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4149B1 - 불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정보기기의 데이터 백업방법 - Google Patents

불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정보기기의 데이터 백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4149B1
KR960014149B1 KR1019940018478A KR19940018478A KR960014149B1 KR 960014149 B1 KR960014149 B1 KR 960014149B1 KR 1019940018478 A KR1019940018478 A KR 1019940018478A KR 19940018478 A KR19940018478 A KR 19940018478A KR 960014149 B1 KR960014149 B1 KR 960014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am
frame
nonvolatile memory
e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8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18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41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149B1/ko

Links

Landscapes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불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정보기기의 데이터 백업방법
제1도는 종래의 정보기기의 하드웨어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기기의 일부분의 하드웨어 블록도.
제3a도 내지 제3c도는 제2도에 도시된 램(14)과 불휘발성 메모리(18)의 메모리 맵 및 단위 프레임 데이터의 구조(Structure)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기기의 데이터 백업 제어 흐름도.
본 발명은 중앙처리장치 혹은 마이크로 프로세서등과 같은 데이터 처리장치를 가지는 정보기기의 데이터 백업 방법을 개량한 것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불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하여 정보기기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램에 백업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중앙처리장치(이하 CPU라 함) 혹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이하 MPU라 함)등과 같은 데이터 처리장치를 구비하는 정보기기등은 전원의 이상등에 대비하여 중요 데이터, 예를 들면, 시스템 셋업(SET-UP)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백업 램(Back-up RAM)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백-업 램은 백원전원(Back-up battery)에 의해 저장된 데이터를 보존하고 있다. 통상 백업 램은 정적 동작을 하는 에스-램(S-RAM)이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정보기기라 함은 CPU와 MPU를 구비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는 모든 전자기기를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무선전화기, 퍼스털 컴퓨터, 정보기억장치, 팩시밀리를 포함하는 전화통신 단말기등이 될 수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정보기기의 일부분의 하드웨어 블록도이다. 이의 구성은, 중요 데이터를 백업하고 있는 백업램(14)과, 배터리(Vbat)를 가지고 상기 백업 램(14)과 전원전압(Vcc)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전압(Vcc)를 상기 백업 램(14)에 공급함과 동시에 배터리(Vbat)에 충전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전원전압(Vcc)의 차단에 응답하여 상기 배터리(Vbat)의 전압을 상기 백업 램(14)에 공급하는 백업전원부(16)와, 상기 백업 램(14)으로부터의 백업 데이터를 억세스하는 CPU(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도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정보기기의 데이터 백업회로의 동작은 이미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중요 정보의 백업을 백업 램(에스-램)(14)를 이용하여 저장하고, 상기 백업 램(14)을 백업전원부(16)의 배터리(Vbat)의 전압에 의해 보존하는 방법이다. 이의 동작을 설명라면 하기와 같다.
상기 제1도의 회로에 정상적인 전원전압(Vcc)가 공급되면 트랜지스터(Q)가 온스위칭되어진다. 이때 전원전압(Vcc)은 상기 온스위칭된 트랜지스터(Q)의 콜렉터와 에미터간을 통하여 베터리(Vbat)와 백업 램(14)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전원전압(Vcc)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면, 백업 램(14)은 상기 전원전압(Vcc)의 공급에 의해 동작 가능하게 되며, 배터리(Vbat)는 상기 트랜지스터(Q)의 에미터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충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데이터 백업회로는 배터리(Vbat)의 충전전압에 의해 백업 램(14)에 저장된 중요 데이터를 백업하는 방법으로서, 많은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즉, 백업용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Vbat)의 수명이 완료되면 기본 설정 전압값을 잃어버려 백업 램(14)에 저장된 중요 데이터 정보가 망실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뿐만이 아니라 전자기기의 동작중 시스템 에러등이 발생시 백업 램(14)의 정보설정 영역에 임의의 정보가 겹쳐 기록되어 기록된 중요 정보가 망실되는 문제점을 야기시키기도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에스 램을 이용하지 않고, 이 스퀘어 피롬(EEPROM)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백업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 스퀘어 피롬의 수명의 한정(통상적으로 약 10만회의 억세스)과 노이즈등으로 인하여 저장된 데이터가 망실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스-램을 백업 메모리로 이용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불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하여 중요정보를 백업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백업 램에 저장된 정보의 이상 유무를 검색하고, 상기 백업 램의 정보를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로서 복구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기기의 일부분의 하드웨어 블록도이다. 제2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전술한 제1도의 구성에 직렬 데이터를 억세스하는 불휘발성 메모리(18)가 CPU(12)에 더 부가 접속된 구성을 제외하고, 모든 구성이 동일하다. 제2도의 구성중, 제1도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은 제1도의 참조부호와 용어를 동일하게 사용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제3a, 제3b, 제3c도는 제2도에 도시된 백업 램(14)과 불휘발성 메모리(18)의 메모리 맵 및 단위 프레임 데이터의 구조(Structure)도이다. 본 발명에서 백업 램(14)과 불휘발성 메모리(18)의 데이터 구조를 제3도와 같이 한 이유는 데이터 정보의 유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백업 램(14)에 3군데에 제3c도와 같은 데이터 구조를 갖는 제1, 제2, 제3ID프레임을 설치하였으며 불휘발성 메모리(18)에 제4, 제5, 제6ID프레임을 설정하였다. 이때 상기 백업 램(14)과 불휘발성 메모리(18)에 각각 설치된 여러 ID프레임들의 위치는 연속되지 않도록 불특정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각각의 ID프레임들은 1바이트 단위의 데이터들(D1∼Dn)들과 채크섬(Check Sum)(CK-SUM)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백업 램(14) 및 불휘발성 메모리(18)에 각각 저장된 ID프레임의 데이터들 각각은 전자기기의 중요 정보로써 생산 단계에서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정보이다. 무선전화기의 예를 들면, ID정보등일 수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기기의 데이터 백업 제어 흐름도로서, 이는 제2도의 CPU(12)내의 메모리 영역에 마스킹되어 있으며, 이의 제어 수순은 하기와 같다.
지금 제2도와 같이 구성된 회로의 전원이 온되어 각부에 전원전압(Vcc)이 공급되면, 제2도의 CPU(12)는 백업 램(14)에 저장된 중요정보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4도와 같은 ID채크 루틴을 수행한다. 상기 제4도와 같은 ID채크 루틴은 전원이 온시 매번 수행되며, 중요 정보를 상기 CPU(12)가 억세스 전에도 정보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된다.
ID채크 루틴을 수행하는 CPU(12)는 제4도의 42과정에서 제어신호라인(C), 어드레스 라인(A)으로 리이드제어신호 및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하여 백업 램(14)의 제1ID프레임의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모두 억세스하여 데이터 라인(D)으로 읽어들인다. 그리고, 읽어들인 제1ID프레임의 데이터의 내용을 모두 가산하고, 상기 가산된 데이터의 마지막 2자리값(1바이트의 값)을 제1ID프레임의 채크섬의 값으로 추출한다.
상기 CPU(12)는 제4도의 42과정에서 백업 램(14)에 저장된 제1ID프레임의 채크섬(CK-SUM1)[여기서 숫자 1은 제1ID프레임의 최종 데이터인 채크섬(CK-SUM)을 의미한다]의 값과 상기 제4도의 42과정에서 추출계산된 제1ID프레임의 채크섬의 값을 비교한다. 상기 제4도의 42과정의 검색 결과 계산된 제1ID프레임의 캐크섬값과 저장된 채크섬(CK-SUM1)의 값이 동일한 경우 상기 CPU(12)는 백업 램(14)에 저장된 데이터의 내용이 변동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만약, 상기 제4도의 44과정에서 제1ID프레임의 데이터의 가산에 의해 계산된 채크섬과 제1ID프레임의 최종영역에 저장된 채크섬(CK-SUM1)의 값이 다르다고 판단되면 상기 CPU(12)는 백업 램(14)에 저장된 데이터의 내용이 변동되었다고 판단하고, 50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50과정을 수행하는 CPU(12)는 전술한 42과정과 동일하게 백업 램(14)의 제2ID프레임의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D1∼Dn)의 내용을 모두 가산하고, 상기 가산된 데이터의 마지막 2자리값(1바이트의 값)을 제2ID프레임의 체크섬의 값으로 추출한다. 그리고, 52과정에서 CPU(12)는 상기 계산된 제2ID프레임의 체크섬의 값과 제2ID프레임의 최종 영역에 저장된 채크섬(CK-SUM2)의 값을 비교하여 같은가를 검색한다. 상기 52과정의 검색결과 같다면 CPU(12)는 제2ID프레임의 데이터가 변동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54과정에서 제2ID프레임의 데이터를 제1ID프레임의 영역에 복사하여 제1ID프레임 영역의 데이터를 갱신한다.
상기 52과정의 검색 결과 제2ID프레임의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로서 계산된 채크섬과 제2ID프레임의 최종영역에 저장된 채크섬(CK-SUM2)의 값이 다르다고 판단되면, 상기 CPU(12)는 전술한 제50, 제52, 제54과정과 동일한 제56, 제58, 제60과정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CPU(12)는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백업 램(14)에 저장된 3개의 ID프레임중 적어도 하나만이 정상적으로 검출되면 나머지 영역의 ID프레임의 자동적으로 갱신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제4도와 같은 동작중 제44과정에서 백업 램(14)에 저장된 데이터의 내용이 변동되지 않았다고 검출되거나, 제54과정 혹은 제56과정의 동작에 의해 백업 램(14)에 저장된 ID프레임중 변동된 ID프레임의 데이터를 갱신한 CPU(12)는 제4도의 46과정에서 백업 램(14)에 저장된 제1ID프레임의 채크섬(CK-SUM1)과 불휘발성 메모리(18)에 저장된 제4ID프레임의 채크섬(CK-SUM4)의 값이 동일한지를 검색한다. 여기서, 상기 두 개의 채크섬의 값이 같다고 판단되면, 상기 CPU(12)는 불휘발성 메모리(18)에 저장된 데이터의 내용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하여 데이터의 백업 동작을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 46과정에서 백업 램(14)에 저장된 제1ID프레임의 채크섬(CK-SUM1)과 불휘발성 메모리(18)에 저장된 제4ID프레임의 채크섬(CK-SUM4)가 상이하다고 판단되면 CPU(12)는 제1ID프레임의 데이터를 불휘발성 메모리(18)에 설정된 제4 내지 제6ID프레임의 영역에 복사하여 갱신한다.
상기한 동작에 의해 백업 램(14)의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거출되면, CPU(12)는 불휘발성 메모리(18)의 영역에 저장된 ID프레임의 데이터와 백업 램(14)의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불휘발성 메모리(18)에 저장된 데이터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여 이상이 발생된 경우 이를 갱신함을 알 수 있다.
만약, 제2도와 같은 구성중, 백업전원부(16)내의 베터리(Vbat)의 수명완료로 인하여 백업 램(14)에 설정저장된 제1 내지 제3ID프레임의 데이터가 망실되었다면, CPU(12)는 제4도의 62과정에서 불휘발성 메모리(18)에 저장된 제4ID프레임의 데이터(D0∼Dn)를 읽는다. 상기 제4ID프레임의 데이터(D0∼Dn)을 읽은 CPU(12)는 62과정에서 상기 제4ID프레임의 데이터(D0∼Dn)를 모두 가산하고, 상기 가산된 데이터의 마지막 2자리값(1바이트의 값)을 제4ID프레임의 채크섬의 값으로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CPU(12)는 64과정에서 제4ID프레임의 최종 영역에 저장된 채크섬(CK-SUM4)의 값과 상기 계산된 채크섬을 비교하여 동일한가를 검색한다. 상기 64과정의 비교 결과 상기 제4ID프레임의 데이터의 가산에 의해 계산된 채크섬과 미리 저장된 채크섬(CK-SUM4)의 값이 동일하다면 상기 CPU(12)는 66과정에서 불휘발성 메모리(18)의 제4ID프레임의 데이터를 백업 램(14)의 소정의 위치에 각각 설정된 제1, 제2, 제3ID프레임의 영역에 복사하여 백업 램(14)의 데이터를 갱신한다.
상기와 같은 수순으로 불휘발성 메모리(18)내의 앞선 ID프레임의 데이터가 에러가 발생되면, CPU(12)는 제6ID프레임의 데이터까지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백업 램(14)의 소정의 위치에 설정된 제1 내지 제3ID프레임의 데이터와 불휘발성 메모리(18)의 제4 내지 제5ID프레임의 데이터를 갱신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데이터의 백업을 이 스퀘어 피롬과 에스 램을 이용하여 실행함으로써 중요데이터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고, 에스 램(혹은 이 스퀘어 피롬)에 저장된 정보에 오류가 발생시 이 스퀘어피롬(혹은 에스 램)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호 갱신토록 함으로써 중요정보의 오류를 최대한 없앨 수 있다. 또, 에스 램과 이 스퀘어 피롬에 각각 저장된 자체 정보를 채크섬을 이용하여 정보의 오류를 방지함으로써 데이터의 백업을 보다 정확히 할 수 있다.

Claims (2)

  1. 중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램과, 배터리를 가지고 상기 램과 전원전압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전압을 상기 램에 공급함과 동시에 배터리에 충전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전원전압의 차단에 응답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상기 램에 공급하는 백업전원부와, 중요데이터를 소정의 제어에 의해 억세스하는 불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램과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동작하는 중앙처리장치를 구비한 정보기기의 데이터 백업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의 에러 유무를 검출할 수 있는 채크섬 정보를 가지는 ID프레임의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상기 램과 불휘발성 메모리의 각각에 설정하여 저장하는 정보 설정 단계와, 상기 램 및 불휘발성 메모리의 하위 어드레스의 위치로부터 상위 어드레스의 위치에 걸쳐 저장된 ID프레임들의 에러 유무를 검출하는 제1에러 검출과정과, 상기 제1에러 검출과정에서 소정의 어드레스 위치에 위치된 ID프레임의 에러를 검출시에 상위 어드레스 영역에 저장된 ID프레임의 데이터로서 하위 어드레스의 영역에 저장된 ID프레임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제1에러 복구 과정과, 상기 램에 저장된 ID프레임의 데이터와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ID프레임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불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 에러를 검출하는 제2에러 검출과정과, 상기 제2에러 검출과정에서 에러를 검출시에 응답하여 상기 램에 저장된 ID프레임의 데이터로서 상기 제2메모리의 ID프레임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제2에러 복구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정보기기의 데이터 백업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에러 검출과정은, 상기 램의 하위 어드레스의 영역에 설정 저장된 ID프레임의 데이터를 가산하고, 상기 가산된 데이터의 하위 바이트의 값을 상기 ID프레임의 최종 영역에 설정 저장된 채크섬의 값과 비교하여 다른 경우 에러로 검출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정보기기의 데이터 제조방법.
KR1019940018478A 1994-07-28 1994-07-28 불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정보기기의 데이터 백업방법 KR960014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8478A KR960014149B1 (ko) 1994-07-28 1994-07-28 불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정보기기의 데이터 백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8478A KR960014149B1 (ko) 1994-07-28 1994-07-28 불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정보기기의 데이터 백업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149B1 true KR960014149B1 (ko) 1996-10-14

Family

ID=19389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8478A KR960014149B1 (ko) 1994-07-28 1994-07-28 불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정보기기의 데이터 백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41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1446A (ko) * 2015-11-26 2017-06-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데이터 무결성 검증 및 복구 기능을 가진 배터리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1446A (ko) * 2015-11-26 2017-06-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데이터 무결성 검증 및 복구 기능을 가진 배터리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2839B2 (ja) メモリ制御回路、不揮発性記憶装置及びメモリ制御方法
US7925843B2 (en) Memory controller having a plurality of memory regions for protection against power failure
US5502732A (en) Method for testing ECC logic
US20090055680A1 (en) Nonvolatile storage device, memory controller, and defective region detection method
JPH09330273A (ja) メモリカードおよびメモリカードにおける誤り訂正方法
KR970062904A (ko) 이중면 비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데이타베이스 회복 장치 및 그 방법
RU224862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нения содержимого запоминающих устройств блоков управления
EP0886211B1 (en) Initial program load
US5381544A (en) Copyback memory system and cache memory controller which permits access while error recovery operations are performed
KR960014149B1 (ko) 불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정보기기의 데이터 백업방법
JP3461097B2 (ja) 中央処理装置用電源供給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電源供給方法
US6941413B2 (en) Nonvolatile memory, its data updating method, and card reader equipped with such nonvolatile memory
US8074120B2 (en) Method for recognizing a power failure in a data memory and recovering the data memory
US6604194B1 (en) Program upda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CN112908390B (zh) 数据存储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H0973417A (ja) 多重メモリ制御方法
US20030081468A1 (en) Method and device for backing up data in a memory module and memory module
JP3094924B2 (ja) 通信装置制御回路
KR20010017586A (ko) 정보 단말기의 저장 프로그램 갱신 방법
JPH08153045A (ja) メモリ制御回路
US71816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main data with two checkup data
JPH10177527A (ja) フラッシュメモリにおけるデータ書き込み/読み出し方法およびフラッシュメモリを用いた記憶装置
JP2001318836A (ja) 不揮発性メモリのデータ管理方法
KR100249809B1 (ko) 주기억 장치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을 위한 이중 포트 램 사용무중단 연속 메모리 백업 장치 및 방법
JPH03211619A (ja) データ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