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703579A - 약물의존증의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약물의존증의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703579A
KR960703579A KR1019960700879A KR19960700879A KR960703579A KR 960703579 A KR960703579 A KR 960703579A KR 1019960700879 A KR1019960700879 A KR 1019960700879A KR 19960700879 A KR19960700879 A KR 19960700879A KR 960703579 A KR960703579 A KR 960703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atoms
group
phenyl
alkoxy group
pharmaceutically accep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0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루 오쿠야마
야수코 이마가와
신이치 오가와
히로아키 아라키
수수무 오토모
Original Assignee
우에하라 아키라
다이쇼 세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에하라 아키라, 다이쇼 세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에하라 아키라
Publication of KR960703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357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5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5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 A61K31/137Arylalkylamines, e.g. amphetamine, epinephrine, salbutamol, ephedrine or methado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목적
독성이 적고 우수한 작용을 갖는 약물의존증 치료약을 제공하는 것.
구성
(식 중, X1은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또는 탄소원자수 1∼5의 알콕시기를 나타내며, X2는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5의 알콕시기를 나타내며, R1및 R2는 각각 탄소원자수 1∼7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R3은 페닐기 또는 할로겐원자, 히드록시기 또는 탄소원자수 1∼5의 알콕시기로 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내며, m 및 n은 각각 2∼5의 정수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페닐알킬아민 유도체 또는 이들을 의약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물의존중의 치료 조성물.

Description

약물의존증의 치료용 조성물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Claims (18)

  1. (식 중, X1은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또는 탄소원자수 1∼5의 알콕시기를 나타내며, X2는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5의 알콕시기를 나타내며, R1및 R2는 각각 탄소원자수 1∼7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R3은 페닐기 또는 할로겐원자, 히드록시기 또는 탄소원자수 1∼5의 알콕시기로 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내며, m 및 n은 각각 2∼5의 정수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페닐알킬아민 유도체 또는 이들을 의약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물의존중의 치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X1이 히드록시기, 할로겐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5의 알콕시기, X2가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5의 알콕시기, R1및 R2가 탄소원자수 1∼7의 알킬기, R3이 페닐기, m 및 n은 각각 2∼5의 정수인 화합물인 페닐알킬아민 유도체 또는 이들을 의약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물의존증의 치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X1이 탄소원자수 1∼5의 알콕시기, X2가 수소원자, R1및 R2가 탄소원자수 3∼5의 알킬기, R3이 페닐기, m 및 n은 각각 2∼4의 정수인 페닐알킬아민 유도체 또는 이들을 의약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물의존증의 치료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염이 염산염 또는 옥살산염인 치료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페닐알킬아민 유도체 또는 이들을 의약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N,N-디-n-프로필-2-[4-메톡시-3-(2-페닐에톡시)페닐]에틸아민·염산염,N, N-디-n-프로필-2-[3-메톡시-2-(2-페닐에톡시)페닐]에틸아민·염산염 또는 N,N-디-n-프로필-3-[4-메톡시-3-(2-페닐에톡시)페닐]에틸아민·염산염인 치료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약물의존중이 마약, 각성제, 알코올류, 바르비츄레이트류 또는 벤조디아제핀류의 난용에 의한 약물의존중인 치료용 조성물.
  7. (식 중, X1은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또는 탄소원자수 1∼5의 알콕시기를 나타내며, X2는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5의 알콕시기를 나타내며, R1및 R2는 각각 탄소원자수 1∼7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R3은 페닐기 또는 할로겐원자, 히드록시기 또는 탄소원자수 1∼5의 알콕시기로 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내며, m 및 n은 각각 2∼5의 정수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페닐알킬아민 유도체 또는 이들을 의약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약물의존중의 치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X1이 히드록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5의 알콕시기, X2가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5의 알콕시기, R1및 R2이 탄소원자수 1∼7의 알킬기, R3이 페닐기, m 및 n은 각각 2∼5의 정수인 화합물인페닐알킬아민 유도체 또는 이들을 의약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약물의존증의 치료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X1이 탄소원자수 1∼5의 알콕시기, X2가 수소원자, R1및 R2가 탄소원자수 3∼5의 알킬기, R3이 페닐기, m 및 n은 각각 2∼4의 정수인 화합물인페닐알킬아민 유도체 또는 이들을 의약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약물의존증의 치료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염이 염산염 또는 옥살산염인 치료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페닐알킬아민 유도체 또는 이들을 의약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N,N-디-n-프로필-2-[4-메톡시-3-(2-페닐에톡시)페닐]에틸아민·염산염,N, N-디-n-프로필-2-[3-메톡시-2-(2-페닐에톡시)페닐]에틸아민·염산염 또는 N,N-디-n-프로필-3-[4-메톡시-3-(2-페닐에톡시)페닐]에틸아민·염산염인 치료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약물의존증이 마약, 각성제, 알코올류, 바르비츄레이트류 또는 벤조디아제핀류의 난용에 의한 약물의존증인 치료방법.
  13. 약물의존증의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식
    (식 중, X1은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또는 탄소원자수 1∼5의 알콕시기를 나타내며, X2는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5의 알콕시기를 나타내며, R1및 R2는 각각 탄소원자수 1∼7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R3은 페닐기 또는 할로겐원자, 히드록시기 또는 탄소원자수 1∼5의 알콕시기로 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내며, m 및 n은 각각 2∼5의 정수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페닐알킬아민 유도체 또는 이들을 의약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사용.
  14. 제13항에 있어서, X1이 히드록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5의 알콕시기, X2가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5의 알콕시기, R1및 R2이 탄소원자수 1∼7의 알킬기, R3이 페닐기, m 및 n은 각각 2∼5의 정수인 화합물인 페닐알킬아민 유도체 또는 이들을 의약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사용.
  15. 제13항에 있어서, X1이 탄소원자수 1∼5의 알콕시기, X2가 수소원자, R1및 R2가 탄소원자수 3∼5의 알킬기, R3이 페닐기, m 및 n은 각각 2∼4의 정수인 페닐알킬아민 유도체 또는 이들을 의약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사용.
  16. 제13항에 있어서, 염이 염산염 또는 옥살산염의 사용.
  17. 제13항에 있어서, 페닐알킬아민 유도체 또는 이들을 의약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N,N-디-n-프로필-2-[4-메톡시-3-(2-페닐에톡시)페닐]에틸아민·염산염,N, N-디-n-프로필-2-[3-메톡시-2-(2-페닐에톡시)페닐]에틸아민·염산염 또는 N,N-디-n-프로필-3-[4-메톡시-3-(2-페닐에톡시)페닐]에틸아민·염산염의 사용.
  18. 제13항에 있어서, 약물의존증이 마약, 각성제, 알코올류, 바르비츄레이트류 또는 벤조디아제핀류의 남용에 의한 약물의존증인 페닐알킬아민 유도체 또는 이들을 의약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사용.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700879A 1993-09-07 1994-09-06 약물의존증의 치료용 조성물 KR9607035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248293 1993-09-07
JP222482/1993 1993-09-07
PCT/JP1994/001471 WO1995007074A1 (fr) 1993-09-07 1994-09-06 Composition servant de remede a la pharmacodepend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3579A true KR960703579A (ko) 1996-08-31

Family

ID=16783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0879A KR960703579A (ko) 1993-09-07 1994-09-06 약물의존증의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0717990B1 (ko)
KR (1) KR960703579A (ko)
AT (1) ATE193204T1 (ko)
AU (1) AU679108B2 (ko)
CA (1) CA2171083A1 (ko)
DE (1) DE69424677T2 (ko)
DK (1) DK0717990T3 (ko)
ES (1) ES2148341T3 (ko)
GR (1) GR3033499T3 (ko)
PT (1) PT717990E (ko)
WO (1) WO1995007074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18430A1 (en) * 1989-09-22 1991-03-27 Duphar International Research B.V Phenylalkyl amine derivatives having anti-ischaemic activity
AU666133B2 (en) * 1991-10-04 1996-02-01 Taisho Pharmaceutical Co., Ltd. Alkoxyphenylalkylamine deriva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17990A4 (en) 1997-08-06
ATE193204T1 (de) 2000-06-15
DE69424677D1 (de) 2000-06-29
CA2171083A1 (en) 1996-03-16
EP0717990B1 (en) 2000-05-24
DE69424677T2 (de) 2000-09-28
ES2148341T3 (es) 2000-10-16
DK0717990T3 (da) 2000-08-14
PT717990E (pt) 2000-09-29
GR3033499T3 (en) 2000-09-29
AU7547194A (en) 1995-03-27
AU679108B2 (en) 1997-06-19
WO1995007074A1 (fr) 1995-03-16
EP0717990A1 (en) 1996-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700708A (ko) 3,4-디아릴크로만을 이용한 뼈 손실의 억제방법(methdos for inhibiting bone loss with 3,4-diarylchroman)
KR950016745A (ko) 생리증상의 치료방법 및 이를 위한 조성물
KR960703598A (ko) 신경 질환 치료제(agent for curing neurotic diseases)
KR910006200A (ko) 퀴논 유도체 및 약리학적 이용
KR920021556A (ko) 라파 마이신 이량체
DK0618898T3 (da) Amidinoderivater
KR960703907A (ko) 퀴놀린 카르복실산 유도체
KR930702318A (ko) 이속사졸 화합물,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그의 의학적 용도
BR1100636A (pt) Agente terapêutico para o mal de parkinson, e, derivado da xantina
KR940005274A (ko) 쇼그렌(Sjoegren)증후군 치료제
CA2302568A1 (en) Method, compositions and kits for increasing the oral bioavailability of pharmaceutical agents
KR910700230A (ko) 신규 히드록실아민 유도체
KR900014406A (ko) 세펨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920000744A (ko) 2-아미노알킬-5-아릴 알킬-1,3- 디옥산 유도체의 제조법 및 치료학적 용도
KR910018348A (ko) 술포닐아미노치환 비시클로환계 히드록삼산 유도체
KR960703579A (ko) 약물의존증의 치료용 조성물
KR940701251A (ko) 콜레스테롤-강하 토코페롤 동족체
KR960703843A (ko) 아실페닐글리신 유도체 및 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콜라게나제 활성증진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 제(acylphenylglycine derivative and preventive and remedy for diseases caused by increased collagenase activity containing said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KR890008148A (ko) 새로운 세파로스포린 화합물 및 항균제
KR980002033A (ko) 트리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KR950008502A (ko) 3-또는4-클리코실옥시벤조피란 유도체 및 활성 성분으로서 이를 함유하는 알러지치료제
KR930012019A (ko) 배뇨장애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880004810A (ko) 소화성 궤양 치료제
KR970064604A (ko) 벤조피란 유도체 및 그의 심장질환 치료제로서의 용도
KR930703013A (ko) 항당뇨병제로서 유용한 신규한 글루코하이드롤라제 억제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