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2843B1 - 컴퓨터 보호 및 팩스모뎀 자동 온/오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컴퓨터 보호 및 팩스모뎀 자동 온/오프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2843B1
KR960012843B1 KR1019940011915A KR19940011915A KR960012843B1 KR 960012843 B1 KR960012843 B1 KR 960012843B1 KR 1019940011915 A KR1019940011915 A KR 1019940011915A KR 19940011915 A KR19940011915 A KR 19940011915A KR 960012843 B1 KR960012843 B1 KR 960012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output
unit
inverter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1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770A (ko
Inventor
이형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 전
장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 전, 장성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 전
Priority to KR1019940011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2843B1/ko
Publication of KR950033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2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8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78Power saving in modem or I/O inte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컴퓨터 보호 및 팩스모뎀 자동 온/오프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장치의 회로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파워대기 표시 및 서어지 노이즈 차단부20 : 정전기 방전 및 표시부
30, 32 : 라인 필터부40, 44 : 출력선택 및 표시부
50 : 회로전원부60 : 입력신호 검출부
70 : 입력신호 처리부80 : 오동작 방지부
90 : 릴레이 제어부100 : 릴레이부
본 발명은 입력파워의 서어지 및 정전기 노이즈 발생에 따른 자체 컴퓨터 시스템의 장애와 시스템간 또는 타통신기기간의 전자파 장애 및 고주파 장애를 방지하고 통신포트로부터의 데이터 입력 유무에 따라 자동적으로 컴퓨터 시스템의 파워 온/오프를 제어하게 되는 컴퓨터 보호 및 팩스모뎀 자동 온/오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시스템은 크게 독립적으로 파워가 공급되는 컴퓨터 본체, 모니터, 프린터로 구성되는데, 통상 입력파워 서어지 흡수 장치가 마련된 멀티 콘센트를 통하여 각 주변기기에 파워라인을 연결한 후, 사용자 의지에 따른 해당 주변기기의 매인 파워 스위치 온/오프 조작으로 해당 컴퓨터 주변 기기에 파워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컴퓨터 시스템에 사용되는 멀티 콘센트는 단순히 입력 전압의 서어지 노이즈로부터 컴퓨터 시스템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질 뿐, 정전기 노이즈 유입이나 과전류 상태가 발생되면 이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장애를 방지할 수 없게 된다.
특히 EMI(전자파 장애) 및 PRI(고주파 장애)에 대한 대책이 컴퓨터 시스템을 이루는 각각의 주변기기마다 마련되어 있지 않을 경우, 멀티파워 콘센트를 통하여 타컴퓨터 시스템이나 통신기기등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파워 서어지 및 정전기 노이즈에 의한 컴퓨터 시스템의 고장을 방지하고 EMI 및 RFI를 방지하기 위한 컴퓨터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 포트로의 팩스 모뎀 신호등의 입력 유무에 따라 컴퓨터 및 그 주변기기의 파워를 자동으로 온/오프 제어하는 팩스모뎀 자동 온/오프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 제어장치의 회로구성도로써, 먼저 컴퓨터 보호장치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파워플러그를 통하여 입력되는 상용 AC 입력전압은 회로차단기(CB1)를 거쳐 파워 대기표시 및 서어지 노이즈 차단부(10)로 인가되게 구성한다.
상기 파워 대기 표시 및 서어지 노이즈 차단부(10)는 공통 그라운드로 된 서어지 흡수용 콘덴서(C1, C2)와, 상기 콘덴서(C1, C2)에 각각 병렬로 접속되는 제1퓨즈(F1), 제1발리스터(V1)의 직렬회로 및 제2바리스터(F2), 제2퓨즈(V2)의 직렬회로와, 상기 제1,2바리스터(V1, V2)가 이루는 직렬 회로의 양단간에 각각 연결된 제3바리스터(V3), 스텐바이 발광 다이오드(LED1), 및 정류 다이오드(D1)를 포함한다.
상기 파워대기 표시 및 서어지 노이즈 차단부(10)의 출력은 마스터 스위치(S1)를 거쳐 스파크 발광 다이오드(LED2), 정류 다이오드(D2) 및 저항(R2)의 직렬회로로 구성된 정전기 방전 및 표시부(20)와 코일(L1, L2)를 포함하는 제1라인필터부(30)와 코일(L3, L4)을 포함하는 제2라인 필터부(31)와 코일(L5, L6)을 포함하는 제3라인 필터부(32)로 각각 인가되게 구성한다.
상기 제1라인 필터부(30)를 거치 전압은 제1라인 출력 스위치(S3)와 제1라인 출력 발광 다이오드(LED3), 정류다이오드(D3) 및 저항(R3)의 직렬회로로 구성된 제1출력 선택 및 표시부(40)를 거쳐 제1출력 콘센트에 나타나게 구성한다.
상기 제2라인 필터부(31)를 거친 전압은 제2라인 출력 스위치(S4)와 제2라인 출력 발광 다이오드(LED4), 정류다이오드(D4) 및 저항(R4)의 직렬회로로 구성된 제2출력 선택 및 표시부(41)와, 그리고 제3라인 출력 스위치(S5)와 제3라인출력 발광 다이오드(LEC5), 정류다이오드(D5) 및 저항(R5)의 직렬회로로 구성된 제3출력 선택 및 표시부(42)를 각각 거쳐 제2, 제3출력 콘센트에 나타나게 구성한다.
상기 제3라인 필터부(32)를 거친 전압은 제4라인 출력 스위치(S6)와 제4라인 출력 발광 다이오드(LED6), 정류다이오드(D6) 및 저항(R6)의 직렬회로로 구성된 제4출력 선택 및 표시부(43)와, 그리고 제5라인 출력 스위치(S7)와 제5라인 출력 발광 다이오드(LED7), 정류다이오드(D7) 및 저항(R7)의 직렬회로로 구성된 제5출력 선택 및 표시부(44)를 각각 거쳐 제4, 제5출력 콘센트에 나타나게 구성한다.
다음은 팩스모뎀 자동 온/오프 제어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력잭(J1)을 통하여 수신되는 통신 라인 입력 신호는 신호 검출부(60)를 통하여 출력잭(J2)을 거쳐 컴퓨터의 통신포트로 전송되게 구성한다.
실질적으로 2개의 통신라인중에서 하나는 입,출력잭(J1, J2)을 통하여 직접 통신포트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입력 신호검출부(60)의 브릿지 형태로 구성된 4개의 다이오드(D11-D13)에 의해 입력 신호의 유무가 검출되게 된다.
상기 입력신호 검출부(6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브릿지 다이오드와 이 브릿지 다이오드의 공통 음극과 공통 양극 사이에 각각 연결된 직렬 정류다이오드(D8, D9) 및 포토커플러(PC1)의 포토다이오드(PD1)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신호 검출부(60)의 검출출력은 포토커플러(PC1)의 포토트랜지스터(PT1)를 포함하는 입력신호 처리부(70)에서 로직화되어 릴레이 제어부(90)의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로 제공되게 구성한다.
상기 입력신호 처리부(70)은 구체적으로, 아래에서 설명하게될 회로전원부(50)에서 발생된 회로전압이 저항(R11)과 포토 트랜지스터(PT1)를 통하여 그라운드로 흐르게 연결하고,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PT1)의 콜렉터 출력은 제1,2인버터(I1, I2)를 거쳐 콘덴서(C6)와 저항(R10)의 시정후 회로를 통하여 제3인버터(I3)에 입력되게 연결하고, 저항(R12)를 통한 회로전원부(50)의 회로전압은 다이오드(D14, D15)를 통하여 각각 제3인버터(I3)의 출력단과 제2인버(I2)의 출력단에 인가되게 연결하고 또한 상기 회로전압은 제4인버터(I4) 및 저항(R13)을 거쳐 입력신호 처리부(70)의 최종 출력 로직으로 나타나게 연결한다.
상기 릴레이 제어부(90)의 출력에 의해서는 릴레이(100)의 릴리에 코일(RL1)에 회로전원부(50)의 회로전압이 공급되게 연결하고, 상기 릴레이부(100)의 릴레이 접점(S2)은 컴퓨터 시스템의 파워라인상에 삽입하여 구성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릴레이 접점(S2)은 앞에서 기술한 마스터 스위치(S1)에 병렬로 접속된다.
상기 회로전원부(50)는 상용 AC 입력전압을 콘덴서(C3, C4)와 저항(R8)을 통하여 받아 브릿지 다이오드(VD1)에 의해 정류되고 콘덴서(C5)로 평활되고 제너다이오드(ZD1)로 안정화되게 연결하여 구성한다.
한편 팩스모뎀 자동 온/오프 제어장치의 스타트 전원투입시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오동작 방지부(80)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오동작 방지부(80)는 저항(R15)을 통한 그라운드 로직 레벨이 제5인버터(I5)를 거쳐 콘덴서(C7)와 저항(R14)에 의한 RC 시정수 회로를 통한 후 제6인버터(D6)에 인가되게 연결하고, 상기 제6인버터(D6)의 출력이 로우레벨 로직이 되면 릴레이 제어부(90)의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전위가 다이오드(D16)를 통하여 그라운드로 바이패스되게 연결하여 구성한다.
여기에서 저항(R16)은 실질적으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바이어스용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파워플러그를 상용 AC 전압 콘센트에 투입하게 되면 AC 전압이 회로차단기(CB1)를 거쳐 파워대기 표시 및 서이지 노이즈 차단부(10)에 인가된다. 이때 AC 전압에 변동이 따르게 되면 인가전압대 저항값이 급격이 변화하는 제1-제3바리스터(V1-V3)에 의해 그 변동분이 흡수되게 되며, 콘덴서(C1, C2)에 의해서는 입력전압에 포함된 서어지 성분을 흡수하게 된다.
또한, 제1-제3바리스터(V1-V3) 양단에 나타난 전압은 저항(R1)을 통하여 정류다이오드(D1)로 정류되어 스탠바이 발광 다이오드(LED1)를 점등시키게 되며, 과도입력에 따라 제1,2퓨즈(F1F2)중 어느 하나 이상이 끊어지게 되면 상기 스탠바이 발광 다이오드(LED1)가 소동되므로 이를 통하여 퓨즈의 단선을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파워 스탠바이 상태에서 마스터 스위치(S1)를 온 시키게 되면, 정전기 방전 및 표시부(20)의 발광 다이오드(LDE2)가 점등되어 제1-제3라인필터부(30∼22)를 통하여 각 출력 선택 및 표시부(40∼44)까지 AC전압이 투입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상기 정전기 방전 및 표시부(20)에는 정전기 방지용 금속막대가 마련되며, 이를 통하여 정전하를 외부로 바이패스 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제3라인 필터부(30∼32)는 저역통과필터를 만드는 코일(L1, L2, L3, L4, L5, L6)에 의해, 컴퓨터 및 주변기기와 AC 전원과의 사이에서 상호 영향할 수 있는 전자파 장애와 고주파 장애를 차단하게 된다.
한편 제1라인 필터부(30)를 거친 AC 전압은 제1출력 선택 및 표시부(40)를 통하여 제1출력 콘센트에 컴퓨터 본체용 출력전압(Vout1)으로 제공되는데, 이는 제1출력 선택 및 표시부(40)의 제1라인 출력 스위치(S3)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며, 상기 제1라인 출력스위치(S3) 온시에는 스위치 후단에 연결된 제1출력라인 발광 다이오드(LED3)가 다이오드(D3)에 의해 정류되고 저항(R3)에 의해 전류 제한되는 제1라인 출력 전압으로 발광되어 컴퓨터 본체에 제1출력 전압(Vout1)이 인가됨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제2라인 필터부(31)를 거친 AC 전압은 제2출력 선택 및 표시부(41)와 제3출력 선택 및 표시부(42)를 통하여 모니터와 프린터에 각각 제2, 제3출력전압(Vout2, Vout3)으로 제공되며, 이들 제2, 제3출력 선택 및 표시부(41, 42)도 제1출력 선택 및 표시부(40)와 마찬가지로 각각 제2, 제3라인 출력 스위치(S4, S5) 및 이들 스위치(S4, S5)의 온/오프에 따라 점등/소등제어 되는 제2, 제3출력라인 발광 다이오드(LED4, LED5)에 의하여 파워 공급여부가 표시된다.
또한, 제3라인 필터부(32)를 거친 AC 전압은 제4, 제5출력 선택 및 표시부(41, 42)를 통하여, 제4, 제5출력라인 전압(Vout4, Vout5), 즉 제1,2보조전압으로써 출력되며, 마찬가지로 각각의 제4, 제5라인 출력 스위치(S6, S7)에 의하여 제4, 제5출력 라인 발광 다이오드(LED6, LED7)가 점등 또는 소등되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팩스모뎀 자동 온/오프 제어장치의 회로구성에 대한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파워대기 표시 및 서어지 노이즈 차단부(10)에 의해 서어지 및 전압 변동 성분이 완충된 AC 입력전압은 회로전원부(50)의 콘덴서(C3, C4) 및 저항(R8)을 거쳐 브릿지 다이오드(VD1)에서 저전압으로 정류되고 콘덴서(C5)로 평활되고 또한 제너 다이오드(AD1)로 안정화된 후 릴레이부(100)의 릴레이 코일(RL1)의 일측에 인가된다. 또한 상기 회로전원부(50)의 DC 전압출력은 라인 입력신호 처리부(70)의 저항(R11)을 통하여 포토트랜지스터(PT1)의 콜렉터측과 제1인버터(I1)의 입력단에 인가되고, 저항(R12)을 통하여 제4인버터(I4)의 입력단과 다이오드(D14, D15)의 애노드 측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제2인버터(I2)의 출력단에는 하이레벨이 출력되고, 또한 저항(R10)과 콘덴서(C6)의 RC 시정수로 상기 콘덴서(C6)가 충전되고 나면 제3인버터(I3)의 출력단에는 하이레벨이 나타나게 되므로, 제4인버터(I4)의 출력단에는 로우레벨이 출력된다. 결국 릴레이부(100) 구동을 릴레이 제어부(90)는 동작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조건에서, 통신라인을 통하여 컴퓨터 본체 또는 여기에 설치되는 팩스 모뎀에 데이터가 전송되어 오는 경우, 통신 라인상의 데이터(펄스열 형태)가 입, 출력잭(J1, J2)을 통하여 라인 입력신호 검출부(60)에서 검출되다. 구체적으로는 수신 데이터의 하이로직에서는 다이오드(D10)와 다이오드(D8, D9)와 다이오드(D12)에 위한 신호경로가 형성되고, 수신 데이터의 로우로직에서는 다이오드(D13)와 다이오드(D8, D9)와 다이오드(D11)에 의한 신호경로가 형성되어 지므로, 상기 다이오드(D8, D9) 양단간에 설치된 포토다이오드(PD1)는 데이터 수신시에 발광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라인 입력신호 처리부(70)이 포토트랜지스터(PT1)가 온되므로 그의 콜렉터측 전위가 그라운드(로우) 레벨이 되어 제2인버터(I2)에서는 로우레벨이 출력된다.
그러므로 제4인버터(I4)의 입력단 전위가 다이오드(D15)를 통하여 그라운드측으로 빠져나오게 되고, 이에 따라 제4인버터(I4)에서는 하이레벨이 출력되어 릴레이 제어부(90)의 트랜지스터(Q1)에 의해 릴레이부(100)의 릴레이 코일(RL1)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마스터 스위치(S1)에 병렬로 연결된 릴레이 접전(S2)이 온되어, 상기 마스터 스위치(S1)가 오프된 상태라면 이 릴레이 접점(S2)에 의해 AC 입력전압이 컴퓨터 본체등에 투입되게 된다. 이때의 조건의 제1-제5출력선택 및 표시부(40-44)내의 스위치(S3-S7)가 온되어 있는 출력 콘센트의 기기에만 파워가 공급되므로, 데이타 자동 수신에 따라 동작시킬 기기가 연결된 것의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온시켜 놓으면 해당기기만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팩스모뎀으로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열의 짧은 공백기간은 콘센서(C6)와 저항(R10)에 의한 RC 시정수로 커버하여 컴퓨터등의 파워공급 단속을 방지한다.
이점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데이처 수신중의 순간적인 공백기간에서 제2인버터(I2)의 출력은 하이레벨이 된다. 이순간 콘덴서(C6)에는 이 콘덴서(C6)와 저항(R10)으로 결정되는 RC 시정수 동안 충전이 이루어지게 되기 때문에 제3인버터(I3)에는 로우레벨이 출력되고, 이때 제4인버터(I4)의 입력단 전위는 다이오드(D14)를 통하여 그라운드로 빠져나가게 되므로, 릴레이부(100)의 릴레이 접점(S2)은 온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오동작 방지부(80)는 초기 전원 투입시 릴레이부(100)의 오동작 조건을 제거한다.
가령 본 발명장치의 제어회로 기동시 회로전원부(50)의 출력전압이 저항(R12)을 통하여 제4인버터(I4)의 입력단에 인가될 때, 이 입력전압은 다이오드(D15), 콘덴서(C6), 저항(R10)을 흐르게 되므로 RC 시정수로 결정되는 상기 콘덴서(C6)의 충전시간 동안에는 제4인버터(I4)의 출력이 하이레벨로 되어 릴레이부(100)를 구동하게 되고, 이후 상기 콘덴서(C6)의 중전이 완료되었을 때 비로소 제4인버터(I4)에서는 로우레벨이 출력되게 된다. 그러므로 초기 전압 투입시 불필요한 파워 스위칭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제거하는 기능을 오동작 방지부(80)가 가진다.
예를 들어 기동전압 투입시, 제5인버터(I5)의 입력단에는 그라운드 레벨의 입력에 의해 그이 출력단에서 하이레벨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하이레벨은 콘덴서(C7)와 저항(R14)에 의한 RC 시정수를 가지고 상기 콘덴서(C7)에 충전되며, 그 충전시간 동안에는 릴레이 제어부(90)의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전위를 다이오드(D16)를 통하여 그라운드로 빼내게 된다.
이때 콘덴서(C6)와 저항(R10)에 의한 제1시정수 값과 콘덴서(C7)와 저항(R14)에 의한 제2시정수 값은 동일하게 설계되므로, 초기전압 투압시의 릴레이부(100)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컴퓨터 본체 및 그 주변기기에 서어지 노이즈 및 전압 변동분을 충분히 완화시켜 공급하게 되므로, 파워공급 계통에서의 노이즈 혼입에 따른 컴퓨터 및 그 주변기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컴퓨터 및 그 주변기기와 타 통신기기 또는 컴퓨터 상호간의 전자파 장애나 고주파 장애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간단한 사전 파워 스위치 예약에 따라 컴퓨터 본체 및 그 주변기기가 통신 팩스모뎀을 통한 데이터 입력시 자동으로 동작하고 데이터 수신 종료후에는 해당 설정기기의 파워 공급이 자동으로 오프되게 함으로써, 컴퓨터 통신기기의 무인화, 자동화를 달성시킬 수 있게 되는 특유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AC 파워입력 라인 양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설치된 콘덴서(C1, C2) 및 제1,2바리스터(V1, V2)와, 상기 제1, 2바리스터(V1, V2)의 양단간에 설치된 제3바리스터(V3), 정류다이오드(D1) 및 발광다이오드(LED1)로 구성되어 AC 입력의 서어지 및 전압 변동을 흡수하고 파워 입력상태를 표시하는 파워대기표시 및 서어지 노이즈 차단부(10) ; 상기 파워대기 표시 및 서어지 노이즈 차단부(10) 후단의 파워 라인상에 설치된 마스터 스위치(S1) ; 상기 마스터 스위치(S1) 후단에 마련된 정류다이오드(D2) 발광다이오드(LED2)를 포함하는 정전기 방전부(20) ; 상기 정전기 방전부(20)와 병렬로 마련되며 라인 로우패스용 코일(L1, L2)(L3, L4)(L5, L6)로 구성된 제1-제3라인 필터부(30, 31, 32) ; 및 상기 라인 필터부(30, 31, 32) 후단에 복수로 설치되어 컴퓨터 본체 및 그 주변기기에 파워를 공급하는 각각의 발광 다이오드 및 정류 다이오드와 출력 선택 스위치를 갖는 복수의 출력선택 및 표시부(40∼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보호장치.
  2. 컴퓨터 본체용 팩스모뎀의 통신라인 상에 설치되어 신호 전송 유무를 판별하는 라인 입력신호 검출부(60); 상기 라인 입력신호 검출부(60)의 출력을 받아 로직화시켜 출력하는 라인 입력 신호 처리부(70) ; 상기 라인 입력신호 처리부(70)의 출력을 받아 온/오프 제어되는 릴레이 제어부(90); 상기 릴레이 제어부(90)의 출력으로 온/오프하여 컴퓨터 파워 공급라인을 온/오프 스위칭하는 릴레이부(100); 및 AC 입력전압을 정류하여 상기 릴레이부(100) 및 라인 입력신호 처리부(70)에 동작 전압을 공급하는 회로 전원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스모뎀 자동 온/오프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초기전원 투입시의 릴레이부(100)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릴레이 제어부(90)를 일정시간 동안 디스에이블 시켜주기 위한 오동작 방지부(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스 모뎀 자동 온/오프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동작 방지부(80)는 제5인버터(I5)의 입력단에 저항(R15)을 통한 그라운드 전위가 인가되게 연결하고, 상기 제5인버터(I5)의 출력단의 하이레벨은 콘덴서(C7)와 저항(R14)에 의한 제2시정수 회로를 거쳐 제6인버터(I6)에 입력되게 연결하고, 상기 제6인버터(I6)의 출력이 로우레벨일 동안 릴레이부(90)의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전위가 다이오드(D16)를 통하여 그라운드로 바이패스되게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스모뎀 자동 온/오프 제어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라인 입력 신호 검출부(60)와 라인 입력 신호 처리부(70)는 포토 커플러(PC1)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스모뎀 자동 온/오프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라인 입력 신호 검출부(60)는 통신라인 선상에 브릿지 다이오드(C10-C13)의 AC 입력단을 연결 삽입하고,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의 공통 캐소드와 공통 애노드 사이에 직렬 다이오드(D8, D9)를 설치하고, 상기 직렬 다이오드(D8, D9) 양단에 포토 커플러(PC1)의 포토다이오드(PD1)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스 모뎀 자동 온/오프 제어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라인입력신호 처리부970)는 저항 (R12)을 통한 회로전압은 제4인버터(I4)의 입력단과 다이오드(D14, D15)의 애노드측을 연결하고, 저항(R|11)을 통한 회로전압은 포토커플러(PC1)의 포토트랜지스터(PT1)의 콜렉터 측과 제1인버터(I1)의 입력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1인버터(I1) 및 제2인버터(I2)를 거친 포토트랜지스터(PT1)의 콜렉터 출력레벨은 콘덴서(C6)와 저항(R10)의 제1시정수 회로를 거쳐 제3인버터(I3)의 입력단으로 제공되게 연결하고, 상기 제4인버터(I4)의 입력단 전위는 각각 다이오드(D15) 및 다이오드(D14)를 거쳐 제2, 제3인버터(I2, I3)의 출력단으로 제공되게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스모뎀 자동 온/오프 제어장치.
KR1019940011915A 1994-05-30 1994-05-30 컴퓨터 보호 및 팩스모뎀 자동 온/오프 제어장치 KR960012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1915A KR960012843B1 (ko) 1994-05-30 1994-05-30 컴퓨터 보호 및 팩스모뎀 자동 온/오프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1915A KR960012843B1 (ko) 1994-05-30 1994-05-30 컴퓨터 보호 및 팩스모뎀 자동 온/오프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770A KR950033770A (ko) 1995-12-26
KR960012843B1 true KR960012843B1 (ko) 1996-09-24

Family

ID=19384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1915A KR960012843B1 (ko) 1994-05-30 1994-05-30 컴퓨터 보호 및 팩스모뎀 자동 온/오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284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770A (ko) 1995-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5097A (en) Transient over voltage protection circuit for electrical power converters
US8064179B2 (en)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a switching regulator design for power over Ethernet devices
US6438003B1 (en) Output feedback and under-voltage detection system that senses an input current representing a voltage input
EP1226648B1 (en) Protecting switching power supply from fault condition
KR100562242B1 (ko) 스위칭 전원 장치용 오류 제어 회로
US5596465A (en)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for a dc-to-dc converter
US4661879A (en)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for line circuits in a switching system
CN109342973B (zh) 直流电源输入状态监测电路及系统
KR100522017B1 (ko) 스위칭 전원 장치용 오류 제어 회로
TW201622283A (zh) 過電壓保護裝置及其操作方法
KR20120074107A (ko) 전원 공급 장치
US5771162A (en) Electric protective device used in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ystems
KR102043771B1 (ko) 전력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US5991175A (en) Control circuit for an in-rush current control element, and a protection circuit and power supply employing the same
JP3256412B2 (ja) 突入電流防止回路
KR960012843B1 (ko) 컴퓨터 보호 및 팩스모뎀 자동 온/오프 제어장치
KR101032045B1 (ko) 과전압 방지 기능을 구비한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장치
KR910005463B1 (ko) 셔트 다운방식을 이용한 스위칭모드 파워 서플라이 보호회로
US5291099A (en) Neon sign power supply circuit with automatic power interruption
JPH07116304A (ja) パチンコ機の保護回路
KR20000015607A (ko) 모니터의 과전압 보호 회로
JP2001268935A (ja) 空気調和機の駆動回路
KR0110775Y1 (ko) 교류전원 언더전압 검출회로
KR970004437B1 (ko) 텔레비젼의 스위칭 전원 트랜스 2차측 정류단 단락 보호회로
KR0140020Y1 (ko) 출력 전류 제한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