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808B1 - 섬유유연제 함유 세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섬유유연제 함유 세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808B1
KR960010808B1 KR1019940015805A KR19940015805A KR960010808B1 KR 960010808 B1 KR960010808 B1 KR 960010808B1 KR 1019940015805 A KR1019940015805 A KR 1019940015805A KR 19940015805 A KR19940015805 A KR 19940015805A KR 960010808 B1 KR960010808 B1 KR 960010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general formula
composition
mixed
surf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5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상운
강윤석
Original Assignee
엘지화학 주식회사
성재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화학 주식회사, 성재갑 filed Critical 엘지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15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8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808B1/ko

Links

Landscapes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섬유유연제 함유 세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섬유 유연제를 함유하는 세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주 세정성분인 비이온 계면활성제에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을 용해시켜 빌더성분에 흡수시키고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제올라이트를 첨가하고 입자화하여 제조함으로써 세척력, 섬유 유연성 및 정전기 방지효과를 향상시킨 섬유 유연제 함유 세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의 유연처리 방법으로는 의류의 세탁과정중 마지막 헹굼시에 액체 또는 분말상태의 섬유 유연제를 투입하거나 의류 건조기내에 부직포 또는 쉬트(sheet) 등으로 체형화된 섬유 유연제를 투입하여 유연효과를 얻는 방법 등이 있다.
특히 저온 세탁 및 자연 건조방식의 세탁방법에서는 헹굼 단계에서 투입되는 액상의 섬유 유연제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액상의 섬유 유연제는 유연성능이 우수하고 향취가 좋다는 장점이 있으나, 마지막 헹굼시에 투입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르며 세제와 동시에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유연성분인 양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양성(amphoteric) 계면활성제와 세제중의 음이온 계면활성제와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세정력 및 유연효과가 모두 현저히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함이 없는 섬유 유연제를 함유하는 세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선행기술로는 UST 3862058, USP 4062647, GB 2160886, EP 0011340, GB 2206902, EP 0376308, USP 4659496 등이 있는데, 이들 선행기술에서는 주로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세정성분에 양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양성 계면활성제와 벤토나이트를 혼합하여, 입자화하는 방법과 유연효과를 갖는 특수한 형태의 실리콘 오일 등을 사용하여 유연효과를 부여하거나, 부직포에 세제와 저온에서 용해되지 않는 유연성분을 포장하여 세탁이 종료된 후 의류 건조기에 의류와 동시에 투입하여 의류 건조기의 건조시 열에 의해 유연 성분인 물불요성 양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양성 계면활성제가 용해되어 의류에 흡착되어 유연효과를 발휘하도록 설계된 특수한 형태의 섬유 유연제 함유 세제 등에 관한 기술이다.
이상과 같은 섬유 유연제를 함유하는 세제는 이온 교환력을 가진 벤토나이트를 사용하여 벤토나이트-양이온 계면활성제의 결합체를 형성하여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양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양성 계면활성제간의 결합체 형성을 줄여 세정력 및 유연효과의 감소를 최소화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세정액 중에서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성제간의 상호 악영향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불가능하며, 불용성 물질인 벤토나이트의 유효 함유량이 10중량% 이상으로서 원가 상승 및 의류에 흡착시 오염으로 작용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양성 게면활성제 대부분은 저온에서 용해성 및 분산성이 저조하여 고온 세탁 밑 의류 건조기 사용시는 유연효과가 발휘되나, 저온세탁 및 자연건조 방식의 세탁건조에서는 세척 및 유연성능이 발휘되기는 어렵다. 또한, 유연효과를 가진 실리콘 오일은 그 효과에 있어서 양이온 계면활성제나 양성 계면활성제에 미치지 못하여 가격 또한 고가라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으로 갖지 않고 섬유에 유연성과 정전기 방지 효과를 제공하는 세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주 세정성분으로서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고 섬유 유연제 및 정전기 방지제로서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함으로써 세정성분과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복합체 형성을 방지하여 섬유유연 효과 및 대전방지 효과가 향상되고 세척력도 뛰어난 세제를 제조할 수 있음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이온 계면활성제 10 내지40중량%, 양이온 계면활성제 1 내지 20중량%, 탄산나트륨10 내지 60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0.5 내지 10중량%, 분말 제올라이트 10 내지 60중량%, 첨가제 0.3 내지 10중량%를 함유하는 세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비이온 계면활성제 10 내지 40중량%에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0.5 내지 10중량%와 형광증백제 0.1 내지 2중량%를 넣고, 60내지 80℃로 가열 용해시키고, 그 용액과 탄산나트륨 10 내지 60중량%를 혼합하여 슬러리 상으로 만들고, 15 내지 30℃로 냉각시키고, 양이온 계면활성제 1 내지 20중량%를 투입하고 혼합 및 분쇄를 행하여 입자화한 후, 분말 제올라이트 10 내지 60중량%를 투입하여 혼합 및 표면도포를 행하고, 효소 0.1 내지 5중량%와 배합한 후, 향 0.1 내지 3중량%를 혼합하여 상기 세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탄소수 8 내지 20의 알킬기에 4 내지 20몰의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시킨 하기 일반식(Ⅰ)의 알킬폴리옥시에탄올 또는 탄소수 8 내지 20의 알킬폐놀기에 4 내지 20몰의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시킨 하기 일반식(Ⅱ)의 알킬폐놀폴리옥시에탄올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 중의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10 내지 40중량%가 바람직하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10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입자들간의 결합을 충분히 이루지 못하여 분진 및 유동성이 나빠지고, 세정력이 저하되며, 40중량% 초과 사용하는 경우는 액상성분의 과다로 인해 입자 표면이 습윤되어 분체 유동성이 떨어지게 된다.
R-CH2CH2O(CH2CH2O)nH (Ⅰ)
R-C6H4-CH2-CH2O(CH2CH20)nH (Ⅱ)
상기식에서, R은 탄소수 8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n은 1 내지 20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결합 응고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HO(CH2CH2O)nH(분자량 1,000 내지 25,000)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HO(CH2CH2CH20)nH(분자량 1,000 내지 25,000)이 적합하며, 비이온 계면활성제에 용해된 상태로 입자에 흡수되어 입자의 결합력 및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사용량은 0.5 내지 10중량%가 바람직하다. 비이온 계면활성제에 용해된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0.5중량% 미만이면 입자의 형성이 어렵고, 10중량% 초과이면 성장된 입자 경도가 높아져 용해성이 저하되어 세정력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평균분자량은 1,000 내지 25,000의 것이 바람직한데 1,000 미만일 경우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응고작용이 미약하고, 25,000 초과일 경우는 용해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빌더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 흡수성분으로 사용되는 탄산나트륨은 세제의 수소이온 농도를 높여 세척력을 증가시키며,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흡수하여 슬러리를 입자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탄산나트륨 10중량% 미만으로 사용하였을 때에는 세척액의 수소이온 농도가 낮아져 충분한 세정력을 나타내지 못하고, 60중량% 초과 사용시는 입자의 형성이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10 내지 60중량%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섬유 유연제 및 정전기 방지제로서 사용되는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하기 일반식(Ⅲ)의 화합물의 적합하다.
상기식에서, R1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0 내지 28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로부터 선택된다.
대부분의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액상이며, 분말상으로 건조시키기가 어려운데 반하여 상기 일반식(Ⅲ)의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분말화가 용이한 장점을 갖고 있어 세탁시 섬유의 표면에 흡착되어 섬유유연 효과 및 정전기 방지 효과를 나타낸다.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은 1 내지 20중량%가 바람직하다. 1중량% 미만인 경우는 섬유 유연성 정전기 방지효과가 미약하며, 20중량% 초과인 경우는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가격이 고가이므로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한다.
유동 보조제로서 사용되는 분말 제올라이트는 10 내지 60중량%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분말 제올라이트의 사용량이 10중량% 미만일 경우는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흡수된 입자의 표면에 도포된 분말 제올라이트의 절대량이 부족하여 흐름성이 나빠지고, 60중량% 이상인 경우는 입자의 크기가 작아져 유동성이 저하되며, 분진의 발생으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첨가제는 향, 형광증백제(스틸벤계, 비폐닐계, 파라핀계, 푸마린계, 퀴놀론계), 효소(프로테아제, 아밀라아제, 리파아제, 셀룰라아제)이며, 전체 함량은 0.3 내지 1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3중량% 미만인 경우는 첨가제 각각의 성능 발현이 어려우며, 10중량% 초과인 경우는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여 비경제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세정성분 및 결합성분으로서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일반식(Ⅰ)의 알킬폴리옥시에탄올 또는 일반식(Ⅱ)의 알킬폐놀폴리옥시에탄올 10 내지 40중량%에 결합 응고제인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0.5 내지 10중량%의 형광증백제 01. 내지 2중량%를 투입하여 60 내지 80℃로 가열 용해시킨 후 분쇄기가 장착되어 있는 고속회전 조립기(Vertical High Speed Mixer(일본 Fukae사) 또는 Lodige Mixer(독일 Lodige사)에 투입하고, 빌더 성분인 탄산나트륨 10 내지 60중량%를 투입하여 비이온 계면활성제 용액을 흡수시킨 후 균일하게 혼합하여 슬러리 상을 만든다.
이때 분쇄기는 작동시키지 않고 교반속도를 100rpm으로 하여 5분간 혼합한다. 이 혼합 슬러리를 15 내지 30℃로 냉각시키고, 일반식(Ⅲ)의 양이온 계면활성제 분말 1 내지 20중량%를 투입하여 혼합속도 100rpm 분쇄속도 2000rpm으로 하여 2분간 분쇄 및 혼합을 행하여 입자화하고, 이 입자에 유동 보조제로서 분말 제올라이트 10 내지 60중량%을 투입하고, 혼합 속도 100rpm, 분쇄속도 2000rpm으로 하여 2분간 혼련 및 표면도포를 행한 뒤 첨가제인 향 0.1 내지 3중량% 및 효소 0.1 내지 5중량%를 투입하여 분쇄기는 작동시키지 않고 혼합속도 100rpm으로 1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여 섬유 유연제를 함유하는 고밀도 분말 비이온 세제를 제조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아래 표 1과 같은 조성비의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알킬폴리옥시에탄올 또는 알킬폐놀폴리옥시에탄올에 결합 응고제인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과 형광중백제를 투입하여 60 내지 80℃로 가열용해 시킨 후, 분쇄기가 장착되어 있는 고속회전 조립기(Vertical High Speed Mixer(일본 Fukae사) 또는 Lodige Mixer(독일 Lodige사)에 투입하고, 탄산나트륨을 투입하여 비이온 계면활성제 용액을 흡수시킨 후 균일하게 혼합하여 슬러리 상을 만들었다. 이때 분쇄기는 작동시키지 않고 교반속도를 100rpm으로 하여 5분간 혼합하였다. 이 혼합 슬러리를 15 내지 30℃로 냉각시키고 일반식(Ⅲ)의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투입하여 혼합속도 100rpm, 분쇄속도 2,000rpm으로 하여 2분간 분쇄 및 혼합을 행하여 입자화하였다. 이 입자에 유동보조제로서 분말 제올라이트를 투입하고 혼합속도 100rpm, 분쇄속도 2,000rpm으로 하여 2분간 분쇄와 혼합 및 표면도포를 행한 뒤 기타 첨가제인 향 및 효소를 투입하여 분쇄기는 작동시키지 않고 혼합속도 100rpm으로 1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여 섬유 유연제 함유 비이온 세제 A 내지 H를 재조하였다.
※1)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2) 알파올레핀술폰산나트륨(C12 : C14=7 : 3)
3) 알킬기의 탄소수 12,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7
4) 알킬기의 탄소수 12,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7
5) 중량 평균 분자량 4,000
6) 중량 평균 분자량 4,000
7)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클로라이드(Arosurf TA100, 미국 Sherex사)
8) Savinase 6.0T(덴마크 Novo Nordisk사)
9) Tinopal-CBSX(스위스 Ciba-Geigy사)
실시예2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을 1 내지 20중량%로 변화시켜, 아래 표 2와 같은 조성비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섬유 유연제 함유 세제 1 내지 M을 제조하였다.
※1)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2) 알파올레핀술폰산나트륨(C12 : C14=7 : 3)
3) 알킬기의 탄소수 12,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7
4) 알킬기의 탄소수 12,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7
5) 중량 평균 분자량 4,000
6) 중량 평균 분자량 4,000
7)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클로라이드(Arosurf TA100, 미국 Sherex사)
8) Savinase 6.0T(덴마크 Novo Nordisk사)
9) Tinopal-CBSX(스위스 Ciba-Geigy사)
실시예 3
빌더성분인 탄산나트륨 함량을 1 내지 60주량%로 변화시켜, 아래 표 3과 같은 조성비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섬유 유연제 세제 N 내지 S를 제조하였다.
※1)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2) 알파올레핀술폰산나트륨(C12 : C14=7 : 3)
3) 알킬기의 탄소수 12,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7
4) 알킬기의 탄소수 12,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7
5) 중량 평균 분자량 4,000
6) 중량 평균 분자량 4,000
7)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클로라이드(Arosurf TA100, 미국 Sherex사)
8) Savinase 6.0T(덴마크 Novo Nordisk사)
9) Tinopal-CBSX(스위스 Ciba-Geigy사)
실시예 4
결합 응고제인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함량을 0.5 내지 10중량%로 변화시켜, 아래 표 4와 같은 조성비로 실시예 1과 방법으로 섬유 유연제 함유 세제 T 내지 Y를 제조하였다.
※1)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2) 알파올레핀술폰산나트륨(C12 : C14=7 : 3)
3) 알킬기의 탄소수 12,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7
4) 알킬기의 탄소수 12,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7
5) 중량 평균 분자량 4,000
6) 중량 평균 분자량 4,000
7)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클로라이드(Arosurf TA100, 미국 Sherex사)
8) Savinase 6.0T(덴마크 Novo Nordisk사)
9) Tinopal-CBSX(스위스 Ciba-Geigy사)
실시예 5
제올라이트의 함량을 1 내지 60중량%로 변화시켜, 표 5와 같은 조성으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섬유 유연제 함유 세제 Z 내지 AE를 제조하였다.
※1)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2) 알파올레핀술폰산나트륨(C12 : C14=7 : 3)
3) 알킬기의 탄소수 12,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7
4) 알킬기의 탄소수 12,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7
5) 중량 평균 분자량 4,000
6) 중량 평균 분자량 4,000
7)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클로라이드(Arosurf TA100, 미국 Sherex사)
8) Savinase 6.0T(덴마크 Novo Nordisk사)
9) Tinopal-CBSX(스위스 Ciba-Geigy사)
실시예 6
1) 세정력
상기의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섬유 유연제 함유 비이온세제를 다음과 같은 조건의 세척력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측정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측정기기 : Terg-O-Tometer
세정온도 : 20℃
세척수 : 경도 40ppm Ca , 10ppm Mgg
욕비 : 4.5g 오염포/1ι 세정수
오염포 : EMPA Art No. 101(올리브유, 카본블랙/면)
세제농도 : 0.67g/ι
평가 : 비교예 1을 100으로 하여 세정력을 확산
2) 섬유 유연 효과
상기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섬유 유연제 함유 세제를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섬유 유연력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측정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세척기기 : 와권식 자동세탁기
세정온도 : 20℃
세척수 : 경도 40ppm Ca , 10ppm Mgg
욕비 : 200g 테리타올/30ι 세정수
시험포 : 테리타올
세제농도 : 0.67g/ι
평가 : 30인의 선택된 판넬 시험자들의 촉감에 의해 각각의 타올에 대하여 부드러운 촉감의 것을 높은 점수를 주도록 하되, 그 점수를 1 내지 5점 중에서 선택하도록 한 평균값을 표 6에 나타내었다.
3) 정전기 방지 효과
상기의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섬유 유연제 함유 세제를 농도 0.67g/ι, 온도 23±1℃, 상대습도 45±1%의 조건으로 KS-K-0555B법에 의해 면,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나일론에 대한 대전성 시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4) 유동성
상기의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섬유 유연제 함유 세제 100ml가 직경 10mm의 깔때기를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유동성 평가를 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5) 겉보기 밀도
상기의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섬유 유연제 함유 비이온 세제의 겉보기 밀도를 측정하여 표 7에 나타내었다.
6) 압축도
상기의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섬유 유연제 함유 비이온 세제의 겉보기 밀도 측정용 표준용기에 충진한 수 일본 호소가와사의 분체 특성 종합 측정장치의 충진대위에 올려놓고 100회/분의 속도로 3분간 타장한 후 겉보기 밀도와의 비율을 계산하여 표 7에 나타내었다.
상기식에서, A는 타정전 겉보기 밀도이고, P는 3분간 타정한 후 겉보기 밀도를 나타낸다.
7) 용해성
상기의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섬유 유연제 함유 비이온 100g을 이온교환수 10ι에 5분간 교반하여 세제용액을 200메쉬의 표준망체를 통과시킨 후 건조중량%를 측정하여 용해도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8) 수율
상기의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섬유 유연제 함유 비이온 세제의 수율을 표 7에 나타내었다.
상기의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섬유 유연제 함유 비이온세제는 세척력, 섬유 유연효과, 정전기 방지효과가 우수하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겉보기 밀도가 높고 유동성, 융해성 및 수율이 양호하고 압축도가 낮아 보관시 덩어리짐(caking성) 현상이 적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비이온 계면활성제 10 내지 40중량%, 양이온 계면활성제 1 내지 20중량%, 탄산나트륨 10 내지 60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0.5 내지 10중량%, 분말 제올라이트 10 내지 60중량%, 및 첨가제 0.3 내지 10중량%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하기 일반식(Ⅰ)의 알킬폴리옥시에탄올 및 하기 일반식(Ⅱ)의 알킬페놀폴리옥시에탄올 중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R-CH2CH2O(CH2CH2O)nH (Ⅰ)
    R-C6H4-CH2-CH2O(CH2CH20)nH (Ⅱ)
    상기식에서, R은 탄소수 8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n은 1 내지 20의 정수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하기 일반식(Ⅲ)의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1종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상기식에서, R1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0 내지 28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로부터 선택된다.
  4.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분자량이 1,000 내지 25,000이고,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분자량이 1,000 내지 25,000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첨가제가 향, 효소 및 형광증백제 중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비이온 계면활성제 10 내지 40중량%에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0.5 내지 10중량%와 형광증백제 0.1 내지 2중량%를 넣고, 60 내지 80℃로 가열 용해시키고, 그 용액과 탄산나트륨 10 내지 60중량%를 혼합하여 슬러리 상으로 만들고, 15 내지 30℃로 냉각시키고, 양이온 계면활성제 1 내지 20중량%를 투입하고 혼합 및 분쇄를 행하여 입자화한 후, 분발 제올라이트 10 내지 60중량%를 투입하여 혼합 및 표면도포를 행하고, 효소 0.1 내지 5중량%와 배합한 후, 향 0.1 내지 3중량%를 혼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하기 일반식(Ⅰ)의 알킬폴리옥시에탄올 및 하기 일반식(Ⅱ)의 알킬페놀폴리옥시에탄올 중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R-CH2CH2O(CH2CH2O)nH (Ⅰ)
    R-C6H4-CH2-CH2O(CH2CH20)nH (Ⅱ)
    상기식에서, R은 탄소수 8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n은 1 내지 20의 정수이다.
  8. 제6항에 있어서,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하기 일반식(Ⅲ)의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1종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상기식에서, R1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0 내지 28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로부터 선택된다.
  9. 제6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분자량이 1,000 내지 25,000이고,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분자량이 1,000 내지 25,000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첨가제가 향, 효소 및 형광증백제 중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19940015805A 1994-07-01 1994-07-01 섬유유연제 함유 세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960010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5805A KR960010808B1 (ko) 1994-07-01 1994-07-01 섬유유연제 함유 세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5805A KR960010808B1 (ko) 1994-07-01 1994-07-01 섬유유연제 함유 세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808B1 true KR960010808B1 (ko) 1996-08-09

Family

ID=19387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5805A KR960010808B1 (ko) 1994-07-01 1994-07-01 섬유유연제 함유 세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80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21290B2 (en)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JPH0325480B2 (ko)
JPH06101174A (ja) 第4級アンモニウム機能シロキサンを含む柔軟組成物
JPH01132692A (ja) 柔軟性付与液体洗浄剤組成物
KR960010808B1 (ko) 섬유유연제 함유 세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4891143A (en) Water insoluble antistatic compositions
KR970008994B1 (ko) 섬유유연제를 함유하는 세제 조성물
GB2174101A (en) Softening and anti-static nonionic detergent composition
NZ213802A (en)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containing nonionic and anionic surfactants with quarternary ammonium softener
KR970004982B1 (ko) 섬유유연제 함유세제의 제조방법
JPS6329920B2 (ko)
KR100572002B1 (ko) 세탁 세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CA1284254C (en) Wash cycle additive antistatic composition
KR100572004B1 (ko) 세탁 세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JPH11315299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S61288000A (ja) 液体洗剤組成物
JPH01217100A (ja) 衣料用液体洗剤組成物
KR101020303B1 (ko) 섬유 유연 세제 조성물
US4715862A (en) Wash cycle fabric conditioning composition, process for manufacture of such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thereof
JPH0277497A (ja) 高嵩密度粒状洗剤組成物
JPH011797A (ja) 粒状洗剤用添加剤
CA1337106C (en)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JPH02173197A (ja) 高嵩密度粒状洗剤組成物
JPS63130700A (ja) 粒状洗浄剤用添加剤
JPH02300382A (ja) 衣料用柔軟仕上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