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537Y1 - 파이프 콘넥터 - Google Patents

파이프 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537Y1
KR970000537Y1 KR2019940010394U KR19940010394U KR970000537Y1 KR 970000537 Y1 KR970000537 Y1 KR 970000537Y1 KR 2019940010394 U KR2019940010394 U KR 2019940010394U KR 19940010394 U KR19940010394 U KR 19940010394U KR 970000537 Y1 KR970000537 Y1 KR 9700005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ipe
fixing groove
elastic ring
fema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03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763U (ko
Inventor
김유경
안희선
Original Assignee
김유경
안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경, 안희선 filed Critical 김유경
Priority to KR20199400103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537Y1/ko
Publication of KR9500337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7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5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5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파이프 콘넥터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콘넥터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콘넥터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a) 및 (b)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콘넥터의 분해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파이프 30, 40 : 암, 수 콘넥터
31, 32 : 패킹홈 33, 41 : 고정홈
34 : 분해공 51, 52 : 고무패킹
53 : 탄성링 100 : 분해용 탄성핀
본 고안은 파이프 콘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넥터가 매입되는 파이프 연결인 경우에 외장재의 파손없이 파이프를 쉽게 연결 및 분해가 가능하게 하여 온수 파이프가 내장된 조립식 온돌등에 아주 적합하게 적용할수 있는 파이프 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가 이동되는 파이프를 연결시키는 파이프 콘넥터는 다양하게 알려져 있으며, 유체가 압력을 받으면서 이동될수 있어야 하므로, 첫째는 누수가 없어야 하고 둘째는 쉽게 분해 조립이 가능해야 한다.
그런데,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서, 한번 결합되면 꽉조여져서 유체의 압력에 의해서는 저절로 풀리지 않고, 조립이 완료되면 패킹등에 의해 누수가 방지되면서 아울러 꽉잠겨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파이프 콘넥터가 외장재내에 매입되거나 가려진 경우에는, 파이프 콘넥터를 직접조이거나 풀수 없기 때문에, 한번 조립을 완료한 후에 이를 분해시키기 위해서는 외장재등을 파손시켜 파이프 콘넥터을 노출시켜두고, 그 파이프를 돌려서 분해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조립식 온돌과 같이 파이프가 미리 내장되고, 상면이 외장재인 온돌판에 의해 노출부분이 없이 일치되는 경우에는, 파이프 콘넥터를 돌려서 조립할수도 없으므로, 파이프 단부에 파이프 콘넥터를 미리 고정시켜 두고, 설로 일치시켜 끼우기만 하면 조립되는 콘넥터를 사용할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경우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조립이 완료되면 잠겨지게 한다면, 외장재를 깨뜨리기전에는 분해가 불가능하며, 또한 콘넥터에 분해구조가 포함되어 있어야 하고, 만약, 결합후에도 잠겨지지 않게 한다면 유체의 압력에 의해 누수의 염려가 생기는등 누수 방지와 아울러 분해조립을 모두 만족시키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여 유체 파이프의 연결시 누수가 없고 결합 및 분해가 간편한 파이프 콘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내주연부에 패킹홈 및 고정홈과 그 고정홈의 일부가 상부로 개방된 분해공이 형성된 암 콘넥터와 그 암 콘넥터의 패킹홈에 끼워지는 고무패킹과, 상기 암콘넥터 내부로 끼워지면서 외주연부에 고정홈이 형성된 수 콘넥터와, 그 수 콘넥터의 고정홈에 끼워짐과 아울러 상기 암콘넥터의 고정홈에 걸리는 소정간격으로 단절된 탄성링으로 콘넥터를 구성하고, 상기 분해공에 상부로 부터 끼워서 상기 탄성링의 단절된 단부를 밀어서 탄성링을 벌려주는 분해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암콘넥터에 수콘넥터를 끼워서 연결할수 있고, 연결시에 패킹에 의해 누수가 방지되고, 탄성링이 암, 수 콘텍터의 고정홈에 끼워져 잠겨지며, 상기 분해공을 통해 분해수단을 끼운후 쉽게 분해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콘넥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에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20)의 단부에 결합되며, 내주연부에 패킹홈(31)(32) 및 고정홈(33)과 그 고정홈(33)의 일부가 상부로 개방된 분해공(34)이 형성된 암 콘넥터(30)와, 그 암 콘넥터(30)의 패킹홈(31)(32) 및 고정홈(33)에 각각 끼워지는 고무패킹(51)(52) 및 소정간격 단절된 탄성링(53)과 파이프(20)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암 콘넥터(30) 내부로 끼워지면서 외주연부에 상기 탄성링(53)이 끼워져 걸리는 고정홈(41)이 형성된 수 콘넥터(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암 콘넥터(30) 고정홈(33)의 깊이는, 적어도 상기 탄성링(53)의 단면 직경보다 크고, 상기 수 콘넥터(40) 고정홈(41)의 깊이는, 적어도 상기 탄성링(53)의 단면 직경보다 작고, 상기 탄성링(53)은 평소에 상기 수 콘넥터(40)의 고정홈(41)과 상기 암 콘넥터(30)의 고정홈(33)에 일부씩 걸리게 끼워지되, 회전가능하고, 일부가 단절되어 양단을 밀어서 내경을 가변시키면 상기 암 콘넥터(30)의 고정홈(33)내에 끼워져 수 콘넥터(40)를 빼낼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파이프 콘넥터는 상기 암 콘넥터(30)의 분해공(34)에 노출되는 상기 단절된 탄성링(53)의 단부를 양측으로 밀어주어 그 탄성링(53)이 상기 수 콘넥터(40)의 고정홈(41)에서 벗어나 상기 암 콘넥터(30)의 고정홈(33)에 밀착되게하는 분해수단을 포함시켜 구성한다. 그 분해수단으로는 상기 분해공(34)을 통해서 상기 탄성링(53)의 단절된 단부를 양측으로 밀어서 고정시킬수 있는 탄성링(100)이나 기타 다양한 보조기구를 사용할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파이프 콘넥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로 연결시키고자하는 파이프(2)의 단부에 각기 암수 파이프 콘넥터(30)(40) 를 나사결합하고, 그 암 콘넥터(30) 내의 패킹홈(31)(32)에 각각 고무패킹(51)(52)을 끼우고, 고정홈(33)에 탄성링(53)을 끼운후, 암 콘넥터(30)내로 수 콘넥터(40)를 밀어서 끼운다.
이때, 고무패킹(51)(52)은 암 콘넥터(30)의 패킹홈(31)(32)에 끼워져 수 콘넥터(40)의 외주연부에 밀착되어 누수를 방지하게 되며, 상기 탄성링(53)은 소정부위가 개구된 링형태로서 수 콘넥터(40)의 를 끼우면 벌어져서 암 콘넥터(30)의 고정홈(33)에 밀착되면서 수 콘넥터(40)가 끼워지고, 그 수 콘넥터(40)의 고정홈(41)에 탄성링(53)이 일치되면, 탄성링(53)의 복원력에 의해 조여지면서 수 콘넥터(40)의 고정홈(41)에도 일부가 끼워진다. 즉, 암 콘넥터(30)의 고정홈(33)과 수 콘넥터(40)의 고정홈(41)에 각각 탄성링(53)의 일부가 걸리게 되어 빠지지 않고, 잠겨지며, 그 탄성링(53)은 암수 콘넥터(30)(40)의 고정홈내에서 회동가능한 상태로 끼워져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파이프 콘넥터(30)(40)를 서로 일치시키고 서로 밀어붙이면 파이프 콘넥터(30)(40)가 서로 결합되면서 잠겨지고, 패킹에 의해 누수가 방지된다.
여기서, 콘넥터(30)(40)와 각 파이프와의 결합은 나사결합을 예로 하였으나, 금속재질의 피이프인 경우에는 나사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PVC재질의 파이프인 경우에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파이프에 열을 가해 끼우면서 본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서로 대고 밀어서 결합된 콘넥터(30)(40)의 분해를 위해서 상기 암 콘넥터(30)에 분해공(34)을 형성하였는바, 콘넥터 분해시에는, 그 분해공(34)을 통해서 분해기구로 상기 탄성링(53)의 단절된 단부를 양측으로 밀어서 탄성링(53)을 벌려줌으로서 분해가 가능해진다.
제3도 (a) 및 (b)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콘넥터의 분해 설명도로서, 결합상태에서는 제3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 콘넥터(40)의 고정홈(41)내에 탄성링(53)의 일부가 끼워져 걸리고, 나머지 일부가 돌출되며, 그 돌출된 부분이 암 콘넥터(30)의 고정홈(33)에 끼워져 걸리되, 그 암 콘넥터(30)의 고정홈(33) 내측과 탄성링(53) 사이에는 여유 공간이 있는 상태로서 암수 콘넥터가 잠김상태로 고정된다.
이후, 분해를 위해서 제3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펼치지는 탄성력을 가진 탄성핀(100)을 상기 암 콘넥터(30)의 분해공(34)을 통해서 끼워 상기 탄성링(53)의 단절된 단부를 양측으로 밀어준다.
이때, 탄성링(53)의 단절된 단부가 상기 분해공(34)측에 있지 않으면, 탄성링(53)은 수 콘넥터(40)의 고정홈(41)과 암 콘넥터(30)의 고정홈(33)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므로, 즉, 탄성링(53)의 평소 내경이 수 콘넥터(40)의 고정홈(41)에 밀착되지 않고 회전가능한 내경을 갖으므로, 상기한 분해공(34)을 통해서 상기 탄성링(53)을 돌려서 단절된 단부를 찾고, 그 단절된 단부에 탄성핀(100)을 끼운다.
상기 탄성핀(100)의 벌어지려는 탄성력이 상기 탄성링(53)의 복원력을 이기면서 그 탄성링(53)을 벌려주게 되며, 그 탄성링(53)은 수 콘넥터(40)의 고정홈(41)을 벗어나서 암 콘넥터(30)의 고정홈(33)에 밀착되고, 이에 따라 탕성링(53)과 수 콘넥터(40)의 외주연과는 미세하나마 간격이 떨어지게되어 콘넥터를 양측에서 당기면 빠져서 분해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핀(100)은 일예를 보인 것이고, 탕성링(53)을 벌려주기 위해서는 양측으로 벌려지는 탄성력과 위에서 아래로 지지되는 힘이 동시에 있어야만 탄성핀(100)이 빠지지 않고 탕성링(53)을 벌려줄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전술한 탄성링(53)에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파이프 체결시 수납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파이프 콘넥터를 돌리거나 잠금기구를 사용치 않고서 양측에서 대고 밀어서 결합시킬수 있고, 결합된 경우에 누수가 방지되며, 아울러 잠겨진다. 그리고, 상부에서 분해공을 통해 분해기구만을 끼운후 당겨서 분해할수도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조립식 온돌판과 같이 파이프 콘넥터가 노출되지 않고 내장된 상태에서 서로 경합시키고, 이를 분해시키는 데에 아주 적합하게 적용할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한 암 콘넥터의 분해공에 대응해서 온돌판 상면에도 분해공을 뚫어 놓고, 빼내거나 제거하기 쉬운 구조로 함으로써 평상시에는 분해공이 막혀있을 수 있도록 하면 분해시에는 그 분해공을 도출시켜 온돌판의 파손없이 분해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콘넥터는 손쉽게 결합이 가능하고, 결합상태에서는 탄성링에 의해 잠김 상태가 되됨과 아울러 패킹에 의해 누수가 확실히 방지되고, 간단한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쉽게 분해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외장재에 내장되는 파이프를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결합시키고 분해시키는 데에 아주 적합하며, 특히 조립식 온돌판의 온수 파이프 결합에 적합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정정)파이프(2)의 단부에 결합되며 내주연부에 패킹홈(31)(32) 및 고정홈(33)과 그 고정홈(33)의 일부가 상부로 개구된 분해공(34)이 형성된 암 콘넥터(30)와 그 암 콘넥터(30)의 패킹홈(31)(32)에 끼워지는 고무패킹(51)(52) 및 고정홈(33)에 끼워지는 소정간격으로 단절되며 소정각의 경사각을 갖는 탄성링(53)과, 파이프(20)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암 콘넥터(30) 내부로 끼워지면서 외주연부에 상기 탄성링(53)이 끼워져 걸리는 고정홈(41)이 형성된 수 콘넥터(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콘넥터.
  2. (정정)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콘넥터는, 상기 암 콘넥터(30)의 분해공(34)을 통해서 분해용 보조기구로 상기 탄성링(53)을 벌려주고 암, 수 콘넥터(30(40)측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당겨서 분해 시킬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콘넥터.
  3. (정정)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콘넥터는, 상기 암 콘넥터(30) 고정홈(33)의 깊이는, 적어도 상기 탄성링(53)의 단면 직경보다 크고, 상기 수 콘넥터(40) 고정홈(41)의 깊이는, 적어도 상기 탄성링(53)의 단면 직경보다 작고, 상기 탄성링(53)은 평소에 상기 수 콘넥터(40)의 고정홈(41)과 상기 암 콘넥터(30)의 고정홈(33)에 일부씩 걸리게 끼워지되, 회전가능하고, 일부가 단절되어 그 단절된 단부를 벌려주면 상기 암 콘넥터(30)의 고정홈(33) 내에만 완전히 끼워지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콘넥터.
KR2019940010394U 1994-05-11 1994-05-11 파이프 콘넥터 KR9700005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0394U KR970000537Y1 (ko) 1994-05-11 1994-05-11 파이프 콘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0394U KR970000537Y1 (ko) 1994-05-11 1994-05-11 파이프 콘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763U KR950033763U (ko) 1995-12-18
KR970000537Y1 true KR970000537Y1 (ko) 1997-01-27

Family

ID=19382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0394U KR970000537Y1 (ko) 1994-05-11 1994-05-11 파이프 콘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53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763U (ko) 199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4506B2 (en) Quick connector assembly
US7070447B1 (en) Compact compression connector for spiral corrugated coaxial cable
ES2248536T3 (es) Empalme de conexion rapida.
US5743752A (en)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ion apparatus
JPH04215272A (ja) 流体シールを備えたコネクタ
US7503794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for solar panel
FR2585107A1 (fr) Accouplement pour tuyau cannele
KR101873862B1 (ko) 파이프 이지 결속장치
CA1139857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BRPI0902014A2 (pt) conector fêmea, conector macho e sistema de conector
KR970000537Y1 (ko) 파이프 콘넥터
JP2592358B2 (ja) 管継手
EP1156260A2 (en) Seal mechanism for bayonet-type connector
KR200256956Y1 (ko) 파형관용 접속장치
JP2003095177A (ja) 特に自転車のチェーン用関節ピン挿入装置及び方法
US5120092A (en) Apparatus to provide a threaded coupling for a broken pipe
KR200409053Y1 (ko) 파이프 이음구조
KR200309127Y1 (ko) 파이프의 연결구 조립체
JPH082134B2 (ja) 地中埋設される波付管の端末固定装置
KR200302247Y1 (ko)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
US20040061334A1 (en) Plug-in connector for plumbing fixtures
KR200381923Y1 (ko) 로킹너트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JP2557387B2 (ja) 波形管接続具
JP2584524Y2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用接続具
CN112038834B (zh) 一种新型航插圆形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