활착실 내부의 온도와 풍속을 적절하게 조절하여준다.
그런데 이와같은 종래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즉, 초음파 가습기에서 습도 조절을 위하여 분무되는 수증기는 좌측의 순환통로와 상측의 순환통로 그리고 우측의 순환통로를 거쳐서 활착실 내부로 유입되므로 가습기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는 순환통로를 지나는 동안 통로의 벽체에 접촉하며 물방울로 변하여 통로의 벽체를 타고 흘러내려 바닥에 고이고, 이로 인하여 초음파가습기 등의 기기들은 습기나 물에 항시 젖어있게 되므로 쉽게 부식이 되어 자주 교체가 불가피하며, 가습기의 용량에 비하여 실제 활착실 내부로 유입되는 수증기의 양이 매우 적기 때문에 실제의 용량보다 큰 가습기를 사용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순환팬이 좌측 상단의 순환통로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 단열 내벽체의 좌우측벽 공기순환공으로 유입되어 빠져나가는 공기의 풍속은 상측으로 갈수록 빨라지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활착실 내부의 활착묘도 상부와 하부의 활착속도나 활착상태가 균일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기존의 활착장치를 개량고안한 것인데, 본 고안에서는 순환통로의 좌우측 상단에 두 개의 순환팬을 설치하고, 두 개의 순환팬사이 히터를 설치하여 활착실 내부의 공기가 좌우측의 측벽으로 배출되어 직상방에서 활착실 내부로 유입되는 방식으로 개선하였으며, 단열 내벽체의 좌우측에 형성된 공기 순환공도 상측에서 하측으로 향할수록 간격을 좁게하여 활착실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이 동일하게 하였고, 활착실 내부에 직접 분사노즐을 설치하여 활착실 내부에러 직접 습도조절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분사노즐 하단에는 물받이를 설치하여 노즐에서 흐르는 물을 물받이 파이프로 물통에 담을 수 있게하여 활착실 내부와 순환통로상에 물이 고이지않게 하였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열외벽체(2)내부로 단열외벽체와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단열내벽체(8)를 설치하여서 단열 외벽체(2)와 내벽체(8)사이에는 순환통로(11)를, 그리고 단열내벽체(8)내부에는 다단식으로 접목된 묘를 설치할수 있는 활착실(D)을 형성하였으며, 단열외벽체(2)외부에는 냉각기와 히터(4) 그리고 제어반(3), 또한 좌측순환통로 내부에는 순환팬 등이 설치되어 있는 통상의 접목활착 장치에 있어서, 순환통로(11)의 좌우측 상단에는 각 각 순환팬(12)(14)을 설치함과 동시 이들의 앞쪽에는온수히터 및 냉동기열교환 파이프(13)(13a)를 설치하고, 온수히터 및 냉동기열교환 파이프(13)(13a)사이의 단열내벽체(8) 상단에는 공기 유입공(B)을 마련하고 칸막이(B1)를 설치하였으며, 활착실(D)내부 상단에 두 개의 분사노즐(16)을 설치하되 노즐의 하단에는 물받이(17)를 설치하여 파이프(18)로 물통(19)과 연결되게 하였으며, 단열내벽체(8)의 좌우측면(9)에 형성된 공기순환공(10)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향할수록 점점 간격이 좁게 형성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 장치에서는 활착실(D)에 접목시킨 육묘를 넣은다음 본 고안 장치를 동작시키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두 개의 순환팬(12)(14)이 회전되면 양측면의 순환통로(11)(11a)의 공기는 상측의 순환통로(11)로 보내지는데 이때 공기는 온수히터 및 냉동기열교환 파이프(13)(13a)사이를 통과하게되어 가열되어지고 좌우측에서 모인 더운 공기는 상측의 공기 유입공(B)를 통하여 활착실(D)내부로 유입되어지고 이공기는 다시 단열내벽체(8)의 양측면에 형성된 공기순환공(11)을 통하여 순환통로로 빠져나가는데 이때 공기순환공(10)의 형태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향할수록 더많이 천공된 상태이므로 순환팬이 상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활착실(D)내부의 공기는 상하 골고루 순환통로로 빠져나온다.
또한 활착실 내부의 적정습도 유지를 위해서는 분사노즐로 물을 분사하게 되는데 분사 노즐은 활착실 내부에 직접 설치되어 있으므로 분무된 만큼의 양이 골고루 접목된 육묘에만 뿌려져 적은 양의 물을 뿌리면서도 활착실 내부의 습도를 적정 습도인 85%이상 유지 할수 있으며, 노즐하단에 물받이(17)를 설치하므로서 분무초기나 종료시 몇방울씩 떨어지는 물방울을 파이프(18)로서 물통(19)에 담겨지게 하므로 활착실 내부에 물이 고이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고안 장치는 기존에 초음파가습기를 습도 조절용으로 사용하는 장치에 비하여 부식 등의 고장이 없으면서도 균일하게 습도 및 풍속을 유지할수 있으며, 온수파이프에는 경우에 따라 냉각수를 공급하여 냉각 효과를 얻을수 있어 기존의 냉동기는 조절용으로만 사용할수 있고, 온수 보일러는 기존사용되고 있는 난방용 보일러를 이용하면 별도의 난방이 불필요한 특징이 있다.

Claims (1)

  1. (정정)단열내벽체(8)내부로 활착실(D)을 마련하고 내벽체 측면에는 공기 순환공(10)이 천공되었으며, 그 외부로는 단열외벽체(2)를 설치하여 내벽체(8)와 외벽체(2)사이로는 공기순환통로(11)를 형성하고서 좌측의 공기순환통로에는 초음파 가습기와 순환팬을 설치하여 우측벽체에서 좌측벽체로 공기를 수평순환 시키는 통상의 접목활착 장치에 있어서, 단열 내벽체(8)상단중앙에 공기유입공(B)을 형성하고, 두 개의 2류체 분사노즐(16)을 활착실(D)내부에 직접 설치하여 밑부분에는 물받이(17)를 설치하고, 상측의 순환통로(11)상의 공기 유입공(B)좌우로는 온수히터 및 냉동기열교환 파이프(13)(13a)를 설치하며, 좌우측의 순환통로(11)(11a)상단에는 두 개의 순환팬(12)(14)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목활착촉진장치.
KR2019940013367U 1994-06-09 1994-06-09 접목 활착 촉진장치 KR9700011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3367U KR970001144Y1 (ko) 1994-06-09 1994-06-09 접목 활착 촉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3367U KR970001144Y1 (ko) 1994-06-09 1994-06-09 접목 활착 촉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013U KR960000013U (ko) 1996-01-17
KR970001144Y1 true KR970001144Y1 (ko) 1997-02-19

Family

ID=19385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3367U KR970001144Y1 (ko) 1994-06-09 1994-06-09 접목 활착 촉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1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013U (ko) 1996-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9179A (en) Apparatus for utilization of waste energy
US2209431A (en) Humidifier for mechanical refrigerators
KR970001144Y1 (ko) 접목 활착 촉진장치
US2029153A (en) Refrigeration process and apparatus
JP3647591B2 (ja) 加湿空気製造方法と、加湿空気を用いた解凍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CN214949408U (zh) 吊顶空调器
US1979590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onditioning air in refrigerators
US1721589A (en) Heating, ventilating, and cooling device
US2247736A (en) Refrigerator
JPS6042862B2 (ja) 雰囲気制御方法
CN113899134A (zh) 冰箱
JP2004286256A (ja) 二重蓋付き加湿装置
SU1436959A1 (ru) Улей
CN115507595B (zh) 冷藏冷冻装置
JPH02272286A (ja) 冷却貯蔵庫
JP7295781B2 (ja) 温湿度調節庫
RU2076282C1 (ru) Система вентиляции помещений содержания животных или птиц
RU2083094C1 (ru) Холоди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ферм
KR100809025B1 (ko) 제습가온기
SU1056982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тер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JPS602555Y2 (ja) 加湿冷蔵庫の露受け装置
US2740396A (en) Humidifier apparatus
KR0124596Y1 (ko) 냉장고 댐퍼커버의 이슬제거장치
US3487997A (en) Humidifying apparatus
JP3112766B2 (ja) 発芽養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