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2005B1 - 영상 뮤트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2005B1
KR960012005B1 KR1019930010686A KR930010686A KR960012005B1 KR 960012005 B1 KR960012005 B1 KR 960012005B1 KR 1019930010686 A KR1019930010686 A KR 1019930010686A KR 930010686 A KR930010686 A KR 930010686A KR 960012005 B1 KR960012005 B1 KR 960012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power
video
power supply
log2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0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1690A (ko
Inventor
히토시 이나바
히데노부 기무라
Original Assignee
사토 후미오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에이.브이.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 후미오,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에이.브이.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사토 후미오
Publication of KR940001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2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0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4Blank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영상 뮤트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영상 뮤트 장치의 1실시예가 사용되고 있는 텔레비젼 수상기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영상 뮤트 장치에 관한 텔레비젼 수상기의 화면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3 도는 제 1 도의 영상 뮤트 장치로 제어되는 스위치의 1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스위치의 제어에 의한 텔레비젼 수상기의 화면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영상 처리 회로 2 : 스위치
3 : 드라이브 회로 4 : 수상관
5 : 전원 회로 6 : 제어수단
7 : 제 1 카운터 8 : 제 2 카운터
9 : 영상 뮤트 장치 10 : 리모콘
11 : D/A 변환기 12 : 콘트라스트 조정회로
본 발명은 표시수단이 수상관으로 이루어지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사용되고 이 수상관에 영상신호를 공급하는 영상신호 공급 동작의 개시시기를 제어하는 영상 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수단이 수상관으로 이루어지는 텔레비젼 수상기에서는 수상관에 영상신호를 공급하는 영상신호 공급동작의 개시시기가 제어된다. 이 영상신호 공급 동작의 개시시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방식으로는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원 투입시에서부터 채널의 선국이 완료할 때까지의 기간동안에는 수상관으로의 영상신호 공급동작을 정지시키고 그 기간의 종료직후에 연상신호 공급동작을 개시시키는 방법이 있다.
전원 투입에서부터 채널 선국 완료까지의 기간이 단기간인 때에는 수상관의 캐소드 전극이 히터에 의하여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되지 않아 캐소드 전극이 소정 온도까지 가열되지 않은 상태에서 영상신호의 공급동작이 개시되는 경우가 있다. 캐소드 전극의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 영상신호의 공급동작이 개시되면 캐소드 전극에 큰 부하가 걸리고 캐소드 전극이 열화(劣化)하기 쉽다. 그 결과 캐소드 전극의 열화에 기인하여 영상의 색이 어긋나고, 수상관에서 비춰지는 영상의 품위가 현저하게 저하된다.
캐소드 전극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용량이 큰 캐패시터등을 회로에 부가하고 전원 투입에서부터 수상관에의 영상신호 공급개시까지의 기간을 길게 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는 있지만 캐패시터가 대형화하므로 비용의 증대 및 회로규모의 대형화를 초래한다. 또 영상이 수상관에 비칠때까지의 화면표시 시간이 항상 길어져 화면표시 성능의 저하를 초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수상관으로의 영상신호 공급동작의 개시시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방식으로는 캐소드 전극의 열화가 발생되기 쉽고 캐소드 전극의 열화로 인하여 영상의 품위를 현저하게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이 수상관에 비칠때까지의 화면표시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캐소드 전극의 열화에 기인한 영상품위의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영상 뮤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상 뮤트 시간을 간단하게 산출할 수 있는 영상 뮤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전원 투입과 거의 동시에 캐소드 전극의 가열이 개시되는 수상관을 갖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사용되며 이 수상관에 영상신호를 공급하는 영상신호 공급동작의 개시시기를 제어하는 영상 뮤트 장치인 바, 상기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원 투입에서부터 다음의 전원 차단까지의 전원 투입 시간을 계수하는 제 1 의 계수 수단과, 상기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원 차단에서부터 다음의 전원 투입까지의 전원 차단 시간을 계수하는 제 2 의 계수 수단과, 상기 제 1 의 계수 수단으로 계수된 전원 투입 시간과 상기 제 2 의 계수 수단으로 계수된 전원 차단 시간과의 상대 관계로부터 영상 뮤트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텔레비젼 수상기에의 전원 투입시에서부터 상기 영상 뮤트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기간중 상기 수상관으로의 영상신호의 공급이 정지되도록 영상 신호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영상 뮤트 장치에서는 상기 전원 투입 시간과 상기 전원 차단 시간과의 상대 관계로부터 영상 뮤트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텔레비젼 수상기에의 전원 투입시에서부터 상기 영상 뮤트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기간동안 상기 수상관으로의 영상신호의 공급이 정지되도록 영상신호 공급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텔레비젼 수상기에 전원이 투입될 때 상기 수상관의 캐소드 전극은 전원 투입시에서부터 상기 영상 뮤트 시간을 경과할 때까지의 기간동안에 가열된다. 상기 영상 뮤트 시간이 금회의 전원 투입전의 전원 차단 시간과 그 전의 전원 투입 시간과의 상대 관계로부터 산출됨으로써 상기 수상관의 캐소드 전극을 현재의 온도에서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상기 영상 뮤트 시간으로 추정되고 상기 텔레비젼 수상기에의 전원 투입시에서부터 상기 영상 뮤트 시간 경과후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수상관의 캐소드 전극은 소정의 온도로까지 가열된다.
그러므로 상기 수상관의 캐소드 전극에 걸리는 부하의 급격한 상승이 억제되고 캐소드 전극의 열화가 억제된다. 또 상기 수상관에 영상이 비칠때까지의 화면표시 시간의 허용치를 넘지 않도록 상기 영상 뮤트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이 영상 뮤트 시간으로 결정되는 화면표시 성능의 저하가 억제된다.
상기 제 1 의 계수 수단으로 계수된 전원 투입 시간을 T1으로 하고, 상기 제 2 의 계수 수단으로 계수된 전원 차단 시간을 T2로 하며, 상기 텔레비젼 수상기에의 전원 투입에서부터 상기 수상관으로의 영상신호 공급 개시까지의 소요되는 최대 허용 시간을 K로 하고, 상기 영상 뮤트 시간을 TM으로 하며, 전원 투입시간 T1과 전원 차단 시간 T2이 다음(1)식의 관계를 만족할 때 상기 영상 뮤트 시간 TM은 다음의 (2)식으로 구해진다.
{Log2(T1)-Log2(T2)}≥0 (1)
TM=K-{Log2(T1)-Log2(T2)} (2)
전원 투입 시간 T1과 전원 차단 시간 T2이 다음(3)식의 관계를 만족할 때 상기 영상 뮤트 시간 TM은 다음 (4)식으로 구해진다.
{Log2(T1)-Log2(T2)}0 (3)
TM=K (4)
상술한 (1)∼(4)식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영상 뮤트 시간 TM의 산출은 간단히 행해진다.
상술한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 및 새로운 특징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도면은 단지 설명의 편의상 제시된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는 의도로 제시된 것이 아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영상 뮤트 장치의 1실시예가 사용되고 있는 텔레비젼 수상기를 표시하는 블록도이다.
텔레비젼 수상기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영상 처리 회로(1)를 갖는다. 영상 처리 회로(1)는 튜너에 의하여 선택된 채널의 영상신호를 복조, 증폭 처리한다. 영상신호는 스위치(2)를 통하여 드라이브 회로(3)에 제공된다. 드라이브 회로(3)는 영상신호를 증폭한 후에 수상관(4)에 제공한다.
수상관(4)은 캐소드 전극(4a)을 포함하며, 캐소드 전극(4a)은 히터(4b)에 의해 소정 온도까지 가열된다. 캐소드 전극(4a)에는 영상신호가 제공되며 캐소드 전극(4a)에서 방출되는 전자는 영상신호에 따라서 제어된다. 수상관(4)의 화면에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된다.
수상관(4)은 전원 회로(5)에서 전력이 공급된다. 전원회로(5)는 외부로부터의 전력이 투입되는 동시에 히터(4b)등으로 전력 공급을 개시한다.
스위치(2)의 동작 및 전원회로(5)의 전력 공급 동작은 제어수단(6)으로 제어된다. 제어수단(6)은 전원회로(5)의 전력 공급 동작을 감시한다. 외부의 리모콘(10)으로부터 전원회로(5)의 전력 공급 개시가 지시될 때, 제어수단(6)은 제 1 의 카운터(7)에 계수 동작 개시를 지시하는 제어신호 및 제 2 의 카운터(8)에 계수동작의 정지를 지시하는 제어신호와 전원회로(5)에 전력 공급 개시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외부의 리모콘(10)으로부터 전원 회로(5)의 전원 공급 정지가 지시될 때 제어수단(6)은 제 1 의 카운터(7)에 계수 동작 정지를 지시하는 제어신호 및 제 2 의 카운터(8)에 계수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신호와 전원회로(5)에 전력 공급 정지를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제 1 의 카운터(7)는 전원 회로(5)의 전력 공급 개시에서부터 다음의 전력 공급 정지까지의 전력 공급 시간 T1을 계수하기 위한 카운터이고, 제 2 의 카운터(8)는 전원회로(5)의 전력 공급 정지에서부터 다음의 전력 공급 개시까지의 전력 공급 정지 시간 T2를 계수하기 위한 카운터이다.
제어수단(6)은 제 1 의 카운터(7)에서 계수된 전력 공급 시간 T1과 제 2 의 카운터(8)에서 계수된 전력 공급 정지 시간 T2을 취입하고, 전력 공급 시간 T1과 전력 공급 정지 시간 T2으로부터 영상 뮤트 시간 TM을 산출한다. 영상 뮤트 시간 TM의 산출에는 다음의 각 식이 사용되고 있다.
시간 T1과 시간 T2가 다음의 (1)식의 관계를 만족할 때 영상 뮤트 시간 TM은 다음의 (2)식으로 구해지고,
{Log2(T1)-Log2(T2)}≥0 (1)
TM=K-{Log2(T1)-Log2(T2)} (2)
시간 T1과 시간 T2가 다음의 (3)식의 관계를 만족할 때 영상 뮤트 시간 TM은 다음의 (4)식으로 구해진다.
{Log2(T1)-Log2(T2)}0 (3)
TM=K (4)
또 K는 전원회로(5)의 전력 공급 동작개시에서부터 수상관(4)에의 영상신호 공급개시까지에 걸리는 최대 허용시간이고, 이 최대 허용시간 K은 수상관(4)에 영상이 비칠때까지의 화면표시 시간의 허용치를 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통상 수상관(4)의 캐소드 전극(4b) 보호를 위하여 최대 허용시간 k은 10∼13초로 설정되어 있다.
상술한 (2)식으로 산출된 영상 뮤트 시간 TM이 금회의 전력 공급 개시전의 전력 공급 정지 시간 T2와 그 전의 전력 공급 시간 T1과의 상대 관계로 산출되므로 수상관(4)의 캐소드 전극(4a)을 현재의 온도에서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영상 뮤트 시간 TM으로서 추정되고, 영상 뮤트 시간 TM은 히터(4b)로 캐소드 전극(4a)을 현재의 온도에서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충분히 만족한다.
상술한 식에 대한 연산처리에는 2진수가 사용되고 또 논리 연산의 함수로서 비트 시프트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각 식의 밑(低 : bottom)을 「2」로 함으로써 상술한 식에 대한 연산처리는 간단해지고 제어수단(6)에 걸리는 연산처리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예컨대 시간 T1을 500초로 하고 이것을 2진법으로 표현할 때 시간 T1은 「01111110100」이 되고 이것을 MSB측으로 2회 비트 시프트하면 오버플로우하므로 제 8 비트째가 1이라는 것을 쉽게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T1이 8이상 9미만의 수치임이 조속히 구해진다. 동일하게 Log2 T2도 쉽게 구해지고 TM을 간단하게 산출할 수 있다.
제어수단(6)은 산출된 영상 뮤트 시간 TM에 의거하여 스위치(2)의 동작을 제어한다. 전원회로(5)의 전력 공급이 개시되는 시점에서부터 영상 뮤트 시간 TM을 경과할 때까지의 기간중 스위치(2)는 제어수단(6)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개방되고, 영상 뮤트 시간 TM의 경과직후 스위치(2)는 제어수단(6)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폐쇄된다.
제어수단(6)은 제 1 의 카운터(7) 그리고 제 2 의 카운터(8)와 함께 영상 뮤트 장치를 구성한다.
다음에 영상 뮤트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2 도는 제 1 도의 영상 뮤트 장치에 의한 텔레비젼 수상기의 화면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용자가 텔레비젼 수상기로 프로그램 방송을 볼 때 먼저 리모콘(10)에서 전원회로(5)의 전력 공급 동작 개시의 지시가 제어수단(6)에 주어진다. 전원회로(5)는 제어수단(6)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전력 공급 동작을 개시한다. 전원회로(5)의 전력 공급 동작 개시에 수반하여 히터(4b)의 캐소드 전극(4a)에 대한 가열 동작이 개시된다.
전원회로(5)의 전력 공급이 개시되는 동시에 제 1 의 카운터(7)에 유지되어 있는 전력 공급 시간 T1은 제어수단(6)에 취입되고 제 1 의 카운터(7)의 계수동작이 개시된다. 이에 대하여 제 2 의 카운터(8)의 계수 동작은 정지되고, 그 정지 시점까지의 전력 공급 정지 시간 T2이 제어수단(6)에 취입된다. 제어수단(6)은 제 1 의 카운터(7)로 계수된 전력 공급 시간 T1과 제 2 의 카운터(8)로 계수된 전력 공급 정지 시간 T2로부터 영상 뮤트 시간 TM을 산출한다.
전원회로(5)의 전력 공급 개시 시점에서부터 영상 뮤트 시간 TM을 경과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위치(2)가 개방 상태로 유지되고 히터(4b)가 캐소드 전극(4a)을 지속적으로 가열한다. 영상 뮤트 시간 TM의 경과직후 스위치(2)가 폐쇄된다. 스위치(2)가 폐쇄됨에 따라 영상신호가 드라이브 회로(3)에 주어지고 드라이브 회로(3)로부터의 영상신호가 캐소드 전극(4a)에 가해져서 수상관(4)의 화면에는 영상이 표시된다.
캐소드 전극(4a)에 휘도신호가 가해질 때, 캐소드 전극(4a)은 전원회로(5)의 전력 공급 개시 시점에서부터 영상 뮤트 시간 TM을 경과할 때까지의 기간중에 소정의 온도로 가열되어 있으므로 캐소드 전극(4a)의 부하가 격감되어 캐소드 전극(4a)의 열화가 억제된다. 또 영상 뮤트 시간 TM은 수상관(4)에 영상이 비칠때까지의 화면표시 시간의 허용치를 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는 최대 허용 시간 K보다 짧아지고 그 영상 뮤트 시간 TM으로 결정되는 화면표시 성능을 저하가 억제된다. 그 결과 영상이 수상관(4)에 비칠때까지의 화면표시 성능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캐소드 전극(4a)의 열화에 기인하는 영상 품위의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최대 허용 시간 k을 10초로 하고, 10분간 전원 투입후에 5초간 전원을 차단하고 다시 전원을 투입할 때, 시간 T1이 600초이고 시간 T2이 5초이므로 이들의 값을 상술한 (2)식에 대입하면 TM은 3초로 된다. 따라서 전원 투입시의 영상 뮤트 시간은 3초가 되고, 수상관(4)의 캐소드 전극(4b)에 손상을 주는 일없이 영상 뮤트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1), (2), (3), (4)식을 사용함으로써 영상 뮤트 시간 TM을 결정하고 있으나 이들 식 대신에 다음의 (5), (6), (7), (8)식을 사용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영상 뮤트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시간 T1과 시간 T2가 다음(5)식의 관계를 만족할 때 영상 뮤트 시간 TM은 다음의 (6)식으로 구해지고,
{ALogC(T1)-BLoGC(T2)}≥0 (5)
TM=K-{ALogC(T1)-BLogC(T2)} (6)
시간 T1과 시간 T2가 다음(7)식의 관계를 만족할 때 영상 뮤트 시간 TM은 다음 (8)식으로 구해진다.
{ALogC(T1)-BLogC(T2)}0 (5)
TM=K (6)
또 각 식중의 정수 A, B, C는 캐소드, 가열 히터등의 특성 또는 텔레비젼 수상기 고유의 조건에 의하여 결정되는 정수이다.
다음에 스위치(2)의 구성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3 도는 제 1 도의 영상 뮤트 장치로 제어되는 스위치의 1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제 4 도는 제 3 도의 스위치에 대한 제어에 의한 텔레비젼 수상기의 상승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텔레비젼 수상기는 제 3 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영상 신호 처리 회로(1)와 드라이브 회로(3)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2)를 구비한다. 스위치(2)는 제어수단(6)으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기(11)를 포함한다. D/A 변환기(11)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는 콘트라스트 조정회로(12)에 제공된다. 콘트라스트 조정회로(12)는 D/A 변환기(11)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에 의거하여 입력되는 영상 신호 레벨을 이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콘트라스트 레벨이 되도록 조정한다.
제어수단(6)은 전원 투입에서부터 영상 뮤트 시간 TM이 경과하는 동시에 콘트라스트의 레벨을 설정치까지 올리는 지시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 제어신호는 D/A 변환기(11)를 거쳐 콘트라스트 조정회로(12)에 제공된다. D/A 변환기(11)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 입력과 거의 동시에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콘트라스트 조정회로(12)는 영상신호의 콘트라스트 레벨을 설정치에 일치하도록 조정을 개시하고 콘트라스트 조정회로(12)의 조정 동작 개시에 수반하여 콘트라스트 레벨이 상승한 영상신호를 드라이브 회로(3)에 제공한다. 드라이브 회로(3)로부터의 영상신호는 캐소드 전극(4a)에 가해지고 수상관(4)의 화면에는 영상이 표시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영상 뮤트 장치에 의하면 영상이 수상관에 비치기까지의 화면표시 성능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캐소드 전극의 열화에 기인하는 영상 품위의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각종 변형실시예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정된 바와 같은 특정 실시예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2)

  1. 전원 투입과 거의 동시에 캐소드 가열이 개시되는 수상관을 포함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사용되고 이 수상관에 영상신호를 공급하는 영상신호 공급 동작의 개시시기를 제어하는 영상 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원 투입에서부터 다음의 전원 차단까지의 전원 투입 시간을 계수하는 제 1 의 계수 수단과; 상기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원 차단에서부터 다음의 전원 투입까지의 전원 차단 시간을 계수하는 제 2 의 계수 수단과; 상기 제 1 의 계수 수단으로 계수된 전원 투입 시간과 상기 제 2 의 계수 수단으로 계수된 전원 차단 시간과의 상대 관계로부터 영상 뮤트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텔레비젼 수상기에의 전원 투입시에서부터 상기 영상 뮤트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동안 상기 수상관으로의 영상신호의 공급이 정지되도록 영상신호 공급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뮤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 계수 수단으로 계수된 전원 투입 시간을 T1으로 하고, 상기 제 2 의 계수 수단으로 계수된 전원 차단 시간을 T2로 하며, 상기 텔레비젼 수상기에의 전원 투입에서부터 상기 수상관으로의 영상신호 공급개시까지 걸리는 최대 허용 시간을 K로 하고, 상기 영상 뮤트 시간을 TM으로 하며, 전원 투입 시간 T1과 전원 차단 시간 T2이 다음의 (1)식의 관계를 만족할 때 상기 영상 뮤트 시간 TM은 다음의 (2)식
    {Log2(T1)-Log2(T2)}≥0 (1)
    TM=K-{Log2(T1)-Log2(T2)} (2)
    으로 구해지고, 전원 투입 시간 T1과 전원 차단 시간 T2이 다음의 (3)식의 관계를 만족할 때 상기 영상 뮤트 시간 TM은 다음의 (4)식
    {Log2(T1)-Log2(T2)}0 (3)
    TM=K (4)
    으로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뮤트 장치.
KR1019930010686A 1992-06-15 1993-06-12 영상 뮤트 장치 KR9600120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492492A JP3333235B2 (ja) 1992-06-15 1992-06-15 映像ミュート装置
JP92-154924 1992-06-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1690A KR940001690A (ko) 1994-01-11
KR960012005B1 true KR960012005B1 (ko) 1996-09-09

Family

ID=15594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0686A KR960012005B1 (ko) 1992-06-15 1993-06-12 영상 뮤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382981A (ko)
JP (1) JP3333235B2 (ko)
KR (1) KR9600120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9904A (ko) * 1996-01-22 1997-08-12 김광호 마이컴을 이용한 영상뮤트 제어 장치 및 제어방법
AU2003217379A1 (en) * 2002-02-15 2003-09-09 Somalogic, Inc. Methods and reagents for detecting target binding by nucleic acid ligand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8597Y2 (ko) * 1976-03-17 1980-11-13
JPS5556058U (ko) * 1978-10-12 1980-04-16
US4330792A (en) * 1980-11-26 1982-05-18 Rca Corporation Video blanking circuit with controlled rate of unblan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382981A (en) 1995-01-17
KR940001690A (ko) 1994-01-11
JP3333235B2 (ja) 2002-10-15
JPH0638118A (ja) 1994-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19423A1 (en)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thereof
EP1988536A1 (e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 backlight
KR100257474B1 (ko) 텔레비젼 수신기용 슬립 타이머 장치
US5528316A (en) Method for selecting a television turn-on time volume level
KR960012005B1 (ko) 영상 뮤트 장치
KR20000047550A (ko) 표시 장치
US6084355A (en) Circuit for controlling power supplied to a cathode heater of a cathode ray tube
JP2006238390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KR960008187B1 (ko) 화상출력장치의 휘도조절장치
KR100289285B1 (ko) 슬립타임 분할제어 방법
JP2008109426A (ja) 表示装置
KR100196861B1 (ko) 영상기기에서의 자동 채널 전환 방법
KR100833381B1 (ko)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3032571A (ja) 映像表示装置
KR19990018803U (ko) 소비전력 절약형 텔레비전
KR100498145B1 (ko) 모니터의 화면 상태 초기 설정 방법
JP2600961Y2 (ja) テレビ受像機
KR0146398B1 (ko) 부화면 텔레비젼의 부화면 밝기 자동제어장치
JP2001197388A (ja) 映像信号装置
KR970004497Y1 (ko) 모니터의 블루밍 현상 제거회로
KR960015833B1 (ko) 텔레비전의 시청시간표시방법
JP2001045402A (ja) 映像表示装置
JPH06217339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9990041609A (ko) 텔레비전의 전원 오프시 화면밝기 조절장치
JPH0678328A (ja) カラーテレビジョン受像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1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