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4595B1 - 자동직기에 있어서 제직되는 원단의 폭(위사방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직기에 있어서 제직되는 원단의 폭(위사방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4595B1
KR960014595B1 KR1019950047384A KR19950047384A KR960014595B1 KR 960014595 B1 KR960014595 B1 KR 960014595B1 KR 1019950047384 A KR1019950047384 A KR 1019950047384A KR 19950047384 A KR19950047384 A KR 19950047384A KR 960014595 B1 KR960014595 B1 KR 960014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carrier
narrow
weaving
r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7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배
Original Assignee
박진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배 filed Critical 박진배
Priority to KR1019950047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45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5/00Smallware looms, i.e. looms for weaving ribbons or other narrow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6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직기에 있어서 제직되는 원단의 폭(위사방향) 조절장치
제1도는 캐리어(CARRIER)(위사 공급장치)와 바디(REED)를 가진 원단(세폭 직물 등)의 제직에 사용된 원단폭조절장치를 구비한 자동직기 사시도.
제2도는 V형(TYPE) 바디가 하(下)방향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캐리어(CARRIER)와의 상관관계를 표시하는 확대정면도.
제3도는 바디(REED), 직변(SELVEGE)의 편침(NEEDLE)과 캐리어(CARRIER)와의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4도의 a, b, c, d, e도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각종 형태(TYPE)의 원단(BAND 원단)의 실시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디틀(REED FRAME) 2 : V자형 바디(REED)
3,3' : 캐리어(CARRIER)(위사공급장치) 4 : 바디살(REED WIRE)
5 : 위사(WEFT YARN) 6 : 편침(NEEDLE, 위사조정장치)
7 : 경사(WARP YARN) 8 : 원단(세폭)의 폭이 넓은 부분
9 : 원단의 폭이 좁은 부분
10 : 넓은 부분에서 좁아지는 부분 사이부분
11 : 캐리어(CARREIR)의 상부 12 : 캐리어(CARRIER)의 하부
13 : 변부(SELVEGE)
본 발명은 자동직기에 있어서 제작되는 원단의 폭(위상방향)이 조절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단의 폭을 여러 모양의 폭과 소폭으로 직조함에 있어서 임의로 원단의 폭을 조절이 가능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한 원단은 세폭직물이 대부분으로 주로 밴드(가방, 백), 손잡이용부재, 의류용 원단 부재 등인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원단(세폭원단 밴드, BAND)은 수축부(좁은 부분)(12)와 직각방향으로 경사를 고정하고 측면에 있는 위사를 캐리어(CARRIER)로 당겨 개구된 경사에 위 방향에서 이동시켜(위입시켜) 경·위사로 제직한다.
일부의 예로 불란서(FRANCE) 특허 제1395815호에는 주로 세폭직물을 제조하는 직기로 일부의 구체적인 예가 설명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북지기로 제직된 원단(세폭직물 밴드, BAND)은 원단폭이 일정하고, 가소성(PLASTICSTY)이 불규칙하다.
게다가 이 종류의 기계는 제직속도가 늦기 때문에 생산성이 낮고 따라서 원단(세폭직물 밴드 등)의 제조단가가 높게 된다.
이런 종류의 기계는 바디(REED)의 바디살(REED WIRE)의 폭이 일정하여 상하가 같은 평바디 및 바디살배열을 이룬다. 바늘(니들, NEEDLE) 역시 고정된 위치에서 전후 왕복운동을 하며 캐리어(CARRIER)(위사이송장치) 역시 고정된 위치에서 반원운동을 실시하여 위사를 공급한다.
이 작동에 의해 폭이 균일한 원단(밴드, 세폭직물 등)이 제직된다. 이러한 결점을 개선하여 원단의 사용용도에 따라 부분적인 수축부(좁은 폭)(9)를 갖는 원단(세폭직물, 밴드 등)의 제조를 위하여 생산성이 높은 바디와 변직(SELVEGE) 제직에 필요한 편침(NEEDLE)을 부착한 캐리어(CARRIER) 부착 자동직기에서 행할 필요가 있게 되었다.
임의의 수축부(좁은 부분)가 없는 직선상(폭이 일정한)(11) 원단(세폭직물, 밴드 등)을 그의 종류의 직기에서 제직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불란서(FRENCH) 특허 제1249199호에 의해 알려져 있다.
앞에 기술한 수축부분을 임의로 갖는 제품은 조정된 바디살을 가진 바디, 캐리어(CARRIER) 부착 자동직기로 제조하기 위한 것에는 기술상의 큰 문제를 해결하지 아니하면 안되었다.
예를 들면, 원단의 폭이 넓은 부분(8) 또는 원단의 폭이 좁은 부분(9)의 직선상의 변(耳)과 넓어지다 좁아지는 부분 또는 좁아졌다가 넓어지는 부분의 접속부의 변(耳)(13)에 대해 연속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는 바디와 침 등을 어느 정도의 간격을 반드시 일정하게 하지 아니하면 안된다.
이 문제는 바디가 수직방향에 상하운동을 하는 종전 기술의 일정폭의 원단을 생산하는 북직기에 생기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사방향(횡방향) 임의의 수축부를 갖는 원단(세폭직물, 밴드 등)을 수평으로 좌우 반원운동을 하는 캐리어(CARRIER)(3)과 편침(6)과 바디(바디살)을 부착한, 바디 자동직기에 의해 간단하고 효과적이면서 더욱 합리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위사의 결속법(제직법)은 직기에 통상의 편침을 변부(SELVEGE)에 설치하고 편침을 일정한 수평으로 전후 왕복운동에 의해 제직된 변(耳)(13)은 한방향의 변의 제직을 갖고 캐리어(CARRIER)의 위사의 좌우, 수평, 왕복, 반복동작에 의해 직접 얻게 된 세폭원단(밴드)의 형성문제를 해결한다.
캐리어(CARRIER)(3)와 V형 바디(2)를 부착한 자동직기는 편침(NEEDLE)(6)을 부착하고 바디가 적절한 수단에 의해(공지된 동력에 의한 움직임) 경사(7) 배열상태에서, 상,하(上,下) 이동한다.
즉, 바디(2)가 상향으로 이동되어 있으면 경사간의 폭이 좁아지고 반대로 바디가 아래로 내려 와 있으면 경사간의 폭이 넓어지게 된다.
앞에 기술한 바디의 바디살(REED WIRE)(4)은 상부분은 넓고 하부분은 좁은 형태로 배치되고 바디(REED)의 상향이동에 의해 V자형 바디(2)내의 바디살(REED WIRE)(5)의 간격도 점점 좁아지게 되므로 경사가 바디의 바디살(REED WIRE)의 간격의 유도에 의하여 좁아지게 되며 앞에 기술한 바디(2)의 위치에 따라서 경사를 끌어 모아(경사밀도 높게) 수축부(9)를 형성하던가 또는 역으로 경사간의 간격을 넓혀 소폭직물(밴드, BAND 등)의 정규의 폭(8)을 갖는 제직부분을 형성시킨다.
이는 구동캠(CAM)으로 상하 유동조절(도시하지 않음)하므로 경사간의 폭을 조절하며 이러한 조절을 연결레버하단에 접치된 편심의 구동캠으로 조절하게 되며 연결레버의 끝이 축과 가까운 캠(CAM)면에 이르게 되면 바디는 하향위치에 있고, 반대로 캠축과 먼거리의 캠면에 연결레버의 끝이 접하게 되면 상향위치에 있게 된다.(공지된 기술로 도시하지 않음)
바디와 바디살은 제직침(편침)의 수평, 전후, 왕복운동에 대해 직각방향에서 상하운동을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부분 수축부(9)를 갖는 세폭원단(밴드)을 형성하는 캐리어(CARRIER) 부착 자동직기에 움직이는 면인 V형 바디(2)와 바디살(4)을 구비한다.
바디보호용 바디틀(REED FRAME)(1)은 바디살(REED WIRE)의 V형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바디(REED)를 상하이동시키면 경사사이의 간격이 넓게 되든가 또는 좁게 되든가 하여 그 결과 세폭직물(밴드, BAND 등)에 정규의 폭(8) 또는 축소의 폭(9)이 주어지고 이러한 2개의 부분사이에는 넓어진 부분에서 점점 좁아지고 그후 점점 넓어지는 형의 접속부(10)를 얻게 되는 것이다.
위사는 여러 종류의 시스템, 특히 캐리어(CARRIER, 위사공급장치)에 의해 이동하며(위입하여) 전후 왕복운동을 하는 편침(NEEDLE)의 사용에 의해서 구성부의 작동으로 결속하여 얻는다.
캐리어(CARRIER)(위사공급장치)의 상부(11)는 위사를 캐리어(CARRIER) 상부 끝구멍에 꿰어 좌로 이동하면서 위사를 위임시키고 그때 캐리어(CARRIER)의 하부(12)는 반대운동으로 우로 이동하게 된다.
캐리어(CARRIER)의 상부(11)는 위사의 위입운동 후에 우측으로 후진하며 동시동작으로 캐리어(CARRIER)의 하부(12)는 반대로 좌측으로 운동을 하게 된다.
캐리어(CARRIER)(3)의 이와 같은 운동은 직선 왕복운동하는 막대(20)와 한쪽 끝이 핀(21)으로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쪽 끝이 상기 캐리어(CARRIER)(3)의 하부(12)와 핀(22)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피버트(23)을 중심축으로 하면서 운동하는 링크(24)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캐리어(CARRIER)(3)는 이와 같이 경사의 상하, 높낮이에 의해 대응한 상대운동을 하면서 위사의 위입에 따라 반복운동을 한다.
직조위사는 캐리어(CARRIER)(3,3´)을 따라 구분되는 경사는 왕복하게 되는데 이때 직조위사가 왕복함으로써 편침(NEEDLE)(6)에 의해 괘지고리가 형성되어 캐리어(CARRIER)의 직조위사를 편침에 걸어 준 후에 고리를 관통 편침이 전후운동하여 괘지고리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쾌지고리가 형성되게 직조위사(5)를 캐리어(CARRIER)(3)의 편침에 걸어 주어 작용이 반복됨으로써 직조경사(7)의 내에서 형성되는 고리와 체결고리가 견고히 결속되어 변(耳)(가장자리)(13)이 일정한 세폭직물(밴드 등)을 제직하게 된다.
폭이 정상인 부분(8)의 밴드의 제직이나 폭이 좁은 부분(9)의 제직에 있어 바디틀(REED FRAME)(1)과 바디살(REED WIRE)(5)의 일체로 형성된 바디의 상하이동운동에 따라 편침(NEEDLE, 위사고정장치)은 측면에 부착되어 측변쪽(4)의 바디살과 항상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이 편침(위사고정장치)에 일정한 위치에서 제직하기 위하여 바디의 움직임에 대응하며 전후 왕복운동을 한다.
이렇게 상관관계의 장치로 일정한 상호거리와 대응되는 움직임을 유지함으로써 변부(SELVEGE)(13)가 균일한 제품을 상산하게 된다.
바디측면에 장착된 위사공급로울러는 장력의 변동 또는 완화를 저지하고 수축부 또는 수축에서 정규넓이쪽으로 가는 부분의 접속부의 제직에는 이것에 호응하여 공급속도를 자동적으로 지연시킨다.
이 위사공급로울러는 공지의 장치이다.(도시하지 않음)
앞에 기술한 세폭직물(밴드 등)의 형상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 제직된 정규폭(8)만으로 된 리본(RIBBON) 또는 이와 유사한 제품에도 임의로 부착하여 사용되어 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을 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원단(세폭원단, 밴드 BAND)의 제직목(目) 즉 바디살(REED WIRE), 가소성(PLASTICITY)(외부로부터 가해진 응력에 의하여 물질이 형태에 영구적 변화를 일으키는 성질을 말한다.) 또는 두께가 특히 수축부(9)나 정상부분 폭(8)이 각각 균일하게 되어 있다.
제직종류(평직, 능직 등)에 관계하지 않고 1종류 이상의 제직방법(정상폭과 세폭의 반복적인 제직)을 이용하는 고속생산이 가능하다.
동일 직기에 의해 여러 종류 폭의 수축부와 접속부분 여러 종류 길이의 넓은 부분에서 점점 좁아지든가 좁아진 부분에서 점점 넓어지는 형을 갖는 것을 형성하여 밴드(제4도의 a,b,c,d,e) 등의 제조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양 변(耳)부(13)가 균일하여 불량률이 없는 제품의 생산이 가능해진다.

Claims (3)

  1. 넓이가 좁은 띠를 제조하는 세폭직기 장치에 있어서, 캐리어(CARRIER, 위상공급장치) 부착직기의 바디틀(REED FRAME)(1)면이 부착되고 바디틀은 바디를 보호지지 하고 해당 바디살(REED WIRE)(4)이 종방향(상하방향)으로 V형으로 설치되고, 수축부의 제직시에 변이 일정하게 형성되고 외측변의 바디살(REED WIRE)이 세폭직물(밴드 등)의 변용 침(NEEDLE, 위사고정장치)(6)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장치로 제직되는 원단(세폭직물)을 정상원단(8)(직선부분)과 수축부분(9)으로 조절되게 하는 제직장치.
  2. 제2항에 있어서, 캐리어(CARRIER, 위사공급장치)(3)는 바디틀(REED FRAME)(1)과 V형 바디(2)의 이동으로 인하여 편침(위사고정장치)과 바디(REED)는 바디살의 폭에 따라 변부의 바디살측부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위사를 공급하기 위한 제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바디틀(REED FRAME)(1)과 바디살(REED WIRE)은 공지의 방향에 의해 경사지게 고정되고, 그리고 바디살은 세폭직물(밴드 BAND 등)의 제직시에 폭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종방향으로 V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장치.
KR1019950047384A 1995-12-07 1995-12-07 자동직기에 있어서 제직되는 원단의 폭(위사방향) 조절장치 KR960014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7384A KR960014595B1 (ko) 1995-12-07 1995-12-07 자동직기에 있어서 제직되는 원단의 폭(위사방향)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7384A KR960014595B1 (ko) 1995-12-07 1995-12-07 자동직기에 있어서 제직되는 원단의 폭(위사방향)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595B1 true KR960014595B1 (ko) 1996-10-16

Family

ID=19438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7384A KR960014595B1 (ko) 1995-12-07 1995-12-07 자동직기에 있어서 제직되는 원단의 폭(위사방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459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31576B2 (ko)
JP6810740B2 (ja) 彫刻を施したような多重パイル高さパターン化物品をタフト付きに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353068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knitted cloth having pile configuration
US4531554A (en) Weaving machine and a method for production of a ribbon-type fastener
CA2263202A1 (en) A device for controlling warp threads for the production of leno fabrics on a textile machine
RU2239009C2 (ru) Бесчелночный лентоткацкий станок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узких тканых изделий, а также узкое тканое изделие
JP3731636B2 (ja) 自由に選択可能なパターンリピートを有する編布の製造方法およびたて編機
KR930006219A (ko) 플러시(plush) 천을 만드는 원편기
US3650228A (en) Tufting machines
US4581905A (en) Process and weaving machine to produce patterned fabrics
CN1045824A (zh) 带绒头经编织物的制造方法及其所用经编机
US56998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lotted webbing on a needle loom
KR960014595B1 (ko) 자동직기에 있어서 제직되는 원단의 폭(위사방향) 조절장치
US4176530A (en) Device for covering warp yarn with covering yarns
US6634068B1 (en) Apparatus for preparing a fabric for seaming
SU843771A3 (ru) Ткацкий бесчелночный станок дл изгОТОВлЕНи лЕНТы C ОСНОВНыМ BOPCOM
JPH0139761B2 (ko)
US575851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omposite drawcord/elastic waistband
KR102306897B1 (ko) 날개사 제조 장치와 방법
US37356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textile fabrics and the fabric produced thereby
EP0694639B1 (en) Sinker arrangement in a knitting machine and knitwork formation methods using said arrangement
JP2625381B2 (ja) 変形筬と該変形筬を使用した細幅織物の織成方法
GB2078795A (en) Combined knitting and weaving process for fabric forming
SU1622455A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ткано-в заного материала
JP2516521B2 (ja) 3次元構造織物の連続糸挿入による耳形成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4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