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660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660B1
KR960010660B1 KR1019930007876A KR930007876A KR960010660B1 KR 960010660 B1 KR960010660 B1 KR 960010660B1 KR 1019930007876 A KR1019930007876 A KR 1019930007876A KR 930007876 A KR930007876 A KR 930007876A KR 960010660 B1 KR960010660 B1 KR 960010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ompartment
vegetable
cold air
return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7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07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6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660B1/ko

Links

Landscapes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냉장고
제1도는 일반적인 냉장고의 구성을 도어(door)을 제거시킨 상태에서 바라본 정면도.
제2도의 (a) 및 (b)는 일반적인 냉장고의 냉기흐름을 보인 서로 다른 부분의 종단면도.
제3도는 일반적인 냉장고의 단점을 설명하기 위한 냉각기 부위의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일실시예를 도어를 제거시킨 상태에서 바라본 정면도.
제6도는 제3도의 B부 구성을 보인 확대단면도.
제7도는 (a)내지 (c)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기흐름을 보인 서로 다른 부분의 종단면도.
제8도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횡단면도.
제9도는 본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횡단면도.
제10도는 본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어를 제거시킨 상태에서 바라본 정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C부 확대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단열박스체 3 : 하부 단열칸막이벽
4 : 냉동실 5 : 냉장실
6 : 야채실 8 : 냉각기실
12 : 냉동실용 귀환로 14 : 냉장실용 귀환로
15 : 야채실용 송풍로 15' : 야채실용 송풍로
16 : 야채실용 귀환로 17 : 냉기량 조절장치
19 : 냉기조절판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기의 순환거리를 단축하여, 냉기의 손실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압축기의 운전시간 단축으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게 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냉장고의 일실시형태가 국내특허공보 제788호, 공개번호 제91-17151호에 알려지고 있는 바,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단열박스체(21)의 내측에는 상하2단으로 단열칸막이벽(22)(2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단열칸막이벽(22)(23)에 의해 단열박스체(21)내의 중간부에는 냉동실(24), 이 냉동실(24)의 상부에 냉장실(25), 냉동실(24)의 하부에 야채실(26)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상기 냉동실(24)의 내부 후방에는 칸막이판(27)에 의해 냉각기실(28)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냉각기실(28)의 내측에는 팬장치(29) 및 냉각기(30)가 상하의 위치관계를 가지고 배치되어 있고, 상기 팬장치(29)는 냉각기(30)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아래에 기술한 경로를 만들어 순환시킨다.
즉, 상기 칸막이판(27)에는 송풍로(31)가 형성되어, 팬장치(29)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의 일부가 이 송풍로(31)를 통하여 직접 냉동실(24)의 내부로 보내진다.
이와같이 냉동실(24)의 내부로 보내진 냉기는 냉동실용 귀환로(32)를 통하여 냉각기실(28)의 내부로 되돌아 오도록 되어 있다.
상기 냉동실용 귀환로(32)는 하부 단열칸막이벽(23)의 좌우양쪽에 하나씩 모두 두 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유입구(32a)는 하부 단열칸막이벽(23)의 앞부분에서 냉동실(24)의 내부로 개구되고, 유출구(도시하지 않음)는 냉각기실(28)의 내측에 대하여 그 냉각기실(28)의 저부 좌우양쪽에서 개구되어 있다.
한편, 팬장치(29)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의 나머지 일부는 단열박스체(21)에 형성된 냉장실용 송풍로(33)를 통하여 냉장실(25)의 내부로 보내진다.
상기 냉장실용 송풍로(33)는 상부 단열칸막이벽(22)에 냉각기실(28)내로 향하도록 형성된 유입구(33a)에서 상부 단열칸막이벽(22) 및 단열박스체(21)의 뒷벽을 통하여 윗쪽으로 뻗어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유출구(33b)는 냉장실(25)내의 상부에서 개구되어 있다.
이와같이 냉장실(25)의 내부로 보내진 냉기는 냉장실용 귀환로(34)를 통하여 야채실(26)의 내부로 보내지고, 또한 야채실(26)내로 보내진 냉기는 야채실용 귀환로(35)를 통하여 냉각기실(28)의 내부로 되돌아 가도록 되어 있다.
상기 냉장실용 귀환로(34)는 상부 단열칸막이벽(22)의 중간부에 형성된 유입구(34a)에서 우측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다시, 단열박스체(21)의 뒷벽중 냉각기실(28)의 우측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아래쪽을 향해 연장되어 그 하단의 유출구(34b)가 야채실(26)의 내부로 개구되엉 있다.
또한, 상기 야채실용 귀환로(35)는 하부 단열칸막이벽(23)의 중간부에 상기 두 개의 냉동실용 귀환로(32)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 유입구(35a)는 하부 단열칸막이벽(23)의 앞부분에서 야채실(26)의 내부로 개구되어 있고, 유출구(35b)는 냉각기실(28)의 내부에 대하여 그 냉각기실(28)의 바닥에서 상기 양냉동실용 귀환로(32)의 유출구(32b)사이에 위치하도록 개구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각기실(28)내의 아래쪽에는 서리제거용 전기히터(36)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냉장고는, 팬장치(29)가 기동되면, 냉각기(30)에 의해 냉각된 냉기의 일부가 송풍구(31)에서 직접 냉동실(24)의 내부로 보내지고, 냉동실용 귀환로(32)를 통하여 냉각기실(28)의 내부로 되돌아가 냉각기(30)에 의해 다시 냉각되도록 순환된다.
또한, 냉각기(30)에 의해 냉각된 냉기의 나머지 일부는 냉장실용 송풍로(33)를 통하여 냉장실(25)의 내부로 보내진다.
이와같이 냉장실(25)의 내부로 보내진 냉기는 냉장실용 귀환로(34)를 통하여 야채실(26)로 보내지고, 그 후 야채실용 귀환로(35)를 통하여 냉각기실(28)내로 되돌아가 다시 냉각기(30)로 냉각되도록 순환된다.
이상과 같이 순환하는 냉기에 의해 냉동실(24), 냉장실(25), 그리고 야채실(26)이 냉각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는, 냉장실(25)의 냉기가 야채실(26)을 돌아 냉각기실(28)로 되돌아감으로써 냉기의 순환거리가 길어지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 냉기의 저항이 증가되어 냉기가 손실됨으로써 효율이 감소되며, 따라서 적정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압축기의 운전 시간이 연장됨으로써 소비전력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부 단열칸막이벽(23)의 내부에 냉동실용 귀환로(32)과, 야채실용 귀환로(35)가 별도로 통로로서 각각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야채실용 귀환로(35)로 귀환되는 냉기중에는 많은 양의 습기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양측의 냉동실용 귀환로(32)에 대향되는 부위보다는 중간부의 야채실용 귀환로(35)에 대향되는 냉각기(30)의 전면에 보다 많은 양의 성에(37)가 착상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같이 냉각기(30)의 전면 중간부에만 많은 양의 성에(37)가 착상될 경우에는 그 경우에는 그 성에(37)를 없애기 위한 제상 시간이 길어지게 됨으로써 역시 소비전력이 상승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한 냉장고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저은 냉기의 순환거리를 단축시켜 냉기의 저항을 최소화함으로써 냉기 손실의 감소로 효율을 발생시킬 수 있게 한 냉장고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각기에 보다 적은 양과 균일한 두께로 성에가 착상되도록 하여 제상 효율을 단축시킬 수 있게 한 냉장고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축기의 운전시간 단축으로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게 한 냉장고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중간부의 냉동실에 순환된 냉기가 냉각기실로 귀환되도록 하는 냉동실용 귀환로와 상부의 냉장실의 하단으로부터 중간부의 냉동실 측벽을 통해 냉장실에서 순환된 냉기가 냉각기실로 귀환되도록 하는 냉장실용 귀환로와, 상기 냉동실과 하부의 야채실을 서로 통하도록 연결시켜 냉동실에서 순환된 냉기의 일부가 야채실로 송풍되도록 안내하는 야채실용 송풍로와, 상기 야채실용 송풍로에 설치되어 야채실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는 냉기량 조절장치와, 상기 야채실과 냉각기실을 통하도록 연결시켜 냉동실에서 순환된 후 야채실에 송풍되어 순환된 냉기가 냉각기실로 귀환되도록 하는 야채실용 귀환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병의 다른 실시예로서, 중간부의 냉동실에 순환된 냉기가 냉각기실로 귀환되도록 하는 냉동실용 귀환로와, 상부의 냉장실의 하단으로부터 중간부의 냉동실 측벽을 통해 냉장실에서 순환된 냉기가 냉각기실로 귀환되도록 하는 냉장실용 귀환로와, 상기 냉동실용 귀환로와 하부의 야채실을 통하도록 연결시켜 냉동실용 귀환로를 통하여 귀환되는 냉기의 일부가 야채실로 송풍되도록 안내하는 야채실용 송풍로와, 상기 야채실용 송풍로에 설치되어 야채실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는 냉기량 조절장치와, 상기 야채실과 냉각기실을 통하도록 연결시켜 냉동실측에서 순환된 후 야채실에 송풍되어 순환된 냉기가 냉각기실로 귀환되도록 하는 야채실용 귀환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를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일실시예를 도어를 제거시킨 상태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제6도는 제3도의 B부 구성을 보인 확대단면도이며, 제7도의 (a)내지(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기흐름을 보인 서로 다른 부분의 종단면도이고, 제8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단열박스체(1)의 내측에 상하 2단으로 단열칸막이벽(2)(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단열칸막이벽(2)(3)에 의해 중간부에는 냉동실(4), 상부에는 냉장실(5), 그리고 하부에는 야채실(6)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상기 냉동실(4)의 내부 후방에는 칸막이판(7)에 의해 냉각실(8)이 구성되어 있으며, 그 냉각기실(8)의 내측에는 팬장치(9) 및 냉각기(10)가 상하의 위치관계를 가지고 배치되어 있고, 상기 팬장치(9)는 냉각기(10)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소정의 경로로 순환시킨다.
즉, 상기 칸막이판(7)에는 송풍로(11)가 형성되어, 팬장치(9)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의 일부가 이 송풍로(11)를 통하여 직접 냉동실(4)의 내부로 보내진다.
이와같이 냉동실(4)의 내부로 보내진 냉기는 내동실용 귀환로(12)를 통하여 냉각기실(8)의 내부로 되돌아오도록 되어 있다.
상기 냉동실용 귀환로(12)는 하부 단열칸막이벽(3)의 양측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유입구(12a)는 하부 단열칸막이벽(3)의 상면앞부분에서 냉동실(4)의 내부로 개구되고, 유출구(12b)는 냉각기실(8)의 내측에 대하여 그 냉각기실(8)의 저부 양측을 향하도록 개구되어 있다.
또한, 팬장치(9)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의 나머지 일부는 단열박스체(1)에 형성된 냉장실용 송풍로(13)를통하여 냉장실(5)의 내부로 보내진다.
상기 냉장실용 송풍로(13)는 상부 단열칸막이벽(2)에 냉각기실(8)의 내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유입구(13a)에서 상부 단열칸막이벽(2) 및 단열박스체(1)의 뒷벽을 통하여 위쪽으로 뻗어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유출구(13b)는 냉장실(5)내의 상부에서 개구되어 있다.
이와같이 냉장실(5)의 내부로 보내진 냉기는 냉장실(5)의 하단으로부터 중간부의 냉동실(4) 측벽을 통해 냉각기실(8)에 이르는 냉장실용 귀환로(14)를 통하여 냉동실(4)의 냉각기실(8)로 직접 되돌아 오도록 되어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냉장실용 귀환로(14)는 상부 단열칸막이벽(2)의 중간부에 형성된 유입구(14a)에서 우측으로 향해 연장되어 있고, 단열박스체(1)의 측벽 내부를 따라 아래쪽을 향해 연장되어 있으며, 다시 하부 단열칸막이벽(3)의 우측에서 내부의 내측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냉동실용 귀환로(12) 및 후술하는 야채실용 귀환로(16)와 연통되어 있다.
이와같이 냉장실용 귀환로(13)를 통하여 귀환되는 냉기는 냉동실용 귀환로(12) 및 야채실용 귀환로(16)로 귀환되는 냉기와 하부 단열칸막이벽(3)의 내부에서 서로 혼합된 후, 냉각기실(8)로 귀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냉동실(4)을 순환한 냉기의 일부는 야채실용 송풍로(15)를 통하여 야채실(6)로 보내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야채실(6)을 순환한 냉기는 야채실용 귀환로(16)를 통하여 냉각기실(8)의 내부로 되돌아 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야채실용 송풍로(15)는 하부 단열칸막이벽(3)의 좌측 단열박스체(1)의 내부에 상하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측의 유입구(15a)는 냉동실(4)의 내측으로 개구되어 있고, 하측의 유출구(15b)는 야채실(6)의 내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상기 야채실용 송풍로(15)의 중간부에는 냉기량 조절장치(『댐퍼』라고도함)(17)가 설치되어 냉동실(4)의 낮은 온도의 냉기가 너무 많이 야채실(6)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냉기량 조절장치(17)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출물로 형성된 외부구조물(18)와, 그 외부구조물(18)의 내부에 야채실용 송풍로(15)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EPS 등의 내부 구조물(19)과, 상기 야채실용 송풍로(15)의 중간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냉기조절판(『플랩』이라고도 함)(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야채실용 귀환로(16)는 하부 단열 칸막이벽(3)의 양 냉동실용 귀환로 (12)사이의 중간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 유입구(16a)는 하부 단열칸막이벽(3)의 하면 앞부분에서 야채실(6)의 내부로 개구되어있고, 유출구(16b)는 냉각기실(8)의 내부에 대하여 그 냉각기실(8)의 바닥에서 중간부를 향하도록 개구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냉장고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 내지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팬장치(9)의 기동에 의하여 토출되는 냉각기(10)에 의한 냉기의 일부가 송풍구(11)에서 직접 냉동실(4)의 내부로 보내지고, 냉동실용 귀환로(12)를 통하여 냉각기실(8)의 내부로 되돌아가 냉각기(10)에 의해 다시 냉각되도록 순환된다.
이때, 상기 냉동실(4)과 야채실(6)은 야채실용송풍로(15)에 의하여 통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므로 냉동실(4)의 냉기 일부가 야채실용 송풍로(15)를 통하여 야채실(6)로 보내지게 된다.
상기 야채실용 송풍로(15)에는 냉기량 조절장치(17)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냉동실(4)의 과도한 냉기가 야채실(6)로 공급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야채실(6)에 저장된 야채는 냉해를 입지 않게 된다.
이와같이 야채실용 송풍로(15)를 통하여 야채실(6)로 보내진 냉기는 야채실용 귀환로(16)를 통하여 냉각기실(8)로 되돌아가 다시 냉각기(10)로 냉각되도록 순환된다.
한편, 냉각기(10)에 의하여 냉각된 냉기의 나머지 일부는 냉장실용 송풍로(13)를 통하여 냉장실(5)의 내부로 보내지게 되며, 냉장실(5)의 내부를 순환한 다음, 냉장실용 귀환로(14)를 통하여 냉각기실(8)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때, 상기 냉장실용 귀환로(14)의 하단부는 냉동실용 귀환로(12) 및 야채실용 귀환로(16)와 통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므로 냉장실용 귀환로(14)로 귀환되는 냉기와, 냉동실용 귀환로(12) 및 야채실용 귀환로(16)로 귀환되는 냉기가 서로 혼합되어 열교환을 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같이 열교환 과정을 마친 혼합냉기가 냉각기(10)의 전면에 균일하게 토출됨으로써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기(10)의 전면에는 성에(37')가 비교적 균일한 두께로 착상되는 것이다.
또한,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냉동실용 귀환로(12)와 야채실용 귀환로(16)의 위치가 다른 경우로서, 냉장실용 귀환로(14)를 하부 단열칸막이벽(3)의 내부 우측에 형성된 야채실용 귀환로(16)에 먼저 통하도록 연결시켜도,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냉장실용 귀환로(14)로 귀환 되는 냉기와, 야채실용 귀환로(16) 및 냉동실용 귀환로(12)로 귀환되는 냉기가 서로 혼합된 후, 냉각기(10)의 전면에 균일하게 토출되는 작용은 동일하다.
한편, 제10도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다른 실시예를 도어를 제거시킨 상태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제11도는 제10도의 C부 확대단면도이며, 제1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냉장고의 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근본적인 구성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하며, 냉동실용 귀환로(12)와 야채실(6)을 통하도록 연결시켜 냉장실용 귀환로(14)로 귀환되는 냉기의 일부를 야채실(6)로 공급하는 야채실용 송풍로(1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중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냉장고의 특징적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7도의 (a) 내지 (c) 및 제10도 내지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장치(9)의 기동에 의하여 토출되는 냉각기(1)에 의한 냉기의 일부가 송풍구(11)에서 직접 냉동실(4)의 내부로 보내지고, 냉동실용 귀환로(12)를 통하여 냉각기실(8)의 내부로 되돌아가 냉각기(10)에 의해 다시 냉각되도록 순환된다.
이때, 상기 냉동실용 귀환로(12)와 야채실(6)은 야채실용 귀환로(16)에 의하여 통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므로 냉동실용 귀환로(12)를 통하여 냉각기실(8)로 귀환되는 냉기의 일부가 야채실용 송풍로(15')를 통하여 야채실(6)로 보내지게 된다.
상기 야채실용 송풍로(15')에는 냉기량 조절장치(17)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냉동실(4)의 과도한 냉기가 야채실(6)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야채실용 송풍로(15')를 통하여 야채실(6)로 보내진 냉기는 야채실용 귀환로(16)를 통하여 냉각기실(8)로 되돌아가 다시 냉각기(10)로 냉각되도록 순환된다.
한편, 상기 냉각기(10)에 의하여 냉각된 냉기의 나머지 일부가 냉장실용 송풍로(13)를 통하여 냉장실(5)의 내부로 보내지게 되며, 냉장실(5)의 내부를 순환한 다음, 냉장실용 귀환로(14)를 통하여 냉각기실(8)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때, 상기 냉장실용 귀환로(14)의 하단부는 야채실용 귀환로(16) 및 냉동실용 귀환로(12)와 통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므로 냉장실용 귀환로(14)로 귀환되는 냉기와, 야채실용 귀환로(16) 및 냉동실용 귀환로(12)로 귀환되는 냉기가 서로 혼합되어 열교환을 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같이 열교환 과정을 마친 혼합냉기가 냉각기(10)의 전면에 균일하게 토출됨으로써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냉각기(10)의 전면에는 성에(37')가 비교적 균일한 두께로 착상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도,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동실용 귀환로(12)와 야채실용 귀환로 (16)의 위치가 서로 다른 경우, 냉장실용 귀환로(14)로 귀환되는 냉기와, 야채실용 귀환로(16) 및 냉동실용 귀환로(12)로 귀환되는 냉기가 서로 혼합된 후, 냉각기(10)의 전면에 균일하게 토출되는 작용은 동일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냉기의 순환거리를 단축시켜 냉기의 저항을 최소화함으로써 냉기 손실의 감소로 효율을 향상시키고, 냉각기에 보다 적은 양과 균일한 두께로 성에가 착상되도록 하여 제상 효율을 단축시키며, 또한 압축기의 운전시간 단축으로 소비전력을 절감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중간부의 냉동실(4)에 순환된 냉기가 냉각기실(8)로 귀환되도록 하는 냉동실용 귀환로(12)와, 상부의 냉장실(5)의 하단으로부터 중간부의 냉동실(4) 측벽을 통해 냉장실(5)에서 순환된 냉기가 냉각기실(8)로 귀환되도록 하는 냉장실용 귀환로(14)와, 상기 냉동실(4)과 하부의 야채실(6)을 서로 통하도록 연결시켜 냉동실(4)에서 순환된 냉기의 일부가 야채실(6)로 송풍되도록 안내하는 야채실용 송풍로(15)와, 상기 야채실용 송풍로(15)에 설치되어 야채실(6)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는 냉기량 조절장치(17)와, 상기 야채실(6)과 냉각기실(8)을 통하도록 연결시켜 냉동실에서 순환된 후 야채실(6)에 송풍되어 순환된 냉기가 냉각기실(8)로 귀환되도록 하는 야채실용 귀환로(1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용 귀환로(14)는 하부 단열칸막이벽(3)의 내부에서 냉동실용귀환로(12) 및 야채실용귀환로(16)와 통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중간부의 냉동실(4)에 순환된 냉기가 냉각기실(8)로 귀환되도록 하는 냉동실용귀환로(12)와, 상부의 냉장실(5)의 하단으로부터 중간부의 냉동실(4)측벽을 통해 냉장실(5)에서 순환된 냉기가 냉각기실(8)로 귀환되도록 하는 냉장실용 귀환로(14)와, 상기 냉동실용 귀환로(12)와 하부의 야채실(6)을 통하도록 연결시켜 냉동실용 귀환로(12)를 통하여 귀환되는 냉기의 일부가 야채실(6)로 송풍되도록 안내하는 야채실용 송풍로(15')와, 상기 야채실용 송풍로(15)에 설치되어 야채실(6)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는 냉기량 조절장치(17)와, 상기 야채실(6)과 냉각기실(8)을 통하도록 연결시켜 냉동실측에서 순환된 후 야채실(6)에 송풍되어 순환된 냉기가 냉각기실(8)로 귀환되도록 하는 야채실용 귀환로(1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시룡 귀환로(14)는 하부 단열칸막이벽(3)의 내부에서 냉동실용 귀환로(12) 및 야채실용 귀환로(16)와 통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19930007876A 1993-05-07 1993-05-07 냉장고 KR960010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7876A KR960010660B1 (ko) 1993-05-07 1993-05-07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7876A KR960010660B1 (ko) 1993-05-07 1993-05-07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660B1 true KR960010660B1 (ko) 1996-08-07

Family

ID=19355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7876A KR960010660B1 (ko) 1993-05-07 1993-05-07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66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17183Y1 (ko) 김치실용 냉기순환구조를 구비한 냉장고
KR101387522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N102803876B (zh) 冰箱
KR960010660B1 (ko) 냉장고
JPH04103984A (ja) 冷蔵庫
KR20140019596A (ko) 3도어 타입 냉장고
JP3583821B2 (ja) 冷凍冷蔵庫
KR19990040766U (ko) 냉장고의 냉기덕트
JPS5851180B2 (ja) 冷蔵庫
JP3322495B2 (ja) 冷凍冷蔵庫
KR100305542B1 (ko) 냉장고의증발기
KR100404467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KR0136062Y1 (ko) 냉장고
KR100549080B1 (ko) 냉장고
KR19990060422A (ko) 상단냉장실을 구비한 냉장고의 냉장실 냉기유로
KR20030018840A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KR200142505Y1 (ko) 냉장고
KR20030015643A (ko) 냉장고의 냉기순환 시스템
KR100246377B1 (ko) 냉장고의 냉기유로구조
KR100377748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JP2001349656A (ja) 冷蔵庫
KR20020021914A (ko) 냉장고의 제상장치
KR960001198Y1 (ko) 냉 장 고
KR100597292B1 (ko) 냉장고
JPH1114232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