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5959B1 - 차량승객의 무릎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승객의 무릎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5959B1
KR960015959B1 KR1019940021770A KR19940021770A KR960015959B1 KR 960015959 B1 KR960015959 B1 KR 960015959B1 KR 1019940021770 A KR1019940021770 A KR 1019940021770A KR 19940021770 A KR19940021770 A KR 19940021770A KR 960015959 B1 KR960015959 B1 KR 960015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protector
passenger
vehicle
pro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1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268A (ko
Inventor
장택근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21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5959B1/ko
Publication of KR960007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5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9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1Kn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021/0421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using honeycomb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종래의 차량승객의 무릎보호장치의 개략사시도로서,
(a)는 운전자석측 무릎보호장치에 대한 도면.
(b)는 조수석측의 무릎보호장치에 대한 도면.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무릎보호장치가 장착된 상대의 측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승객의 무릎보호장치의 정면도로서,
(a)는 운전석측의 무릎보호장치에 대한 도면.
(b)는 조수석의 무릎보호장치에 대한 도면.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무릎보호장치의 측단면도.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무릎보호장치가 장착된 상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승객의 무릎보호장치의 작동도로서,
(a)는 충돌전의 작동도이고.
(b)는 충돌후의 작동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10, 11 : 무릎보호구 3 : 합성수지판
4 : 형상유지부재 6 : 인스트루먼트 패널
12 : 브라켓 14 : 와셔
K, L : 결합부재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차량승객의 무릎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충돌시 승객의 무릎을 안정하게 보호하도록 된 차량승객의 무릎보호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도 또는 고속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충돌사고가 발생하게되면 l차 충격흡수장치로써 엔진룸부분이 충돌로 인해 일그러지게 된다. 그와 동시에 에어백 등이 작동하여 실내의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차량의 충돌이 심한 경우에는 엔진룸부분이 완전히 일그러짐과 동시에 승객(예컨대, 운전자와 조수석측의 승객)의 무릎부분의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nel)하부측으로 진입하게 되는바, 그 경우에는 에어백 등으로 인해 인체의 상부가 안전하게 보호되었다고 하더라도 무릎에 심각한 손상이 가해지게 되므로 재빠른 대피를 하지 못하게 되고, 그로 인해 인명손상 등과 같은 극단적인 피해상태로까지 진행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제l도(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반적으로 전면이 "⊃" 형상으로 완만하게 튀어나오면서 운전석측의 인스트루먼트 페널하부의 소정위치(예컨대, 운전자의 무릎부분이 삽입되는 지역)에 볼트로 체결됨과 더불어 소정의 폴리우레탄주입/배출구(1a, 1b)를 갖춘 운전석측 무릎보호구(1)와, 전반적으로 전면이 "T"형상으로 완만하게 튀어나오면서 조수석측의 인스트루먼트 패널하부의 소정하부의 소정위치(예컨대, 운전자의 무릎부분이 삽입되는 지역)에 볼트로 체결됨과 더불어 소정의 폴리우레탄 주입/배출구(2a, 2b)를 갖춘 조수석측 무릎보호구(2)로 이루어진 무릎보호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무릎보호구(l, 2)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은 PVC형의 합성수지판(3)으로 되어 있고, 그 내부는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소정형태를 취하는 형상유지부재(4)가 내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폴리우레탄 주입/배출구(1a, 1b, 2a, 2b)를 통해 주입된 폴리우레탄이 발포되어 내부를 채우고 있는 상태하에 볼트(5)에 의해 인스트루먼트 패널(6)에 체결된다.
상기한 종래의 무릎보호장치에 따르면, 차량이 임의의 물체(예컨대, 대향차량)와 충돌하게 되면 운전석측의 운전자 및 조수석측의 승객은 충돌로 인해 전방으로 튀어나오게 되는 바, 이때 무릎이 무릎보호구(1, 2)에 부딪히게 되고, 그 결과 합성수지판(3)이 소정치 함몰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무릎보호구(1, 2)내에 발포되어 있는 폴리우레탄이 폴리우레탄 주입/배출구(1a, 1b, 2a, 2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므로, 충돌로 인한 무릎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무릎보호장치는 좌·우를 도합하여 대략 4.3Kg 정도의 무게를 가지고 있어서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볼트체결하기에 무척 힘이 들고, 형상을 압축한 후의 가공단계[예컨대, 커팅(Cutting), 드릴링(Drilling)]에 소요되는 경비로 인해 생산단가가 높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소정의 알루미늄합금을 이용하여 무게를 가볍게 내부를 소정구획의 중공상태로 하여 차량충돌시 승객의 무릎을 안정하게 보호하도록 하는 개량된 차량승객의 무릎보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릎보호장치는, 소정두께의 알루미늄합금재질로 소정형태를 이루고, 내부는 6각형상의 중공상태를 유지하면서 복수의 구획판이 길이방향으로 상호 일정한 폭을 유지한채 내재되며, 배면에는 소정의 결합부재가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림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구회판에는 차량충돌시 잘 찌그러지도록 하는 복수의 새김눈이 형성된다.
이하, 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승객의 무릎보호장치의 정면도로서, 제3도(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측의 무릎보호구(10)는 차량충돌시 운전자의 무릎을 보호하기 위해 전면이 "⊃"형상으로 완만하게 튀어나오면서 운전석측 인스트루먼트 패널(6)하부의 내측에 형성된 브라켓(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되고, 제3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수석측의 무릎보호구(11)도 역시 상기 운전석측의 무릎보호구(10)와 같은 형태로 유사한 위치에 결합되어 설치된다.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무릎보호장치의 측단면도이고,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무릎보호장치가 장착된 상태도로서, 소정두께의 알루미늄합금(예컨대, 알루미늄과 마그네슘, 미량의 실리콘 등으로 합성되었으나 일반 알루미늄성분과 유사함) 재질로 형성되고, 그 내부는 벌집모양과 같은 6각형상으로 중공상태를 유지함과 더불어 복수의 구획판(A, B)이 길이방향으로 상호 일정한 폭을 유지한채 내재된다. 그리고, 그 배면[무릎보호구(10, l1)가 장착되는 곳을 향하는 부분]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6)하부의 내축에 형성된 브라켓(12)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똑딱이 단추와 같은 결합부재(K, L)가 상기 무릎보호구(10, 11)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12)에 대하여 상기 결합부재(K, L)의 결합을 좀더 확실하게 해주기 위해 상기 브라켓(12)과 결합부재(K, L)사이에 와셔(14)가 끼워지게 된다.
여기서, 상부 복수의 구획판(A, B)에는 차량충돌시 무릎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무릎보호구(10, 11)가 잘찌그러지도록 "V"자 형상의 새김눈(Al, A2 ; Bl, B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결합부재(K, L)에 의해 상기 브라켓(12)에 결합된 무릎보호구(10, 11)는 연성이 플라스틱과 같은 연산 재질의 커버(6)가 외부에서 지지해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승객의 무릎보호장치에 의한 무릎보호동작에 대해 제6도의 작동도를 기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국도 또는 고속도를 주행하는 중에 차량충돌이 없게 되면 제6도(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유의 형태를 유지하게 되지만, 전방의 돌발적인 사태로 인해 차량충돌이 발생하게 되면 제6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로 인한 충격에 의해 무릎이 커버(6)를 밀게 되고, 그와 동시에 무릎보호구(10, 11)내의 구획판(A, B)에 형성된 새김눈(A1, A2; B1, B2)에 의해 구획판(A, B)이 찌그러진다거나 끊어지면서 무릎이 부딪힌 부분이 소정치 함몰되어 충격흡수를 해주게 되므로, 운전자 및 옆 승객의 무릎이 안정하게 보호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무릎보호구(10, 11)내를 6각형상으로 하였으나, 그 내부형상은 4각 또는 5각 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무릎보호구(10, 11)내의 구획판을 2개로 하였으나, 3개 또는 4개 등으로 변경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구획판에 형성시킨 새김눈의 갯수 역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알루미늄합금을 이용하여 형성시킴으로 해서 종래의 무릎보호장치에 비해 대략 1.3∼1.6Kg 정도가 가볍고, 내부에 별도의 형상유지부재 및 폴리우레탄이 발포되어 있어야 되는 종래의 방식과는 달리 중공상태의 복수의 구획판만을 갖추면 되므로, 저렴하게 만들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소정두께의 알루미늄합금재질로 소정형태를 이루고, 내부는 6각형상으로 종공상태를 유지하면서 복수의 구획판(A, B)이 길이방향으로 상호 일정한 폭을 유지한 채 내재되며, 배면에는 소정의 결합부재(K, L)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승객의 무릎보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획판(A, B)에는 차량충들시 잘 찌그러지도록 하는 복수의 새김눈(A1, A2; B1, B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승객의 무릎보호장치.
KR1019940021770A 1994-08-31 1994-08-31 차량승객의 무릎보호장치 KR960015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770A KR960015959B1 (ko) 1994-08-31 1994-08-31 차량승객의 무릎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770A KR960015959B1 (ko) 1994-08-31 1994-08-31 차량승객의 무릎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268A KR960007268A (ko) 1996-03-22
KR960015959B1 true KR960015959B1 (ko) 1996-11-25

Family

ID=19391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1770A KR960015959B1 (ko) 1994-08-31 1994-08-31 차량승객의 무릎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59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677B1 (ko) * 2000-06-12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고체 전해질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246B1 (ko) * 2001-05-23 2004-04-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무릎보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677B1 (ko) * 2000-06-12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고체 전해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268A (ko)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5251B1 (en) Energy-absorbing structure for an automobile
US6299208B1 (en) Occupant protection structure
US3834482A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for motor vehicles and the like
EP0757634B1 (en) Vehicle chassis having an occupant cell
EP1072483A2 (en) Energy absorbing air bag module
US6341813B1 (en) Energy-absorbing members in a vehicle
EP1021320A4 (en) Easily ejecting seat as well as endo-skeletal beams to protect against accidents
US6783156B2 (en) Passenger restraint
US6095273A (en) Vehicle instrument panel with movable pods having fore and aft airbags
KR960015959B1 (ko) 차량승객의 무릎보호장치
KR100529145B1 (ko) 조수석 탑승자 보호용 에어백튜브의 구조
KR0171344B1 (ko) 에어백을 이용한 트렁크 안전장치
JP3105348B2 (ja) 自動車のニープロテクタ構造
KR0125263Y1 (ko) 자동차의 엔진룸 에어백장치
KR910009168Y1 (ko) 자동차의 전방 차체 구조
KR100207915B1 (ko) 자동차 대시보드의 완충구조
KR19980012175U (ko) 에어백을 장착한 범퍼
KR960005104Y1 (ko) 자동차 임팩트비임의 충격완화용 탄성부재
KR200181831Y1 (ko) 자동차 조수석의 에어백 구조
JPH0585289A (ja) 自動車のニープロテクタ構造
KR100193077B1 (ko) 자동차의 프론트바디
KR0152181B1 (ko) 자동차용 임팩트빔 구조
KR20050021183A (ko) 승객 보호용 에어백모듈
KR20050093140A (ko) 허니컴방식 무릎충격흡수구조
JPH11170943A (ja) 車両用内装部品の衝撃吸収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