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698Y1 - 플로피 디스크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플로피 디스크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698Y1
KR960010698Y1 KR92018314U KR920018314U KR960010698Y1 KR 960010698 Y1 KR960010698 Y1 KR 960010698Y1 KR 92018314 U KR92018314 U KR 92018314U KR 920018314 U KR920018314 U KR 920018314U KR 960010698 Y1 KR960010698 Y1 KR 9600106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er
floppy disk
disk
disk cartridge
l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83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8527U (ko
Inventor
안재규
Original Assignee
최준식
주식회사 에스·케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식, 주식회사 에스·케이·씨 filed Critical 최준식
Priority to KR920183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698Y1/ko
Publication of KR9400085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5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6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6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13Container cases
    • G11B23/0316Constructional details, e.g. shape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플로피 디스크 카트리지
제1도는 종래의 플로피 디스크(3.5인치) 카트리지의 내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조 3의 측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리프터에 의한 라이너 및 디스크의 접촉부위의 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터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측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리프터가 적용된 디스크의 부분 발췌 측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터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제8도는 제7도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 셀(shell) 2 : 하부 셀
3 : 리프터(lifter) 4 : 헤드 윈도우(window)
5 : 회전축 홈 B,B' : 접착부
D : 디스크(disk) H : 수평면
L : 라이너(liner) S : 탄성 지지대
본 고안은 컴퓨터에 사용되는 플로피 디스크 카트리지(Floppy Disk Cartridg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프터(lifter)구조가 개선되어 디스크의 장시간 사용후에도 안정적인 기능을 유지해 한층 향상된 신뢰도를 갖는 플로피 디스크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일찍이 컴퓨터가 개발된 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과학기술분야, 산업생산분야, 그리고 행정업무분야등 실로 우리의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엄청난 혁신을 맞이하게 되었다. 하루가 다르게 변모해 가는 첨단 과학기술시대, 엄청나게 밀려드는 정보의 홍수화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컴퓨터는 이제 뗄내야 뗄 수 없는 생활 속의 하나의 필수품목이 되어 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것이다.
이렇듯 우리의 일상생활 속 깊숙이 파고든 컴퓨터, 따라서 그것에 연루된 컴퓨터 관련 주변기기 및 부속품들 또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마련이다. 그중의 한 예로 풀로피 디스크를 들 수 있다. 이것은 컴퓨터 운영의 시스템 구성상 주 기억 장치의 보조 역할을 해주는 보조 기억 장치로서, 정보의 판독 및 기록 매커니즘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즉, 이 플로피 디스크는 어드레스(address)와 무관하게 호출 시간이 일정하고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가 가능한 보조 기억 장치로서, 프로그램 메모리용이나 데이타 보관용으로 사용됨은 물론, 온라인 데이타 기억이나 검색용으로도 사용되는 컴퓨터 시스템 구성상 중요 주변기기 중의 하나인 것이다.
바로 이러한 중요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매체인 만큼 이것을 일단 외형적으로 잘 보호관리 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는데, 이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이른바 디스크 카트리지(disk cartridge)인 것이다. 첨부 도면 제1도는 이러한 카트리지의 내부 모습을 보여 준다. 상기의 제1도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부 셀(shell)(2)헤드윈도우(4) 및 중앙의 회전축 홈(5) 부분을 제외한 원형면부에는 라이너(liner)라 불리우는 디스크에 대한 크리닝(cleaning) 기능을 가진 특수 지질의 얇은 덮개층이 리프터(3) 위쪽으로 덮여 고정 설치된다. 이것을 상부셀(1)에도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데, 따라서 디스크 원판은 이러한 상,하 라이너 사이에 삽입되어 회전 작동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플로피 디스크 카트리지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피프터(3)의 구조를 보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편의 일부위를 셀에 접착 고정시키고, 그 고정된 부위쪽을 살짝 꺾어 올려 탄성력을 갖도록 하여 상기의 라이너를 밀어 올려줌으로써 디스크 원판과 라이너가 잘 접촉 되도록 해준다. 이러한 구조가 제3도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2)에 접착 고정된 리프터(3)의 접착고정부(B) 앞쪽에서 리프터는 꺾여 올라가 바로 위에 있는 라이너(L)를 밀어 올려 라이너 상부의 디스크(D)에 밀칙시켜 줌으로써 라이너가 디스크상의 이물질 및 먼지등을 원활하게 제거하도록 해준다.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문제가 되는 것은 상기의 리프터(3)의 탄성복원력에 관한 문제인데, 상기의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는 항상 압착력을 받게 되는데 리프터(3)에 탄성력을 준 종래와 같은 방식에서는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탄성력이 떨어져 결국에는 리프터로서의 본래의 구실을 못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로 인한 디스크 에러(error)발생등을 원만한 컴퓨터 운용에 막대한 차질을 빚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디스크의 장시간 사용시에도 안정적인 기능을 발휘해 컴퓨터의 원활한 운용에 기여할 수 있는 높은 신뢰성의 플로피 디스트 카트리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플로피 디스크 카트리지는, 디스크가 안착되는 공간이 마련된 상하부 셀과, 하부 셀의 일부위에 고착되어 상기 디스크를 지지하는 리프터와, 상기 리프터와 디스크 사이에 개제되는 라이너를 구비한 플로피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의 리프터는 전체적으로 육교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 수평면에는 상호 대칭적으로 수평면의 가장자리 부위에서 중심부쪽으로 소정의 사선각도로 하향적곡된 한 쌍의 탄성지지대가 형성되어 있고, 양 교각의 하단에는 접착부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터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박편의 양단에 접착부(B')를 가지며 그 접착부로부터 상호 대칭적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향절곡 된 후 일정 높이에서 다시 상호 대향 방향으로 절곡되어 결국은 하부 셀(2)에 평행한 수평면(H)을 이루게 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의 수평면(H)에서는 다시 탄성지지대(S)가 소정의 각도로 하향형성 되는데,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면(H) 자체를 H자형으로 절개하여 소정의 각도로 하향절곡한 것으로써 접착부(B') 양단에서 상향으로 형성된 경사면의 상,하부의 절곡점으로 인해 생긴 탄성력에 제2탄성력을 부가함으로써 좀더 강한 탄성력을 발생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5도는 상기 제4도의 측단면도로 상부로부터의 압력에 대한 탄성지지대의 신축성을 살펴볼 수 있다. 제6도는 상기 제4도의 본 고안에 따른 리프터의 제1실시예의 실제 적용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리프터의 양단 접착부(B')는 카트리지(cartridge)의 하부셀(2)에 접착고정되며, 이 리프터 상부에 전술한 라이너(L)가 접촉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그 위에 디스크가 안착되어(좀더 정확히 말하면, 상,하부 라이너 사이에 삽입되어)하나의 세트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됨으로서 리프터(3')는 상, 하부 셀의 결합에 위한 누름압착력을 받게 되는데 리프터의 절곡부위 및 탄성지지대에 의한 탄성력으로 상기의 압착력에 반재되는 방향으로 반발력을 발생하게 된다. 그로인해 리프터 상부에 접촉설치되어 있는 라이너(L)는 디스크(D) 원판에 요망하는 기대치로의 소정의 밀착력을 유지한 채로 디스크상의 먼지등 이물질을 제거할 뿐만아니라, 디스크의 회전 작동시 발생하는 떨림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것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형태에서 탄성지지대의 구성방식을 변경응용한 것으로서,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면(H)의 대각선 방향의 모서리 부위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호 대칭의 엇갈림 방식으로 하향 사선각을 이루며 탄성기거대가 형성된다. 이 또한 종래의 방식에 비해 월등한 탄성력을 발생유지할 수 있어 라이너가 자신의 역할을 제대로 해낼 수 있도록 충실히 보조 기능을 발휘한다. 제8도는 상기 제7도의 측단면도로서 누름압착력에 대해 상호 엇갈림 방식으로 형성된 탄성지지대의 상, 하 관계를 보여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리프터는 양단에 접착부(B')를 가지고 네 곳을 절곡점, 그리고 탄성지지대에 의한 탄성력이 크게 보강되어 플로피 디스크의 장시간 사용시에도 탄성력을 그대로 유지하므로, 라이너(liner)가 디스크의 회전작동시 발생하는 떨림현상 방지는 물론, 디스크상의 먼지등에 대해 크리닝(cleaning)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게 되어 플로피 디스크의 안정된 기능발휘를 한층 더 보장하게된다.

Claims (2)

  1. 디스크가 안착되는 공간이 마련된 상하부 셀(1)(2)과, 하부셀(2)의 일부위에 고탁되어 상기 디스크(D)를 지지하는 리프터(3)와, 상기 리프터(3)와 디스크(D) 사이에 개재되는 라이너(L)를 구비한 플로피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의 리프터(3)는 전체적으로 육교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 수평면(H)에는 상호 대칭적으로 수평면(H)의 가장자리 부위에서 중심부쪽으로 소정의 사선각도로 하향 절곡된 한 쌍의 탄성지지대(S)가 형성되어 있고, 양교각의 하단에는 접착부(B')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피 디스크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탄성지지대(S)는 상호 대칭적으로 맞대향형 또는 소정간격을 둔 엿갈림형의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피 디스크 카트리지.
KR92018314U 1992-09-25 1992-09-25 플로피 디스크 카트리지 KR9600106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8314U KR960010698Y1 (ko) 1992-09-25 1992-09-25 플로피 디스크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8314U KR960010698Y1 (ko) 1992-09-25 1992-09-25 플로피 디스크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527U KR940008527U (ko) 1994-04-18
KR960010698Y1 true KR960010698Y1 (ko) 1996-12-26

Family

ID=19340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8314U KR960010698Y1 (ko) 1992-09-25 1992-09-25 플로피 디스크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69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527U (ko) 199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6648A (en) Sealing device for a hard disk drive
KR870009369A (ko) 플로피 디스크 장치의 헤드 유지기구
JPH0131631B2 (ko)
KR960010698Y1 (ko) 플로피 디스크 카트리지
US4677517A (en) Wiper spring assembly for the fabric liner of a floppy disc
KR860008528A (ko) 자기기록 재생장치
US4809114A (en) Magnetic disc cartridge
JPS60167159A (ja) フレキシブル磁気デイスク装置
JPH0845212A (ja) 浮上型磁気ヘッド
EP0883112A3 (en) Transparent magnetic recording medium
JP2526002Y2 (ja) 磁気ヘッド支持体の固定構造
JP2510092Y2 (ja) 磁気ヘッドキャリッジ装置
JPS61153869A (ja) 磁気ヘツドのキヤリツジ装置
JPH02193378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20050050572A1 (en) Optical disc
KR900008898Y1 (ko)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헤드 캐리지의 판스프링의 지지구
JPH0115031Y2 (ko)
JPH0574121A (ja) 磁気デイスク装置用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SU1735902A1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 минидискет
JPS6349851Y2 (ko)
KR960038795A (ko) 컴팩트 디스크
JPS60125616U (ja) フイルム液晶セルの取付構造
JPH09188375A (ja) ディスク保持装置
KR19990028681U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KR920005123A (ko) 디스크 기록/재생 유니트에 사용되는 헤드 캐리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