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073Y1 - 전동지게차의 밧데리 정비용 스텐드 - Google Patents

전동지게차의 밧데리 정비용 스텐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073Y1
KR970000073Y1 KR2019930030441U KR930030441U KR970000073Y1 KR 970000073 Y1 KR970000073 Y1 KR 970000073Y1 KR 2019930030441 U KR2019930030441 U KR 2019930030441U KR 930030441 U KR930030441 U KR 930030441U KR 970000073 Y1 KR970000073 Y1 KR 9700000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stand
battery
battery maintenanc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304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8679U (ko
Inventor
조재형
이근호
정규련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석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석진철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304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073Y1/ko
Publication of KR9500186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86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0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0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13Details concerning the chassis
    • B66F9/07531Battery compartments
    • B66F9/07536Battery stoppers, i.e. means to hold battery in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동지게차의 밧데리 정비용 스텐드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도.
제3도는 종래 고안의 분해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드 2 : 앵글
3 : 라운드바 4 : 프레이트
5 : 거치앵글 6 : 로울러
7 : 가이드 브라켓 8 : 고정볼트
9 : 고정너트 10 : 조정홀
11 : 다리 12 : 보강브라켓
13 : 스탠드 거치포트 14 : 조인트바
15 : 핸들 16 : 핸들브라켓
17 : 밧데리 세트 18 : 아암
19 : 아암브라켓 20 : 타이어
21 : 캐스터 22 : 패킹
본 고안은 전동지게차에서 밧데리 정비나 교환시 전동지게차에 거치하고 밧데리를 얹어주는 밧데리 정비용 스텐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밧데리의 규격별로 전용화되어 있는 스텐드를 개량하여 모든 크기의 밧데리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지게차가 디이젤엔진의 힘으로 구동됨에 비하여 전동지게차는 모든 동력을 내장된 밧데리로 부터 얻으므로, 많은 출력과 장시간의 작업을 요구하는 지게차의 특성상 내장되는 밧데리는 여러개가 되는데, 탑재 및 정비의 편리를 위해 이들 여러개의 밧데리는 세트로 묶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납축전지인 밧데리 세트는 부피로 클 뿐만아니라 그 중량도 상당히 무거우므로 적재된 지게차로부터 이를 하치시킬 때에는 크레인, 호이스트, 일렉트릭 체인블록등의 현수식 운방장비를 이용하지만, 상기 밧데리를 바닥에 하치시키는 경우 지게차의 적재 높이와의 차이로 불편함이 있으며, 이에 따라 지게차의 적재 높이와 일치되는 밧데리 스텐드가 사용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예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구조를 가진다.
즉, 도시된 바와같이 가로, 세로를 라운드바(3)와 로드로 짜맞춘 일정규격의 베드(1)상에, 일단은 상방으로 일정경사를 가지는 핸들 브라켓트(16)를 폭끝에 형성시키고, 상기 핸드 브라켓트(16)에 :ㄷ형상의 핸들(15)을 볼트와 너트로 고정하고, 타단에는 상기 베드(1)위로 밧데리 센트(17)를 양 폭방향으로 잡아주는 쐐기형의 가이드 브라켓(7)을 형성하고 베드(1)아래쪽으로 돌출된 아암 브라켓(19)을 돌출시키고, 상기 아암 브라켓(19)에 볼트로 체결되어 타이어(20)을 회전자재하게 고정하면서 상기 베드(1)의 중앙하단을 떠받치는 아암(1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드(1)선단부 양하단에는 회전 및 조향자재하는 캐스터(21)가 볼트로 체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는 베드(1)의 후말단에 뒤쪽으로 돌출되도록 완충용 패킹(22)이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조를 가지는 종래 고안에서는 베드의 폭과 길이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밧데리 세트가 결정되므로 상기 밧데리 스텐드도 용도에 따라 베드의 폭과 길이를 맞춰서 제작하게 된다.
따라서, 각 규격에 따른 전용의 밧데리 스텐드로서의 기능은 충분히 발휘할 수 있으나, 사용하고자 하는 밧데리의 규격이 커지면 별도의 스텐드가 사용되어야 하며, 또한 하단에 부착된 타이어와 캐스터가 회전자재하므로 운반에 편리성은 있으나 지게차에 붙여놓고 밧데리 세트를 적재시 이동으로 인하여 안전사고의 규발요인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안전한 밧데리 세트의 적재뿐만 아니라 모든 사이즈의 밧데리 세트에 적용될 수 있는 스텐드를 제공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이를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2개의 앵글(2)을 일정기리 이격시켜 라운드바(3)로 관통시켜 고정하고 후단에는 상부에 사각홀로 된 스탠드 거치포트(13)를 수개 천공시킨 거치앵글(5)로 마감하고 선단에는 일정높이를 가지는 프레이트(4)로 마감한 베드(1)와, 상기 베드(1)를 구성하는 라운드바(3)의 양 끝단에는 베어링이 삽입된 로울러(6)를 삽입시키고, 상기 앵글(2)의 선후단부에 천공된 홀에서 고정볼트(8)와 고정너트(9)로 체결되는 ㄱ 자로 라운드 밴딩되고 하단에 거리별로 수쌍의 조정홀(10)이 천공된 가이드 브라켓(7)과, 상기 베드(1)의 선단밑에 상기 베드(1)와 수직으로 양끝에 부착된 사각기둥의 다리(11)와 상기 베드(1)와 상기 다리(11)를 사선으로 연결하여 보강하는 보강브라켓(12)등으로 구성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도시된 바와같이 지게차의 밧데리룸 선단에 베드(1)의 말단을 거치하고 지게차의 브라켓에 설치된 조인트바(14)를 누르면 조인트바(14)의 선단이 스탠드 거치포트(13)에 삽입되면서 지게차에 스탠드가 고정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하치하고자 하는 밧데리 세트의 규격에 따라 가이드 브라켓(7)의 고정간격을 조절하는데, 이는 체결된 고정볼트(8)와 고정너트(9)를 풀고 기천공된 베드(1)의 앵글롤과 가이드 브라켓(7)의 조정홀(10)을 맞추고 고정볼트(8)와 고정너트(9)를 다시 조이면 된다.
준비가 끝나면 밧데리 세트를 베드(1)의 적당한 부분에 하치하고 손으로 밀어주면 밧데리 세트가 라운드바(3)의 양 끝단에 설치된 로울러(6)위에서 미끄러지면서 원하는 위치까지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되는 밧데리 세트는 폭방향으로는 가이드 브라켓(7)이 지지하고 스탠드의 말단에는 프레이트(4)가 막아주므로 무리하게 힘을주어 밀어도 항상 베드(1)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스텐드는 각종규격의 밧데리 세트에 모두사용할 수 있으며, 적재된 밧데리 세트의 이동도 손쉬우며, 지게차에 고정되어 무거운 밧데리를 실은 스탠드가 지게차로 부터 미끄러지므로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도 없을뿐만 아니라, 특히 지게차에 탑재된 밧데리를 날래로 하치하는 경우에 적합하여 별도의 운반장비 없이도 인력으로 밧데리 하치가 가능하게 된다.

Claims (1)

  1. 2개의 앵글(2)을 일정거리 이격시켜 라운드비(3)로 관통시켜 고정하고 후단에는 상부에 사각홀로 된 스탠드 거치포트(13)를 수개천공시킨 거치앵글(5)로 마감하고 선단에는 일정높이를 가지는 프레이트(4)로 마감한 베드(1)와 상기 베드(1)를 구성하는 라운드바(3)의 양 끝단에는 베어링이 삽입된 로울러(6)를 삽입시키고, 상기 앵글(2)의 선후단부에 천공된 홀에서 고정볼트(8)와 고정너트(9)로 체결되는 ㄱ자로 라운드 밴딩되고 하단에 거리별로 수쌍의 조정홀(10)이 천공된 가이드 브라켓(7)과, 상기 베드(1)의 선단밑에 상기 베드(1)와 수직으로 양끝에 부착된 사각기둥의 다리(11)와, 상기 다리(11)와 상기 베드(1)를 사선으로 연결하여 보강하는 보강브라켓(12)등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지게차의 밧데리 정비용 스탠드.
KR2019930030441U 1993-12-29 1993-12-29 전동지게차의 밧데리 정비용 스텐드 KR9700000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441U KR970000073Y1 (ko) 1993-12-29 1993-12-29 전동지게차의 밧데리 정비용 스텐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441U KR970000073Y1 (ko) 1993-12-29 1993-12-29 전동지게차의 밧데리 정비용 스텐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679U KR950018679U (ko) 1995-07-22
KR970000073Y1 true KR970000073Y1 (ko) 1997-01-04

Family

ID=19373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30441U KR970000073Y1 (ko) 1993-12-29 1993-12-29 전동지게차의 밧데리 정비용 스텐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07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946Y1 (ko) * 2013-09-11 2018-03-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679U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5963A (en) Multipurpose lifting apparatus
US4118010A (en) Multi-purpose lifting and mounting assembly
EP2794345B1 (de) Lastkraftwagen mit einem mehrachsigen fahrgestell zum transportieren, absetzen und aufnehmen von stückgut
US5425433A (en) Elevating apparatus
US5064078A (en) Combination portable hoist, crane, and vehicle towing apparatus
US4597602A (en) Load leveling device
US6431805B2 (en) Attachable frame for lifting and moving a container
US5480041A (en) Trailer-mounted crane
CN212953989U (zh) 一种吊装车的活动支脚结构
US6379104B1 (en) Single side entry container lifting device
KR970000073Y1 (ko) 전동지게차의 밧데리 정비용 스텐드
US6364601B1 (en) Straddle type container lifting device
US3137401A (en) Wrecking car attachment
US20030071003A1 (en) Portable hoist and method
US5190435A (en) Fork lift truck
US5244336A (en) Mobile lifting apparatus with fork attachment
US5207337A (en) Swing controlled crane
EP0092152A2 (de) Kran- und Transportvorrichtung, insbesondere zum Transport von Grabsteinen und Grabsteinplatten
US4136793A (en) Load stabilizer for forklift truck
CN214141471U (zh) 全电动登高车
GB2199300A (en) Improved lift for brake-drums and hubs
US3504815A (en) Tandem wheel steering mechanism for a lift vehicle
CN219689173U (zh) 一种便于安装的车载吊机
US3037643A (en) Pivoting and mobile hoisting contrivances
EP0457341A1 (en) Supporting device for a vehicle adaptable to a stationary wag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