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4287B1 - 의류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4287B1
KR960014287B1 KR1019930026441A KR930026441A KR960014287B1 KR 960014287 B1 KR960014287 B1 KR 960014287B1 KR 1019930026441 A KR1019930026441 A KR 1019930026441A KR 930026441 A KR930026441 A KR 930026441A KR 960014287 B1 KR960014287 B1 KR 960014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dry
signal
electrodes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6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5073A (ko
Inventor
마사아키 나카우라
마사유끼 가와모토
요시미 츠지모토
다모츠 야마오카
Original Assignee
최창선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나이또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선,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나이또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최창선
Publication of KR940015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5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2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의류건조기
제1도는 건조기의 단면도.
제2도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발명의 개념도.
제3도는 제어회로도.
제4도는 제어프로그램의 플로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싱 2 : 판정기
13 : 건조실 30 : 도달신호누적기
46 : 전극 47 : 목표건조레벨설정기
48 : 비교기 (M) : 피건조물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피건조물 상호간에서 발생하는 고르지 못한 건조를 적게 한 것이다.
건조실에 열풍을 통하게 하여 이것에 수용한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형식의 의류건조기로서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이 있다.
케이싱(1)에는 피건조물(M)을 회전교반하는 회전드럼(10)이 수용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회전드럼(10)은 그 정면측의 원형개방부가 고정 지지링(3)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링(3)의 하부근방에는 피건조물(M)의 건조정도를 검지하는 한쌍의 전극(46,46)이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회전드럼(10)의 배면벽에는 팬(5)의 흡입구(吸入口)(52)가 형성되어 있다.
또, 회전드럼(10)의 아래쪽 공간에는 가스버너(4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스버너(42)의 연소배기는 급기로(給氣路)(4)를 거쳐 상기 회전드럼(10)으로 둘러싸인 건조실(13)내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의류건조기에서는, 피건조물(M)을 개폐문(32)을 통하여 건조실(13)내로 투입한 후, 가스버너(42)를 연소시킴과 동시에 팬(5)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가스버너(42)의 연소배기가 급기로(4)→건조실(13)→배기통(51)으로 흐름과 동시에, 회전드럼(10)의 회전으로 피건조물(M)이 교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드럼(10)으로 둘러싸인 건조실(13)내의 피건조물(M)은 상기 건조실(13)내를 통과하는 연소배기에 노출되어 경시적(經時的)으로 건조되고, 상기 건조정도는 고정부에 설치된 전극(46,46)으로 검지된다. 즉, 양전극(46,46)간에 걸쳐서 접촉하는 피건조물이 습기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양전극간의 저항이 낮고, 건조됨에 따라 그 저항이 증대하는 것을 이용하여 피건조물(M)의 건조정도를 판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극(46,46)의 출력으로부터 피건조물의 건조상태를 판정하는 더욱 구체적인 수법으로서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전극(46,46)이 출력되는 건조정도신호를 미소한 시간간격으로 감시하고, 상기 건조정도신호중, 피건조물이 목표건조레벨에 도달했음을 나타내는 신호(이하, 도달신호라 한다)의 수를 단순누적한다. 즉, 건조동작 개시시로부터의 모든 도달신호를 단순히 누적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누적치(値)가 설정치를 넘었을 때에는 피건조물이 전체적으로 소망의 건조상태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고 건조판정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나, 상기 방법으로 건조상태를 판정하는 경우에는, 동시에 건조시키는 소재가 상이한 복수의 피건조물이 균일하게 건조되지 않아 상호간에 고르지 못한 건조가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피건조물중에 매우 건조되기 쉬운 소재의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른 것보다 먼저 건조하는 상기 피건조물이 전극(46,46)에 접촉할 때마다 상기 전극(46,46)으로부터 도달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도달신호의 단순 누적치(건조동작개시시부터의 누적치)가 설정치에 도달하면, 건조되기 어려운 다른 종류의 피건조물이 미건조(未乾燥)이어도 건조판정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수법을 따르는 경우에는, 소재가 상이한 피건조물의 건조정도가 불균일하게 되어 고르지 못한 건조가 발생하는 것이다.
또, 피건조물(M)이 전극(46,46)에 전혀 접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전극간의 저항치가 매우 크게 되므로 건조상태를 나타내는 도달신호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신호도 누적대상으로 되므로, 고르지 못한 건조가 더욱 현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점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건조실(13)내에 수용된 피건조물(M)을 교반하면서, 상기 건조실(13)내로 온풍을 공급함과 동시에, 건조실(13)내에 설치한 전극(46,46)의 출력에 의거하여 상기 피건조물(M)의 건조상태를 판정하도록 한 의류건조」에 있어서, 각 피건조물의 고르지 못한 건조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을 제2도의 개념도를 인용하면서 설명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전극(46,46)이 출력하는 건조정도 신호와 목표건조레벨설정기(47)에서 설정한 목표건조레벨신호를 비교하여 전자의 건조정도 신호가 후자의 목표건조레벨에 도달하였을 때에 도달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48)와, 상기 도달신호의 발생량을 단위시간마다 누적연산하는 도달신호누적기(30)와, 또 상기 도달신호누적기(30)의 출력이 기준치이상이 되었을 때에 건조판정신호를 출력하는 판정기(2)를 설치하고, 상기 건조판정신호에 의거하여 피건조물(M)의 건조상태를 판단하도록 한」것이다.
상기 기술적수단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각 피건조물의 건조정도를 검지하는 전극(46,46)의 출력이 목표건조레벨설정기(47)에서 설정한 목표건조레벨에 도달하면, 이들 양자의 신호를 비교하는 비교기로부터 도달신호가 출력된다.
그런데, 건조속도특성이 상이한 각 피건조물은, 건조되기 쉬운것이 먼저 목표건조 레벨에 도달하고, 이것이 전극(46,46)에 접촉하였을 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비교기(48)로부터 도달신호가 출력된다. 그런데, 이에 비하여 건조되기 어려운 피건조물은 아직 목표건조레벨에 도달하여 있지 않고 미건조의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미건조의 피건조물(M)이 전극(46,46)에 접촉하였을 때에 비교기(48)로부터의 도달신호가 출력되는 일은 없다. 그리고, 피건조물(M) 전체가 더욱 건조되면, 전극(46,46)에는 목표건조레벨까지 건조된 피건조물(M)이 접촉하는 빈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비교기(48)가 출력하는 도달신호의 발생빈도도 경시적으로 증가한다.
상기 비교기(48)가 출력하는 도달신호의 발생빈도가 증가하면, 상기 도달신호의 발생량을 단위시간마다 누적한 도달신호누적기(30)의 출력도 증가한다. 그리고, 상기 도달신호누적기(30)의 출력이 기준치이상이 되면, 이것을 판단하는 판정기(2)로부터 건조판정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기술적 수단에 의하면, 전극(46,46)으로부터 출력되는 도달신호(피건조물(M)이 목표건조레벨에 도달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의 단위시간당 발생량에 의거하여 건조상태를 판단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혼재하는 매우 건조되기 쉬운 피건조물(M)이 전극(46,46)에 접촉하는 일이 있어도, 단위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비교기(48)로부터 출력되는 도달신호(피건조물이 목표건조레벨까지 건조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의 발생량을 다시 누적하게 되어, 건조되기 쉬운 피건조물(M)이 전극 (46,46)접촉했을 경우 생기는 상기 도달신호가 건조 동작초기부터 단순히 누적되는 일은 없게 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유의 효과를 가진다.
매우 건조되기 쉬운 피건조물(M)이 전극(46,46)에 접촉한 경우에 발생하는 건조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단순 누적되지 않고, 이것이 단위시간마다 캔슬되기 때문에, 건조되기 쉬운 피건조물(M)만이 건조되어 이것이 전극(46,46)에 접촉하는 회수가 증가하여도, 건조판정신호가 조기에 출력되는 일은 없게 된다. 즉, 건조되기 어려운 피건조물(M)이 미건조상태로 건조판정신호가 출력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상기 시점에 있어서의 피건조물 전체의 고르지 못한 건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없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건조기 본체는 상기한 제1도의 것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회전드럼(10)의 전면개방부를 지지하는 고정 지지링(3)의 하부근방에는 근접하게 설치된 한쌍의 전극(46,46)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회전드럼(10)과 팬(5)은 공통의 모터(50)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의류건조기를 구성하는 주요 전기부품은 제3도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이하, 마이컴으로 약칭한다)를 구비한 제어회로(6)로 제어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어회로(6)에는 조작스위치(61)와 상기한 전극(46,46)이 접속되어 있다. 또, 피건조물(M)이 목표건조레벨까지 건조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때 필요한 목표건조레벨설정기(47)가 접속되어 있다. 또, 제어회로(6)에는 건조종료까지의 나머지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기(63), 가스버너(42)측으로의 가스회로에 삽입한 가스밸브(40), 또한 팬(5)과 회전드럼(10)의 구동원이 되는 모터(50)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제어회로에서는 0.5초 간격으로 전극(46,46)의 출력을 100회 감시하도록 되어 있고(전극(46,46)의 출력을 50초 단위로 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전극(46,46)의 건조정도 신호가 「97회」이상 목표건조레벨을 초과했다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건조판정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건조판정신호가 제3도에 나타낸 딥 스위치(dip switch)(56)로 설정한 수(이하, 세트수라 한다)와 동일하게 되었을 때 표시기(63)로 건조동작이 종료될 때까지 필요한 나머지 시간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어회로(6)에 구비된 마이컴내에는 제4도의 플로차트에 나타낸 바와 같은 내용의 제어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고, 본 발명 실시예의 의류건조기의 동작을 상기 제4도를 따라서 설명한다.
①. 스텝71에서 조작스위치(61)가 온(ON)상태임이 확인되면, 스탭72에서 가스버너(42)를 연소시킴과 동시에, 모터(50)를 구동시켜 팬(5) 및 회전드럼(10)을 회전시키는 동작을 실행한다. 또, 건조판정신호의 수를 계수하기 위한 세트수(S)를 「0」으로 설정한다.
②. 스텝73에서 감시회수(I)와 미건조확인회수(J)를 모두「0」으로 초기설정하고, 그 후, 스텝74에서 0.5초간의 시간대기를 실행한다. 그리고, 스텝75에서 전극(46,46)이 출력하는 건조정도신호를 조사하고, 이것이 소정의 목표건조레벨(목표건조 레벨설정기에서 설정한 값으로, 전극(46,46)간의 저항치가 9.1메가옴 이상이 되었을 때에 이들 전극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76에서 미건조확인회수(J)의 값을「1」씩 증가시켜, 상기 미건조확인회수(J)의 값이 「4」가 되면, 피건조물(M)이 전체적으로 목표건조레벨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재차 스텝73을 실행하고 감시회수(I)와 미건조확인회수(J)의 값을 모두 「0」으로 리셋한다. 또, 본 실시예의 스텝75는 상기 기술적수단의 항에 기재한 비교기(48)와 대응한다.
한편 스텝75에서 전극 (46,46)이 검지한 건조정도를 판단하여, 상기 건조정도가 목표건조레벨에 도달할 경우에는, 미건조확인회수(J)의 값을 증가시킬 필요없이 가미회수(I)의 값을 「1」씩 증가시키면서, 상기 감시회수(I)의 값이 「100」이 되는 것을 감기한다.(스텝78,79참조). 그리고, 스텝79를 실행하였을 때 감시회수(I)의 값이 「100」이 되어 있음이 확인된 경우에는, 미건조확인회수(J)의 값이 「3」이하임을 알 수 있게 된다. 즉, 전극(46,46)이 97회이상 목표건조레벨을 검출한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전극(46,46)이 97회 이상 목표건조레벨을 검지한 경우에만 스텝79에서 후술하는 스텝80으로 제어를 이행시키도록 제어하는 마이컴내의 기능부가 상기 기술적수단의 항에 기재한 도달신호누적기(30) 및 판정기(2)와 대응한다.
③. 다음으로, 전극(46,46)의 출력을 「100회」감시한 결과, 미건조 확인회수(J)의 값이 「3」이하인 경우, 즉, 이 동안에 전극(46,46)의 출력이 「97」회 이상 목표 건조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세트수(S)의 값을 「1」씩 증가시키고(스텝80 참조), 그 후, 스텝81에서 상기 세트수(S)가 딥 스위치(56)에 의한 설정치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딥 스위치(56)에 의하여 「12」의 값이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세트수(S)의 값을 순차증가시켜 가는 스텝81이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있어서의 계수기와 대응한다.
④. 스텝81에서 세트수(S)의 값이 딥 스위치(56)의 설정치와 일치함이 확인되면, 스텝82에서 나머지 시간(T)의 값을 「10분」으로 세트하고, 이것을 표시기(63)에 표시한다(스텝83 참조). 다음으로 나머지 시간(T)의 값을「1분」마다 감소시키고 이것을 표시기(63)에 다시 표시하고, 나머지 시간(T)이 3분이하로 될 때까지 이 동작을 반복한다.(스텝83~87참조). 그리고, 나머지 시간(T)의 값이 3분이하로 되면, 가스버너(42)를 소화시킴과 동시에, 다시 스텝90에서 표시기(63)의 표시시간(나머지 시간(T)의 값)을 1분마다 감소시키고, 이것을 상기 표시기(63)에 표시한다. 그리고, 나머지 시간(T)의 값이 「0」이 되면, 이것을 스텝89에서 확인하고 모터(50)를 정지시킨다.
이것으로 건조동작이 완료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가열장치로서 가스버너(42)를 채용하였으나, 전기히터등의 다른 가열장치를 채용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미건조확인회수(J)의 값을 감시하고, 이것이 「4」이상이 되면 감시회수(I) 및 미건조 확인회수(J)의 값을 동시에 리셋하도록 하였으나, 감시회수(I)가 「100」이 될 때까지 발생하는 도달신호만을 카운트하여, 상기 도달신호의 카운트 수가 「97」이상이 되었을 때에 건조판정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여도 된다. 단, 미건조 확인회수(J)와 감시회수(I)를 이용하여 도달신호의 누적치를 연산하는 도시 실시예의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 미건조 확인회수가 「4」로 되었을 때에는 감시회수(I)가 「97」미만이어도 상기 감시회수(I) 등의 리셋동작이 실행되게 된다. 따라서, 가령 도달신호의 발생수가 극히 적은 경우라 하더라도 감시회수(I)가 반드시「97」이상이 되지 않으면 상기 리셋동작이 실행되지 않는 후자의 것에 비하여 원활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Claims (2)

  1. 건조실(13)내에 수용된 피건조물(M)을 교반하면서 상기 건조실(13)내로 온풍을 공급함과 동시에, 건조실(13)내에 설치한 전극(46,46)의 출력에 의거하여 상기 피건조물(M)의 건조상태를 판정하도록 한 의류 건조기에 있어서, 전극(46,46)이 출력하는 건조 정도신호와 목표 레벨설정기(47)에서 설정한 목표 건조레벨신호를 비교하여 전자의 건조정도 신호가 후자의 목표 건조레벨에 도달하였을 때에 도달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48)와; 상기 도달신호의 발생량을 단위시간마다 누적 연산하는 도달신호 누적기(30)와; 또 상기 도달신호 누적기(30)의 출력이 기준치 이상이 되었을 때에 건조 판정신호를 출력하는 판정기(2)를 설치하고, 상기 건조 판정신호에 의거하여 피건조물(M)의 건조상태를 판단하도록 한 의류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판정기(2)가 출력하는 건조 판정신호기의 수를 계수하는 계수기를 설치하고, 상기 계수치에 의거하여 기구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 의류건조기.
KR1019930026441A 1992-12-08 1993-12-03 의류건조기 KR960014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328198A JP2887629B2 (ja) 1992-12-08 1992-12-08 衣類乾燥器
JP92-328198 1992-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073A KR940015073A (ko) 1994-07-20
KR960014287B1 true KR960014287B1 (ko) 1996-10-14

Family

ID=18207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6441A KR960014287B1 (ko) 1992-12-08 1993-12-03 의류건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887629B2 (ko)
KR (1) KR960014287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2700A (ja) * 1984-10-13 1986-05-10 株式会社東芝 乾燥機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073A (ko) 1994-07-20
JPH06170089A (ja) 1994-06-21
JP2887629B2 (ja) 199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540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lothes dryer
US6158148A (en) Method for detecting impermissible operating states in a hot-air clothes dryer, and a dryer with such a detection method
US10087570B2 (en) Intelligent electronic system for previously sensing the dryness condition of a textile clothes load in an automatic electronic clothes dryer machine
US7345491B2 (en) Clothes dryer moisture sensing circuit
US4422247A (en) Low voltage sensor for a dryer
EP2458076A1 (en) Rotatable-drum laundry drier and method of controlling a rotatable-drum laundry drier to dry delicate laundry
EP2336419A1 (en) Clothes dryer
US3197884A (en) Control system for fabric drying apparatus
EP2295629B1 (en) Dryer and control method for same
US3417480A (en) Domestic appliance with control means
KR101611270B1 (ko) 무게감지장치를 갖는 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건조기제어방법
US3200511A (en) Drier control
US200301501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clothing dryer having a fire protective system
KR960014287B1 (ko) 의류건조기
EP3392399B1 (en) Clothes dryer
US7313874B2 (en)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3613254A (en) Drier control
US3497964A (en) Electronic control circuit for a dryer
US3436838A (en) Dryer control
US3613253A (en) Drier control
US70135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 fire suppression system in a clothes dryer
KR970006595B1 (ko) 의류 건조기
JPS6057359B2 (ja) 乾燥機の負荷量検出装置
US11346043B2 (en) Dryer applian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in response to restricted air flow
US10544541B2 (en) Clothes dr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