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4653B1 -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자동 오프셀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자동 오프셀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4653B1
KR960014653B1 KR1019940000610A KR19940000610A KR960014653B1 KR 960014653 B1 KR960014653 B1 KR 960014653B1 KR 1019940000610 A KR1019940000610 A KR 1019940000610A KR 19940000610 A KR19940000610 A KR 19940000610A KR 960014653 B1 KR960014653 B1 KR 960014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atch
output
converter
outpu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0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4184A (ko
Inventor
구본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00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4653B1/ko
Publication of KR950024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4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6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4Methods and circuits for servo offset compen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1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focusing only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자동 오프셀 조정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에서 오프셀 조정부의 상에 회로도.
제3도의 (a) 및 (b)는 오프셀 조정에 따른 에러신호의 파형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자동 오프셀 조정부와 제어용 마이크로컴퓨터의 접속관계를 보인 개략도.
제5도는 제4도에서 자동 오프셀 조정부의 일실시 예시 블록도.
제6도의(a) 내지(c)는 제5도에서 타이밍신호 발생기의 츨력파형도.
제7도는 (a)는 본 발명에 따른 포커스 오프셀 조정신호 흐름도.
(b)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킹 오프셀 조정신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아날로그 스위치 12 : A/D변환기
13 : 타이밍신호 발생기 14,16,20,30 : 래치
15,28,29 : 감산기 17,31 : D/A변환기
18 : 인버터 19,21,23 : 앤드게이트
22,25 : 비교기 26 : 가산기
27 : 계산기
본 발명은 광디스크 플레이어에서 서보제어에 이용되는 포커스 에러신호와 트랙킹 에러신호의 오프셀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탈방식의 회로를 채택하여 사용시간에 따라 특성변화를 유발시키지 않고, 생산단계에서 자동적으로 조절되며, 원칩으로 구현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광신호 플레이어의 자동 오프셀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으로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디스크(1)를 회전시키는 모터구동부(2)와, 상기 광디스크(1)에 레이저광을 투사하여 그 광디스크(1)에 기록된 데이타를 읽어내는 광신호 추출 및 구동부(3)와, 상기 광신호 추출 및 구동부(3)의 출력신호를 처리하여 원하는 데이타를 얻어내는 신호처리부(4)와, 상기 신호처리부(4)의 출력신호를 외부의 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호스트 인터페이스(5)와, 서보제어를 위해 상기 광신호 추출 및 구동부(3)의 출력신호중에서 포커스 에러와 트랙킹 에러신호를 공급받아 오프셀을 조정하는 오프셀 조정부(6)와, 상기 오프셀 조정부(6)에 의해 오프셀이 제거된 신호를 공급받고, 마이크로컴퓨터(8)의 제어를 받아 상기 모터구동부(2), 광신호 추출 및 구동부(3)의 구동을 제어하는 서보제어부(7)로 구성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장치의 작용을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구동부(2)에 의해 광디스크(1)가 회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광신호 추출 및 구동부(3)는 상기 광디스크(1)에 광신호를 투사하여 그로부터 데이타를 읽어내고, 신호처리부(4)는 그 광신호 추출 및 구동부(3)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처리하여 원하는 데이타를 얻게 되며, 이는 호스트 인터페이스(5)를 통해 외부로 전달된다.
한편, 제1도에서 오프셀 조정부(6)는 제2도에서와 같이 연산증폭기(OP)와 가변저항(VR)으로 구성되고, 이 가변저항(VR)을 이용하여 입력신호의 오프셀을 조정하게 되는데, 예로써, 입력신호가 제3도의 (a), (b)에서와 같이 오프셀 조정전의 포커스 에러와 트랙킹 에러에는 에러신호가 없어야 할 경우에도 각각의 에러신호를 생성하는 회로(주로 연산증폭기)의 특성상 오프셀만큼의 오차가 발생된다.
따라서, 오프셀 조정부(6)의 역활은 이러한 오프셀을 제거하는데 있는 것으로, 제2도에서와 같이 입력되는 포커스 에러 또는 트랙킹 에러를 R2/R1에 증폭하여(오프셀만 제거하는 것이 목적일대는 R1=R2) 출력한다. 여기서 이용되는 연산증폭기(OP)에도 또한 오프셀을 발생시킬 요인이 있으나 입력되는 신호의 오프셀과 연산증폭기(OP)에서 발생되는 오프셀을 동시에 제거하기 위해 가변저항(VR)을 이용하여 연산증폭기(OP)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공급되는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오프셀이 없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오프셀 조정을 위한 전제조건은 포커스 에러의 포커스 에러의 오프셀 조정의 경우, 레이저광을 조사하면서 광신호 추출 및 구동부(3)의 픽업을 가장 낮은 위치로 내려 광디스크(1)로부터 반사되어 오는 광선분이 없도록 하거나 광디스크(1) 자체를 제거하며, 이때 발생되는 포커스 에러를 연산증폭기(OP)의 출력단에서 측정하고 상기와 같은 오프셀 조정과정을 통해 오프셀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트랙킹 에러의 오프셀 조정을 위해 포커스 서보를 동작시킨 후에 모터구동부(2)를 통하여 광디스크(1)를 회전시키면서 이때, 오프셀 조정을 위한 연산증폭기(OP)의 출력에서 트랙킹 에러를 측정하여 트랙킹 에러의 진폭이 오프셀을 갖지 않도록 가변저항(VR)을 이용하여 조정하게 된다.
이와같이 종래의 오프셀 조정장치에 있어서는 포커스 에러와 트랙킹 에러의 오프셀 조정을 위해 가변저항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 가변저항과 연산증폭기 등의 부품은 사용시간에 따라 그 특성이 변화되므로 재조정을 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따르고, 제품 생산단계에서 가변저항값을 조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는 결함으로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세트신호, 기준데이타, 포커스 에러 오프셀 조정신호, 트랙킹신호 오프셀 조정신호를 이용하여 포커스 에러, 트랙킹 에러를 디지탈적으로 처리하여 최종적으로 오프셀이 제거된 포커스 에러신호와 트랙킹 에러신호를 출력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은 리세트신호, 기준데이타, 포커스 에러 오프셀 조정신호, 트랙킹신호 오프셀 조정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그 리세트신호, 기준데이타, 포커스 에러 오프셀 조정신호, 트랙킹신호 오프셀 조정신호를 이용하여 포커스 에러신호와 트랙킹 에러신호를 처리하여 오프셀이 제거된 포커스 에러신호 및 트랙킹 에러신호를 출력하는 자동 오프셀 조정수단으로 구성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자동 오프셀 조정부와 제어용 마이크로컴퓨터의 접속관계를 보인 개략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세트신호(RE), 기준데이타(REF-DATA), 포커스 에러 오프셀 조정신호(ADJ-FO), 트랙킹신호 오프셀 조정신호(ADJ-TO)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컴퓨터(9)와 그 리세트신호(RE), 기준데이타(REF-DATA), 포커스 에러 오프셀 조정신호(ADJ-FO), 트랙킹신호 오프셀 조정신호(ADJ-TO)를 이용하여 포커스 에러신호(FE)와 트랙킹 에러신호(TE)를 처리하여 오프셀이 제거된 포커스 에러신호(FE') 및 트랙킹 에러신호(TE')를 출력하는 자동 오프셀 조정부(10)로 구성한다.
제5도는 제4도에서 자동 오프셀 조정부(10)의 일실시 예시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칭 제어신호(SW)의 제어를 받아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서보제어에 이용되는 포커스 에러신호(FE)와 트랙킹 에러신호(TE) 중에서 한가지의 신호만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 스위치(11)와,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1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12)와,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SW) 및 래치 인에이블신호(LE1),(LE2)를 출력하는 타이밍신호 발생기(13)와, 상기 A/D변환기(12)의 출력을 래치하는 제1래치(14)와, 상기 A/D변환기(12)의 출력값에서 상기 제1래치(14)의 출력갑을 감산하는 제1감산기(15)와, 상기 래치 인에이블신호(LE1)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제1감산기(15)의 출력값을 래치하는 제2래치(16)와, 상기 제2래치(16)에서 출력되는 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신호를 변환하여 오프셀이 조정된 포커스 에러신호(FE')를 출력하는 제1D/A변환기(17)와, 상기 A/D변환기(12)의 출력값을 래치하는 제3래치(20)와, 상기 A/D변환기(12)의 출력값과 제3래치(20)의 출력값을 비교하여 제3래치(20)의 출력값이 더 클때 래치신호(LAT1)를 출력하는 제1비교기(22)와, 상기 A/D변환기(12)의 출력값을 래치하는 제4래치(24)와 상기 A/D변환기(12)의 출력값과 제4래치(24)의 출력값을 비교하여 그 A/D변환기(12)의 출력값이 작을 때 래치신호(LAT2)를 출력하는 제2비교기(25)와, 상기 제3래치(20)의 출력값과 제4래치(24)의 출력값을 가산하는 가산기(26)와, 상기 가산기(26)의 출력값을 2로 나누는 제산기(27)와, 상기 제산기(27)의 출력값에서 기설정된 기준데이타(REF-DATA)값을 감산하는 제2감산기(28)와, 상기 A/D변환기(12)의 출력값에서 상기 제2감산기(28)의 출력값을 감산하는 제3감산기(29)와, 소정 주기로 공급되는 래치 인에이블신호(LE2)에 따라 상기 제3감산기(29)의 출력값을 래치하는 제5래치(30)와, 상기 제5래치(30)에서 출력되는 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오프셀이 제거된 트랙킹 에러신호(TE')를 출력하는 제2D/A변환기(31)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제6도 및 제7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 오프셀 조정부(10)는 마이크로컴퓨터(9)으로부터 내부 래치(14,16),(30)를 0으로 초기화시키기 위한 리세트신호(RE), 트랙킹 에러신호(TE)가 오프셀이 없을 경우 에러신호 진폭의 중앙값을 디지탈값으로 표현한 기준데이타(REF-DATA), 포커스 에러(FE)의 오프셀을 조정하는 포커스 에러 오프셀 조정신호(ADJ-FO), 트랙킹 에러신호(TE)의 오프셀을 조정하는 트랙킹신호 오프셀조정신호(ADJ-TO)를 이용하여 포커스 에러(FE)와 트랙킹 에러(TE)를 처리하여 최종적으로 오프셀이 제거된 포커스 에러신호(FE')와 트랙킹 에러신호(TE')를 출력하게 되는데, 이 과정을 제5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아날로그 스위치(11)는 타이밍신호 발생기(13)로부터 공급되는 제6도의 (a)와 같은 스위칭 제어신호(SW)에 따라 포커스 에러신호(FE)와 트랙킹 에러신호(TE)를 시분할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A/D변환기(12)측으로 출력하고, 이 A/D변환기(12)의 출력신호가 다음의 경로를 각기 통해 오프셀이 제거된 포커스 에러(FE')와 트랙킹 에러(TE')가 출력된다.
먼저, 프커스 에러신호(FE')의 출력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11)는 스위칭 제어신호(SW)가 로우일 때 포커스 에러신호(FE)를 선택하여 이를 A/D변환기(12)에 출력하고, 이는 그 A/D변환기(12)에서 디지탈신호로 변환된 다음 제1래치(14)의 입력으로 공급된다.
상기 제1래치(14)는 초기에 리세트신호(RE)를 공급받아 0으로 클리어되어 있는 상태에서 앤드게이트(19)로부터 래치 인에이블신호가 하이로 공급될 때, 그 입력데이타를 래치하게 되는데, 그 하이의 래치 인에이블신호는 마이크로컴퓨터(9)로부터 포커스 에러 오프셀 조정신호(ADJ-FO)가 하이로 공급되고, 상기 타이밍신호 발생기(13)에서 스위칭신호(SW)가 로우로 출력될 때 앤드게이트(19)에서 출력되는 신호이다.
그리고, 상기 제1래치(14)에 래치된 데이타는 제1감산기(15)에 공급되는데, 그 제1감산기(15)는 현재, 상기 A/D변환기(12)에서 출력되는 포커스 에러 데이타(FE)에서 그 제1래치(15)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타를 감산하여 이를 제2래치(16)에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그 제2래치(16)는 상기 타이밍신호 발생기(13)로부터 입력되는 제6도의 (b)와 같은 래치 인에이블신호(LE1)에 따라 그 입력데이타를 래치하고, 이렇게 해치된 데이타가 제1D/A변환기(17)를 통해 본래의 포커스 에러신호(FE')와 같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이와같은 과정을 통해 포커스 에러를 자동으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제7도의 (a)에서와 같이, 먼저, 픽업렌즈를 최하단으로 움직여 광디스크(1)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오는 레이저광이 없도록 하며, 실제적인 포커스 에러가 없도록 처리한 다음 그때에 발생되는 포커스 에러신호(FE)를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11), A/D변환기(12)를 통해 제1래치(14)에 공급하고, 마이크로컴퓨터(9)로부터 포커스 에러 오프셀 조정신호(ADJ-FO)가 하이로 공급되게 하여 그 입력데이타를 제1래치(14)에 저장시킨 다음, 그 포커스 에러 오프셀 조정신호(ADJ-FO)를 로우로 공급되게 하여 더 이상 새로운 입력을 저장하지 않게 한다.
이렇게 하면 정상적인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동작시에는 자동조정시에 기억된 제1래치(14)의 출력 즉, 포커스 오프셀값이 상기 감산기(15)를 통해 계속 감산되어 포커스 에러의 오프셀이 자동적으로 제거되는 것이다.
한편, 트랙킹 에러의 오프셀의 처리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11)는 스위칭 제어신호(SW)가 하이일 때 트랙킹 에러신호(TE)를 선택하고, 이는 A/D변환기(12)를 통해 디지탈신호로 변환된 후 제3래치(20), 제4래치(24)와 제1비교기(22), 제2비교기(25)에 각기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제3래치(20)는 마이크로컴퓨터(9)로부터 공급되는 리세트신호(RE)에 의해 리세트된 후 스위칭 제어신호(SW), 트랙킹신호 오프셀 조정신호(ADJ-TO), 상기 제1비교기(22)에서 출력되는 래치신호(LAT1)가 공히 하이일때 앤드게이트(21)에서 출력되는 하이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상기 A/D변환기(12)의 출력데이타중에서 최대값을 래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4래치(24)는 마이크로컴퓨터(9)로부터 공급되는 리세트신호(RE)에 의해 리세트된 후 스위칭 제어신호(SW), 트랙킹신호 오프셀 조정신호(ADJ-TO), 상기 제2비교기(25)에서 출력되는 래치신호(LAT2)가 공히 하이일 때 앤드게이트(23)에서 출력되는 하이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상기 A/D변환기(12)의 출력데이타중에서 최소값을 래치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비교기(22)는 상기 A/D변환기(12)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타와 제3래치(2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타를 비교하여 그 A/D변환기(12)의 출력값이 제3래치(20)의 출력값보다 클때에만 래치신호(LAT1)를 하이 를 출력하고, 상기 제2비교기(25)는 상기 A/D변환기(12)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타와 제4래치(24)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타를 비교하여 그 A/D변환기(12)의 출력값이 제3래치(20)의 출력값보다 작을때에만 래치신호(LAT2)를 하이로 출력하게 된다.
즉, 상기 제3래치(20), 앤드게이트(21), 제1비교기(22)는 트랙킹신호 오프셀 조정신호(ADJ-TO)가 하이인 동안 입력되는 트랙킹 에러(TE)의 최대값을 제3래치(20)가 기억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앤드게이트(23), 제4래치(24), 제2비교기(25)는 트랙킹신호 오프셀 조정신호(ADJ-TO)가 하이인 동안 입력되는 트랙킹 에러(TE)의 최소값을 제3래치(20)가 기억하도록 동작한다.
이후, 상기 가산기(26)는 상기 래치(20),(24)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최대값(EMAX)과 최소값(EMIN)을 더하여 출력하고, 이는 제산기(27)에 의해 2로 나누어지게 되는데, 여기서 +2를 연산하는 제산기(27)는 단순히 최하위 비트(LSB)를 버리는 것만으로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산기(27)의 출력은 입력되는 크랙킹 에러(TE)의 최대값(EMAX)과 최소값(EMIN)에 대한 평균값이 되며, 그 평균값이 제2감산기(28)에 공급되어 마이크로컴퓨터(9)로부터 공급되는 기준데이타(REF-DATA)와의 차값이 구해지며, 이는 다시 제3감산기(29)에 공급되어 상기 A/D변환기(12)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TE)의 디지탈값에서 그 값이 감산되고, 그 결과값이 래치 인에이블신호(LE2)에의해 제5래치(30)에 래치되는데, 그 래치 인에이블신호(LE2)는 제6도의 (c)에서와 같이 소정 주기로 공급되므로 상기 제3감산기(29)의 출력데이타가그 래치 인에이블신호(LE2)에 의해 주기적으로 래치되고, 이렇게 래치되는 데이타가 제2D/A변환기(31)를 통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어 오프셀이 제거된 트랙킹 에러신호(TE')로 출력된다.
결국, 자동 오프셀 조정부(10)는 래치(20),(24)를 통하여 트랙킹 에러(TE)의 최대값(EMAX)과 최소값(EMIN)을 찾아낸 후 가산기(26)와 제산기(27)를 통하여 평균값을 구하고, 감산기(28)를 통해 그 평균값과 기준전압 즉, 기준데이타(REF-DATA)의 차값을 구하게 되는데, 이 차값이 바로 트랙킹 오프셀값이 되며, 입력되는 트랙킹 에러신호 즉, A/D변환기(12)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신호에서 상기 감산기(28)의 출력값을 감산하여 이를 래치(30) 및 D/A변환기(31)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서 자동으로 트랙킹 에러(TE)의 오프셀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포커스 서보를 구동시키고 광디스크(1)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제7도의 (b)에서와 같이, 트랙킹신호 오프셀 조정신호(ADJ-TO)를 하이로 하여 트랙킹 에러(TE)의 여러 주기가 입력되도록 기다린 다음 다시 트랙킹신호 오프셀 조정신호(ADJ-TO)를 로우로 출력하면 트랙킹 오프셀을 기억하게 되어 정상적인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동작시에는 기억된 트랙킹 오프셀이 항상 감산되는 동작이 수행되므로 자동적으로 트랙킹 오프셀이 조정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디스크 플레이어에서 오프셀 조정을 위한 회로를 디지탈화 함으로써 특성 변화를 유발시키지 않고 향후 서보제어계를 디지탈화 하는 추세에 따라 쉽게 원칩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생산시 조립자가 조정해야 하던 것을 자동적으로 처리하여 생산성의 향상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스위칭 제어신호(SW)의 제어를 받아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서보제어에 이용되는 포커스 에러신호(FE)와 트랙킹 에러신호(TE) 중에서 한가지의 신호만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 스위치(11)와,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1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12)와,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SW) 및 래치 인에이블신호(LE1),(LE2)를 출력하는 타이밍신호 발생기(13)와, 상기 A/D변환기(12)의 출력을 래치하는 제1래치(14)와, 상기 A/D변환기(12)의 출력값에서 상기 제1래치(14)의 출력값을 감산하는 제1감산기(15)와, 상기 래치 인에이블신호(LE1)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제1감산기(15)의 출력값을 래치하는 제2래치(16)와, 상기 제2래치(16)에서 출력되는 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오프셀이 조정된 포커스 에러신호(FE')를 출력하는 제1D/A변환기(17)와, 상기 A/D변환기(12)의 출력값을 래치하는 제3래치(20)와, 상기 A/D변환기(12)의 출력값과 제3래치(20)의 출력값을 비교하여 제3래치(20)의 출력값이 더 클 때 래치신호(LAT1)를 출력하는 제1비교기(22)와, 상기 A/D변환기(12)의 출력값을 래치하는 제4래치(24)와, 상기 A/D변환기(12)의 출력값과 제4래치(24)의 출력값을 비교하여 그 A/D변환기(12)의 출력값이 작을 때 래치신호(LAT2)를 출력하는 제2비교기(25)와, 상기 제3래치(20)의 출력값과 제4래치(24)의 출력값을 가산하는 가산기(26)와, 상기 가산기(26)의 출력값을 2로 나누는 제산기(27)와, 상기 제산기(27)의 출력값에서 기설정된 기준데이타(REF-DATA)값을 감산하는 제2감산기(28)와, 상기 A/D변환기(12)의 출력값에서 상기 제2감산기(28)의 출력값을 감산하는 제3감산기(29)와, 소정 주기로 공급되는 래치 인에이블신호(LE2)에 따라 상기 제3감산기(29)의 출력값을 래치하는 제5래치(30)와, 상기 제5래치(30)에서 출력되는 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오프셀이 제거된 트랙킹 에러신호(TE')를 출력하는 제2D/A변환기(31)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자동 오프셀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아날로그 스위치(11)는 상기 타이밍신호 발생기(13)에서 공급되는 스위칭 제어신호(SW)에 따라 입력되는 포커스 에러(FE), 트랙킹 에러(TE)를 시분할적으로 선택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자동 오프셀 조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1래치(14)는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11)가 포커스 에러(FE)를 선택하고 있는 동안에 외부의 포커스 에러 오프셀 조정신호(ADJ-FO)가 활성화될 때 A/D변환기(12)의 출력데이타를 래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자동 오프셀 조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2래치(16)는 상기 타이밍신호 발생기(13)에서 출력되는 래치 인에이블신호(LE1)의 제어를 받아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11)가 포커스 에러(FE)를 선택하고 있는 기간의 후반부에서 상기 제1감산기(15)의 출력을 래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자동 오프셀 조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제3래치(20)는 리세트신호(RE)가 공급될 때 최대값(EMAX)를 기억하고,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11)가 트랙킹에서 (TE)를 선택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제1비교기(22)의 출력과 외부의 트랙킹 신호 오프셀 조정신호(ADJ-TO)가 동시에 활성화될때에만 상기 A/D변환기(12)의 출력을 래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자동 오프셀 조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제4래치(24)는 리세트신호(RE)가 공급될 때 최소값(EMIN)를 기억하고,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11)가 트랙킹에서 (TE)를 선택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제2비교기(25)의 출력과 외부의 트랙킹신호 오프셀 조정신호(ADJ-TO)가 동시에 활성화될때에만 상기 A/D변환기(12)의 출력을 래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자동 오프셀 조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제5래치(30)는 상기 타이밍신호 발생기(13)에서 출력되는 래치 인에이블신호(RE2)의 제어를 받아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11)가 트랙킹에서 (TE)를 선택하고 있는 기간의 후반부에서 상기 제3감산기(29)의 출력을 래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자동 오프셀 조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제산기(27)는 최하위 비트를 사용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자동 오프셀 조정장치.
KR1019940000610A 1994-01-14 1994-01-14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자동 오프셀 조정장치 KR960014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0610A KR960014653B1 (ko) 1994-01-14 1994-01-14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자동 오프셀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0610A KR960014653B1 (ko) 1994-01-14 1994-01-14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자동 오프셀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184A KR950024184A (ko) 1995-08-21
KR960014653B1 true KR960014653B1 (ko) 1996-10-19

Family

ID=19375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0610A KR960014653B1 (ko) 1994-01-14 1994-01-14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자동 오프셀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46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6181B1 (ko) * 1996-04-25 2002-07-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서보오프셋보상방법
KR100480629B1 (ko) * 2002-11-12 2005-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랙킹 에러 신호의 언밸런스 검출 오차를 감소시키는 광디스크 재생장치의 트랙 밸런스 조정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184A (ko) 1995-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5716A (en) Servo system for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drive
KR100327800B1 (ko)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슬레드 모터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
US5862111A (en) Optical disk device which performs auto gain control process on servo signals which perform illuminating control of a light beam on the disk's recording surface
KR960014653B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자동 오프셀 조정장치
US72485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ser power for disc drive
US6744031B1 (en) High speed sampling circuit
US6785211B2 (en) Automatic power control apparatus of disc drive
US70351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RFZC signal for optical systems
US6618334B1 (en) Optical disk recording/reproducing device employing waveform correction of laser output signal
US20010053111A1 (en) Multi-layer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device
JP3545604B2 (ja) 光ディスク駆動装置の信号検出回路
US20040120235A1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laser power control during CAV recording
JPH0536149A (ja) 光磁気記録装置のデジタルサーボ回路及びその 制御方法
KR0138462B1 (ko) 광픽업의 자동 포커싱/트랙킹 조정장치
KR100261891B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지탈 자동 초점 검출 장치
KR100246796B1 (ko) 서보루프의 오프셋 보상 방법 및 장치
KR100246482B1 (ko) 광디스크의 서보 제어방법
US8054725B2 (en) Optical disk apparatus
KR100262958B1 (ko) 광디스크의 서보 제어방법
KR950007295B1 (ko) 디스크재생시스템의 포커스서보온신호전달회로
KR930001615B1 (ko) 광학식 디스크 재생장치의 픽업 제어회로
KR20030072707A (ko) 모드 전환 설정구간에서 디스크 구동기의 동작 안정화장치 및 방법
KR100200580B1 (ko) 컴팩트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래킹 서어보 제어 방법
KR200155038Y1 (ko) 디스크 기록 재생장치의 포커스 제어장치
JP2000099961A (ja) 光ディスク装置のフォーカス調整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