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5139B1 - 분해용 손잡이의 주방용기 - Google Patents

분해용 손잡이의 주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5139B1
KR960015139B1 KR1019890001861A KR890001861A KR960015139B1 KR 960015139 B1 KR960015139 B1 KR 960015139B1 KR 1019890001861 A KR1019890001861 A KR 1019890001861A KR 890001861 A KR890001861 A KR 890001861A KR 960015139 B1 KR960015139 B1 KR 960015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ntainer
ring
frame
cavit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1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2605A (ko
Inventor
바움카르텐 게르트-디에타아트
Original Assignee
하인리히 바움가르텐 카게 스페지알파브릭 퍼 베쉬라그테일
움프 바롤카르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인리히 바움가르텐 카게 스페지알파브릭 퍼 베쉬라그테일, 움프 바롤카르텐 filed Critical 하인리히 바움가르텐 카게 스페지알파브릭 퍼 베쉬라그테일
Publication of KR890012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2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5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00Miscellaneous hardware, e.g. bushing, carpet fastener, caster, door closer, panel hanger, attachable or adjunct handle, hinge, window sash balance
    • Y10S16/24Handle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Electric Ovens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분해용 손잡이의 주방용기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손잡이를 가진 주방용기의 부분측면 개략입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의 상면도.
제3도는 제1도의 Ⅲ-Ⅲ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Ⅳ-Ⅳ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5도는 제2도의 Ⅴ-Ⅴ선에 따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방용기(utensil) 2 : 손잡이(hand member)
4 : 장착영역(mounting zone) 5 : 프레임
6 : 볼록부(bulging portion) 7 : 설편(tongue)
8 : 록킹돌기(locking bulge) 9 : 걸쇠(shackle)
10 : 조작탭(operating tab) 11 : 옆지지슈우즈(lateral support shoes)
본 발명은 분해할 수 있는 손잡이를 가진 주방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주방용기 또는 용구는 보통 조리용 남비나 팬등으로 사용된다. 손잡이는 용기와의 사이에 임의로 상호간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용기에 부착되어야 하며, 또한 주방용기에 내용물이 담겨졌을때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어야 한다.
주방에서 사용시에, 프라이팬이나 조리남비등의 용기는 통상 음식을 가열하기 위하여 오븐이나 전자렌지, 즉 화덕에 올려놓는다. 음식을 전자렌지에서, 조리할 경우에는, 그 구조 및 모양이 초단파 용도에 적합한 특수 용기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이러한 용기들은 스파크, 즉 전기방전의 위험때문에 돌출부가 없어야 한다. 따라서, 통상의 남비와 팬등은 전자레인지에 사용할 수 없다. 이것은 한편으로 전자렌지에 사용하기에 접합한 특수용기를 가질 필요가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보통 남비나 펜속에서 냉각상태로 있는 통상의 조리음식이 그 목적용으로 적합한 특수용기에 옮겨닮은 후라야만 전자렌지에서 가열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상의 오븐이나 화덕과 전자렌지 양쪽에 사용될 수 있는 주방용기 또는 용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은 손잡이의 앞부분에 그리고 용기의 관련부착부에, 적어도 1개의 수직공동(cavity)과 그 공동속에 삽입되는 대응수직 래치를 가지는 분해가능한 결합식 스냅장치가 있으며, 래치부는 손잡이의 앞부분의 위쪽에 달려있으며, 손잡이를 용기에 분해가능하게 접속하는 록킹장치는 손잡이의 앞부분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주방용구 또는 용기는 다수의 현저한 이점들에 의하여 구별된다. 용기로부터 손잡이를 분해할 수 있기 때문에, 스파크나 기타 동작실수의 위험없이 전자렌지에 사용할 수 있다.
분해가능한 스탭장치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까지도 안전하게 다룰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손잡이를 용기에 결합할 수 있다. 공동과 그속에 삽입되는 래치부로 인하여, 제조상에서 경제적 방법이 가능하다. 또한, 형상이 최대의 조작신뢰성을 가지도록 되어있어, 기술이 없는 사람이라도 부적당한 스냅결합을 자동적으로 방지하기 때문에 적합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잠금장치는 용기에 강력하게 연결될 뿐 아니라 그로부터 용이하게 분해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를 용기로부터 떼어내거나 부착시키는데 어떤 공구나 기구도 필요치 않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냅장치는 특히 전기안전이 되도록 특히 스냅장치가 기타부분, 예를 들면, 상부테두리나 칼라보다 용기의 외면으로부터 더 돌출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공동이 용기에 설치되고 래치부가 손잡이에 설치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 구성은 전자렌지에 사용되지 않음으로 더 큰 용적부분 및 더 많은 공간을 소요하는 돌출부에 대한 제한을 받지 않는 손잡이에 래치장치를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여 특별한 잇점이 얻어지는데, 그것은 용기의 외벽이 용기자체내에 폐쇄된 프레임을 가지며 용기의 외벽으로부터 멀리 있는 볼록부에 의해 공동이 설치된 것이다.
또한 유리한 것은 설계인데, 그것은 래치부가 손잡이의 앞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 설편(tongue)을 가지며 프레임의 볼록부속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된 것이다. 후자는 용기의 외벽에 접근되도록 평편하고, 전자렌지 작동시에 전기물리적 효과가 유리하다. 기타 이점들은 프레임이 시각적으로 가치를 떨어트리지 않는다는 것과 용기의 통상적 제조방법으로 만들수 있는 것들입니다.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은 용기의 내면을 코팅한 후에 용기의 외벽을 세척 및 광택낼 수 있으므로, 프레임이 용기의 표면처리 및 광택내기를 위한 임의의 자동공정에 방해되지 않는다는 것을 특기할만하다.
손잡이에 설치된 설편은 아주 작은 두께만 가져도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금속판으로 만들어도 되며, 프레임이 볼록부는 용기외벽으로부터 마진이 작게 돌출되도록 본 발명에서는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의 설치로 초래되는 용기의 직경의 확대를 극히 최소한으로 제한할 수 있다. 되도록이면 프레임은 용기에 직접 용접, 예를 들면 스폿용접으로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비용접 프레임부와 용기표면사이에 약간의 작은 간격이 있음으로써 손잡이가 부착되었을때 단열이 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특히 이점이 있는 것은 손잡이에 이동되게 배치된 걸쇠를 수용하도록 프레임의 하부에 록킹돌기가 설치된 것이다. 록킹돌기의 형상은 손잡이의 설편을 수용하는 볼록부의 형상과 유사하며 록킹돌기 역시 용기의 외벽으로부터 약간만 돌출된다. 또한 손잡이에 이동되게 배치된 걸쇠는 금속판의 띠로 만들었기 때문에 제조가 단순하고 경제적이다. 볼록한 프레임에 대해서는, 걸쇠 역시 작은 공간만을 필요로 할 뿐이다. 만일 걸쇠가 미리 장력을 가하여 보강하고 스냅-작용고정장치를 고정돌기와 함께 형성하면 더욱 이점이 있게된다. 걸쇠의 그러한 구조로 인하여, 손잡이의 확고한 록킹을 하기 위하여 별도로 작동할 필요가 없으며, 오히려 프레임의 볼록부 밑으로 손잡이의 상향설편을 걸어서 용기쪽으로 손잡이를 누르도록 한다.
다음에 걸쇠는 프레임의 록킹돌기로 스냅식으로 들어감으로써, 손잡이는 용기에 확고하게 연결된다. 또 다른 이점은 사용자가 용기로부터 손잡이를 떼어내기 위하여 록킹돌기 밖으로 걸쇠를 떼낼 수 있도록 하는 조작탭을 갖는데 있다. 조작탭의 위치와 칫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가 전자렌지에서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전자렌지에서의 용기의 사용에 대해서는 상관이 없다. 편의상, 설편은 손잡이의 전체폭에 걸쳐서 연장되고 볼록부와 동등한 폭으로 한다. 그러한 구조에서 설편은 프레임의 볼록부에 접합됨으로써 손잡이와 용기사이에서 임의의 상대적 이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이점에 의하면, 손잡이는 그 앞부분에 용기의 외벽 및/또는 프레임을 결합하기 위하여 옆으로 부착된 지지슈우즈(support shoes)를 가진다. 이 지지슈우즈가 프레임에 의하여 한정된 내부용적에 맞도록 칫수가 됨으로써 용기에 대한 손잡이의 임의의 회전이 방지되는 특별한 이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 지지슈우즈는 부하전달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손잡이의 임의의 회전 또는 비틀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지지슈우즈는 손잡이의 상향설편과 함께 용접등으로 손잡이에 결합된 하나의 판재로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제1도의 측면입면도는 예를 들면 프라이팬으로 설계된 주방용기(1)의 일부분을 표시한다. 프라이팬을 자루로서 형성된 손잡이(2)는 부착부(4)에 프레임(5)이 설치된 용기(1)에 연결된다. 프레임(5)은 이하 특히 제2,4 및 5도에 더 상세히 표시된다. 손잡이(2)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5)에 분해 가능하게 연결된다. 프레임(5)의 상면도는 제2도에 도시된다.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에서, 프레임(5)은 금속판으로 만들어지고 대체로 각의 테두리를 형성하도록 밀폐된다. 프레임(5)이 용기(1)의 외부윤곽에 접근되도록 그 자체가 만곡된 것은 제4,5 및 1도에서 명백하다. 예를 들면 스폿용접에 의하여, 프레임(5)은 용기(1)에 결합되며; 이 목적을 위하여 4개의 용접점(12)이 제공된다.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부위에, 프레임(5)은 제5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5)의 폭의 주부분을 차지하고 용기(1)의 벽에 대하여 일정한 작은 간격으로 배치된 볼록부(6)를 구비하고, 또한, 대체로 수평인 프레임(5)의 하부영역에는 볼록부(6)와 똑같이 프레임(5)과 용기(1)사이에 공간 또는 공동을 형성하고 있다. 용기 벽과 떨어져 연장된 조킹돌기(8)가 설치되고, 제4도의 단면도는 설명을 위하여 용기(1)로부터 떼어낸 위치에서 본 발명의 손잡이(2)를 표시한다.
손잡이(2)는 원통 또는 4각 단면이고 중공관으로서 형성된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그 앞부분에, 손잡이(2)는 대체로 수직으로(제1도에 도시된 용기(1)의 위치에 대하여)연장되며 손잡이(2)와 폭과 똑같은 폭의 설편(7)을 가진다. 설편(7)은 금소판 띠로서 형성되고 수직으로 프레임(5)의 폭만큼의 높이를 가진다. 이와 같이 설편(7)은 프레임(5)과 용기(1) 사이의 볼록부(6)에 의하여 형성된 공동축으로 삽입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편(7)은 손잡이(2)를 용기(1)에 결합하기 위하여 볼록부분(6)에 의하여 형성된 공동부속에 밑에서 걸리게 된다. 그 하부부위외, 손잡이자루(2)의 앞부분에는 손잡이(2)에 탄성적으로 또는 이동되게 구비되고 용기부(6)에 의하여 형성된 공동속에 설편(7)이 삽입된 후에 록킹돌기(8)속으로 삽입될 절쇠(9)가 제공된다.
손잡이(2)가 용기(1)에 부착된, 제1도에 도시된 위치에, 설편(7)은 볼록부(6)에서 프레임(5)에 확실하게 연결되고, 또한 걸쇠(9)는 록킹돌기(8)속으로 삽입된다. 걸쇠(9)는 조작탭(10)을 위쪽으로 누르면 록킹돌기(8)로부터 걸쇠(9)가 빠져나오도록 된 형상과 칫수의 조작탭(10)을 가진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1도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용기(1)로부터 손잡이(2)를 떼어낼수 있다. 손잡이(2)는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것 같은 지지슈우즈(11)을 가진다는 것이 제3도로 명백하다.
측면 지지슈우즈(11)는 설편(7)과 일체로 될수 있으나, 또한 손잡이(2)가 만곡된 금속판제어면 손잡이(2)와 함께 설편(7)뿐 아니라 옆지지 슈우즈(11)도 일체로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지지슈우즈(11)는 제1도에 도시된 것 같이 용기(1)의 외벽에 맞도록 그들 자체가 만곡된다. 편의상, 옆지지슈우즈(11)는 프레임(5)의 자유공간속으로 삽입되도록 칫수가 정해진다(제1도 참조). 이와 같이 견고한 접속에 의해 프레임(5)에 대하여 손잡이(2)의 임의의 회전 또는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지슈우즈(11)가 프레임(5)과 똑같은 두께의 금속판으로 만들어지며, 부착된 손잡이(2)와 함께 용기의 합리적인 모양을 더욱 창출할 수 있다.
스프링장치(도시되지 않음) 또는 유사한 장치에 의하여, 손잡이(2)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걸쇠(9)와 그에 결합된 조작탭(10)은 제1도에 도시된 위치쪽으로 미리 장력이 주어져 있다. 그런, 그 자체가 탄성있는 걸쇠(9)를 사용할 수 있으며 손잡이(9)에서 돌출되었으므로 제1도에 도시한 위치쪽으로 편기되도록 걸쇠(9)의 칫수를 정하고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걸쇠(9)는 손잡이(2)를 용기(1)에 향해 누를때 걸쇠(9)가 자동적으로 록킹돌기(8)속에 록킹되도록 하기 위하여 경사 또는 휜부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도시되고 기술된 특성 실시예에 극한되는 것이 아니다. 그것보다는 오히려, 본 발명의 범위는 많은 수정 및 변경, 특히 용기 또는 용구에 부착된 프레임의 칫수 및 형상에 대하여 가질수 있다.

Claims (7)

  1. 주방용기에 고정되고, 그의 반대측에 제1이 공동(cavity)이 제2의 공동보다 수직으로 높은 제1 및 제2의 공동을 구비한 밀폐된 링과, 제1 및 제2의 공동과 개방되게 결합된 손잡이의 제1 및 제2의 부재와 구성된 분해용 손잡이를 가진 주방용기에 있어서, 제1 및 제2의 부재중의 1개는 설편(tongue)이며, 그중의 다른 1개는 이동가능록킹부분과 록킹부분의 운동을 1개의 상기 공동으로부터 고분고분하게 저항하는 수단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용 손잡이의 주방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금속판으로 제조되고, 제1 및 제2의 부분이외에는 상기 링을 따라 모두 상기 주방용기의 표면을 향하여 직접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의 부분은 상기 표면에서 떨어져서 굽혀졌으며 상기 제1 및 제2의 공동은 각각 상기 평면, 제1 및 제2의 부분 사이에 있는 영역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용 손잡이의 주방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반대방향으로 밖으로 돌출한 금속판지지부분을 가지며, 그의 각각은 상기 링에 제공된 부합하는 내부 테두리부분과 접촉되게 배치된 외부테두리부분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용 손잡이의 주방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금속판관이며, 상기 지지부분 및 제1 및 제2의 부재는 각각 상기 관의 굽은 부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용 손잡이의 주방용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상기 주방용기에 용접한 스폿(spot)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용 손잡이의 주방용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편은 상기 손잡이의 전넓이에 걸쳐서 연장되며, 상기 링의 제1의 부분과 결합되고, 상기 제1의 부분과 동일 넓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용 손잡이의 주방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제1의 부재는 상기 설편이며, 상기 제2의 부재는 상기 록킹부분을 가지며, 고분고분 저항하는 상기 수단은 약간의 고유탄성을 가진 제2의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분해용 손잡이의 주방용기.
KR1019890001861A 1988-02-19 1989-02-17 분해용 손잡이의 주방용기 KR9600151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805231A DE3805231A1 (de) 1988-02-19 1988-02-19 Gefaess mit abnehmbarem griffteil
DEP3895231.8 1988-02-19
DEP38052318 1988-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605A KR890012605A (ko) 1989-09-18
KR960015139B1 true KR960015139B1 (ko) 1996-11-01

Family

ID=6347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1861A KR960015139B1 (ko) 1988-02-19 1989-02-17 분해용 손잡이의 주방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965907A (ko)
EP (1) EP0329065B1 (ko)
KR (1) KR960015139B1 (ko)
DE (2) DE3805231A1 (ko)
ES (1) ES2045214T3 (ko)
PT (1) PT89755B (ko)
TR (1) TR2627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3608A (en) * 1994-03-17 1994-12-20 Welch Distributing Company Cooking vessel handle
US6115921A (en) * 1995-08-04 2000-09-12 Safe Food Systems, Inc. Attachable and removable handle for food serving utensils
US5699614A (en) * 1995-08-04 1997-12-23 Garneau, Sr.; John P. Attachable and removable handle for food serving utensils
US6199699B1 (en) * 1998-09-08 2001-03-13 Robert Eastman Insulated food storage housing assembly
FR2802400B1 (fr) * 1999-12-15 2002-07-12 Seb Sa Appareil de cuisson sous pression a poignees amovibles
US6250493B1 (en) 2000-01-21 2001-06-26 Kinetic Group, L.L.C. Detachable handle for vessels
KR100340324B1 (ko) * 2000-07-22 2002-06-15 황한규 김치저장고의 손잡이 조립 구조
FR2813516B1 (fr) * 2000-09-04 2002-12-27 Dja Dodane Jean Et Associes Dispositif amovible pour saisir, soulever, manipuler et verser des ustensiles de cuisson ayant deux anses
US6260733B1 (en) 2000-09-08 2001-07-17 Regal Ware, Inc. Releasable handle for cookware
US6439421B1 (en) * 2001-11-29 2002-08-27 George Lin Detachable device handle mounting structure
FR2863469B1 (fr) * 2003-12-12 2006-11-17 Seb Sa Systeme de fixation d'une poignee de prehension sur un recipient d'un article culinaire
KR20070000036U (ko) * 2006-12-12 2007-01-05 김대영 전방향 착탈식 손잡이
US8353423B2 (en) 2010-07-07 2013-01-15 Bedias Creek Llc Cookware system for increased safety
US11576530B2 (en) 2015-06-29 2023-02-14 Koninklijke Philips N.V. Detachable coupling arrangement for connecting a handle to a utensil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659A (en) * 1908-12-08 1910-01-04 John H Wilson Handle for cooking utensils.
US1277182A (en) * 1918-03-11 1918-08-27 Anton A Borsse Detachable utensil-handle.
GB308918A (en) * 1928-05-10 1929-04-04 Percy Charles Simmonds Improvements in cooking utensils such as saucepans, baking dishes, frying pans and the like
US1831111A (en) * 1930-04-05 1931-11-10 William D Hill Handle for cooking utensils and the like
US2024294A (en) * 1935-02-25 1935-12-17 Kirsch Andrew Detachable handle
US2075685A (en) * 1935-12-03 1937-03-30 George F Wiedemann Detachable handle for cans or the like
US2353365A (en) * 1942-07-27 1944-07-11 Autoyre Co Inc Fixture and hinge bracket therefor
FR966824A (fr) * 1948-05-25 1950-10-19 Manche amovible et oscillant
FR2049388A5 (ko) * 1969-06-09 1971-03-26 Equipinox
US4565296A (en) * 1984-07-25 1986-01-21 Meyer Manufacturing Company Limited Cooking p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29065A3 (en) 1990-03-07
PT89755A (pt) 1989-10-04
ES2045214T3 (es) 1994-01-16
US4965907A (en) 1990-10-30
KR890012605A (ko) 1989-09-18
PT89755B (pt) 1994-07-29
EP0329065A2 (de) 1989-08-23
DE58905796D1 (de) 1993-11-11
EP0329065B1 (de) 1993-10-06
TR26279A (tr) 1994-01-31
DE3805231A1 (de) 1989-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5139B1 (ko) 분해용 손잡이의 주방용기
US6313446B1 (en) Disposable liner and cooker system with disposable liner
CN213155350U (zh) 一种结构改进的电热锅
EP1764559B1 (en) Cooking grate assembly
EP1195122B1 (en) Deep frying apparatus and method
CN213129090U (zh) 一种多功能电热锅
US8003921B2 (en) Cooking apparatus
US2242328A (en) Cooking appliance
US2866401A (en) Coffee maker
CN210540760U (zh) 一种滚筒式炒菜机
KR100723642B1 (ko) 다중 조리가 가능한 솥
KR200287863Y1 (ko) 끓어 넘침이 방지되는 조리용기
CN218355759U (zh) 锅盖组件及烹饪器具
CN220045577U (zh) 一种烹饪容器
CN209915777U (zh) 烤盘、烤盘组件以及煎烤机
US1143898A (en) Handle for cooking vessels.
JP2712305B2 (ja) 分離型電気調理器
CN217907387U (zh) 一种加热器具
US2863693A (en) Cooking utensil
CN215686648U (zh) 烹饪器具
KR920002408Y1 (ko) 프라이 오븐용 손잡이
KR200273223Y1 (ko) 전기 쿠커의 요리용 팬
KR101467550B1 (ko) 조리 및 보관용 분할용기를 가진 분리형 조리기구
JPS6037063Y2 (ja) 軽便調理用具
JPS613922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